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3579Y1 - 볼링용 손목보호대 - Google Patents

볼링용 손목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3579Y1
KR200353579Y1 KR20-2004-0006053U KR20040006053U KR200353579Y1 KR 200353579 Y1 KR200353579 Y1 KR 200353579Y1 KR 20040006053 U KR20040006053 U KR 20040006053U KR 200353579 Y1 KR200353579 Y1 KR 2003535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
wrist
bowling
slider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60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의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드필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드필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드필드
Priority to KR20-2004-00060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35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35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3579Y1/ko
Priority to US11/070,055 priority patent/US7043769B2/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4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4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 A63B71/141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in the form of gloves
    • A63B71/148Gloves for bowling and other ball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볼링시에 손목에 가해지는 충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부상을 방지하면서 정확하게 볼을 투구할 수 있게 손목을 지지하는 볼링용 손목보호대에 있어서, 착용자의 투구특성에 따라 손목각도를 상하좌우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자신의 투구특성 변화에 따라 구성요소를 교체 가능한 볼링용 손목보호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착용자의 팔에서 손목까지를 감싸도록 만곡된 손목부(110)와, 손목부(110)에 힌지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선회하는 손등선회부(140)와, 좌우방향으로 선회하도록 손등선회부(140)에 체결된 손등지지대(150a, 150b)를 포함하는 볼링용 손목보호대에 있어서, 손목부(110)에 손등선회부(140)를 향해 설치된 레일(115)과, 레일(115)을 따라 이동하며 손등선회부(140)와 간섭되어 손등선회부(140)를 밀어 하향으로 선회시키는 슬라이더(120)와, 손등선회부(140)를 관통해 손등지지대(150a, 150b)에 해체 가능하게 체결되는 노브(16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볼링용 손목보호대는 손목부와 손등부의 상하 절곡된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서, 슬라이더를 이동시킨 후에 슬라이더를 적당한 위치에 고정하면, 슬라이더의 고정에 따른 손목부와의 간섭에 의해 손목부에 지지되는 손목이 볼링공에 의해 꺾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손등선회부에 손등지지대를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 착용자의 투구특성이 변화됨에 따라 적합한 구조의 손등지지대를 설치하여 자신의 변화된 투구특성에 맞게 투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볼링용 손목보호대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손등선회부와 손등지지대가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함과 동시에 손등지지대의 좌우선회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하여 손목보호대의 구조를 단순화하면서도 기능을 확대하였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Description

볼링용 손목보호대{Wrist Protective Supporter for Bowling}
본 고안은 볼링시에 손목에 가해지는 충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부상을 방지하면서 정확하게 볼을 투구할 수 있게 손목을 지지하는 볼링용 손목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착용자의 투구특성에 따라 손등부를 상하좌우로 용이하게 선회하여 각도를 조정할 수 있고, 또한 자신의 투구특성 변화에 따라 적합한 구조의 손등부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손목보호대는 볼링시 볼링공의 중량으로 인해 발생하는 손목이나 손가락 부상을 방지하며, 자신의 투구특성에 따라 정확하게 투구할 수 있도록 하여 경기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볼링용 도구로서, 현재 여러 종류의 손목보호대가 개발되어 상용화되었는데, 이를 간단히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일반적이면서 가장 간단한 구조의 손목보호대는 흡착력을 갖는 소재로 손목보호대의 바닥면을 형성하여 볼링공을 용이하게 다룰 수 있게 구성한 손목보호대로서, 손목을 고정시켜 손목이 뒤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하여 손목을 보호한다.
이 보다 복잡한 구성을 갖는 손목보호대는 손목부와 손등부의 각도를 착용자가 임의로 조절하여 투구할 때 볼링공에 스핀을 용이하게 줄 수 있게 구성한 것으로서, 상기 각도조절이 가능한 손목보호대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그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면, 손등에 밀착되는 손등부(30)와, 손목 외측에 밀착되는 손목부(10)와, 상기 손등부(30)와 손목부(10)를 연결하고 상기 손목부(10)와 손등부(30) 사이의 연결각도를 좌우 또는 상하로 조절하는 각도조절부(20)로 구성되는데, 상기 각도조절부(20)와 손목부(10)는 나사식 각도 조절수단(50)과 걸림식 각도 조절수단(60)에 의해 연결되며, 손목부(10)가 나사식 각도 조절수단(50)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선회하고 걸림식 각도 조절수단(6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선회한다.
