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6968Y1 - 배낭용 차양막 - Google Patents

배낭용 차양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6968Y1
KR200356968Y1 KR20-2004-0011359U KR20040011359U KR200356968Y1 KR 200356968 Y1 KR200356968 Y1 KR 200356968Y1 KR 20040011359 U KR20040011359 U KR 20040011359U KR 200356968 Y1 KR200356968 Y1 KR 2003569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shade
frame
backpack
support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13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권
Original Assignee
박정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권 filed Critical 박정권
Priority to KR20-2004-00113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69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69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69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003/003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combined with other objects; specially adapted for carrying specific objects

Landscapes

  • Building Awnings And Sunshad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낭용 차양막에 관한 것으로, 각종 물품을 수용하는 공간이 구비된 배낭에 있어서, 상기 배낭에 구획된 소정 공간을 갖는 수납공간부; 상기 수납공간부 내부 일측면에 구성된 지지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고정된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상단에 구비되어 햇빛 또는 우수를 막아주는 차양부를 포함하여 배낭을 멘 상태에서 배낭으로부터 사용자의 머리 상단 부위에 차양막을 펼쳐 햇빛을 가리거나 우수를 막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배낭용 차양막{Sun visor for Backpack}
본 고안은 배낭용 차양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낭을 멘 상태에서 배낭으로부터 사용자의 머리 상단 부위에 차양막을 펼쳐 햇빛을 가리거나 우수를 막을 수 있도록 하는 배낭용 차양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행용 배낭은 부피가 크거나 무거운 가방과는 달리 휴대할 수 있는 정도의 부피 및 크기로서, 어깨 또는 등에 멜 수 있는 멜빵이 구비되어 있다. 더욱이 배낭은 등산이나 장거리 여행을 하거나 또는 공원을 산책하는 정도의 가벼운 외출을 할 때에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각종 물품을 담아 휴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배낭에 휴대하는 것 중에는 우산이나 양산 또는 비옷 등이 있다. 우산이나 비옷은 여행도중에 비나 눈 등의 우수가 내릴 때를 대비하는 것이고, 양산은 하절기나 낮에 강한 햇빛으로부터 눈부심을 방지하거나 강한 빛에 의한 여행의 피로를 덜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우산이나 양산 또는 비옷 등을 배낭에 휴대하게 되면 배낭의 부피 및 중량이 커지고, 어느 한 손으로 우산이나 양산을 받쳐들어야 하므로 손이 부자유스러울 뿐만 아니라, 바람이 불면 우산이나 양산을 받쳐 든 손에 많은 힘이소모되는 문제도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배낭 내에 고정된 접이식 차양막을 구비하여 배낭으로부터 사용자의 머리 상단으로 차양막이 펼쳐지도록 함으로서, 사용자의 머리부분으로 비치는 햇빛 및 우수를 차단할 수 있는 배낭용 차양막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그리고 차양막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배낭 내의 수납공간부에 접어 넣어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위하여, 각종 물품을 수용하는 공간이 구비된 배낭에 있어서, 상기 배낭에 구획된 소정 공간을 갖는 수납공간부; 상기 수납공간부 내부 일측면에 구성된 지지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고정된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상단에 구비되어 햇빛 또는 우수를 막아주는 차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배낭용 차양막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배낭용 차양막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지지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a 내지 도 3d는 본 고안의 지지부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지지부재 및 차양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및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차양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의 다른 구조를 갖는 차양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차양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8a 내지 도 8d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 배낭 20: 멜빵
100: 수납공간부 110: 개폐수단
120: 지지플레이트 130-133: 고정수단
200: 지지부재 210, 220: 제1 지지프레임
230, 240: 제2 지지프레임 250: 손잡이
260, 270, 340: 고정수단 300: 차양부
310, 320: 제1 차양프레임 330: 제2 차양프레임
332: 지지바 350: 차양부재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배낭용 차양막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지지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본 고안은 각종 물품을 수용하는 공간이 구비된 배낭에 차양막이 구비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배낭을 메고 여행이나 외출을 하면서 차양막을 필요로 할때에 배낭에 구획된 소정의 공간에 구성된 접이식 차양막을 펼침으로서 사용자의 머리부분을 차광시키고 우수를 막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구성으로서, 수납공간부(100)는 배낭(10)의 전체 내부공간으로부터 구획된 소정 공간을 갖는 것으로, 수납공간부(100)는 배낭(10)의 배면, 즉 멜빵(20)이 구비된 등받이 쪽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 배낭의 중앙이나 전면에 위치하여도 좋다. 수납공간부(100)의 상단에는 차양막이 출입되도록 개폐수단(110)이 구비되고, 개폐수단(110)은 출입구를 개폐하는 지퍼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플레이트(120)는 상기 수납공간부(100) 내에 구성된 것으로, 지지플레이트(120)는 배낭(10)의 전체 공간으로부터 수납공간부(100)가 구획된 면에 부착되고, 강성을 갖는 평판형태의 합성수지 등이 적용된다.
