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7835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7835B1
KR101737835B1 KR1020100062600A KR20100062600A KR101737835B1 KR 101737835 B1 KR101737835 B1 KR 101737835B1 KR 1020100062600 A KR1020100062600 A KR 1020100062600A KR 20100062600 A KR20100062600 A KR 20100062600A KR 101737835 B1 KR101737835 B1 KR 101737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outer case
refrigerator
spacer
pl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2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1956A (ko
Inventor
윤종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2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7835B1/ko
Priority to PCT/KR2011/004803 priority patent/WO2012002748A2/en
Priority to EP11801154.3A priority patent/EP2588820B1/en
Priority to CN201180007774.1A priority patent/CN102741632B/zh
Priority to US13/575,321 priority patent/US20130088135A1/en
Publication of KR20120001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9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7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7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25D23/067Suppor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6Details of walls not otherwise cover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스페이서의 수를 줄이고, 선반 등의 장착을 위한 별도의 브라켓이 요구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부품 수를 감소시키고, 작업성을 향상시키며,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식품의 저온저장을 위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음식물을 장기간 신선하게 보관하기 위하여 보관물의 저온저장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로서, 보관하고자 하는 보관물의 상태에 따라서 냉기의 상태를 조절하여 냉동 또는 냉장하여 보관하게 된다.
냉장고의 내부에 공급되는 냉기는 냉매의 열교환 작용에 의해서 생성되며, 압축-응축-팽창-증발의 사이클(Cycle)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지속적으로 냉장고의 내부로 공급되고, 공급된 냉매는 대류에 의해서 냉장고내부에 고르게 전달되어 냉장고 내부의 음식물을 원하는 온도로 저장할 수 있게 된다.
냉장고는 냉동실 및 냉장실의 구조에 따라 일반형 냉장고, 양문형 냉장고 및 바텀 프리저 타입 냉장고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일반형 냉장고는 냉동실이 상부에 위치되고 냉장실이 하부에 위치되는 구조를 가지며, 양문형 냉장고(Side By Side type)는 냉동실과 냉장실이 좌우로 이웃하게 배치된 구조이다.
바텀 프리저 타입(Bottom freezer type)의 냉장고는 최근 미국이나 유럽 등지에서 많이 사용되는 타입으로, 냉동실보다 큰 규모의 냉장실이 상부에 위치되고 냉동실이 하부에 위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한편, 냉장고는 냉장 또는 냉동을 위한 공간과 외부 공간 사이의 단열을 위하여 아우터 케이스 내에 이너 케이스가 배치된 상태에서, 아우터 케이스와 이너 케이스 사이의 공간에 단열재가 충진된 구조를 가지며, 아우터 케이스와 이너 케이스 사이의 공간에는 아우터 케이스와 이너 케이스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가 배치된다.
종래 스페이서는 이너 케이스의 수 및 배치에 따라 많은 개수가 요구되며, 이에 따라 제조과장에서 작업성이 저하되고 재료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편,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냉장실 또는 냉동실 내부에는 다양한 수납 구조가 제공된다. 냉장실 또는 냉동실 내부의 공간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하는 선반은 수납된 식품의 무게를 견디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러한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선반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이너 케이스 내부에 마련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지지부재를 이너 케이스의 내주면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브라켓이 요구되며, 이에 따라 작업성이 떨어지고, 부품 수가 늘어나는 문제가 발생된다.