여기에서 걸림식 각도 조절수단(60)을 살펴보면, 스프링에 의해 작동되는 걸림편(61)이 형성되고, 걸림편(61)의 저면에는 걸림돌기(도면에 도시안됨)가 형성되어 손등부(30)에 등간격으로 천공된 다수 개의 걸림홈(65)에 삽입된다. 따라서 걸림편(61)의 저면에 형성된 걸림돌기가 손등부(30)에 천공된 다수 개의 걸림홈(65)들 중에 어느 한 걸림홈에 삽입되느냐에 따라 손목부(10)와 손등부(30)의 절곡된 각도가 조절된다. 이와 같은 방식은 사용시 손등부(30)가 뒤로 젖혀졌을 경우 걸림편(61)이 걸림홈(65)에서 쉽게 이탈된다. 이와 같이 걸림편(61)이 걸림홈(65)에서 이탈됨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점으로는 손목 부상을 들 수 있는데, 스텝을 밟으며 스윙하는 동작에서 볼링공의 중량에 의해 손목이 뒤로 꺾여 손목부상을 입게 된다. 또한 걸림식 각도 조절수단(60)을 조작함에 있어서 착용자가 걸림편(61)을 걸림홈(65)에서 이탈시킨 후에 다른 걸림홈(65)에 삽입하는 등의 조작이 불편하며구조가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볼링을 지속적으로 연습하다보면 초보자에서 숙련자로 실력이 향상되면서 자신의 투구특성 또한 점차 변하게 되는데, 나사식 각도 조절수단(50)은 손등부(30)와 손목부(10)가 힌지결합되어 각도조절이 가능할 뿐, 손등부(30)와 손목부(10)가 분리되지 않는다. 따라서 최초 자신에게 맞는 손등부를 갖는 손목보호대를 구입한 후, 자신의 투구특성이 바뀔 경우에는 다른 손목보호대를 구입하여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손등부를 상하좌우로 용이하게 조정 가능하며 손등부와 손목부가 착탈 가능하여 자신의 투구특성이 바뀜에 따라 변화된 투구특성에 적합한 손등부를 교체 사용할 수 있는 볼링용 손목보호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손목보호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손목보호대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손목보호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손목부의 레일에서 슬라이더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손등선회부와 손등지지대의 체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슬라이더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며,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의 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손목부 113 : 슬라이드 홈
115 : 레일 117 : 체결홈
120 : 슬라이더 121 : 안내홈
123 : 체결부 125 : 수직관통공
126 : 버튼 127 : 체결편
128 : 코일스프링 129 : 걸림턱
130 : 손등부 140 : 손등선회부
150a, 150b : 손등지지대 153 : 너트
160 : 회전노브 171, 172 : 고정밴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착용자의 팔에서 손목까지를 감싸도록 만곡된 손목부와, 상기 손목부에 힌지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선회하는 손등선회부와, 좌우방향으로 선회하도록 상기 손등선회부에 체결된 손등지지대를 포함하는 볼링용 손목보호대에 있어서, 상기 손목부에 상기 손등선회부를 향해 설치된 레일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손등선회부와 간섭되어 상기 손등선회부를 밀어 하향으로 선회시키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에 체결되거나 분리되는 체결부 및, 상기 손등선회부를 관통해 상기 손등지지대에해체 가능하게 체결되는 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슬라이더에는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레일이 삽입되는 안내홈이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레일은 상기 손등선회부와 접하는 상기 손목부의 선단 폭 중간에 상기 손목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드 홈의 마주하는 내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레일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의 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는 상기 체결홈에 삽입 또는 인출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체결부는 상기 슬라이더에 형성된 수직관통공과, 상기 수직관통공에 삽입되어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수직관통공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버튼과, 상기 버튼의 하단 양측으로 돌출된 체결편과, 일단은 상기 버튼의 저면에 접하고 타단은 상기 수직관통공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턱에 접한 코일스프링을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노브의 저면 중심에는 볼트가 형성되고, 상기 손등지지대의 상면에는 너트가 고정되며, 상기 볼트는 상기 손등선회부를 관통해 상기 손등지지대의 너트에 체결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손등선회부와 상기 손등지지대의 사이에는 러버와셔가 위치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슬라이더에는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레일이 삽입되는 안내홈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홈에는 상기 레일과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레일은 상기 손등선회부와 접하는 상기 손목부의 선단 폭 중간에 상기 손목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드 홈의 마주하는 내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레일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의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에는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레일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의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슬라이더에 형성된 수직관통공과,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수직관통공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버튼과, 상기 버튼의 하단 양측으로 돌출된 체결편과, 일단은 상기 버튼의 저면에 접하고 타단은 상기 수직관통공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턱에 접한 코일스프링을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노브는 그 저면 중심에 볼트가 형성되고, 상기 볼트는 상기 손등선회부를 관통해 상기 손등지지대의 상면에 고정된 너트에 체결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손등선회부와 상기 손등지지대의 사이에는 러버와셔가 위치한다.
