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2875U - 이중사출 방식의 병 뚜껑 - Google Patents

이중사출 방식의 병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2875U
KR20110002875U KR2020090012115U KR20090012115U KR20110002875U KR 20110002875 U KR20110002875 U KR 20110002875U KR 2020090012115 U KR2020090012115 U KR 2020090012115U KR 20090012115 U KR20090012115 U KR 20090012115U KR 20110002875 U KR20110002875 U KR 2011000287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cover
bottle
circumferential surface
inner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21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연진
Original Assignee
이연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연진 filed Critical 이연진
Priority to KR20200900121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2875U/ko
Publication of KR201100028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87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36Closures with frangible parts adapted to be pierced, torn, or removed, to provide discharge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02Loosely-engaging lids or covers for jars, cans, or like containers for liquids without means for effecting sealing of container
    • B65D51/08Loosely-engaging lids or covers for jars, cans, or like containers for liquids without means for effecting sealing of container with axial projections fitting within, or around, the walls defining the openings, e.g. for milk chur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간장, 참기름, 청량음료 등과 같은 액상의 내용물을 저장하고 사용하기에 적합한 병 뚜껑에 관한 것이다. 병의 입구에 체결되기 위한 내부체결캡의 외곽으로 커버몸체, 연결부 및 커버로 이루어진 커버캡을 포개어 이중으로 사출하되, 내부체결캡은 연질의 PE 재질로 커버캡은 PP 재질로 성형하여 다양한 부피로 제작될 가능성이 있는 병의 입구에 체결될 때 연질의 내부체결캡이 부피를 변동시켜 다양한 병 입구의 크기와 경질의 커버캡 사이에서 완충적인 역할을 하여,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는 이중사출 방식의 병 뚜껑에 관한 것이다.
내부체결캡, 커버캡, 스크류, 내주관부, 커버, 연결부, 병 입구, 커버몸체

Description

이중사출 방식의 병 뚜껑{TWO-SHOT MOLDED VESSEL COVER}
본 고안은 간장, 참기름, 청량음료 등과 같은 액상의 내용물을 저장하고 사용하기에 적합한 병 뚜껑에 관한 것이다. 병의 입구에 체결되기 위한 내부체결캡의 외곽으로 커버몸체, 연결부 및 커버로 이루어진 커버캡을 포개어 이중으로 사출하되, 내부체결캡은 연질의 PE 재질로 커버캡은 PP 재질로 성형하여 다양한 부피로 제작될 가능성이 있는 병의 입구에 체결될 때 연질의 내부체결캡이 부피를 변동시켜 다양한 병 입구의 크기와 경질의 커버캡 사이에서 완충적인 역할을 하여,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는 이중사출 방식의 병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VESSEL)은 액상 양념인 간장이나 참기름 등을 보관하는데 널리 사용되며 또한 콜라, 사이다 등과 같은 각종의 청량음료를 보관하는 데에도 널리 사용된다. 이와 같은 통은 간장, 참기름, 청량음료 등을 보관하기도 하지만 필요에 따라 적당한 양만큼 흘려 보낼 수 있도록 효과적인 형태의 배출구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통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뚜껑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병의 뚜껑 구조에 대해서는 그동안 별다른 발전이 없었다. 액상의 양념통을 예로 들면 단지 병에 스크류 체결되는 뚜껑이나 마개를 형성한 아주 단순한 구조가 대다수다. 최근에 간장병이나 식용류병을 대상으로 하여 그 뚜껑을 형성함에 있어서, 병과 스크류 체결되는 1 단의 캡을 형성하고 그 상부로 별도의 마개를 덮어 체결한 형태의 것이 개발된 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형태는 아주 단순하고, 캡과 마개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좁고 조잡하여 잦은 사용으로 인하여 떨어지는 경우가 비일비재했다.
또한 이와 같은 뚜껑은 일단 사출물로 제작되어 병이나 통의 입구와 스크류 체결되어야 하는데, 병이나 통의 입구가 모두 동일한 크기, 부피, 형태로 제작되기 힘들다. 즉 약간의 차이를 보이며 서로 다른 형태를 취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병에 체결되는 뚜껑은 어떤 경우에는 일측이 갈라지거나 아귀의 힘으로는 체결하기 어려울 정도로 뻑뻑한 경우가 발생된다. 간혹 병 입구가 작아 너무 헐렁하게 조여져 쉽게 풀리는 경우도 있다.
