KR200482380Y1 - 대나무통 용기 - Google Patents

대나무통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380Y1
KR200482380Y1 KR2020150005719U KR20150005719U KR200482380Y1 KR 200482380 Y1 KR200482380 Y1 KR 200482380Y1 KR 2020150005719 U KR2020150005719 U KR 2020150005719U KR 20150005719 U KR20150005719 U KR 20150005719U KR 200482380 Y1 KR200482380 Y1 KR 2004823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mboo
container
bamboo container
stopper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57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규완
Original Assignee
박규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규완 filed Critical 박규완
Priority to KR20201500057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3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3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38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wood or substitutes therefor
    • B65D9/02Containers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9/00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 B65D39/0005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made in one pie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W90/10Bio-packaging, e.g. packing containers made from renewable resources or bio-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대나무통 용기에 관한 것으로, 서로 다른 직경과 길이를 가지며 상면과 하면이 각각 개방된 대나무로 이루어진 대나무 용기, 상기 대나무 용기의 하면에 압착으로 결합되며 서로 다른 직경의 대나무 용기에 결합되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마개를 마련하여 일정 길이로 절단되어 상면과 하면이 개방된 대나무 용기의 일면을 밀폐시킬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대나무 용기의 크기(또는 직경)에 관계없이 대나무 용기를 밀폐시킬 수 있고, 마개의 경사면에 결합되는 밀폐부재에 의해 대나무 용기의 내용물 누수를 방지할 수 있으며, 대나무의 마디 없이도 용기 또는 컵으로 사용할 수 있고, 고정수단에 의해 대나무 용기와 마개를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대나무통 용기{Bamboo Tube Vessel}
본 고안은 대나무통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연 재료인 대나무를 이용하여 컵 또는 용기 등으로 자유로이 사용할 수 있는 대나무통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상의 제품 및 음식을 저장하는 용기는 유리, 자기, 플라스틱, 스티로폼 및 종이로 된 용기를 사용하여 그 내부에 술, 음료, 음식 등을 넣어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용기는 내용물을 먹고난 후 빈용기 자체를 수거하여 재활용할 수 있도록 별도의 수거비용을 납부하여야 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지출을 초래하게 된다.
또 내부가 코팅된 종이컵 또는 스티로폼은 재활용이 비교적 어렵고 썩지 않으며, 스티로폼은 생산과정에서 오존층파괴의 주범인 프레온 가스를 발표제로 이용하므로 환경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된다.
또한 종이컵은 파라핀 또는 비닐로 내부를 코팅하여 뜨거운 음료를 담을 경우 음료에 그 성분이 스며 건강을 해치는 문제점이 대두되어 친환경적인 용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대나무는 속이 비어 있고, 길게 쪼개지는 성질이 있어 공예품의 재료로 사용되고 있으며, 대나무 통 속에 밥과 기타 곡물 등을 넣어 대통밥을 만드는 용기로 사용되고 있다. 또 술통에 넣어 죽통주를 만들기도 하며, 대나무 통에 소금을 넣고 9번 구워서 죽염을 만들기도 한다.
이와 같이 요리에 필요한 용기로도 사용되고 있으나, 대나무의 마디 부분을 포함시켜 자른 다음 그 내부에 요리 대상물을 넣어 헝겊 등으로 막아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대나무는 성장 정도에 따라 대나무의 직경 또는 마디의 길이가 각각 다르며, 이에 따라 요리 등에 사용되는 용기로 사용하고자 할 때 대나무의 활용도가 떨어지고 있다.