아래에서, 본 고안에 따른 볼링용 손목보호대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2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손목보호대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손목보호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손등부와 손목부의 체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손목부의 레일에서 슬라이더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슬라이더의 종단면도이며,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의 횡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팔에서 손목까지의 외측을 감싸는 손목부(110)와, 손목부(110)의 선단에 힌지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선회하며 착용자의 손등과 손가락을 덮는 손등부(130)를 포함하며, 손등부(130)는 손목부(110)와 힌지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선회하는 손등선회부(140)와, 이런 손등선회부(140)에 나사체결되어 좌우방향으로 선회하며 착용자의 손등과 손가락을 지지하는 손등지지대(150a, 150b)로 구분된다.
아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볼링용 손목보호대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목부(110)는 그 폭 방향으로 만곡되어 팔등에서 손목까지의 외측을 감싸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이런 만곡된 손목부(110)의 안쪽에는 벨크로테이프가 부착되고, 벨크로테이프에 제1 큐션패드(111)가 부착되어 손목부(110)가 팔등을 감쌀 때에 촉감을 좋게 하며 손목부(110)가 팔등에 밀착되어 팔등을 보다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에 보이듯이, 이런 손목부(110)의 폭 중간에는 레일(115)이 손목부(1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이런 레일(115)을 따라 슬라이더(12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데, 슬라이더(120)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위치하면 손등부(130)의 손등선회부(140)를 밀어내어 손등선회부(140)가 하향으로 선회하여 위치하게 되며, 반대로 슬라이더(120)가 레일(115)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해 손등선회부(140)와 간섭되지 않게 되면 손등선회부(140)는 상향으로 최대로 선회할 수 있어 손목부(110)의 선단과 접하게 된다. 이와 같이 손등선회부(140)가 상향으로 최대로 선회하게 되면 손목부(110)와의 각도는 0°가 되어 손목부(110)에서 직선으로 연장되어 위치한다.
한편 손등선회부(140)는 손목을 감싸도록 폭방향으로 만곡되고, 손등선회부(140)의 양단은 만곡된 손목부의 선단 양측에 각각 힌지결합된다. 따라서 손등선회부(140)가 최대로 상향 선회하게 되면 손등선회부(140)의 후단 일부는 손목부(110)의 안쪽으로 삽입되어 들어가면서 슬라이더(120)와 접하게 된다. 따라서 슬라이더(120)를 전방으로 전진시키면 슬라이더(120)에 밀려 손등선회부(140)는 하향으로 선회한다. 그리고 손등선회부(140)의 폭 중간부에는 반원 형상의 돌출부(141)가 형성되고, 돌출부(141)의 중심에는 관통공(143)이 형성된다. 한편 회전노브(160)는 그 저면에 볼트(163)가 형성되고, 이런 회전노브(160)는 돌출부(141)의 상면에 위치한 상태에서, 회전노브(160)의 볼트(163)는 돌출부(141)의 관통공(143)을 관통해 손등선회부(140)의 하부에 위치한 손등지지대(150a, 150b)에 체결된다.
