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0515B1 - 다기능 접이식 모자 - Google Patents

다기능 접이식 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0515B1
KR100610515B1 KR1020050128087A KR20050128087A KR100610515B1 KR 100610515 B1 KR100610515 B1 KR 100610515B1 KR 1020050128087 A KR1020050128087 A KR 1020050128087A KR 20050128087 A KR20050128087 A KR 20050128087A KR 100610515 B1 KR100610515 B1 KR 100610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olding
sunshade
hat
aw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8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병천
Original Assignee
지병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병천 filed Critical 지병천
Priority to KR1020050128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05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0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05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01Collapsible or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18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 A42B1/0181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 A42B1/0182Peaks or visor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18Coverings for protecting hats, caps or hoods against dust, rain, or sunshine

Landscapes

  • Bli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접이식 모자에 있어서, 특히 우산처럼 평상시에는 모자를 접어서 보관 및 운반하며, 필요시에는 펼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접이식 모자에 관한 것으로,
다수개의 원통이 다단으로 겹쳐진 형태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안테나 형상의 중앙 지지대와; 중앙지지대가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하는 접이식 작동편과; 상기 접이식 작동편에 일측이 고정되며, 접이식 작동편을 아래로 내리면 상부쪽으로 접히면서 중앙 지지대쪽으로 밀착되는 상부 지지대와; 상기 상부 지지대와 제 1 힌지핀을 통해 결합되고, 일측끝단은 머리부 지지대에 고정되어 상부 지지대를 펼치게 되면 외부로 부풀어 올라 호 형태의 모양으로 펼쳐지고, 상부 지지대를 접으면 중앙 지지대에 밀착되는 측면 지지대와; 상기 측면 지지대의 타측 끝단에 힌지 결합되고, 제 2 힌지핀을 중심으로 수평으로 회동하는 차양 지지대와; 상기 차양 지지대의 제 2 힌지핀을 통해 차양 지지대와 일체로 연장 설치되는 너트부와, 상기 너트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외주연에 나사산을 형성한 원통형의 볼트부로 이루어지는 차양 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다기능, 접이식, 모자

Description

다기능 접이식 모자{A Multi-Function Folding Cap}
도 1은 본 발명의 프레임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의 프레임에 부직포를 결합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차양 조절부 및 머리접촉 조절부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중앙 지지대 200: 접이식 작동편
300: 상부 지지대 400: 측면 지지대
500: 머리부 지지대 600: 차양 지지대
700: 차양 조절부 800: 머리 접촉 조절부
900: 접이식 작동편 스위치부 1000: 뚜껑
1100: 부직포
본 발명은 다기능 접이식 모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우산처럼 평상시에는 모자를 접어서 보관 및 운반하며, 필요시에는 펼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 으로 하는 다기능 접이식 모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자는 사람의 머리에 착용되어 사용자의 머리와 머리카락을 보호함과 더불어 차광, 보온 및 장식용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그 종류 및 형태는 다양하다.
그리고, 그 소재 역시 실크 및 합성수지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게 개발되어 왔다.