즉, 용기 등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대나무는 일측에 마디를 가지고 있어야 하므로, 용기의 길이에 상관없이 마디를 포함시켜 자르게 된다. 이에 용기로 사용되는 대나무는 버려지는 부분이 많아 대나무의 용기로써 사용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친환경 용기에 대한 기술의 일 예가 하기 문헌 1 내지 3 등에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은 대나무를 이용한 저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대나무의 일측은 폐쇄되고 타측은 개방이 되도록 절단하여 대나무의 일측은 폐쇄되어 음료를 저장할 수 있는 몸통부로 사용되고, 상기 몸통부와 결합과 분리를 반복적으로 할 수 있도록 일측에 나사홈을 갖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대나무통; 상기 대나무통의 타측을 폐쇄하여 상기 대나무통에 음료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하고, 삽입된 음료를 저장 및 배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주입구, 상기 주입구를 개폐하여 대나무통에 내재된 삽입물의 누출을 방지하고 외부의 불순물이 섞이는 것을 방지하는 코르크 마개를 포함하는 폐쇄수단; 상기 폐쇄수단이 결합된 대나무통의 외측면에 방수처리를 하여 대나무 자체의 기공을 통해 대나무통 내부에 삽입물의 누출을 막는 방수수단; 상기 대나무통의 외부면에 일측면이 결합된 방수수단의 타측과 결합되어 대나무 용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장수단이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는 대나무를 이용한 주류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 일측이 차폐되어 내측으로 수용부를 형성하고 상부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몸체; 내부 일측이 차폐되고 상기 차폐된 부분의 일측에 각각 주류유출구와 공기유출입구가 형성되며 하부에 상기 몸체의 암나사부와 결합을 위한 수나사부가 형성된 덮개;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덮개와 몸체는 대나무를 이용하여 형성된 구성에 대해 개시되어있다.
또 하기 특허문헌 3에는 일정량을 내장할 수 있는 대나무통 용기로서, 대나무통으로 된 몸통부와 원판 형상의 덮개부를 포함하되, 상기 몸통부의 밑면은 대나무 마디로 밀폐되어 있고, 상기 몸통부의 상면은 대나무통을 두께 방향으로 절단함으로써 개구되어 있으며, 상기 상면 아랫부분에는 절단홈을 중심으로 몸통부의 윗부분과 아랫부분을 연결하는 연결부가 상기 몸통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판 형상의 덮개부에는 그 일부가 상기 연결부의 내주연과 맞물리도록 형성된 절단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덮개부가 상기 절단홈으로 삽입되어 상기 몸통부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구성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대나무를 이용한 음료 용기는 공개되어 있지만 음료 및 음식이 함께 수용 가능한 대나무를 이용한 용기에 관한 연구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음료 및 음식이 한 컵에 수용 가능한 대나무 이중컵을 제조함으로서 소비자에게 편리성과 활동성을 부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0424005호(2004. 1. 10. 등록)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08-0020014호(2008.03.05 공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20-0449451호(2010.07.05 등록)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대나무 용기는 대나무의 일측에 마디를 가지고 있으므로 길이가 긴 대나무를 사용할 수 없고, 항상 마디를 가지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대나무의 직경 또는 길이에 따라 매우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대나무의 길이 또는 직경에 상관없이 대나무를 용기 또는 컵 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대나무통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대나무의 마디 없이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대나무통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대나무통 용기는 서로 다른 직경과 길이를 가지며 상면과 하면이 각각 개방된 대나무로 이루어진 대나무 용기, 상기 대나무 용기의 하면에 압착으로 결합되며 서로 다른 직경의 대나무 용기에 결합되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마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대나무 용기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상기 대나무 용기의 외측에서 상기 마개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개는 직경이 작은 상면으로부터 직경이 크게 형성된 하면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직경이 서로 다른 상기 대나무 용기의 하면에 끼워져 결합되는 경사면, 상기 경사면의 외면에 상기 대나무 용기의 내용물이 누수되지 않도록 결합되는 밀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폐부재는 일정 두께를 갖는 연질로 이루어져 상기 대나무 용기의 내용물이 누수되지 않는 투명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폐부재는 톱밥과 접착제가 혼합된 파티클 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개는 형상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는 목재, 종이,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대나무통 용기에 의하면, 일정 길이로 절단되어 상면과 하면이 개방된 대나무 용기의 일면을 밀폐시킬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대나무 용기의 크기(또는 직경)에 관계없이 대나무 용기를 밀폐시킬 수 있고, 마개의 경사면에 결합되는 밀폐부재에 의해 대나무 용기의 내용물 누수를 방지할 수 있으며, 대나무의 마디 없이도 용기 또는 컵으로 사용할 수 있고, 고정수단에 의해 대나무 용기와 