지지부재(200)는 상기 지지플레이트(120)에 고정된 것으로,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지지부재(200)는 봉의 형태로 원형이나 다각형이고, 지지플레이트(120)에 하나 이상의 고정수단(130-133)으로 고정된 제1 지지프레임(210)(220)과, 제1 지지프레임(210)(220)의 내측으로부터 연신되는 제2 지지프레임(230)(240)과, 그리고 상기 제2 지지프레임(230)(240)의 상단에 고정되어 제1 지지프레임(210)(220)으로부터 제2 지지프레임(230)(240)의 연신을 구동시키는 손잡이(250)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지지프레임(210)(220)과 제2 지지프레임(230)(240)은 직선 형태보다는 호(弧) 형상으로 휘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지지프레임(230)(240)은 제1 지지프레임(210)(220)의 내측으로 출몰되도록 되어 있고, 제2지지프레임(230)(240)의 일측에는 복수의 관통공(221)(222)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221)(222)은 하단에 하나, 상단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다. 하단의 관통공(221)은 제2 지지프레임(230)(240)이 제1 지지프레임(210)(220)의 내측으로 완전히 삽입된 잠금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고, 상단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222)은 제2 지지프레임(230)(240)이 제1 지지프레임(210)(220)으로부터 뽑혀져 나온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 제1 지지프레임(210)(220)으로부터 제2 지지프레임(230)(24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제2 지지프레임(230)(240)은 제1 지지프레임(210)(220)의 내측으로 출몰되고, 제2 지지프레임(230)(240)의 하단에는 고정수단(260)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250) 내에 구성된 작동버튼(252)는 제1 지지프레임(210)(220)을 통하여 제2 지지프레임(230)(240)이 출입되면서 제1 지지프레임(210)(220)에 형성된 관통공(221)(222)에 고정 또는 해제되도록 조작하는 것으로, 작동버튼(252)의 양단에 복원력을 갖는 스프링(234)(244)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작동버튼(252)의 양단 하단에 각각 연결되고 제1 지지프레임(210)(220)의 내측에 밀대(232)(242)가 구비된다.
상기 밀대(232)(242)에 구성된 고정수단(260)은 도 3b에서, 하단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밀대(232)(242)의 작동력을 전달하는 작동구(262)와, 상기 작동구(262)에 대항하여 상단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제1 지지프레임(210)(220)의 관통공(221)(222)에 고정 또는 해제되는 고정구(264)를 포함하고, 고정구(264)에는 복원력을 갖는 스프링(266)이 구비되어 있다.
차양부(300)는 상기 지지부재의 상단에 구비되어 절첩되는 구조를 갖고, 햇빛 및 우수를 막아주는 것으로, 차양부(300)는 상기 손잡이(250)의 양단에 힌지 결합되는 제1 차양프레임(310)(320)과, 상기 제1 차양프레임(310)(320)의 종단에 힌지 결합되는 제2 차양프레임(330)과, 상기 제1 차양프레임(310)(320) 사이를 지지하는 지지바(332)와, 상기 제1 차양프레임(310)(320)과 제2 차양프레임(330)에 씌워지는 차양부재(35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손잡이(250)의 양단에 결합된 제1 차양프레임(310)(320)은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1 차양프레임(310)(320)에 결합된 제2 차양프레임(330)도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손잡이(250)로부터 제1 차양프레임(310)(320)과 제2 차양프레임(330)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하여 지지부재(200)가 차양부(300)를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지지바(332)는 탈착이 가능하게 구성되고, 지지바(332)는 탄성을 갖는 것이 좋으며, 양단에는 제1 차양프레임(310)(320)과 제2 차양프레임(330)의 표면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양부재(350)는 햇빛을 막을 수 있도록 망사나 천 등이 적용되고, 필요에 따라 방수재질이나 방수를 위한 코팅처리가 된 것도 좋다. 차양부재(350)를 손잡이(250)의 관통공(254)(255)을 통하여 고정하는 고정수단(352)(354)이 적용되고, 고정수단(352)(354)으로서 벨크로 화스너나 끈 등이 적용된다. 그리고 상기 차양부재(350)의 가장자리에 소정 길이로 형성된 차양날개(356)를 더 포함하여도좋다. 차양부재(350)의 크기는 가로와 세로의 길이가 각각 25∼35cm 및 35∼45cm이고, 차양날개(356)는 5∼10cm인 것이 좋다.
