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7059Y1 - 바트냉장고의 냉각파이프 취부구조 - Google Patents

바트냉장고의 냉각파이프 취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7059Y1
KR200357059Y1 KR20-2004-0010485U KR20040010485U KR200357059Y1 KR 200357059 Y1 KR200357059 Y1 KR 200357059Y1 KR 20040010485 U KR20040010485 U KR 20040010485U KR 200357059 Y1 KR200357059 Y1 KR 2003570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tor
compartment
cooling pipe
side dish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04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암
Original Assignee
이성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암 filed Critical 이성암
Priority to KR20-2004-00104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70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70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70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47F3/0404Cases or cabinets of the closed type
    • A47F3/0426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16Stands, or holders for kitchen 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1/00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 A47B31/02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with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means
    • A47B2031/023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with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means being dockable to a stationary refrigeration and heating uni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트냉장고의 냉각파이프 취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냉장실과 반찬통 수납실의 사이에 존재하는 중간격벽 내부에 냉장실용 제 1 냉각파이프와 반찬통 수납실용 제 2 냉각파이프를 형성하므로서, 전체적인 바트냉장고의 구성이 단순화되고, 제 1 및 제 2 냉각파이프가 냉장실과 반찬통 수납실의 사이에 존재하는 중간격벽의 내부공간 상하측에 내장되어 상부의 반찬통 수납실과 하부의 냉장실을 동시에 냉각시키게되므로 냉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바트냉장고의 냉각파이프 취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바트냉장고의 냉각파이프 취부구조{Cooling pipe combination structure}
본 고안은 바트냉장고의 냉각파이프 취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체적인 바트냉장고의 구성이 단순화되고, 제 1 및 제 2 냉각파이프가 냉장실과 반찬통 수납실의 사이에 존재하는 중간격벽의 내부공간 상하측에 내장되어 상부의 반찬통 수납실과 하부의 냉장실을 동시에 냉각시키게되므로 냉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바트냉장고의 냉각파이프 취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4 는 일반적인 찬바트 냉장고를 도시한 것으로서,
냉장고(10)의 상부에 반찬통 수납실(13)이 요입 형성되고, 냉장고(10)의 내부에는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냉장실(11)이 형성되며, 상기 냉장실(11)의 일측으로는 기계실(12)이 형성되고, 상기 냉장고(10)의 상부에 얹혀지는 상부판넬(14)에는 다수의 반찬통이 거치되기 위한 반찬통 수납홈(15)이 형성된 구성이다.
이러한 찬바트 냉장고는 음식물이 담겨진 반찬통을 상기 반찬통 수납홈(15)에 거치하여 냉장상태로 진열되도록 하는 것이며, 주로 음식점의 주방이나 홀에서 각종 찬재료 등을 오픈상태로 수납하여 사용하거나 완성된 다양한 종류의 반찬, 샐러드 등의 음식물을 신선한 상태로 홀에 진열하여 서빙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찬바트 냉장고는 반찬통 수납실(13) 냉각용 냉각파이프를 반찬통 수납실(13)의 바닥면에 드러나도록 배선하기 때문에 제품의 외관이 미려해지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냉각파이프를 반찬통 수납실(13) 바닥면에 배선하는데 따른 작업공정의 증가로 인하여 제품의 생산성이 하락하게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냉장실과 반찬통 수납실의 사이에 존재하는 중간격벽 내부에 냉장실용 제 1 냉각파이프와 반찬통 수납실용 제 2 냉각파이프를 형성하므로서, 전체적인 바트냉장고의 구성이 단순화되고, 제 1 및 제 2 냉각파이프가 냉장실과 반찬통 수납실의 사이에 존재하는 중간격벽의 내부공간 상하측에 내장되어 상부의 반찬통 수납실과 하부의 냉장실을 동시에 냉각시키게되므로 냉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바트냉장고의 냉각파이프 취부구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냉장실을 구비한 냉장고의 상부에 반찬통 수납실이 형성되어 있는 바트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냉장실과 반찬통 수납실의 사이에 존재하는 중간격벽 내부 상하단에 냉장실 냉각용 제 1 냉각파이프와 반찬통 수납실 냉각용 제 2 냉각파이프를 내장하고, 그 중간격벽 내부 공간에 우레탄을 발포시켜 충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바트냉장고의 냉각파이프 취부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 는 일반적인 바트냉장고를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바트함체, 2: 우레탄,
3: 제 1 냉각파이프, 4: 제 2 냉각파이프,
5: 중간격벽,
이하, 첨부된 도면 도 1 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부호 1 은 바트냉장고의 전체적인 외형을 이루면서 내부에 냉장실(11)이 구비되고, 상측에 반찬통 수납실(13)이 요입 형성되어있는 바트함체(1)를 나타낸다.
상기한 바트함체(1)에는 냉장실(11)과 반찬통 수납실(13)의 사이에 중간격벽(5)이 형성되는데, 상기 중간격벽(5)의 내부공간 바닥면에는 냉장실(11) 냉각을 위한 제 1 냉각파이프(3)가 배선되어지고, 상기 중간격벽(5)의 상부면에는 반찬통 수납실(13)의 냉각을 위한 제 2 냉각파이프(4)가 배선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냉각파이프(3)와 제 2 냉각파이프(4)가 배선된 중간격벽(5)의 내부공간에 우레탄(2)을 발포하여 중간격벽(5)이 단열판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 1 냉각파이프(3)는 냉장실(11)의 측벽면에 밀착되도록 바트함체(1)의 내부 공간에 배선되어 냉장실(11)을 입체적으로 냉각하게된다.
상기 설명과같이 냉장실(11)과 반찬통 수납실(13)의 사이에 존재하게되는 중간격벽(5) 내부공간에 냉장실(11) 냉각용 제 1 냉각파이프(3)와 반찬통 수납실(13) 냉각용 제 2 냉각파이프(4)를 동시에 배선하게되면 냉각파이프 배선공정을 현저히 줄여줄 수 있음은 물론 중간격벽(5)에 매설된 제 1 및 제 2 냉각파이프(3,4)로서 냉장실(11)과 반찬통 수납실(13)을 동시에 냉장시킴에 따라 전체적인 냉각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냉장실과 반찬통 수납실의 사이에 존재하는 중간격벽 내부에 냉장실용 제 1 냉각파이프와 반찬통 수납실용 제 2 냉각파이프를 형성하므로서, 전체적인 바트냉장고의 구성이 단순화되고, 제 1 및 제 2 냉각파이프가 냉장실과 반찬통 수납실의 사이에 존재하는 중간격벽의 내부공간 상하측에 내장되어 상부의 반찬통 수납실과 하부의 냉장실을 동시에 냉각시키게되므로 냉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바트냉장고의 냉각파이프 취부구조를 제공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1)