마개를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대나무통 용기의 분해 입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대나무통 용기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대나무통 용기를 보인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대나무통 용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대나무통 용기의 분해 입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대나무통 용기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대나무통 용기는 서로 다른 직경과 길이를 가지며 상면과 하면이 각각 개방된 대나무로 이루어진 대나무 용기(10), 상기 대나무 용기(10)의 하면에 압착으로 결합되며 서로 다른 직경의 대나무 용기(10)에 결합되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마개(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대나무통 용기는 대나무를 일정 길이로 자른 대나무 용기(10)와 상면과 하면이 개방된 대나무 용기(10)의 일면을 개폐시킬 수 있는 마개(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대나무 용기(10)는 대나무를 일정 길이로 자른 것으로, 대나무의 마디에 상관없이 일정 길이로 잘라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대나무의 마디가 포함되지 않도록 잘라 사용하게 된다.
상기 대나무 용기(10)는 상면과 하면이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대나무 용기(10)는 마디와 마디 사이를 잘라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는 길이로 절단될 수 있으며, 대나무에 형성된 마디 사이의 길이에 관계없이 대나무를 이용한 용기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대나무는 성장 정도에 따라 각각 그 직경 또는 모양이 다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개방된 대나무 용기(10)의 일면, 보다 바람직하게는 하면을 개폐시킬 수 있는 마개(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마개(20)는 대략 원뿔 형상으로 이루어져 대나무 용기(10)의 일면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마개(20)는 대나무 용기(10)의 일면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직경이 작은 상면(21)과 직경이 큰 하면(22)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들 상면(21)과 하면(22) 사이에 서로 다른 직경 또는 모양을 갖는 대나무 용기(10)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23)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마개(20)는 대나무 용기(10)에 끼워져 내용물이 누수되지 않도록 그 형태적인 변형이 이루어지는 목재, 종이, 플라스틱 중의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마개(20)는 대략 원뿔 형상으로 이루어져 직경 또는 모양이 서로 다른 대나무 용기(10)에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되며, 경사면(23)이 대나무 용기(10)에 긴밀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형태적인 변형이 이루어지는 목재, 종이, 플라스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플라스틱은 형태적인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는 열가소성 플라스틱 또는 연질의 고무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마개(20)는 대나무 용기(10)와 긴밀하게 결합되도록 밀폐부재(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폐부재(25)는 마개(20)의 경사면(23)에 결합되는 것으로, 경사면(23)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밀폐부재(25)는 대나무 용기(10)의 내용물이 누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밀착력이 높은 연질의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밀폐부재(25)는 일정 두께를 갖는 연질의 투명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목재의 톱밥을 접착제와 혼합하여 일정 두께를 갖는 파티클 보드를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대나무통 용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대나무통 용기는 대나무 용기(10)에 마개(20)를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수단(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나무 용기(10)의 하부에는 고정수단(30)을 끼울 수 있는 구멍(1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 구멍(11)은 서로 대칭되는 방향에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마개(20)의 경사면(23)에는 고정수단(30)의 끝단이 일부 걸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반구 형상의 홈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즉, 경사면(23)에는 고정수단(30)에 대응되는 작은 직경의 홈부가 일정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마개(20)는 대나무의 바탕 상태나 무늬(결)와 유사하게 형성함으로써, 동일한 재질의 대나무를 사용한 느낌을 갖도록 한다. 즉, 마개(20)는 상면(21), 하면(22) 및 경사면(23)의 외면을 대나무와 동일한 결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다음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대나무통 용기의 결합관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대나무 용기(10)는 대나무를 일정 길이로 잘라 튜브 형태로 형성한다. 이때 대나무 용기(10)는 대나무의 성장 정도에 따라 각각 다른 직경을 가질 뿐만 아니라 대나무가 잘린 위치에 따라서도 대나무 용기(10)의 직경은 달라지게 된다.