도 7은 차양부재(350)의 다른 실시예로서, 차양부재(360)를 손잡이(250)의 관통공(254)(255)을 통하여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362)(364)이 구비되고, 상기 차양부재(360)의 가장자리가 제1 차양프레임(310)(320)과 제2 차양프레임(330)에 지지되도록 씌워지되, 통공(366)이 형성된 복수의 띠(365) 모양인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이는 차양부재(360)의 가장자리에 바람이 통할 수 있도록 하고 외관을 미려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지지부재(200)의 손잡이(250) 양단에 연결된 제1 차양프레임(310)(320)의 연결구조는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손잡이(250)로부터 제1 차양프레임(310)(320)이 회동할 수 있도록 결합 및 지지하는 힌지(271)가 구비된다. 그리고 손잡이(250) 및 제1 차양프레임(310)(320)의 고정 및 해제를 위한 고정수단(270)이 구비된다. 고정수단(270)은 상기 손잡이(250)의 내측에는 하단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스프링(273)의 탄성에 의하여 복원력을 갖는 작동버튼(272)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수단(270)으로서 상기 작동버튼(272)의 작동력을 직각방향으로 전달하도록 중앙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스프링(275)의 탄성에 의하여 복원력을 갖는 고정구(274)가 포함된다. 고정구(274)의 일단은 손잡이(250)에 결합된 제1 차양프레임(310)(320)을 관통하는 관통공(312)이 형성되어 있고, 타단에는 스프링(275)이 구성되며, 고정구(274)의 중앙에는 경사면이 형성된 홀(276)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작동버튼(272)의 수직작동에 의하여 고정구(274)는 수평으로 작동되어 손잡이(250)에 힌지(271)로 결합된 제1 차양프레임(310)(320)을 고정 또는 해제하게 된다.
또한, 제1 차양프레임(310)(320)에 연결된 제2 차양프레임(330)의 연결구조는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차양프레임(310)(320)으로부터 제2 차양프레임(330)이 회동할 수 있도록 결합 및 지지하는 힌지(341)가 구비된다. 그리고 제1 차양프레임(310)(320)과 제2 차양프레임(330)의 고정 및 해제를 위한 고정수단(340)이 구비된다.
고정수단(340)으로서 상기 제1 차양프레임(310)(320) 내측에 구비되고, 스프링(344)의 탄성에 의하여 복원력을 갖는 작동버튼(343)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 차양프레임(330)을 관통하는 힌지(341)의 외측에 복수의 톱니가 형성된 작동구(342)가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작동버튼(343)의 일측에 힌지(348) 결합되고 타단이 작동구(342)의 톱니에 축(347) 회동으로 고정시키는 고정구(345)가 구비된다. 그리고 고정구(345)의 상단에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가압스프링(346)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차양프레임(310)(320)의 종단부 상단에는 상부로 제2 차양프레임(330)이 무단으로 회동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회동방지턱(314)이 구비되어 있다.