본 발명은 부품 수를 감소시키고, 작업성을 향상시키며,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려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페이서의 수를 줄이고, 선반 등의 장착을 위한 별도의 브라켓이 요구되지 않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려는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아우터 케이스; 상기 아우터 케이스 내에 각각 배치되는 제 1 및 제 2이너 케이스; 및 상기 제 1 및 제 2 이너 케이스 사이의 간격, 제 1 이너 케이스와 아우터 케이스 사이의 간격 및 제 2 이너 케이스와 아우터 케이스 사이의 간격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한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냉장고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이너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는 수평부재; 및 상기 수평부재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인접하는 2개의 이너 케이스들 사이에 배치되는 수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 부재 및 수직 부재에는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는 "T"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면이 개방된 아우터 케이스; 상기 아우터 케이스 내에 배치되며, 전면이 개방된 이너 케이스; 및 상기 아우터 케이스와 이너 케이스의 측면 사이의 간격 및 아우터 케이스와 이너 케이스의 후면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한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냉장고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와 이너 케이스의 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 1부재; 및 상기 제 1부재로부터 연장되며, 아우터 케이스와 이너 케이스의 후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 2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부재에는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는 "ㄱ"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아우터 케이스; 상기 아우터 케이스 내에 나란히 배치되며, 내주면에 하나 이상의 개구를 갖는 제 1 및 제 2이너 케이스; 상기 이너 케이스의 개구에 끼움 결합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 상에 장착되는 선반; 및 상기 제 1 및 제 2 이너 케이스 사이의 간격 및 아우터 케이스와 각 이너 케이스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한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냉장고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와 제 1 이너 케이스 사이 및 아우터 케이스와 제 2 이너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는 수평부재; 및 상기 수평부재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제 1 및 제 2이너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는 수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와 관련된 냉장고에 따르면, 부품 수를 감소시키고, 작업성을 향상시키며,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와 관련된 냉장고에 따르면, 스페이서의 수를 줄이고, 선반 등의 장착을 위한 별도의 브라켓이 요구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가 일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구성하는 본체의 요부 사시도.
도 3는 도 2의 선 A-A'을 따라 절취한 상태의 요부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구성하는 스페이서의 사시도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한편, 제 1 또는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이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시키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가 일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구성하는 본체의 요부 사시도이며, 도 3는 도 2의 선 A-A'을 따라 절취한 상태의 요부 단면도이다.
또한,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구성하는 스페이서의 사시도들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냉장고(1)는 다양한 형태의 모든 냉장고(예를 들어, 일반형, 양문형 또는 바텀 프리저 타입)에 적용될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최근 널리 사용되고 있는 냉동실과 냉장실이 좌우로 나란히 위치되어 각각의 도어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양문형 냉장고에 적용된 실시예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아우터 케이스(11)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11) 내에 각각 배치되는 제 1 및 제 2이너 케이스(12-1, 12-2) 및 상기 제 1 및 제 2 이너 케이스(12-1, 12-2) 사이의 간격, 제 1 이너 케이스(12-1)와 아우터 케이스(11) 사이의 간격 및 제 2 이너 케이스(12-2)와 아우터 케이스(11) 사이의 간격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한 스페이서(100)를 포함하는 냉장고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전면이 개방된 아우터 케이스(11)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11) 내에 배치되며, 전면이 개방된 이너 케이스(12) 및 상기 아우터 케이스(11)와 이너 케이스(12)의 측면 사이의 간격 및 아우터 케이스(11)와 이너 케이스(12)의 후면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한 스페이서(2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아우터 케이스(11)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11) 내에 나란히 배치되며, 내주면에 하나 이상의 개구(13)를 갖는 제 1 및 제 2이너 케이스(12-1, 12-2)와 상기 이너 케이스(12-1, 12-2)의 개구(13)에 끼움 결합되는 지지부재(50)와 상기 지지부재(50) 상에 장착되는 선반(41) 및 상기 제 1 및 제 2 이너 케이스(12-1, 12-2) 사이의 간격 및 아우터 케이스(11)와 각 이너 케이스(12-1, 12-2)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한 