본 고안은 간장, 참기름, 청량음료 등과 같은 액상의 내용물을 저장하고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통 뚜껑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병의 입구에 체결되기 위한 병입구체결캡과 캡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형성함에 있어서 연질의 사출물을 이중 사출 처리하여 경질의 병입구체결캡과 캡을 사출하는 방식으로 제작하고 캡의 상면에 로고를 연질 또는 다른 색상으로 이중 사출 처리함으로써, 병입구체결캡의 주입구를 캡에서 돌출되게 성형하는 연질의 지지막으로 부드럽게 가압함으로써 내용물이 흐르지 않도록 유도하고 제품의 상표나 로고를 양호하게 표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이중사출 방식의 병 뚜껑은, 병 입구(B) 외주면과 면접하며 직접적으로 체결되기 위한 내주면 스크류(16)와 병 입구(B)의 내주면과 면접하는 내주관부(51)를 가진 몸체(13)와 내주관부(51)의 내측으로 관통된 통로(12)로 이루어진 연질 재질의 내부체결캡(10); 및 내부체결캡(10)의 외주면을 수용하되, 그 중심부에 연통공(33)을 가진 커버몸체(31)와 커버몸체(31)의 상면을 덮는 커버(40)와 커버몸체(31)의 일측과 커버(40)의 일측을 연결하는 연결부(50)로 이루어진 경질의 커버캡(30);이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병 입구(B)와 직접 결합되는 연질의 내부체결캡(10)이 경질 커버캡(30)의 내측에 이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성형될 수 있도록 이중사출되어 병 입구(B)의 불균형이나 작은 지름의 차는 연질의 내부체결캡(10)과 커버캡(30)의 수축작용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이중사출 방식의 병 뚜껑에서, 내부체결캡(10)과 커버캡(30)의 커버몸체(31)와의 이중사출 결합은, 커버몸체(31)의 연통공(33)에 작은 원주를 가진 다수의 외곽홈(34)을 연통공(33)의 내주면을 타고 다수 개 형성하여 그 내주면에 삽입될 내부체결캡(10)의 몸체(13) 외주면과 부분적으로 접촉시킴으로써, 병입구(B)의 부피변화에 따른 내부체결캡(10)의 수축과 팽창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내부체결캡(10)의 통로(12)는 사출시 커팅부(18)에 연결되는 패널막(21)의 상부로 지지대(22)를 형성하고 그 지지대(22)의 끝단에 마개링(23)을 체결한 형태의 안전마개(20)를 동시에 사출하여 필요시 절단하고 사용하도록 구성할 수 있고 : 내부체결캡(10)과 커버캡(30)의 이중사출 체결에는 내부체결캡(10)의 외주면과 커버캡(30)의 내주면에는 대응되는 결합돌기(44)와 결합홈(14)을 형성하여 서로 견고히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이중사출 방식의 병 뚜껑에서, 내부체결캡(10)과 커버캡(30)의 이중사출 체결에는, 내부체결캡(10)의 외주면을 둘레로 돌출되는 걸림돌기(41)와 지지돌기(19)를 형성하고, 커버캡(30)의 내주면에는 상기와 대응되도록 대응걸림돌기(35)와 대응지지돌기(36)를 형성하여 서로 단턱을 형성하여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부체결캡(10)의 하단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단턱부(15)를 형성하여 내부체결캡(10)이 커버캡(30)의 내측으로 삽입 체결되어 상부로 빠지지 않도록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 내부체결캡(10)의 최 상단으로 상부로 돌출하되, 크고 작은 원 형상이 서로 포개어져 외곽부를 형성하여 작은 원형의 내주면을 타고 병 내부의 내용물을 안전하게 쏟을 수 있도록 하는 주입관부(11)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이중사출 방식의 병 뚜껑에서, 커버몸체(31)와 커버(40)가 포개어져 면접하는 부분에, 커버몸체(31)의 외주면을 돌아 돌출되는 걸림부(37)와 커버(40)의 내주면에서 돌출되는 대응돌부(42)를 형성하여 커버(40)를 커버몸체(31)에 덮을 경우에 안전하게 결합되도록 하고 : 커버(40)의 외주면 전방으로 돌출되는 손잡이편(A)을 형성하여 커버(40)의 