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4285Y1 - 누수탐지기 - Google Patents

누수탐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4285Y1
KR200354285Y1 KR20-2004-0007016U KR20040007016U KR200354285Y1 KR 200354285 Y1 KR200354285 Y1 KR 200354285Y1 KR 20040007016 U KR20040007016 U KR 20040007016U KR 200354285 Y1 KR200354285 Y1 KR 2003542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zoelectric element
leak detector
sensor
sensor casing
sensor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70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재청
Original Assignee
고재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재청 filed Critical 고재청
Priority to KR20-2004-00070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42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42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4285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2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하 또는 기타 시설물내에 매설되어 있는 수도관로 또는 난방용 온수관로의 누수를 탐지할 수 있도록 누수탐지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압전소자(10)가 내장된 센서헤드(12)와 이로부터 케이블(14)을 통하여 신호처리장치(16)와 연결되어 구성되는 누수탐지기(1)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을 통해 압전소자(10)가 커버(18)로 덮이는 컵형 금속제 베이스(20)내에 지지되고 센서 케이싱(13)의 배면측에 케이블(14)이 연결되는 커넥터(24)가 배치되는 누수탐지기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서는 센서헤드(12)의 내부를 보호 및 지지하는 센서 케이싱(13)이 한 손으로 잡고 다룰 수 있는 크기로 되는 컴퓨터의 마우스 형태이고, 센서 케이싱(13)의 저면측에서 압전소자(10)가 수용되는 역"U"자형의 함실(28)을 갖는 저면판(30)을 착설하며, 함실(28)의 상부벽에 발포수지제의 완충패드(32)를 부착하고 이에 압전소자(10)가 내장된 금속제 베이스(20)의 저면이 저면판(30)의 저면과 일치되게 금속제 베이스(20)를 접착고정하고, 센서 케이싱(13)의 전면측에 압전소자(10)로부터의 신호를 공급 또는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버튼형 스위치(34)를 착설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누수탐지기 {WATER LEAK DETECTOR}
본 고안은 누수탐지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하 또는 기타 시설물내에 매설되어 있는 수도관로 또는 난방용 온수관로의 누수를 지표면 또는 시설물의 해체없이 누수에 따른 이상음향을 검출하여 이들 관로의 누수위치 또는 누수상태를 탐지할 수 있도록 한 종류의 누수탐지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지하 또는 기타 시설물내에 매설되어 있는 수도관로 또는 난방용 온수관로에 누수가 발생되는 경우 이들 관로를 통하여 흐르는 물 또는 온수와 같은 유체의 정상적인 유동음향과는 상이한 이상음향을 발생하므로, 이러한 이상음향을 검출하여 관로에서 누수위치 또는 누수상태를 탐지할 수 있도록 하는 누수탐지기가 알려진 바 있다.
도 1은 종래의 누수탐지기를 나타낸다.
종래의 누수탐지기(100)는 대체적으로 누수음향을 감지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센서헤드(130)와, 상기 센서헤드(130)로부터 상기 전기신호를 필터링하고 증폭하는 신호처리장치(120)와, 작업자가 상기 신호처리장치(120)로부터 누수음향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하는 헤드폰(110)으로 구성된다. 이 때, 누수음향은 센서헤드(130)의 벨타입 센서 케이싱(132)에 내장되는 압전소자(131)에 의하여 검출된다.
즉, 압전소자(131)가 센서 케이싱(132)으로부터 전달되는 누수음향을 압전변환에 의하여 전기적 누수신호로 처리하여 이를 신호처리장치(120)로 보내면, 작업자는 신호처리장치(120)에 접속된 헤드폰(110)을 이용하여 누수음향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압전소자(131)가 내장된 벨타입의 센서케이싱(132)을 관로가 지나는 지표면 또는 시설물의 상부면에 대고 관로로부터 전달되는 관로유체의 유동음향을 청취하고, 이에 따라 누수탐지기(100)로부터 관로의 누수여부를 탐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와 같은 누수탐지기(100)를 구성하는 센서 케이싱(132)은 이에 내장되어 있는 압전소자(131)에 지표면 및 시설물과 청음센서의 물리적인 충격음 또는 마찰음이나 주위의 진동음과 같은 잠음이 차단되지 않고 그대로 전달되어, 작업자가 누수에 따른 이상음향을 탐지하는데 방해가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이러한 벨타입의 센서 케이싱(132)은 잡음의 차단없이 관로가 지나는 지표면 또는 시설물의 상부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탐지위치를 이동시키기 어려운 점이 있었다.