도 5a에서 작동구(342)의 톱니와 치합하는 고정구(345)의 일단부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도 6a에서는 보다 향상된 고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작동구(342a)의 톱니형상과 고정구(345a)의 고정부 형상이 직각 삼각형의 형상이다. 이는 제1 차양프레임(310)(320)으로부터 제2 차양프레임(330)을 펼칠 때에는작동구(342a) 및 고정구(345a)의 경사면을 따라 용이하게 펼쳐지도록 하지만, 접히는 반대방향으로는 보다 견고하게 고정이 되도록 하여 작동버튼(343)을 누르기 전에는 제2 차양프레임(330)이 제1 차양프레임(310)(320)으로부터 용이하게 회동되지 않도록 한 구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을 도 8a 내지 도 8d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8a는 배낭(10) 내에 차양막이 수납공간부(100)에 절첩되어 있는 상태로서, 햇빛으로부터 사용자의 머리부분을 가리거나 비나 눈 등의 우수를 가리기 위하여 차양막을 사용할 때에는 수납공간부(100)의 상단에 구비된 개폐수단(110)을 개방한 다음에 손잡이(250)의 작동버튼(252)을 누른 후에 잡아 올리면 제1 지지프레임(210)(220) 내에 삽입된 제 2지지프레임(230)(240)이 뽑아 올려진다. 이때, 작동버튼(252)을 눌러야만 제2 지지프레임(230)(240)의 종단에 구비된 고정수단(260)이 제1 지지프레임(210)(220)의 관통공(221)에 고정된 고정구(264)를 해제시키기 때문이다. 고정구(264)의 해제는 손잡이(250)에 구성된 작동버튼(252)을 누르면 작동버튼(252)의 양단에 직각방향으로 구성된 밀대(232)(242)가 눌려지고, 밀대(232)(242)는 고정수단(260)의 작동구(262)를 밀어 경사면에 접하고 있는 고정구(264)를 관통공(221)으로부터 해제시키게 된다.
상기 제2 지지프레임(230)(240)이 제1 지지프레임(210)(220)으로부터 뽑아 올려지면 고정구(264)는 제1 지지프레임(210)(220)의 상단에 복수로 형성된 관통공(222)에 고정된다. 관통공(222)은 복수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작동버튼(252)을 눌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지지부재(200)의 높이가 결정되면, 차양부(300)를 지지부재(200)로부터 직각방향으로 펼치게 되는데, 차양부(300)의 제1 차양프레임(310)(320)이 손잡이(250)의 양단으로부터 펼쳐지는 작동은 도 8b에서와 같이 차양부(300)를 직각방향으로 들어올리면 힌지(271)를 중심으로 제1 차양프레임(310)(320)이 회동을 하게 된다. 즉 도 4a에서 제1 차양프레임(310)(320)이 회동을 하면서 제1 차양프레임(310)(320)의 힌지(271) 측면에 형성된 관통공(312)에 고정수단(270)으로서, 고정구(274)가 일치되면서 고정구(274)가 관통공(312)에 삽입되어 고정상태가 된다. 이는 도 4b와 같이 고정구(274)는 제1 차양프레임(310)(320)에 의하여 눌려져 있던 스프링(275)의 탄성에 의하여 관통공(312)으로 삽입된다.
이와 반대로, 관통공(312)에 고정된 고정구(274)를 해제하는 경우에는 손잡이(250)의 양단에 구성된 작동버튼(272)을 누르면, 작동버튼(272)의 하단에 형성된 경사면이 고정구(274)의 중앙에 경사면이 형성된 홀(276)로 삽입되면서 고정구(274)를 우측으로 밀어내어 고정구(274)를 관통공(312)으로부터 해제시킨 후에 제1 차양프레임(310)(320)을 아래로 내리면 된다. 제1 차양프레임(310)(320)이 아래로 내려진 후에 고정구(274)는 제1 차양프레임(310)(320)에 의하여 우측방향으로 밀려진 상태가 된다.
또한, 도 8c에서 제1 차양프레임(310)(320)으로부터 제2 차양프레임(330)을 펼치게 된다. 이는 도 5a 및 도 5b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에서, 접혀진 상태의 제2 차양프레임(330)을 수평방향으로 힘을 주어 펼치면, 제2 차양프레임(330)은 힌지(341)를 중심으로 회동을 하게 되고, 힌지(341)에 구성된 톱니를 가진 작동구(342)가 시계방향으로 회동을 한다. 이때, 톱니 사이에 고정된 고정구(345)는 상단으로 밀려지게 되고, 제2 차양프레임(330)을 완전히 수평으로 펼치면 작동구(342)의 톱니에 고정구(345)가 고정상태가 된다. 이때, 고정구(345)의 상단에 구비된 스프링(346)의 탄성력과 고정구(345)와 힌지(348) 결합된 작동버튼(343)의 하단에 구비된 스프링(344)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2 차양프레임(330)은 견고하게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제1 차양프레임(310)(320)의 종단부 상단에 회동방지턱(314)이 구비되어 있어 상부로 제2 차양프레임(330)이 무단으로 회동되는 것이 차단된다.