열고 닫음을 손쉽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연질의 내부체결캡과 경질의 커버캡을 이중사출하고 병입구와 직접적인 결합은 내부체결캡으로 달성하여 병입구의 부피차이는 연질의 내부체결캡의 탄성을 이용하여 수용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병 입구에 대하여 적용가 능성을 높게 한 장점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연질의 내부체결캡과 경질의 커버캡을 이중사출할 때, 양자가 서로 견고하게 결합하지만 서로 간의 만남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내부체결캡과 커버캡의 면접부위에 외곽홈을 형성하고, 외곽홈이 사실상 내부체결캡의 부피를 팽창시킬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되어 그 탄성력을 확대했다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에 따라 병 입구에 본 고안의 뚜껑을 체결하여 사용함으로써 보관시에는 내용물이 흐르지 않고, 필요에 따라 정확한 적정량 만큼만 투입할 수 있기에 사용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착탈 가능한 마개링이 결합된 안전마개가 형성되어 병의 개방여부를 인지할 수 있어서, 내용물이 사용되었는지 분간을 할 수 있기에 소비자 신뢰를 담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은 간장, 참기름, 청량음료 등과 같은 내용물을 저장하고 사용하기에 적합한 이중사출 방식의 병 뚜껑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을 [도 1] 내지 [도 5]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병 뚜껑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병 뚜껑은 다양한 형태의 병 입구(B)와 체결될 수 있다는 전제를 두고, 그러한 다양한 형태의 병 뚜껑에 적용가능성을 하고자 한 고안이다. 이러한 전제는 다른 내용물 을 담기 위해서 제작된 다른 형태의 병 입구(B)와 그 크기와 형태면에서 상당한 차이가 발생되지 않는다면 본 고안의 병 뚜껑을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의도이다. 같은 병을 사출이나 금형을 통해서 제작할 때에도 그 병 입구(B)가 작업환경에 따라 약간 형태가 변형된 상태로 제작될 수 있기에 이러한 모든 문제점도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의도이다.
그럼 본 고안을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시된 것처럼, 병 입구(B) 외주면과 면접하며 직접적으로 체결되기 위한 내주면 스크류(16)와 병 입구(B)의 내주면과 면접하는 내주관부(51)를 가진 몸체(13)와 내주관부(51)의 내측으로 관통된 통로(12)로 이루어진 연질 재질의 내부체결캡(10)이 있고, 내부체결캡(10)의 외주면을 수용하되, 그 중심부에 연통공(33)을 가진 커버몸체(31)와 커버몸체(31)의 상면을 덮는 커버(40)와 커버몸체(31)의 일측과 커버(40)의 일측을 연결하는 연결부(50)로 이루어진 경질의 커버캡(30)이 있다.
따라서 병 입구(B)와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연질의 내부체결캡(10)이 경질 커버캡(30)의 내측에 이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성형될 수 있도록 이중사출되어, 병 입구(B)의 불균형이나 작은 지름의 차는 연질의 내부체결캡(10)과 커버캡(30)의 수축작용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도 1]과 [도 2]에서처럼 내부체결캡(10)과 커버캡(30)의 결합형태로 제작된다. 내부체결캡(10)은 연질의 PE 재질로 사출되고, 커버캡(30)은 경질 의 PP 재질을 통해서 이중사출되는 것이다. 먼저 내부체결캡(10)이 형성되어 커버캡(30)의 형상을 만들 때, 인써트몰딩되어 사출될 수 있고, 이와는 달리 역순으로 제작하여도 무방하다. 단지 내부체결캡(10)과 커버캡(30)이 서로 다른 재질의 사출물로 제작하지만, 내부체결캡(10)이 연질이며 그에 따른 부피의 팽창도가 높다는 것이 중요하다.