또한, 햇볕에는 피부를 자극하는 강한 자외선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로부터 얼굴피부르르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모자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모자캡의 전방으로 보자챙이 연장된 간단한 형태를 가지며, 이러한 모자로는 자외선으로부터 얼굴 전면부를 보호할 수는 있으나, 얼굴의 측면부는 보호할 수가 없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모자챙이 넓고 사방으로 둘러져 있는 밀짚모자나 갓과 같은 큰 모자를 사용하거나, 천을 모자의 둘레에 둘러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모자는 90도 이상의 급격한 각도로 꺾어서 접게 되면 천이 꺽이거나 주름이 생기게 되어 모자 전체의 부피를 작도록 접어서 휴대 및 보관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모자를 쓰고다니면 머리가 눌리기 때문에 벗은 상태로 돌아다니기 어려워 한번 모자를 착용하면 하루종일 착용하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자유롭게 접거나 펼칠 수 있는 모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다수개의 원통이 다단으로 겹쳐진 형태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안테나 형상의 중앙 지지대와; 중앙지지대의 하부 끝단에 결합되는 상부가 오픈된 원통형 링 형태이며, 손으로 잡아당기거나 밀어 상승 또는 하강하는 동작에 의해서 중앙지지대가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하는 접이식 작동편과; 상기 접이식 작동편에 일측이 고정되며, 접이식 작동편을 상부로 밀어 올리면 옆으로 펼쳐져 수평면을 이루고, 접이식 작동편을 아래로 내리면 상부쪽으로 접히면서 중앙 지지대쪽으로 밀착되는 상부 지지대와; 상기 상부 지지대와 제 1 힌지핀을 통해 결합되고, 일측끝단은 머리부 지지대에 고정되어 상부 지지대를 펼치게 되면 외부로 부풀어 올라 호 형태의 모양으로 펼쳐지고, 상부 지지대를 접으면 중앙 지지대에 밀착되는 측면 지지대와; 상기 측면 지지대의 타측 끝단에 힌지 결합되고, 제 2 힌지핀을 중심으로 수평으로 회동하며, 모자의 차양으로 사용시에는 수평면으로 펼치고, 접을 때에는 힌지점을 중심으로 상부로 회동하여 차양을 접도록 하는 차양 지지대와; 상기 차양 지지대의 제 2 힌지핀을 통해 차양 지지대와 일체로 연장 설치되는 너트부와, 상기 너트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외주연에 나사산을 형성한 원통형의 볼트부로 이루어져, 볼트를 전진 또는 후진하는 동작에 의해서 차양 지지대를 아래로 하강시키거나 상부방향으로 상승시키는 차양 조절부와; 상기 측면 지지대와 차양 지지대의 외곽에 설치되어 모자 형태를 이루도록 하며, 외부 햇빛을 차단하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중앙 지지대의 하부에는 걸림턱을 형성하고, 이에 상응하여 접이식 작동편에는 걸림돌기를 더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차양 지지대는 차양 끝단부부만 내측으로 꺾일 수 있도록 라인의 끝단에 요철라인을 연장 설치하여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차양 조절부의 볼트부 내주연에는 수평방향으로 볼트부를 형성하고 수직방향으로 바 형상을 갖으며 차양조절부의 볼트부를 슬라이딩 이동하는 머리접촉 조절부를 더 부가하여 형성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중앙 지지대의 외주연에는, 중앙 지지대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링 형태의 상부 고정부와, 중앙지지대의 하부면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링 형태의 하부 고정부와, 상기 상부 고정부와 하부 고정부의 양지점을 각각 연결하는 꺽쇠형태의 탄성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접이식 작동편 스위치부를 더 결합하여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부직포의 차양부 끝단에는 부직포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묶음끈을 더 설치하여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프레임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의 프레임에 부직포를 결합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차양 조절부 및 머리접촉 조절부 분해사시도로서,
본 발명은 크게 중앙 지지대(100)와, 접이식 작동편(200)과, 다수개의 상부 지지대(300)와, 다수개의 측면 지지대(400)와, 머리부 지지대(500)와, 다수개의 차양 지지대(600)와, 차양 조절부(700)와, 머리 접촉 조절부(800)와, 접이식 작동편 스위치부(900)와, 뚜껑(1000)과, 부직포(11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앙 지지대(100)는 다수개의 원통이 다단으로 겹쳐진 형태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안테나 형상으로서 접으면 1개의 원통만이 외부로 표출되며, 펼치게 되면 다수개의 원통이 슬라이딩되면서 외부로 다수개의 원통이 표출된다.
상기 접이식 작동편(200)은 중앙지지대의 하부 끝단에 결합되며, 상부가 오픈된 원통형 링 형상이며, 중앙 지지대의 맨 하위단에 결합되어 상부로 밀어 올리면 1개의 원통 바로 아래 위치하고, 하부로 내리면 맨 끝단의 원통에 위치한다.