한편, 도 3에 보이듯이 손등지지대(150a, 150b)는 손등과 검지, 중지, 약지, 소지를 덮으며, 손등과 대응하는 부위의 바깥면에는 너트(153)가 고정된다. 이런 손등지지대(150a, 150b)는 투구특성에 따라 그 모양이 다소 다르게 구성되는데, 도 3에 도시된 2개의 손등지지대(150a, 150b) 중에서 검지에 대응하는 부분이 길게 형성된 손등지지대(150a)는 다른 손등지지대(150b) 보다 중량의 볼링공을 투구할 때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볼링을 시작한 초보시보다 숙달되는 과정에서 볼링공의 중량을 증가시켜 파워를 증가하는 투구특성을 보인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등지지대(150a, 150b)는 손등선회부(140)의 관통공(143) 하부에 위치하며 회전노브(160)의 볼트(163)가 손등선회부(140)의 관통공(143)을 관통한 후에 너트(153)에 체결된다. 따라서 회전노브(160)의 회전방향에 따라 회전노브(160)의 볼트(163)가 너트(153)에 체결 또는 분리되는데, 볼트(163)를 너트(153)에 체결한 상태에서 손등지지대(150a, 150b)의 각도를 조절한 후 단단히 조이게 되면 손등지지대(150a, 150b)가 손등선회부(140)에 각도조절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런 상태에서 다른 손등지지대로 교체하고자 할 경우에는 회전노브(160)를 회전하여 볼트(163)를 너트(153)에서 해체하여 체결된 손등지지대(150a, 150b)와 손등선회부(140)를 분리한 후에 다른 손등지지대로 교체 체결한다. 또한 손등지지대(150a, 150b)의 안쪽면에는 벨크로테이프가 부착되어 제2 큐션패드(152)가 벨크로테이프에 의해 부착된다. 또한 손등선회부(140)와 손등지지대(150a, 150b)의 사이에는 볼트(163)를 감싸는 러버와셔(155)가 위치하여 볼트(163)의 조임력에 의해 손등선회부(140)와 손등지지대(150a, 150b)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아래에서는 손목부에 형성된 레일과 슬라이더에 대해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목부(110)의 폭 중간에는 선단에서 후단으로 슬라이드 홈(113)이 형성되며, 이런 슬라이드 홈(113)의 마주하는 두 내측면에는 슬라이드 홈(113)의 길이방향으로 레일(115)이 각각 형성되는데, 이런 레일(115)에는 다수 개의 체결홈(117)이 레일(115)의 길이를 따라 형성된다.
한편, 이런 손목부(110)의 슬라이드 홈(113)에 위치한 슬라이더(120)는 양 측면에 상기 레일(115)의 두께를 갖는 폭과 깊이의 안내홈(121)이 슬라이더(120)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안내홈(121)의 일측에는 안내홈(121)의 하부에서 안내홈(121)의 안쪽으로 이동하려는 탄성을 갖는 체결부(123)가 형성된다. 따라서 슬라이더(120)의 안내홈(121)에 레일(115)이 삽입되게 슬라이더(120)를 슬라이드 홈(113)에 삽입하면 슬라이더(120)는 레일(115)을 따라 손목부(110)의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은 슬라이더(120)의 이동에 있어서 체결부(123)가 레일(115)의 체결홈(117)과 대응하게 되면 체결부(123)가 상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체결홈(117)에 체결부(123)가 삽입되어 슬라이더(120)는 고정된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은 슬라이더의 체결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120)의 후단에는 수직관통공(125)이 형성되며, 이런 수직관통공(125)에 버튼(126)이 삽입되어 위치하며 버튼(126)의 하단에는 체결편(127)이 양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수직관통공(125)의 내부에는 인장된 코일스프링(128)이 버튼(126)을 감싼 상태로 위치하는데, 인장된 코일스프링(128)의 상단은 버튼(126)의 저면에 접하며 코일스프링(128)의 하단은 수직관통공(125) 하단에 형성된 걸림턱(129)에 접한다. 따라서 버튼(126)을 누르게 되면 코일스프링(128)이 압축되면서 체결편(127)은 하향 이동하게 되며, 버튼(126)에 가하던 힘을 제거하면 코일스프링(128)은 탄성복원되면서 버튼(126)을 상부방향으로 밀어올리면서 체결편(127) 또한 상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은 버튼(126)과 체결편(127) 및 코일스프링(128)의 작동에 의해 체결편(127)이 레일(115)의 체결홈(117)에 삽입되면 슬라이더(120)의 이동은 멈추게 되고, 이런 상태에서 버튼(126)을 누르면 체결편(127)이 체결홈(117)에서 인출되면서슬라이더(120)는 다시 레일(115)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슬라이더(120)가 레일(115)을 따라 이동함에 있어서 슬라이더(120)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손등선회부(140)를 밀면서 손등선회부(140)를 하향으로 선회시키며, 슬라이더(120)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손등선회부(140)와의 간섭이 이루어지지 않으면서 손등선회부(140)는 상향으로 최대 선회하게 된다.