본 고안의 병 입구(B)와의 체결과정을 살펴보면, [도 5]에서처럼 이중사출되어 내부체결캡(10)과 커버캡(30)이 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 커버캡(10)으로 둘러싸인 내부체결캡(10)을 병 입구(B)와 스크류 체결하게 되는데, 단순하게 회전시키거나 억지 끼움 방식으로 가압 체결함이 바람직하다.
내부체결캡(10)에는 [도 2]에서처럼 내주면에 스크류(16)가 형성되어 있고, 중심부에 형성되는 통로(12)의 외측으로 하단으로 돌출되는 원통형의 내주관부(51)가 일체로 사출 성형된다. 내부체결캡(10)을 병 입구(B)에 체결하게 되면, 병 입구(B)의 외주면과 내부체결캡(10)의 내주면이 스크류 결합하면서 면접하고, 이와 동시에 내부체결캡(10)에서 하단으로 돌출된 내주관부(51)는 병 입구의 내주면에 면접하면서 병 입구(B)의 내, 외주면과 밀착하여 완벽한 수밀성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것이다.
내부체결캡(10)에는 이중사출을 통해서 그 외곽부를 전체적으로 감싸되, 상부만 개방시킨 형태로 제작된 커버캡(30)이 형성되는데, 커버캡(30)은 커버몸 체(31)와 연결부(50) 및 커버(40)로 이루어진다.
연질의 내부체결캡(10)의 외측에서 경도가 높은 재질로 감싸는 커버캡(30)은 그 커버(40)를 연결부(50)를 이용하여 절곡하면, 내부체결캡(10)의 상단을 막아 그 통로(12)를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역방향으로 회동하여 커버(40)를 제거하게 되면 그 통로(12)를 통해서 병 내부의 내용물을 용이하게 쏟아 부을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렇듯 본 고안은 종래기술과는 이중사출로 형성한다는 점, 그리고 그 이중사출로 제작하되 내부체결캡(10)이 연질이고 외곽부를 감싸는 커버캡(30)이 경질이라는 점에 구별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기능성을 부각시키기 위해서 내부체결캡(10)의 탄성력을 확대시키지만 커버캡(30)과의 체결의 견고성도 동시에 확대시키는 세부적인 구성요소들이 형성된다. 이들의 보다 상세한 기술적 사상을 [도 1] 내지 [도 5]와 함께 살펴본다.
본 고안에서 내부체결캡(10)과 커버캡(30)의 커버몸체(31)와의 이중사출 결합은 커버몸체(31)의 연통공(33)에 작은 원주를 가진 외곽홈(34)을 연통공(33)의 내주면을 타고 다수 개 형성하여 그 내주면에 삽입될 내부체결캡(10)의 몸체(13) 외주면과 부분적으로 접촉시켜, 병입구(B)의 부피변화에 따른 내부체결캡(10)의 수축과 팽창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 바람직하다.
[도 1]과 [도 2]에는 내부체결캡(10)의 원통형 몸체(13)를 형성하되, 매끈한 원통형의 외곽부가 될 수 있도록 사출한다. 그러나 이에 대응하는 커버캡(30)의 커버몸체(31) 내주면에는 다수의 외곽홈(34)이 연결되어 내주면이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면접하게 될 내부체결캡(10)의 매끈한 외주면과는 달리 연통공(33)의 지름에 비하여 다소 작은 지름의 원주를 연결하여 연통공(33)의 내주면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연통공(33)의 내주면을 제작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내부체결캡(10)의 몸체(13) 외주면과 커버캡(30)의 커버몸체(31) 연통공(33) 내주면이 면접하게 되면, 면과 면 사이의 결합이 아니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선과 선의 결합으로 접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선과 선의 접지부위를 제외하고는 일정한 간격이 형성되어 내부체결캡(10)의 부피팽창을 위한 팽창공간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내부체결캡(10)에 다소 큰 부피의 병 입구가 삽입되게 되면 내부체결캡(10)은 외측으로 그 부피를 팽창시키게 되고, 연질이기에 그 확장이 용이하다. 외곽부를 감싸는 커버캡(30)은 [도 1], [도 2], [도 5]에서처럼 접촉부위에 다수의 외곽홈(34)을 형성하고 있어 이 홈을 이용하여 확장되는 내부체결캡(10)을 수용하여 그 탄성력과 복원력의 강화를 도운 것이다.