즉, 중앙 지지대(100)가 4개의 원통이 결합된 안테나식 구성이면, 맨 아래쪽에 위치하는 지름이 가장 작은 제 3 원통에 접이식 작동편이 결합되며, 따라서 중 앙 지지대를 접으면 접이식 작동편은 지름이 가장 큰 제 1 원통의 바로 하부에 위치되고, 중앙 지지대를 펼치면 접이식 작동편은 지름이 가장 작은 제 4 원통의 바로 하부에 위치한다.
그리고, 중앙 지지대(100)의 하부에는 걸림턱(11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이식 작동편(200)에는 걸림돌기(210)가 쐐기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접이식 작동편(200)을 계속 상승시키게 되면 상기 중앙 지지대(100)의 걸림턱(110)에 고정되어 안정된 지지구조를 갖게 된다.
상기 상부 지지대(300)는 접이식 작동편(200)에 일측이 고정되며, 접이식 작동편(200)을 상부로 밀어 올리면 옆으로 펼쳐지고, 접이식 작동편(200)을 아래로 내리면 상부쪽으로 접히면서 중앙 지지대(100)쪽으로 밀착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측면 지지대(400)는 중앙의 제 1 힌지핀(410)을 통해 상부 지지대(300)가 결합되며, 일측끝단은 머리부 지지대(500)에 고정되어 상부 지지대(300)를 펼치게 되면 외부로 부풀어 올라 호 형태의 모양으로 펼쳐지고, 상부 지지대(300)를 접으면 중앙 지지대(100)에 밀착된다.
상기 머리부 지지대(500)는 측면 지지대(400)의 일측을 모두 결합하여 고정하며 중앙 지지대(100)의 상부면의 맨 윗쪽에 밀착된다.
상기 차양 지지대(600)는 측면 지지대(400)의 타측 끝단에 힌지 결합되며, 제 2 힌지핀(620)을 중심으로 수평으로 회동하여 모자의 차양으로 사용시에는 수평면으로 펼치고, 접을 때에는 힌지핀(620)을 중심으로 상부로 회동하여 차양을 접도록 한다.
또한, 상기 차양 지지대(600)는 2개의 직선라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직선라인의 끝단에 라운드진 요철라인(610)이 연장 설치되어 차양을 하부로 잡아당기면 라운드진 요철라인만 아래로 일정하게 꺾여서 차양 끝단이 내측으로 꺾이는 호형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 차양 조절부(700)는 제 2 힌지핀(620)에 연장 설치되는 너트부(710)와, 상기 너트부(710)에 나사산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볼트부(720)로 이루어지며, 볼트부(720)의 끝단이 측면 지지대(400)에 밀착되며, 너트부(710)가 제 2 힌지점(620)에 연장설치되어 있어 상기 너트부(710)를 중심으로 볼트부(710)를 전진 또는 후진하는 동작에 의해서 차양 지지대(600)를 아래로 하강시키거나 상부방향으로 상승시키도록 한다.
즉, 차양 조절부(700)를 이루는 볼트부(720)를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볼트부(720)가 전진하여 측면 지지대(400)와 밀측되면서 자유회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너트부(710)가 볼트부(720) 뒷부분으로 밀리면서 제 2 힌지핀(620)을 중심으로 차양 지지대(600)를 상부로 들어올리게 되고, 반대로 볼트부(720)를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너트부(710)가 볼트부(720) 앞부분으로 밀리면서 제 2 힌지핀(620)을 중심으로 차양 지지대(600)를 하강하키게 된다.
상기 머리접촉 조절부(800)는 차양 조절부(700)의 내주연에 나사산으로 상호 슬라이딩 결합되는 볼트 형태로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동을 통해 내측으로 튀어나오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머리의 크기에 맞추어 모자를 안전하게 장착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차양 조절부(700)의 볼트부(720)는 외주연에도 나사산이 형성되고 내주연에도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볼트부(720)를 회동하는 동작에 의해 차양 지지대(60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고, 이어 머리접촉 조절부(800)를 회동하는 동작에 의해 차양조절부(700)로부터 일정거리 이격시켜 머리에 잘 접촉되도록 한다.