한편, 손목부(110)와 손등지지대(150a, 150b)에는 고정밴드(171, 172)가 각각 설치되어 손목부(110)와 손등지지대(150a, 150b) 안쪽에 위치한 팔과 손바닥을 고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만곡된 손목부(110)의 양측단에는 고리(173)가 각각 고정되며, 고정밴드(171)의 일단에는 상기 고리(173)에 체결되는 후크(175)가 고정되고, 고정밴드(171)의 일면에 벨크로테이프가 부착된다. 따라서 한 쪽 고리(173)에 후크(175)를 걸고 다른 쪽 고리에 고정밴드(171)를 관통시킨 후 벨크로테이프를 상호 부착하면, 고정밴드(171)는 손목부(110)의 안쪽에 위치한 팔의 둘레를 감싼 상태로 고정된다.
또한 손등지지대(150a, 150b)에는 그 폭의 일단에 고리(177)가 형성되고, 고정밴드(172)의 단부는 손등지지대(150a, 150b)의 폭 타단에 고정되며, 고정밴드(172)에는 벨크로테이프가 부착된다. 따라서 고리(177)에 고정밴드(172)를 통과시킨 후에 고정밴드(172)의 벨크로테이프를 부착하면 손등지지대(150a, 150b) 안쪽에 위치한 손바닥을 고정밴드(172)가 감싼 상태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볼링용 손목보호대의 작동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는 자신의 투구특성에 따라 손등지지대(150a, 150b)를 선택한다. 그리고 손등지지대(150a, 150b)를 손등선회부(140)의 하부에 위치하고 회전노브(160)의 볼트(163)를 손등선회부(140)의 관통공(143)에 관통시킨 후에, 볼트(163)를 손등지지대(150a, 150b)의 너트(153)에 체결한다.
이와 같이 볼트(163)를 너트(153)에 체결하는 과정에서 손등지지대(150a, 150b)의 좌우각도를 설정한 상태에서 회전노브(160)를 회전시켜 단단히 조인다. 그러면 손등지지대(150a, 150b)와 손등선회부(140)는 일체가 된다.