이와 반대로, 펼쳐진 제2 차양프레임(330)을 접을 경우에는 작동버튼(343)을 눌러 고정구(345)를 해제시키면 작동구(342)에 결합되었던 고정구(345)의 간섭이 없어지므로 제2 차양프레임(330)은 용이하게 접혀지게 된다.
그리고 제1 차양프레임(310)(320)으로부터 제2 차양프레임(330)을 고정하고 해제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로서,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도 5a 및 도 5b의 결합구조 보다는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것이다. 즉 고정구(345a)의 고정구조와 작동구(342a)의 톱니구조가 시계방향으로 밀려지지 않는 직삼각형 구조이므로 작동버튼(343)이 눌려지지 않는 이상은 강제적인 외부의 힘으로도 좀처럼 접혀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도 8d와 같이 제2 차양프레임(330)까지 펼쳐지면, 제1 차양프레임(310) 및 (320) 사이에 탄성을 갖는 지지바(332)를 삽입하여 차양부의좌우 강성을 도모한다. 그리고 제1 차양프레임(310)(320)과 제2 차양프레임(330)에 챠양부재(350)를 씌운 뒤에 차양부재(350)에 구비된 고정수단(352)(354)을 손잡이(350)의 홀(254)(255)을 통하여 고정시키면 된다.
차양막이 완전히 펼쳐진 상태가 된 후에 사용자가 배낭(10)의 멜빵(20)을 메게 되면 등 쪽의 배낭(10)으로부터 차양막이 사용자의 머리 위 부분에 형성되어 햇빛이나 우수를 차단할 수가 있게 된다.
배낭(10)으로부터 차양막이 펼친 상태에서 다시 차양막을 접어 배낭(10)에 넣을 경우에는 상기 과정을 역으로 수행하면 될 것이다.
상기 차양부(300)를 절첩하는 구조는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할 것이고, 이는 본 고안의 범위로부터 용이하게 적용될 것이다.
더욱이 제1 차양프레임과 제2 차양프레임의 굴절 각도를 조절하게 되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에 의한 본 고안의 배낭용 차양막은 멜빵을 이용하여 등에 멜 수 있는 배낭의 구획된 공간부에 고정 및 수납된 차양막을 휴대하고 다니다가 배낭으로부터 펼쳐 내어 사용자의 머리부분으로 비추는 햇빛을 가리거나 우수를 막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열대지방에서 또는 하절기나 햇빛이 강한 오후 등에 여행을 하거나 외출을 할 경우에 햇빛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여 더위에 쉽게 지치거나 얼굴이 타는 것을 막아주고, 갑작스런 비나 눈 등의 우수에 대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배낭의 구획된 별도의 공간에 차양막을 보관할 수 있어 언제든지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배낭으로부터 꺼내어 펼칠 수 있고, 불필요할 경우에는 접어 넣을 수 있는 구조로서, 배낭을 메고 여행을 하거나 외출을 할 때에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한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 또는 치환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1. 각종 물품을 수용하는 공간이 구비된 배낭에 있어서,
    상기 배낭에 구획된 소정 공간을 갖는 수납공간부;
    상기 수납공간부 내부 일측면에 구성된 지지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고정된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상단에 구비되어 햇빛 또는 우수를 막아주는 차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용 차양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부는 차양막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배면에 멜빵이 구비되며, 상단에 수납공간부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수단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용 차양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하나 이상의 고정수단으로 고정된 제1 지지프레임과,
    상기 제1 지지프레임의 내측으로부터 출입되는 제2 지지프레임과,
    상기 제2 지지프레임의 상단에 고정되어 제1 지지프레임으로부터 제2 지지프레임을 출입시키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용 차양막.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내에 구성되어 제1 지지프레임을 통하여 제2지지프레임이 출입되면서 제1 지지프레임에 형성된 관통공에 고정 또는 해제되도록 조작하는 작동버튼과,
    상기 작동버튼의 양단 하단에 각각 연결되고 제1 지지프레임의 내측에 구성된 밀대와,
    상기 밀대의 종단에 구성되고 하단에 경사면이 형성되며, 밀대의 작동력을 전달하는 작동구와,
    상기 작동구에 대항하여 상단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제1 지지프레임의 관통공에 고정 또는 해제되는 고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용 차양막.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부는