본 고안에 있어서는 종래의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압전소자가 내장된 센서 케이싱을 잠음의 차단하에 관로가 지나는 지표면 또는 시설물의 상부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탐지위치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누수가 탐지될 관로로부터 진정한 누수음향만이 검출될 수 있도록 한 누수탐지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누수탐지기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이 결합되는 누수탐지시스템의 설명도.
도 5는 본 고안의 작동원리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누수탐지기 10... 압전소자
12... 센서헤드 13... 센서 케이싱
14... 케이블 16... 누수탐지시스템
20... 금속제 베이스 28... 함실
30... 저면판 32... 완충패드
34... 버튼형 스위치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으로서, 본 고안에 의한 누수탐지기는 압전소자가 내장된 센서헤드와 이로부터 케이블을 통하여 신호처리장치와 연결되어 구성되는 누수탐지기에 있어서, 상기 센서헤드는 그 내부를 보호 및지지하는 센서 케이싱과, 압전소자와, 상기 압전소자를 지지하는 커버 및 금속제 베이스와, 상기 센서 케이싱의 배면측에 배치되며 케이블과 연결되는 커넥터와, 상기 센서 케이싱의 저면측에 상기 압전소자가 수용되는 역"U"자형의 함실을 갖는 저면판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제 베이스의 저면은 저면판의 저면과 일치되도록 접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특징으로서, 본 고안에 의한 누수탐지기에 있어서 상기 센서헤드는 상기 함실의 상부벽에 발포수지제의 완충패드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특징으로서, 본 고안에 의한 누수탐지기에 있어서 상기 센서헤드는 상기 센서 케이싱의 전면측에 압전소자로부터의 신호를 공급 또는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버튼형 스위치가 착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특징으로서, 본 고안에 의한 누수탐지기에 있어서 상기 센서 케이싱은 컴퓨터의 마우스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 의한 누수탐지기의 상세구조를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누수탐지기(1)는 크게 압전소자(10)가 내장된 센서헤드(12)와 이로부터 케이블(14)을 통하여 연결되는 신호처리장치(16)로 구성된다.
상기 센서헤드(12)는 센서 케이싱(13)의 내부에 누수음향을 검출하는 압전소자(10)를 포함하며, 상기 압전소자(10)가 커버(18)로 덮이는 컵형 금속제 베이스(20)내에서 모서리의 지지대(22)상에 지지되고 센서 케이싱(13)의 배면측에 케이블(14)이 연결되는 커넥터(24)가 상기 센서 케이싱(13)의 외부표면에 배치되는 구조이다.
상기 센서 케이싱(13)은 작업자가 한 손으로 잡고 다룰 수 있는 크기로 전면 상측에 경사면(26)을 가지고 저면이 개방된 형태로 되며, 상기 센서 케이싱(13)의 저면측에는 압전소자(10)가 수용되고 단면이 역"U"자형의 함실(28)을 갖는 저면판(30)이 착설된다. 이 때, 상기 센서 케이싱(13)은 작업자가 누수가 의심되는 부위의 지표면 또는 시설물의 표면에 센서헤드(12)를 중력에 의해 부착시키기 쉽도록 적절한 무게를 지니는 금속 재질 등으로 하며, 작업자가 쉽게 파지할 수 있는 형태(예를 들어, 컴퓨터의 마우스 형태 등)로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함실(28)의 상부벽에는 발포수지제의 완충패드(32)가 부착되고, 이에 압전소자(10)가 내장된 금속제 베이스(20)의 저면이 저면판(30)의 저면과 일치되게 금속제 베이스(20)가 접착 고정되며, 센서 케이싱(13)의 전면측 경사면(26)에는 압전소자(10)로부터의 신호를 공급 또는 차단할 수 있도록 작업자가 손가락으로 "ON", "OFF"를 조작할 수 있는 버튼형 스위치(34)가 착설된다.