한편 내부체결캡(10)의 통로(12)는 사출시 커팅부(18)에 연결되는 패널막(21)의 상부로 지지대(22)를 형성하고, 그 지지대(22)의 끝단에 마개링(23)을 체결한 형태의 안전마개(20)를 동시에 사출하여 필요시 절단하고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고안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체결캡(10)을 사출성형할 때, 그 통로를 완벽하게 폐쇄시키는 안전마개(20)를 동시에 사출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전마개(20)는 마개링(23), 지지대(22), 패널막(21)을 구비하는데, 패널막(21)의 외주면이 통로(12)를 직접적으로 막도록하되, 커팅부(18)를 넣어 마개링(23)을 잡아당기면 커팅부(18)가 절단되면서 패널막(18)이 찢어질 수 있도록 제작한다.
만일 소비자가 음료수, 참기름이나 들기름을 구입하고 나서 사용을 하고자 한다면 마개링(23)을 잡아당겨 통로(12)를 개방한 후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점은 만일 안전마개(20)가 개방되어 없는 상태라면 이미 이 상품은 누군가에 의해 선 개방된 것을 인지할 수 있기에 내용물의 신선도를 가늠할 수 있는 척도로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내부체결캡(10)과 커버캡(30)의 이중사출 체결에는 내부체결캡(10)의 외주면과 커버캡(30)의 내주면에는 대응되는 결합돌기(44)와 결합홈(14)을 형성하여 서로 견고히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1] 내지 [도 5]에서처럼 내부체결캡(10)과 커버캡(30)의 사이에 다수의 외곽홈(43)이 존재한다. 둘 간의 완벽한 면접이 없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결합된 상태이다. 사용자가 병 뚜껑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병 입구(B)에서 회전시키는 작용을 가할 수 있고, 외력이 작용하여 병 뚜껑이 가압되는 작용도 발생될 수 있다. 양자는 견고히 체결되어야만 하지만 내부체결캡(10)의 탄성력과 부피 팽창을 수용하기 위해서 간격을 형성해야만 하는 이율배반적인 기능을 추구해야만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커버캡(30)과 내부체결캡(10)의 사출시 서로 구조적으로 끼워져 결합될 수 있는 구성요소를 제작하였다.
도면에서는 내부체결캡(10)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결합홈(14)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결합돌기(44)를 커버캡(30)의 내주면에 형성하여 결합돌기(44)가 결합홈(14)을 파고 들어가 몰딩될 수 있게 하고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내부체결캡(10)에 결합돌기(44)를 커버캡(30)에 결합홈(14)을 형성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서 내부체결캡(10)과 커버캡(30)의 이중사출 체결에는, 내부체결캡(10)의 외주면을 둘레로 돌출되는 걸림돌기(41)와 지지돌기(19)를 형성하고, 커버캡(30)의 내주면에는 대응되는 대응걸림돌기(35)와 대응지지돌기(36)를 형성하여 서로 단턱을 형성하여 빠지지 않도록 한다.
본 고안에서는 내부체결캡(10)과 커버캡(30) 간의 긴밀한 면접을 제거하고 내부체결캡(10)의 탄성력과 부피팽창 가능성을 추구했기에 양자 간의 체결의 강도가 문제될 소지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모든 문제점을 다수의 절곡부와 돌기 및 홈들 간의 유기적인 결합을 통해서 구조적으로 해결하고자 한다. 걸림돌기(41), 지지돌기(19), 대응걸림돌기(35) 및 대응지지돌기(36)는 이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보조적인 수단이다.
그리고 이와 더불어 내부체결캡(10)과 커버캡(30)의 이중사출 체결에는, 내부체결캡(10)의 하단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단턱부(15)를 형성하여 내부체결캡(10)이 커버캡(30)의 내측으로 삽입 체결되어, 상부로 빠지지 않도록 유도하는 것도 동일 내지 유사한 또 다른 보조수단이다.