이렇게 자른 대나무 용기(10)는 상면과 하면이 모두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대나무의 마디에 관계없이 형성하고자 하는 대나무 용기(10)의 길이에 따라 마디를 포함시키지 않고서 자를 수 있게 된다.
이는 대나무의 길이 또는 마디에 관계없이 자를 수 있어 대나무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마개(20)는 대나무 용기(10)에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데, 상면(21)과 하면(22)의 직경이 다른 원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면(21)과 하면(22) 사이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23)을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마개(20)는 대나무 용기(10)의 일면에 끼워져 결합되며, 대나무 용기(10)에 수용된 내용물이 새지 않도록 형태적인 변형이 가능한 목재, 종이, 연질의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마개(20)에는 대나무 용기(10)와 밀착되어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밀폐부재(25)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밀폐부재(25)는 연질의 투명 실리콘 또는 톱밥과 접착제를 혼합한 파티클 보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밀폐부재(25)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대나무 용기(10)에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도 3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대나무통 용기에는 마개(20)를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수단(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30)은 소정 길이를 가지면서 쐐기 형태로 이루어진 고정핀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쐐기 형태의 고정핀은 대나무 용기(10)의 구멍(11)에 끼워짐은 물론 밀폐부재(25)에 밀착되어 대나무 용기(10)로부터 마개(20)의 분리를 방지하게 된다.
이상 본 고안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고안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대나무 용기 11: 구멍
20: 마개 21: 상면
22: 하면 23: 경사면
25: 밀폐부재 30: 고정수단

Claims (6)

  1. 마디를 포함하지 않도록 절단되고 서로 다른 직경과 길이를 가지며 상면과 하면이 각각 개방된 대나무로 이루어지되 외측에서 내측으로 연통되는 구멍이 형성된 대나무 용기,
    상기 대나무 용기의 하면에 압착으로 결합되며 서로 다른 직경의 대나무 용기에 결합되도록 톱밥과 접착제가 혼합된 파티클 보드를 포함하는 밀폐부재가 도포된 경사면을 가지고, 적어도 상기 대나무 용기의 서로 다른 직경 중 어느 하나의 직경보다는 작지 않게 형성된 직경을 포함하며 하면이 평평하게 형성된 마개 및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쐐기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마개와 맞닿아서 상기 마개가 상기 대나무 용기 하면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며, 소정의 길이가 상기 구멍에 삽입되는 경우, 외측면에서 상기 대나무 용기와 맞닿아 지지되는 고정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통 용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는 직경이 작은 상면으로부터 직경이 크게 형성된 하면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직경이 서로 다른 상기 대나무 용기의 하면에 끼워져 결합되는 경사면,
    상기 경사면의 외면에 상기 대나무 용기의 내용물이 누수되지 않도록 결합되는 밀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통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는 일정 두께를 갖는 연질로 이루어져 상기 대나무 용기의 내용물이 누수되지 않는 투명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통 용기.
  5. 삭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는 형상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는 목재, 종이,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통 용기.