스페이서(100)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음식물 및 음식용기를 저온 상태로 저장할 수 있는 공간 및 외형을 제공하는 본체(10)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1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이루고, 그 전면이 음식물 및 음식용기의 수납을 위해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며, 아우터 케이스(11)와 이너 케이스(12-1, 12-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아우터 케이스(11)는 냉장고(1)의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이너 케이스(12-1, 12-2)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11) 내부에 배치되며, 수납된 식품의 냉장 또는 냉동 보관을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본체(10)의 개방된 전면에는 도어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본체(10)의 개방된 전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게 된다. 도 1에는 양문형 냉장고가 도시되어 있으며, 제 1이너 케이스(12-1)와 제 2이너 케이스(12-2)를 각각 개폐하기 위하여 본체(10)에 제 1도어(20)와 제 2도어(30)가 각각 장착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최근에는 냉장고 사용의 편리함을 위하여 다양한 기능이 부가되고 있으며, 이러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도어(20, 30)에 일정 정도의 음식물 또는 음식용기를 간편하게 수납, 보관할 수 있는 홈바(31)와 정수된 물 또는 얼음을 외부 공간에서 직접 취출할 수 있는 디스펜서(21)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의 내부 공간은 좌측 공간과 우측 공간으로 구획되며, 통상 좌측 공간은 음식물 및 음식 용기를 영하의 온도로 수용하는 냉동실(도시되지 않음)의 기능을 수행하고, 우측 공간은 음식물 및 음식 용기를 영상의 온도로 수용하는 냉장실(40)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냉동실은 내부 공간에 보관되는 음식물을 영하의 온도로 냉동함으로써 보관되는 음식물을 장기간 보관하는 경우에 사용되고, 상기 냉장실(40)은 상온보다 낮은 영상의 온도가 유지되며, 음식물을 신선하게 보관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상기 냉동실과 냉장실(40)의 내부 공간에는 음식물 및 음식용기가 높이는 선반(41)이 다수 구비되고, 이에 따라 냉동실 및 냉장실의 내부 공간이 다수의 층으로 구획될 수 있다. 또한, 야채 및 과일 등의 음식물이 수용되는 서랍(42)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어(30)의 후면에도 비교적 크기가 작은 다수의 음식물을 보관하거나, 음료 등이 수납되기 위한 바스켓(미부호)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스켓은 도어의 후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어, 내부 공간의 활용성 및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아우터 케이스(11)와 이너 케이스(12) 사이의 공간에는 단열재가 충진되며, 아우터 케이스(11)와 이너 케이스(12)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복수의 스페이서(200)가 소정이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제 1이너 케이스(12-1)와 제 2이너 케이스(12-2) 사이의 공간에는 단열재가 충진되며, 제 1 및 제 2 이너 케이스(12-1, 12-2)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복수의 스페이서(100)가 소정이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식품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종류별로 요구되는 최적의 냉장 또는 냉동 온도가 달라짐에 따라 이너 케이스(12-1, 12-2)의 내부는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저장 공간으로 구획하기 위하여, 이너 케이스(12-1, 12-2) 내부에는 선반(41) 또는 바스켓(42)이 장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선반(41) 또는 바스켓(42)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선반(41) 또는 바스켓(42)은 수납되는 식품의 하중을 견디기 위하여 이너 케이스 내에 고정된 지지부재(50) 상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선반(41)은 이너 케이스(12) 내주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고정된 지지부재(50) 상에 각 에지부가 안착될 수 있으며, 슬라이딩 방식을 통하여 착탈이 가능한 구조로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50)는 이너 케이스(12)의 내주면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선반(41)의 각 에지부를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지지편일 수도 있고, 선반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레일일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지지부재(50)는 선반 및 선반 상에 수납된 식품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이너 케이스(12)의 내주면에 각 종 체결부재(예를 들어, 볼트 또는 피스 등)로 고정될 수 있다.
즉, 이너 케이스(12-1, 12-2)의 두께가 얇기 때문에, 지지부재(50)를 이너 케이스(12-1, 12-2)의 내주면에 장착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브라켓(도시되지 않음)이 요구되며, 상기 지지부재(50)는 상기 브라켓을 매개로 각 종 체결부재를 통하여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브라켓의 사용은 부품 수를 증가시키고, 작업성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으며, 브라켓을 사용하지 않고, 이너 케이스 내주면에 바로 체결하는 경우에는 두께가 얇은 이너 케이스(12-1, 12-2)에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각 종 지지부재(지지편 또는 레일)을 장착시키기 위하여, 이너 케이스(12-1, 12-2)의 내주면에는 복수의 개구(13)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재(50)에는 상기 개구에 끼움 결합되기 위한 후크부(도시되지 않음)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재(50)에 가해지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기 위하여 상기 개구(13)는 장방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이너 케이스(12-1, 12-2)의 