물론 노말상태에서도 일정길이 내측으로 튀어나와있기 때문에 사람의 머리는 상기 머리접촉 조절부(800)에 맞닿게 되어 머리접촉 조절부(800)가 맞닿는 부분만 머리가 눌리게 되므로 모자를 벗었을 때 머리 전체가 눌려 보기 싫게 되는 현상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즉, 머리접촉 조절부(800)는 최소한의 면적으로 머리카락을 압박하기 때문에 모자를 쓰고다니다가 벗어도 머리눌림 현상이 최소화되어 미관상 별 지장이 없는 것이다.
도 4를 통해 본 발명의 차양조절부(700)와 머리접촉부(80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차양 조절부(700)와 머리접촉 조절부(800)를 분해사시도 형태로 나타낸 것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면에 따르면 머리접촉 조절부(800)의 볼트 구조가 차양 조절부(700)의 볼트부(720) 내측으로 삽입되거나 튀어나올수 있는 구조이며, 또한 상기 볼트부(720)가 너트부(710)에 삽입되거나 튀어나올 수 있는 구조이다.
상기 너트부(710)는 제 2 힌지핀(620)을 통해 결합되며 따라서 볼트부(720)를 회전시키게 되면 너트부(710)가 볼트부(720)의 외주연을 이동하게 된다.
이는 너트부(710)를 구성시 일자형 핀을 말아서 제작하였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너트형태가 유지되면서 볼트부(72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볼트부(720)는 엄지와 검지를 이용하여 파지하여 회전시키게 되며, 따라서 엄지와 검지를 이용하여 볼트부(72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너트부(710)가 볼트부 머리쪽으로 이송되고 볼트부(720)를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너트부(710)가 볼트부의 꼬리쪽으로 이송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볼트부(720)를 손으로 파지하여 이송시킴으로서 차양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머리접촉 조절부(800)역시 엄지와 검지를 이용하여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볼트부(720)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머리접촉 조절부(800)를 볼트부(720)로부터 일정거리 튀어나오게 회전시켜 머리의 크기에 따라 모자의 내측을 조절하게 되어 머리가 작은 사람은 머리접촉 조절부가 볼트부(720)로부터 많이 튀어나오게 하여 모자의 내측 지름이 작아지는 효과를 갖도록 하고, 머리가 큰 사람은 머리접촉 조절부가 볼트부(720)로부터 적게 되어나오게 하여 모자의 내측 지름이 커지는 효과를 갖도록 하여 사용자의 머리가 잘 장착착되도록 한다.
상기 접이식 작동편 스위치부(900)는 중앙 지지대(100)의 외주연에 결합되는 마름모형태로서 상부 고정부(910)는 중앙 지지대의 상부면에 고정되고 하부 고정부(920)는 중앙 지지대(100)의 외주연을 슬라이딩 이동토록 중앙 지지대(100)의 하부면에 밀착 결합되며, 상기 상부 고정부(910)와 하부 고정부(920) 사이에는 꺽쇠형태의 탄성 스위치(930)가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탄성 스위치(930)가 노말상태에서는 양 옆으로 펼쳐져 있고 누르게 되면 하부 고정부(920)가 아래로 이동하면서 접이식 작동편(200)을 누르게 되어 접이식 작동편(200)이 하강하면서 모자가 접히도록 하고, 탄성 스위치(930)를 누르지 않게 되면 하부 고정부(920)를 상부로 이동시켜 접이식 작동편(200)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상기 뚜껑(1000)은 부직포(1100)를 측면 지지대(400)와 차양 지지대(600)를 통해 부직포(1100)를 결합한 상태에서 상부 압박을 통해 결합하여 머리부 지지대(500)에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부직포(1100)의 차양 지지대(600) 끝 부분에는 묶음끈(1200)을 더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서 차양 지지대(600)를 굴절시키도록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모자를 펼쳤을때를 설명하면, 접이식 작동편(200)이 중앙 지지대(100)의 맨 바깥쪽 원통의 바로 하부에 위치할 때까지 상승한 상태이고, 이때에는 상부 지지대(300)가 수평하게 펼쳐진 상태이며, 상기 상부 지지대(300)의 타측 끝단에 연결된 측면 지지대(400)가 라운드지게 팽창된 형태를 같는다.