KR2020150005719U 2015-08-26 2015-08-26 대나무통 용기 KR2004823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719U KR200482380Y1 (ko) 2015-08-26 2015-08-26 대나무통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719U KR200482380Y1 (ko) 2015-08-26 2015-08-26 대나무통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2380Y1 true KR200482380Y1 (ko) 2017-01-18

Family

ID=57964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5719U KR200482380Y1 (ko) 2015-08-26 2015-08-26 대나무통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380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6150A (ko) 2021-10-20 2023-04-27 박규완 대나무통 용기
KR20230064420A (ko) 2021-11-03 2023-05-10 박규완 대나무통 형상의 용기
KR20230127547A (ko) 2022-02-25 2023-09-01 박규완 대나무통 형상의 용기
KR20240035194A (ko) 2022-09-08 2024-03-15 박규완 밀봉된 천연 대나무통 용기 및 그 제작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383B2 (ja) * 1990-11-30 1996-03-06 有限会社桐山製作所 不燃性の栓
KR100424005B1 (ko) 2002-01-30 2004-03-22 한재호 대나무를 이용한 저장용기
KR200357455Y1 (ko) * 2004-05-13 2004-07-30 김점선 대나무 액체용기
KR20080020014A (ko) 2006-08-30 2008-03-05 김혜란 대나무를 이용한 주류용기
KR200449451Y1 (ko) 2008-10-02 2010-07-12 박규완 일정량을 내장할 수 있는 대나무통 용기
KR20110069639A (ko) * 2009-12-17 2011-06-23 윤종석 전열소자를 이용한 냉온용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383B2 (ja) * 1990-11-30 1996-03-06 有限会社桐山製作所 不燃性の栓
KR100424005B1 (ko) 2002-01-30 2004-03-22 한재호 대나무를 이용한 저장용기
KR200357455Y1 (ko) * 2004-05-13 2004-07-30 김점선 대나무 액체용기
KR20080020014A (ko) 2006-08-30 2008-03-05 김혜란 대나무를 이용한 주류용기
KR200449451Y1 (ko) 2008-10-02 2010-07-12 박규완 일정량을 내장할 수 있는 대나무통 용기
KR20110069639A (ko) * 2009-12-17 2011-06-23 윤종석 전열소자를 이용한 냉온용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6150A (ko) 2021-10-20 2023-04-27 박규완 대나무통 용기
KR20230064420A (ko) 2021-11-03 2023-05-10 박규완 대나무통 형상의 용기
KR20230127547A (ko) 2022-02-25 2023-09-01 박규완 대나무통 형상의 용기
KR20240035194A (ko) 2022-09-08 2024-03-15 박규완 밀봉된 천연 대나무통 용기 및 그 제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2380Y1 (ko) 대나무통 용기
US10172487B2 (en) Stemmed glass and stemmed glass set
WO2008059821A1 (fr) Double contenant pour aliment instantané
KR200449451Y1 (ko) 일정량을 내장할 수 있는 대나무통 용기
US20190352072A1 (en) Access system for selectively accessing the contents of a container
KR101543513B1 (ko) 식품용 다용도 포장박스
CN104909056A (zh) 一种可自动密封的吸管盖
KR200426306Y1 (ko) 일정량을 저장할 수 있는 대나무 용기
CN210961355U (zh) 杯体结构
CN204606538U (zh) 可扳动划口吸嘴盖
JP2013237464A (ja) 即席食品容器
CN206238672U (zh) 带餐具的饭盒
CN104909055A (zh) 一种具有自动密封功能的平头吸管盖
CN205441372U (zh) 爆米花防潮桶
CN204587608U (zh) 具有顶盖窗口的可扳动吸嘴盖
CN204776673U (zh) 一种茶叶内包装盒
CN204642559U (zh) 托盘弯曲吸管盖
CN204606537U (zh) 单层瓶口可扳动划口吸嘴盖
CN109941589B (zh) 易用防漏盖
TWI717883B (zh) 杯體結構
CN214383437U (zh) 一种可接触食品的多层绝缘保温可降解生态包装结构
CN207956337U (zh) 小干果盛具套件
CN210810368U (zh) 具有储物功能的水杯
WO2017089885A2 (en) Stemmed glass set and method of assembly
CN211269830U (zh) 易操作温热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