개구(13) 및 이에 끼움 결합되는 장착부재(50)의 후크부는 상호 형합될 수 있는 다양한 구조 및 크기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냉장고(1)에 따르면, 이너 케이스(12-1, 12-2)와 지지부재(50)가 상호 끼움 결합되므로, 별도의 브라켓이 요구되지 않으며, 제 1 및 제 2이너 케이스(12-1, 12-2) 사이에 지지부제(50)의 고정을 위한 별도의 브라켓이 삽입되지 않으므로, 단열재의 충진 공간이 늘어나고, 이에 따라 단열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스페이서(100)는 상기 제 1 및 제 2 이너 케이스(12-1, 12-2) 사이의 간격, 제 1 이너 케이스(12-1)와 아우터 케이스(11) 사이의 간격 및 제 2 이너 케이스(12-2)와 아우터 케이스(11) 사이의 간격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간격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일 실시태양으로 도 3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이너 케이스(12-1, 12-2) 사이의 간격, 제 1 이너 케이스(12-1)와 아우터 케이스(11) 사이의 간격 및 제 2 이너 케이스(12-2)와 아우터 케이스(11) 사이의 간격을 모두 유지시키기 위한 구조를 갖는 스페이서(100)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기 스페이서(100)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11)와 적어도 하나의 이너 케이스(12-1, 12-2) 사이에 배치되는 수평부재(110)와 상기 수평부재(110)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인접하는 2개의 이너 케이스(12-1, 12-2) 사이에 배치되는 수직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스페이서(100)는 실질적으로 "T"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100)의 수평부재(110) 및 수직부재(120)에는 복수의 관통홀(13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단열재를 충진하는 과정에서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에와 관련된 냉장고(1)는 하나의 스페이서(100)로 제 1 및 제 2 이너 케이스(12-1, 12-2) 사이의 간격, 제 1 이너 케이스(12-1)와 아우터 케이스(11) 사이의 간격 및 제 2 이너 케이스(12-2)와 아우터 케이스(11) 사이의 간격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간격을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부품 수를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스페이서(200)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11)와 이너 케이스(12-1)의 측면 사시의 간격 및 아우터 케이스(11)와 이너 케이스(12-1)의 후면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킨다.
일 실시태양으로 도 3에는 각 이너 케이스(12-1, 12-2)의 측면과 아우터 케이스(11) 사이의 간격 및 각 이너 케이스(12-1, 12-2)의 후면과 아우터 케이스(11) 사이의 간격을 모두 유지시키기 위한 구조를 갖는 스페이서(200)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상기 스페이서(200)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11)와 이너 케이스(12-1)의 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 1부재(210)와 상기 제 1부재(210)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아우터 케이스(11)와 이너 케이스(12-1)의 후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 2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스페이서(200)는 실질적으로 "ㄱ"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200)의 제 1부재(210) 및 제 2부재(220)에는 복수의 관통홀(23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단열재를 충진하는 과정에서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에와 관련된 냉장고(1)는 하나의 스페이서(200)로 각 이너 케이스(12-1, 12-2)의 측면과 아우터 케이스(11) 사이의 간격 및 각 이너 케이스(12-1, 12-2)의 후면과 아우터 케이스(11) 사이의 간격을 모두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부품 수를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와 관련된 냉장고에 따르면, 부품 수를 감소시키고, 작업성을 향상시키며,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와 관련된 냉장고에 따르면, 스페이서의 수를 줄이고, 선반 등의 장착을 위한 별도의 브라켓이 요구되지 않는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냉장고 11: 아우터 케이스
12: 이너 케이스 100, 200: 스페이서

Claims (10)

  1. 냉장고의 외곽을 형성하는 아우터 케이스;
    상기 냉장고의 내면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이너 케이스;
    상기 아우터 케이스와 상기 복수개의 이너 케이스 사이의 공간, 및 인접한 이너 케이스 사이의 공간에 주입되어 발포된 단열재; 및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아우터 케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이너 케이스 사이의 간격, 및 상기 인접한 이너 케이스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와 접촉하는 제1 평면;
    상기 인접한 이너 케이스와 각각 접촉하는 제2 평면 및 제3 평면;
    상기 단열재와 접촉하는 제4 평면; 및
    상기 제1 내지 제4 평면과 각각 평행한 방향으로 내부에 연장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제1 내지 제4 평면 및 상기 관통홀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단열재에 매립되고,
    상기 복수개의 관통홀은 다양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이너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는 수평부재; 및
    상기 수평부재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인접하는 2개의 이너 케이스들 사이에 배치되는 수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부재 및 상기 수직 부재에는 상기 관통홀이 각각 복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T"자형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냉장고의 외곽을 형성하며, 전면이 개방된 아우터 케이스;
    상기 아우터 케이스 내에 배치되며, 상기 냉장고의 내면을 형성하되 전면이 개방된 이너 케이스;