    상기 손잡이의 양단에 힌지 결합되는 제1 차양프레임과,
    상기 제1 차양프레임의 종단에 힌지 결합되는 제2 차양프레임과,
    상기 제1 차양프레임 사이를 지지하는 지지바와,
    상기 제1 차양프레임과 제2 차양프레임에 씌워지는 차양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용 차양막.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부재는 방수기능이 포함된 것으로서, 차양부재를 손잡이에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상기 차양부재의 가장자리에 소정 길이로 형성된 차양날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용 차양막.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부재를 손잡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차양부재의 가장자리가 제1 차양프레임과 제2 차양프레임에 지지되도록 씌워지되, 통공을 갖는 복수의 띠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용 차양막.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로부터 제1 차양프레임이 회동할 수 있도록 결합 및 지지하는 힌지와,
    상기 손잡이의 내측에 구비되어 하단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스프링의 탄성에 의하여 복원력을 갖는 작동버튼과,
    상기 작동버튼의 작동력을 직각방향으로 전달하도록 중앙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스프링의 탄성에 의하여 복원력을 갖는 고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용 차양막.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양프레임으로부터 제2 차양프레임이 회동할 수 있도록 결합 및 지지하는 힌지와,
    상기 제1 차양프레임 내측에 구비되고, 스프링의 탄성에 의하여 복원력을 갖는 작동버튼과,
    상기 제2 차양프레임을 관통하는 힌지의 외측에 복수의 톱니가 형성된 작동구와,
    일단이 상기 작동버튼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작동구의 톱니를 축 회동으로고정시키는 고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용 차양막.
KR20-2004-0011359U 2004-04-23 2004-04-23 배낭용 차양막 KR2003569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1359U KR200356968Y1 (ko) 2004-04-23 2004-04-23 배낭용 차양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1359U KR200356968Y1 (ko) 2004-04-23 2004-04-23 배낭용 차양막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8216A Division KR20050102891A (ko) 2004-04-23 2004-04-23 배낭용 차양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6968Y1 true KR200356968Y1 (ko) 2004-07-21

Family

ID=49434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1359U KR200356968Y1 (ko) 2004-04-23 2004-04-23 배낭용 차양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696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1229B1 (ko) * 2017-11-03 2019-01-22 박성호 배낭용 차양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1229B1 (ko) * 2017-11-03 2019-01-22 박성호 배낭용 차양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16305A1 (en) Rain Protection Umbrella
WO2019126918A1 (zh) 组合式便携背包
CN212394186U (zh) 遮阳复合背包
KR20050102891A (ko) 배낭용 차양막
KR200356968Y1 (ko) 배낭용 차양막
CN105962585B (zh) 一种伞具开合装置
KR200479147Y1 (ko) 가방덮개가 구비된 우산
CN206380832U (zh) 多折自动开收伞伞面可旋转结构
US20190069651A1 (en) Extendable umbrella apparatus
WO2018131581A1 (ja) 雨具
KR200244335Y1 (ko) 모자 우산
KR100956367B1 (ko) 차양모
KR200474904Y1 (ko) 레저용 파라솔
CN205728490U (zh) 一种伞具的下巢
JP5115877B2 (ja) 帽子
KR20130010605A (ko) 가변 차양을 갖는 차양모
JPH0627612Y2 (ja) サンバイザー
EP2101606B1 (en) Umbrella or parasol system
KR20190003246U (ko) 배낭용 접이식 캐노피 장치
JP2020078372A (ja) 背負い式傘携帯セット
KR100453144B1 (ko) 모자우산
JPH0715727U (ja) サンバイザー
KR200370198Y1 (ko) 우산겸용 지팡이
CN2623062Y (zh) 折叠式轻便伞及其伞具包
KR100610515B1 (ko) 다기능 접이식 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