이러한 보조적인 체결 강화 수단을 상세히 살펴본다. [도 1] 내지 [도 5]에서처럼, 내부체결캡(10)은 전체적으로 원통형의 형태를 유지하고, 외곽부를 감싸는 커버캡(30)의 연통공(33)도 원형의 단면을 취하고 있다. 따라서 연통공(33)에 내부체결캡(10)의 원통형 몸체(13)가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한다. 만일 사용자가 내부체결캡(10)을 연통공(33)에서 잡아 뺄 수 있다면 이들은 강한 결합을 달성한 것이라 할 수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내부체결캡(10)의 외주면을 둘레로 일정한 두께로 돌출되는 걸림돌기(41)와 지지돌기(19)를 형성한다. 걸림돌기(41)와 지지돌기(19)는 단턱부를 통해서 구분되어 더욱 확실한 절곡구조를 갖출 수 있다. 이에 대응되게 커버캡(30)의 연통공(33) 내주면에서도 내주면을 둘레로 내측으로 돌출되는 대응걸림돌기(35)와 대응지지돌기(36)를 형성하여 서로 걸려 결합될 수 있게 한다.
걸림돌기(41)는 대응걸림돌기(35)에 지지돌기(19)는 대응지지돌기(35)에 걸려 강한 힘을 이용하여 빼내려 할 때에도 빠지지 않는 견고한 결합을 달성하는 것 이다. 이러한 결합은 내부체결캡(10)을 커버캡(30)의 연통공(33) 하단으로 가압되는 힘에 저항할 수 있는 결합구조이다.
이에 반하여 연통공(33)의 상단으로 발생되는 힘에 저항하는 결합구조는 내부체결캡(10)의 하단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단턱부인데, 이 단턱부는 커버캡(30)의 내주면과 내부체결캡(10)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외곽홈(34)의 간격을 보이지 않게 하는 역할도 수행하면서, 내부체결캡(10)이 커버캡(30)의 연통공(33) 상부로 빠지지 않도록 견고히 지지해주는 역할도 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내부체결캡(10)의 최 상단으로 상부로 돌출하되, 크고 작은 원 형상이 서로 포개어져 외곽부를 형성하여 작은 원형의 내주면을 타고 병 내부의 내용물을 안전하게 쏟을 수 있도록 하는 주입관부(11)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직접적으로 병 속의 내용물이 빠져나오면서 병 뚜껑과의 접촉을 시도할 때, 연질의 내부체결캡(10)과의 접촉만을 수용하기 위해서 내부체결캡(10)의 통로(12)를 연장시키는 주입관부(11)를 형성하는 것이다. 주입관부(11)는 2개의 원형이 서로 일부 포개어 결합된 형태를 취하고 있는데, 마치 오리의 주둥이와 같은 형태라 보면 된다.
따라서 작은 지름의 원형 내주면을 타고 쏟아지는 병의 내용물은 외부로 흘러내리지 않고 사용자가 소망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쏟을 수 있으며, 그 쏟는 양의 조절도 용이하다. 특히 인체에 해가 없는 연질의 PE 재질을 이용하여 주입관 부(11)를 형성하는 것은 사용자를 고려한 제작이다.
또한 본 고안은 커버몸체(31)와 커버(40)가 포개어져 면접하는 부분에, 커버몸체(31)의 외주면을 돌아 돌출되는 걸림부(37)와 커버(40)의 내주면에서 돌출되는 대응돌부(42)를 형성하여 커버(40)를 커버몸체(31)에 덮을 경우에 안전하게 결합되게 하고, 커버(40)의 외주면 전방으로 돌출되는 손잡이편(A)을 형성하여 커버(40)의 열고 닫음을 손쉽게 한다.
즉, 커버캡(30)의 커버(40)를 이용하여 기름병의 통로(12)를 차단하고자 할 때, 커버(40)가 그 연결부(50)를 통해서 절곡하여 커버몸체(31)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커버캡(30)의 커버몸체(3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부(37)에 커버의 내주면에서 돌출되는 대응돌부(42)가 끼워지면 사용자가 의도하여 커버(40)를 해체시키지 않는 한, 웬만해서는 벗겨지지 않는 구조적인 결합을 달성한 것이다. 그리고 이를 편하게 작동시키기 위해서 커버(40)의 외측으로는 손잡이편(A)을 형성하여 이 손잡이편(A)을 대항하여 밀어주는 방식으로 커버(40)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였다.