    상기 아우터 케이스와 상기 이너 케이스 사이의 공간에 주입되어 발포된 단열재; 및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아우터 케이스와 상기 이너 케이스의 측면 사이의 간격 및 상기 아우터 케이스와 상기 이너 케이스의 후면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한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평면과 접촉하는 제1 평면;
    상기 이너 케이스의 평면과 접촉하는 제2 평면;
    상기 단열재와 접촉하는 제3 평면; 및
    상기 제1 내지 제3 평면과 각각 평행한 방향으로 내부에 연장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제1 내지 제3 평면 및 상기 관통홀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단열재에 매립되고,
    상기 복수개의 관통홀은 다양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와 상기 이너 케이스의 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 1부재; 및
    상기 제 1부재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아우터 케이스와 상기 이너 케이스의 후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 2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부재에는 상기 관통홀이 각각 복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ㄱ"자형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냉장고의 외곽을 형성하는 아우터 케이스;
    상기 냉장고의 내면을 형성하며, 내주면에 하나 이상의 개구를 갖는 제 1 및 제 2이너 케이스;
    상기 아우터 케이스와 상기 제1 및 제2 이너 케이스 사이의 공간, 및 상기 제1 및 제2 이너 케이스 사이의 공간에 주입되어 발포된 단열재;
    상기 이너 케이스의 상기 개구에 끼움 결합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 상에 장착되는 선반; 및
    상기 제 1 및 제 2 이너 케이스 사이의 간격 및 상기 아우터 케이스와 상기 각 이너 케이스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한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와 접촉하는 제1 평면;
    상기 제1 및 제2 이너 케이스와 각각 접촉하는 제2 평면 및 제3 평면;
    상기 단열재와 접촉하는 제4 평면; 및
    상기 제1 내지 제4 평면과 각각 평행한 방향으로 내부에 연장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제1 내지 제4 평면 및 상기 관통홀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단열재에 매립되고,
    상기 지지부재는 별도의 체결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이너 케이스의 상기 개구에 직접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케이스와 상기 제 1 이너 케이스 사이 및 상기 아우터 케이스와 상기 제 2 이너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는 수평부재; 및
    상기 수평부재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이너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는 수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00062600A 2010-06-30 2010-06-30 냉장고 KR101737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600A KR101737835B1 (ko) 2010-06-30 2010-06-30 냉장고
PCT/KR2011/004803 WO2012002748A2 (en) 2010-06-30 2011-06-30 Refrigerator
EP11801154.3A EP2588820B1 (en) 2010-06-30 2011-06-30 Refrigerator
CN201180007774.1A CN102741632B (zh) 2010-06-30 2011-06-30 冰箱
US13/575,321 US20130088135A1 (en) 2010-06-30 2011-06-30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600A KR101737835B1 (ko) 2010-06-30 2010-06-30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956A KR20120001956A (ko) 2012-01-05
KR101737835B1 true KR101737835B1 (ko) 2017-05-19

Family

ID=45609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2600A KR101737835B1 (ko) 2010-06-30 2010-06-30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78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896Y1 (ko) * 2015-06-09 2017-03-15 이규현 시계줄 분리도구가 결합된 손목시계
KR102651702B1 (ko) * 2022-01-05 2024-03-29 뉴서광 주식회사 선택형 선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25361A1 (en) * 2002-07-16 2006-06-15 Grace James M Localized reinforcement system for refrigerator cabine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25361A1 (en) * 2002-07-16 2006-06-15 Grace James M Localized reinforcement system for refrigerator cabin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956A (ko) 2012-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51617B1 (en) Refrigerator
KR101622008B1 (ko) 냉장고용 중앙 격벽 밀착구조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TWI363861B (ko)
JP2010203735A (ja) 冷蔵庫
JP4821531B2 (ja) 冷蔵庫
JP4672506B2 (ja) 冷蔵庫
JP5246193B2 (ja) 冷蔵庫
JP2007071429A (ja) 冷蔵庫
JP5246361B2 (ja) 冷蔵庫
US20110011121A1 (en) Refrigerator having the partition member
KR101737835B1 (ko) 냉장고
JP2007163066A (ja) 冷蔵庫
JP5246192B2 (ja) 冷蔵庫
JP5089496B2 (ja) 冷凍冷蔵庫
WO2017130270A1 (ja) 冷蔵庫
JP2011038686A (ja) 冷蔵庫
JP2013068353A (ja) 冷蔵庫
JP2013057472A (ja) 冷蔵庫
EP2588820B1 (en) Refrigerator
JP2007147224A (ja) 冷蔵庫
JPH11159952A (ja) 冷蔵庫
CN219244004U (zh) 冰箱
KR20120001955A (ko) 냉장고
KR101925023B1 (ko) 냉장고
KR101695815B1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