또한, 이때 측면 지지대(400)의 상부끝단은 머리 지지대(50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고, 측면 지지대(400)의 하부 끝단에 위치한 제 2 힌지핀(620)을 중심으로 차양 지지대(600)를 펼치게 된다.
상기 차양 지지대(600)를 펼치게 되면 차양 조절부(700)가 제 2 힌지핀(620)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측면 지지대(400)에 밀착되면서 모자의 형태를 갖게 된다.
이후, 필요에 따라서 차양의 높이를 조절하고 차양의 끝단을 조절하게 되는바, 차양 조절부(700)의 너트부(710)를 기준점으로 차양 조절부(700)의 볼트부(720)를 회동하여 차양을 수평면보다 훨씬 아래로 내리거나 차양을 수평면과 일치하게 들어올리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머리접촉 조절부(800)를 작동하여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 로 볼트를 회전시키면서 머리에 잘 맞도록 조절한다.
또한, 차양 지지대(600)의 끝단에 위치하는 부직포(1100)는 일측을 절단하여 홀을 형성한 상태로 묶음끈(1200)을 삽입하여 이루어지는바, 양측 홀로부터 상기 묶음끈(1200)을 잡아당겨 묶어서 고정하게 되면 상기 차양 지지대(600)의 라운드진 요철부분(610)이 아래 방향으로 꺾이면서 일정한 호 형태를 유지하여 아름다운 모자를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상기에서 호 형태가 유지되도록 차양의 일부분에 밴드를 설치하여 자동으로 오므라들도록 하였다.
이후, 모자를 접을 때에는 접이식 작동부 스위치부(900)를 손으로 눌러서 스위치(930)를 중앙 지지대(100)로 밀착시킨다.
그러면, 스위치(930)의 하단에 있는 하부 고정부(920)가 아래로 하강하면서 접이식 작동부(200)의 쐐기형 돌기(210)를 밀어나면서 중앙 지지대(100)의 걸림턱(110)으로부터 벗어나도록 한다.
상기 접이식 작동부(200)가 중앙 지지대(100)로부터 벗어나면 측면 지지부(400)가 내측으로 작용하는 힘 때문에 상부 지지부(100)가 자연스럽게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접혀지게 되고, 접이식 작동부(200)는 아래로 내려가면서 중앙 지지대(100)에 모두 밀착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차양 지지대(600)를 상부로 접어서 올려주기만 하면 우산을 접은것과 유사하게 일자 형태로 접어진다.
물론, 필요에 따라 우산에서와 같이 묶음끈을 별도로 설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접이식으로 사용할 수 있어 필요에 따라서 접어서 가방에 보관하여 이송할 수 있고, 또한 차양의 높낮이 조절기능을 더 부가토록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에서 자유롭게 모자의 패션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머리접촉 조절기능을 부가하여 머리카락이 눌리는 것을 최소화하면서 보다 편리하게 모자를 착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Claims (6)

  1. 다수개의 원통이 다단으로 겹쳐진 형태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안테나 형상의 중앙 지지대와;
    중앙지지대의 하부 끝단에 결합되는 상부가 오픈된 원통형 링 형태이며, 손으로 잡아당기거나 밀어 상승 또는 하강하는 동작에 의해서 중앙지지대가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하는 접이식 작동편과;
    상기 접이식 작동편에 일측이 고정되며, 접이식 작동편을 상부로 밀어 올리면 옆으로 펼쳐져 수평면을 이루고, 접이식 작동편을 아래로 내리면 상부쪽으로 접히면서 중앙 지지대쪽으로 밀착되는 상부 지지대와;
    상기 상부 지지대와 제 1 힌지핀을 통해 결합되고, 일측끝단은 머리부 지지대에 고정되어 상부 지지대를 펼치게 되면 외부로 부풀어 올라 호 형태의 모양으로 펼쳐지고, 상부 지지대를 접으면 중앙 지지대에 밀착되는 측면 지지대와;
    상기 측면 지지대의 타측 끝단에 힌지 결합되고, 제 2 힌지핀을 중심으로 수평으로 회동하며, 모자의 차양으로 사용시에는 수평면으로 펼치고, 접을 때에는 힌지점을 중심으로 상부로 회동하여 차양을 접도록 하는 차양 지지대와;
    상기 차양 지지대의 제 2 힌지핀을 통해 차양 지지대와 일체로 연장 설치되는 너트부와, 상기 너트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외주연에 나사산을 형성한 원통형의 볼트부로 이루어져, 볼트를 전진 또는 후진하는 동작에 의해서 차양 지지대를 아래로 하강시키거나 상부방향으로 상승시키는 차양 조절부와;