본 고안에서 미설명된 부호는 커버(40)의 저면에서 돌출되어 내부체결캡(10)의 주입관부(11)를 덮어 주는 구성인 커버막(43)이다. 이 커버막(43)은 커버(40)가 덮여 체결될 때, 주입관부(11)의 내측 경사진 내주면을 지그시 눌러 병이 넘어 진 경우에도 내용물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유도한다. 그리고 "32"는 커버캡(32)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파형굴곡(32)이다. 이 파형굴곡(32)은 사용자가 커버캡(30)을 잡을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본 고안에서는 스크래칭이나 다른 형태의 절곡구조를 새겨 동일 내지 유사한 기능을 추구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 병 뚜껑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병 뚜껑을 뒤집어서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병 뚜껑을 일부 절개하여 도시한 절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병 뚜껑을 분해하여 단면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병 뚜껑을 단면하여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내부체결캡 11; 주입관부
12; 통로 13; 몸체
14; 결합홈 15; 단턱부
20; 안전마개 21; 패널막
22; 지지대 23; 마개링
30; 커버캡 31; 커버몸체
33; 연통공 34; 외곽홈
35; 대응걸림돌기 36; 대응지지돌기
37; 걸림부 40; 커버
41; 걸림돌기 42; 대응돌부
43; 커버막 50; 연결부

Claims (9)

  1. 병 입구(B) 외주면과 면접하며 직접적으로 체결되기 위한 내주면 스크류(16)와 병 입구(B)의 내주면과 면접하는 내주관부(51)를 가진 몸체(13)와 상기 내주관부(51)의 내측으로 관통된 통로(12)로 이루어진 연질 재질의 내부체결캡(10); 및
    상기 내부체결캡(10)의 외주면을 수용하되, 그 중심부에 연통공(33)을 가진 커버몸체(31)와 상기 커버몸체(31)의 상면을 덮는 커버(40)와 상기 커버몸체(31)의 일측과 커버(40)의 일측을 연결하는 연결부(50)로 이루어진 경질의 커버캡(30);
    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병 입구(B)와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연질의 내부체결캡(10)이 경질 커버캡(30)의 내측에 이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성형될 수 있도록 이중사출되어, 병 입구(B)의 불균형이나 작은 지름의 차는 연질의 내부체결캡(10)과 커버캡(30)의 수축작용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사출 방식의 병 뚜껑.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체결캡(10)과 커버캡(30)의 커버몸체(31)와의 이중사출 결합은, 상기 커버몸체(31)의 연통공(33)에 작은 원주를 가진 외곽홈(34)을 연통공(33)의 내주면을 타고 다수 개 형성하여 그 내주면에 삽입될 내부체결캡(10)의 몸체(13) 외주면과 부분적인 접촉을 시켜, 병입구(B)의 부피변화에 따른 내부체결캡(10)의 수 축과 팽창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사출 방식의 병 뚜껑.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내부체결캡(10)의 통로(12)는, 사출시 커팅부(18)에 연결되는 패널막(21)의 상부로 지지대(22)를 형성하고, 그 지지대(22)의 끝단에 마개링(23)을 체결한 형태의 안전마개(20)를 동시에 사출하여 필요시 절단하고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사출 방식의 병 뚜껑.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내부체결캡(10)과 커버캡(30)의 이중사출 체결에는, 상기 내부체결캡(10)의 외주면과 커버캡(30)의 내주면에는 대응되는 결합돌기(44)와 결합홈(14)을 형성하여 서로 견고히 체결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사출 방식의 병 뚜껑.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내부체결캡(10)과 커버캡(30)의 이중사출 체결에는,
    상기 내부체결캡(10)의 외주면을 둘레로 돌출되는 걸림돌기(41)와 지지돌 기(19)를 형성하고, 상기 커버캡(30)의 내주면에는 대응되는 대응걸림돌기(35)와 대응지지돌기(36)를 형성하여 서로 단턱을 형성하여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사출 방식의 병 뚜껑.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내부체결캡(10)과 커버캡(30)의 이중사출 체결에는,
    상기 내부체결캡(10)의 하단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단턱부(15)를 형성하여 상기 내부체결캡(10)이 커버캡(30)의 내측으로 삽입 체결되어, 상부로 빠지지 않도록 유도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사출 방식의 병 뚜껑.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내부체결캡(10)의 최 상단으로 상부로 돌출하되, 크고 작은 원 형상이 서로 포개어져 외곽부를 형성하여 작은 원형의 내주면을 타고 병 내부의 내용물을 안전하게 쏟을 수 있도록 하는 주입관부(11)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사출 방식의 병 뚜껑.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몸체(31)와 커버(40)가 포개어져 면접하는 부분에, 커버몸체(31)의 외주면을 돌아 돌출되는 걸림부(37)와 커버(40)의 내주면에서 돌출되는 대응돌부(42)를 형성하여 상기 커버(40)를 커버몸체(31)에 덮을 경우에 안전하게 결합되게 한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사출 방식의 병 뚜껑.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커버(40)의 외주면 전방으로 돌출되는 손잡이편(A)을 형성하여 커버(40)의 열고 닫음을 손쉽게 한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사출 방식의 병 뚜껑.