  1. 냉장실(11)을 구비한 냉장고의 상부에 반찬통 수납실(13)이 형성되어 있는 바트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냉장실(11)과 반찬통 수납실(13)의 사이에 존재하는 중간격벽(5) 내부 상하단에 냉장실 냉각용 제 1 냉각파이프(3)와 반찬통 수납실(13) 냉각용 제 2 냉각파이프(4)를 내장하고, 그 중간격벽(5) 내부 공간에 우레탄(2)을 발포시켜 충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트냉장고의 냉각파이프 취부구조.
KR20-2004-0010485U 2004-04-16 2004-04-16 바트냉장고의 냉각파이프 취부구조 KR2003570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0485U KR200357059Y1 (ko) 2004-04-16 2004-04-16 바트냉장고의 냉각파이프 취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0485U KR200357059Y1 (ko) 2004-04-16 2004-04-16 바트냉장고의 냉각파이프 취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7059Y1 true KR200357059Y1 (ko) 2004-07-22

Family

ID=49348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0485U KR200357059Y1 (ko) 2004-04-16 2004-04-16 바트냉장고의 냉각파이프 취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705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623Y1 (ko) * 2008-12-10 2011-09-16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평대면형 쇼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623Y1 (ko) * 2008-12-10 2011-09-16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평대면형 쇼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1206B1 (ko) 냉장고
US20160305706A1 (en) Refrigerator
JP5944709B2 (ja) 冷蔵庫
KR20150058761A (ko) 냉장고용 중앙 격벽 밀착구조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JP6706749B2 (ja) 冷蔵庫
JP2001289556A (ja) 冷蔵庫
KR20200079754A (ko) 냉장고
JP2017180875A (ja) 冷蔵庫
JP4004722B2 (ja) 冷蔵庫
KR200357059Y1 (ko) 바트냉장고의 냉각파이프 취부구조
WO2017130270A1 (ja) 冷蔵庫
JP2019090607A (ja) 冷蔵庫
JP2000009380A (ja) 冷蔵庫の仕切り構造
WO2006106900A1 (ja) 冷蔵庫
JP6223265B2 (ja) 冷蔵庫
KR101737835B1 (ko) 냉장고
KR200379304Y1 (ko) 바트냉장고의 바디구조
JP2007147224A (ja) 冷蔵庫
JP4043159B2 (ja) 電気冷蔵庫
JP6501831B2 (ja) 冷蔵庫
JP7079063B2 (ja) 冷蔵庫
JP2012172863A (ja) 冷蔵庫
JPH08247638A (ja) 冷蔵庫
JP2023039143A (ja) 冷蔵庫
KR20060039227A (ko) 빌트인 타입 냉장고의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