    상기 측면 지지대와 차양 지지대의 외곽에 설치되어 모자 형태를 이루도록 하며, 외부 햇빛을 차단하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접이식 모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지지대의 하부에는 걸림턱을 형성하고, 이에 상응하여 접이식 작동편에는 걸림돌기를 더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접이식 모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 지지대는 차양 끝단부부만 내측으로 꺾일 수 있도록 라인의 끝단에 요철라인을 연장 설치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접이식 모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 조절부의 볼트부 내주연에는 수평방향으로 볼트부를 형성하고 수직방향으로 바 형상을 갖으며 차양조절부의 볼트부를 슬라이딩 이동하는 머리접촉 조절부를 더 부가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접이식 모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지지대의 외주연에는,
    중앙 지지대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링 형태의 상부 고정부와, 중앙지지대의 하부면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링 형태의 하부 고정부와, 상기 상부 고정부와 하부 고정부의 양지점을 각각 연결하는 꺽쇠형태의 탄성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접이식 작동편 스위치부를 더 결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접이식 모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의 차양부 끝단에는 부직포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묶음끈을 더 설치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접이식 모자.
KR1020050128087A 2005-12-22 2005-12-22 다기능 접이식 모자 KR100610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8087A KR100610515B1 (ko) 2005-12-22 2005-12-22 다기능 접이식 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8087A KR100610515B1 (ko) 2005-12-22 2005-12-22 다기능 접이식 모자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6085U Division KR200410122Y1 (ko) 2005-12-22 2005-12-22 다기능 접이식 모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0515B1 true KR100610515B1 (ko) 2006-08-14

Family

ID=37594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8087A KR100610515B1 (ko) 2005-12-22 2005-12-22 다기능 접이식 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0515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50099B2 (en) Sunbrella-sunscreen
US5450629A (en) Convertible hat with a foldable visor and associated method
KR200410122Y1 (ko) 다기능 접이식 모자
KR100610515B1 (ko) 다기능 접이식 모자
KR200418749Y1 (ko) 접이식 모자
KR20110005653U (ko) 넓이 조절이 가능한 우산
CN202800407U (zh) 一种偏心防雨伞
KR200414419Y1 (ko) 접이식 모자
CN205006007U (zh) 可折叠的帽体装置
KR200479147Y1 (ko) 가방덮개가 구비된 우산
US20190069651A1 (en) Extendable umbrella apparatus
KR100655146B1 (ko) 모자 형상의 접이식 우산
KR200324726Y1 (ko) 명함 크기로 접혀지는 차양모
KR200418378Y1 (ko) 모자 형상의 접이식 우산
KR20050102891A (ko) 배낭용 차양막
KR100740447B1 (ko) 차양막이 구비된 공기주입식 베게
KR200356968Y1 (ko) 배낭용 차양막
CN215603454U (zh) 帽檐和帽子
US5201332A (en) Cap-shaped umbrella held to the head
KR830001458B1 (ko) 자체 내장식 우산
KR100873453B1 (ko) 휴대용 접이식 모자
JP3096989U (ja) 名刺サイズ帽子
KR960003647Y1 (ko) 머리에 착용하는 우산
KR200244335Y1 (ko) 모자 우산
TWI540980B (zh) 擴大傘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