KR2020090012115U 2009-09-16 2009-09-16 이중사출 방식의 병 뚜껑 KR2011000287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2115U KR20110002875U (ko) 2009-09-16 2009-09-16 이중사출 방식의 병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2115U KR20110002875U (ko) 2009-09-16 2009-09-16 이중사출 방식의 병 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875U true KR20110002875U (ko) 2011-03-23

Family

ID=44208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2115U KR20110002875U (ko) 2009-09-16 2009-09-16 이중사출 방식의 병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287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290Y1 (ko) * 2011-08-29 2012-05-15 대상 주식회사 식품 용기의 마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5403A (ja) * 1994-05-30 1995-12-05 Japan Crown Cork Co Ltd 分別廃棄性に優れたキャップ
KR970038780U (ko) * 1997-04-17 1997-07-29 배재근 개량 생수통 마개
KR20000016228U (ko) * 1999-01-27 2000-08-25 박인식 액체용기 캡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5403A (ja) * 1994-05-30 1995-12-05 Japan Crown Cork Co Ltd 分別廃棄性に優れたキャップ
KR970038780U (ko) * 1997-04-17 1997-07-29 배재근 개량 생수통 마개
KR20000016228U (ko) * 1999-01-27 2000-08-25 박인식 액체용기 캡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290Y1 (ko) * 2011-08-29 2012-05-15 대상 주식회사 식품 용기의 마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05783B2 (en) Squeezable bottle
US9723938B2 (en) Nesting and reconfigurable wine glass
AU777781B2 (en) Synthetic resin tube container
US9155410B2 (en) Nesting and reconfigurable wine glass
US20110220607A1 (en) Plastic bottle closure, plastic bottle including the same, and plastic bottle closure opener
KR102184934B1 (ko) 휴대용 텀블러
KR20160012490A (ko) 이종물질 혼합용기
KR102118504B1 (ko) 캔커버
CN104803089A (zh) 瓶盖及具有该瓶盖的容器
CN207090029U (zh) 调味品瓶用瓶盖
KR20110002875U (ko) 이중사출 방식의 병 뚜껑
KR20190001483U (ko) 내용물의 보관 및 음용이 가능한 다단 용기
KR20120001224U (ko) 이중 병마개의 내,외부마개의 결속구조
JP6377977B2 (ja) 紙製容器用の注出装置
CN201325706Y (zh) 一种蜂蜜包装瓶
CN204606529U (zh) 广口杯盖
KR200300272Y1 (ko) 마개와 용기본체간 정위치 조정이 용이한 튜브형 용기
EP1572550B1 (en) Threaded packaging with a &#34;click&#34; function
KR101424381B1 (ko) 컵(또는 잔) 형태로 전환되는 용기
JP2017149486A (ja) 容器のキャップ構造及び容器
JP2003237808A (ja) 液体保温容器
KR20120001097U (ko) 병뚜껑을 쉽게 분리할 수 있는 음용수 병
AU2013101237A4 (en) A spill proof beverage container
KR101893184B1 (ko) 다단으로 결합되는 물병
KR200494058Y1 (ko) 음료용기 결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