이 때, 압전소자(10)가 수용된 금속제 베이스(20)는 그 자체가 외부충격에 민감한 압전소자(10)를 보호하는 동시에 그 저면을 통하여 전파되는 음향을 압전소자(10)에 충실하게 전달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함실(28)의 상부벽에 부착되는 발포수지제의 완충패드(32)는 작업자가 센서 케이싱(13)을 파지할 때 발생할 수 있는 파지음이나, 상기 센서헤드(12)를 이동시킬 때 센서 케이싱(13)과 지표면 또는 시설물 표면과의 마찰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음 등의 소음을 흡음함으로써, 진정한 누수음향만을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도 5에서는 압전소자(10)의 동작원리를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압전소자(10)는 사이에 전극시이트(M)를 개재하고 상호 반대방향으로 분극 처리된 두 장의 압전 세라믹판(P1)(P2)이 상호 적층된 구조를 가지며, 이로써 면굴곡진동 모드를 이용하여 기계적인 스트레스를 전기적인 신호로 압전변환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누수음향은 압전소자(10)를 기계적으로 진동시키게 되고, 압전소자(10)는 이를 전기 신호로 압전 변환하여 생성된 전기 신호를 커넥터(24)에 접속된 케이블(14)을 통하여 신호처리장치(16)로 전달하게 된다.
신호처리장치(16)는 센서헤드(12)에서 발생된 신호를 주파수 대역별로 필터링하기 위한 밴드패스 필터부, 요구된 신호의 증폭을 위한 증폭부와, 재생표시부 등으로 구성되며, 도 4에서 보인 바와 같이 헤드폰과 같은 청음수단이 구비되어 작업자가 청음을 하며 누수음향을 청취 판독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센서헤드(12)의 커넥터(24)에 신호처리장치(16)로 연결된 케이블(14)을 접속하고, 수도관 또는 난방파이프 등 유체관로가 매설된 장소에서 누수가 의심되는 부위의 지표면 또는 시설물의 표면에 센서헤드(12)의 센서 케이싱(13) 저면을 접촉시켜 누수를 탐지하는 작업에 들어갈수 있다.
즉, 작업자는 예를 들어 컴퓨터의 마우스를 취급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센서헤드(12)의 센서 케이싱(13)을 한 손으로 잡고, 센서 케이싱(13)을 누수가 의심되는 부위의 지표면 또는 시설물의 표면에 접촉한 후에 센서 케이싱(13)을 잡고 있는 손의 한 손가락으로 버튼형 스위치(34)를 눌러 그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만약 누수에 따른 이상 음향이 발생되는 경우, 해당되는 누수음향은 먼저 그 저면이 센서 케이싱(13)의 저면과 일치되게 배치된 금속제 베이스(20)의 저면을 통하여 압전소자(10)에게 전달되고, 이 압전소자(10)는 전달된 누수음향에 의한 기계적인 스트레스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킨 후, 이를 신호처리장치(16)로 보내며, 이 신호처리장치(16)에서는 상기 전기적인 신호를 주파수 대역별로 필터링 및 증폭하여 작업자의 청음 등에 의해 누수 여부를 판독하는 것이다.
또한, 작업자는 센서헤드(12)를 지표면 또는 시설물 표면 위를 이동시킬 때에는 버튼형 스위치(34)를 누르지 않고 "OFF"시킴으로써, 이동 시 마찰에 의한 충격음 등을 차단하여 청음 시 원하지 않는 소음을 피할 수 있게 된다. 즉, 작업자는 센서헤드(12)의 센서 케이싱(13)을 한 손으로 잡고 센서 케이싱(13)을 누수가 의심되는 부위의 지표면 또는 시설물의 표면에 접촉시킨 후, 청음을 원할 때에만 센서 케이싱(13)을 잡고 있는 손의 한 손가락으로 버튼형 스위치(34)를 눌러 "ON" 시킴으로써 누수음향을 청취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누수탐지기는 수도관 또는 난방파이프 등 유체관로가 매설된 장소에서 누수가 의심되는 부위의 지표면 또는 시설물의 표면에 센서헤드를 접촉시켜 이동시키면서 누수에 따른 이상음향을 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누수탐지기에 있어서 센서헤드는 마우스 등의 형태로 구성되어 작업자가 한 손으로 쉽고 확실하게 파지할 수 있어 작업능률이 향상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누수탐지기는 센서헤드 내부의 함실 상부 벽에 발포수지제로 되는 완충패드를 부착함으로써, 작업자가 센서헤드의 센서 케이싱을 파지할 때 발생할 수 있는 파지음이나, 센서헤드를 이동시킬 때 발생하는 지표면 또는 시설물 표면과의 마찰음 등의 소음을 최대한 흡음함으로써, 진정한 누수음향만을 검출하여 정밀한 누수탐지를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누수탐지기는 버튼형 스위치를 설치하여, 작업자가 원하는 때에만 상기 버튼형 스위치를 눌러 청음을 함으로써, 이동 시 마찰에 의한 충격음 등을 차단하여 청음 시 원하지 않는 소음을 피할 수 있게 되어, 능률적으로 누수탐지를 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압전소자(10)가 내장된 센서헤드(12)와 이로부터 케이블(14)을 통하여 신호처리장치(16)와 연결되어 구성되는 누수탐지기(1)에 있어서, 상기 센서헤드(12)는
    그 내부를 보호 및 지지하는 센서 케이싱(13)과,
    압전소자(10)와,
    상기 압전소자(10)를 지지하는 커버(18) 및 금속제 베이스(20)와,
    상기 센서 케이싱(13)의 배면측에 배치되며 케이블(14)과 연결되는 커넥터(24)와,
    상기 센서 케이싱(13)의 저면측에 상기 압전소자(10)가 수용되는 역"U"자형의 함실(28)을 갖는 저면판(30)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제 베이스(20)의 저면은 저면판(30)의 저면과 일치되도록 접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탐지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헤드(12)는 상기 함실(28)의 상부벽에 발포수지제의 완충패드(32)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탐지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헤드(12)는 상기 센서 케이싱(13)의 전면측에 압전소자(10)로부터의 신호를 공급 또는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버튼형 스위치(34)가 착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탐지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케이싱(13)은 컴퓨터의 마우스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탐지기.
KR20-2004-0007016U 2004-03-15 2004-03-15 누수탐지기 KR2003542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7016U KR200354285Y1 (ko) 2004-03-15 2004-03-15 누수탐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7016U KR200354285Y1 (ko) 2004-03-15 2004-03-15 누수탐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4285Y1 true KR200354285Y1 (ko) 2004-06-29

Family

ID=49432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7016U KR200354285Y1 (ko) 2004-03-15 2004-03-15 누수탐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428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6367B1 (ko) * 2020-01-20 2020-05-04 주식회사 아이디케이 피에조 방식의 압전센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6367B1 (ko) * 2020-01-20 2020-05-04 주식회사 아이디케이 피에조 방식의 압전센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49568A (en) Leak locating microphone, method and system for locating fluid leaks in pipes
DK1512116T3 (da) Fremgangsmåde til lokalisering af et anslag mod en overflade og anordning til udövelse af fremgangsmåden
JP3295087B2 (ja) 導管網中の漏れ箇所の特定装置および方法
WO2006076250A3 (en) Iterative method for determining touch location
HK1126850A1 (en) Leakage detector
DK1522839T3 (da) Ultralydsgaslækagedetektor
JP3223337B2 (ja) 漏洩音検出装置
ATE252726T1 (de) Leckdetektoranordnung und -system
KR200354285Y1 (ko) 누수탐지기
EP1990616A3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rfassen von Schwingungssignalen und/oder Körperschallsignalen
US6011470A (en) Ultrasound keyboard protection
TWI267284B (en) An electronic device with a flipped cover and a method for detecting a state of the flipped cover of the electronic device
JP2006105727A (ja) 機械装置の異常感知ユニット
US5090244A (en) System for detecting free particles in a component housing and detection method
JP2005283169A (ja) 漏水音検出装置
GB2378756A (en) Apparatus for detecting leaks in or determing the nature of a pipe.
WO2014014378A1 (en) System for monitoring a technical installation
JP3221853B2 (ja) 防犯警報装置
JP2018077123A (ja) 管内音検知装置
JPH0355871Y2 (ko)
JPH0417902Y2 (ko)
JP6153418B2 (ja) 音聴棒
JPH0417903Y2 (ko)
JP3300825B2 (ja) 振動及び音測定器
JPH02227658A (ja) 部分放電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