이런 상태에서 손등부(130)와 손목부(110)의 상하각도를 조절하는데, 이때 착용자는 슬라이더(120)의 버튼(126)을 누른 상태로 슬라이더(120)를 밀거나 당겨 레일(115) 즉 슬라이드 홈(113)의 길이를 따라 이동시킨다. 이때, 슬라이더(120)를 밀어 전진시키면 슬라이더(120)의 선단과 손등선회부(140)의 간섭에 의해 손등선회부(140)는 하향으로 선회하여 손등선회부(140)의 절곡된 각도를 증가시키고, 슬라이더(120)를 후방으로 당겨 두면 그 만큼 손등선회부(140)가 상향으로 선회 가능하여 절곡된 각도는 점차 작아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볼링공에 스핀을 주거나 또는 훅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손등부(130)의 하향 선회각도 즉 절곡된 각도가 크며 손등지지대(150a, 150b)의 좌우선회각도 또한 큰 것이 유리하지만, 이런 상하 절곡된 각도 및 좌우 선회각도는 착용자의 투구특성에 따라 얼마든지 바뀔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볼링용 손목보호대에서는 손목부(110)에 슬라이드 홈(113)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홈(113)의 마주하는 내측면에 레일(115)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레일(115)을 따라 슬라이더(120)가 이동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손목부에 슬라이드 홈이 없이 손목부 상면에 한 쌍의 레일이 고정되고 고정된 레일에 슬라이더가 설치되어 이동하더라도 본 고안의 목적 및 효과를 충분히 발현할 수 있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볼링용 손목보호대는 손목부와 손등부의 상하 절곡된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서, 슬라이더의 버튼을 누른 상태로 슬라이더를 이동시킨 후에 슬라이더를 적당한 위치에 배치하면, 레일의 체결홈에 체결편이 삽입 체결되어 슬라이더가 고정되고, 이런 슬라이더의 고정에 따른 손목부와의 간섭에 의해 손등부가 상향으로 선회하지 않게 되어 스윙시에 손목이 볼링공에 의해 꺾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볼링용 손목보호대는 손등선회부에 손등지지대를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 착용자의 투구특성이 변화됨에 따라 적합한 구조의 손등지지대를 설치하여 자신의 변화된 투구특성에 맞게 투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볼링용 손목보호대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손등선회부와 손등지지대가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한 회전노브와 너트의 체결구조를 통해 손등지지대의 좌우선회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하여 손목보호대의 구조를 단순화하면서도 기능을 확대하였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볼링용 손목보호대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6)

  1. 착용자의 팔에서 손목까지를 감싸도록 만곡된 손목부와, 상기 손목부에 힌지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선회하는 손등선회부와, 좌우방향으로 선회하도록 상기 손등선회부에 체결된 손등지지대를 포함하는 볼링용 손목보호대에 있어서,
    상기 손목부에 상기 손등선회부를 향해 설치된 레일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손등선회부와 간섭되어 상기 손등선회부를 밀어 하향으로 선회시키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에 체결되거나 분리되는 체결부 및,
    상기 손등선회부를 관통해 상기 손등지지대에 해체 가능하게 체결되는 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링용 손목보호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에는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레일이 삽입되는 안내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링용 손목보호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기 손등선회부와 접하는 상기 손목부의 선단 폭 중간에 상기 손목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드 홈의 마주하는 내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레일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의 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는 상기 체결홈에 삽입 또는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링용 손목보호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슬라이더에 형성된 수직관통공과, 상기 수직관통공에 삽입되어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수직관통공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버튼과, 상기 버튼의 하단 양측으로 돌출된 체결편과, 일단은 상기 버튼의 저면에 접하고 타단은 상기 수직관통공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턱에 접한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링용 손목보호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의 저면 중심에는 볼트가 형성되고, 상기 손등지지대의 상면에는 너트가 고정되며, 상기 볼트는 상기 손등선회부를 관통해 상기 손등지지대의 너트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링용 손목보호대.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손등선회부와 상기 손등지지대의 사이에는 러버와셔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링용 손목보호대.
KR20-2004-0006053U 2004-03-06 2004-03-06 볼링용 손목보호대 KR2003535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6053U KR200353579Y1 (ko) 2004-03-06 2004-03-06 볼링용 손목보호대
US11/070,055 US7043769B2 (en) 2004-03-06 2005-03-02 Wrist protective supporter for bowl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6053U KR200353579Y1 (ko) 2004-03-06 2004-03-06 볼링용 손목보호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3579Y1 true KR200353579Y1 (ko) 2004-06-22

Family

ID=34909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6053U KR200353579Y1 (ko) 2004-03-06 2004-03-06 볼링용 손목보호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043769B2 (ko)
KR (1) KR200353579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62495A2 (ko) * 2010-06-25 2011-12-29 Jun Sang-Hak 볼링용 손목 보호대
KR20180047415A (ko) * 2016-10-31 2018-05-10 배성환 볼링용 손목 보호대
KR101900011B1 (ko) * 2017-02-07 2018-09-20 배재영 볼링용 손목 보호대
KR20210000169U (ko) * 2019-07-12 2021-01-20 (주)엠케이트레이딩 볼링용 손목 보호대
KR20210073211A (ko) 2019-12-10 2021-06-18 구연욱 회전 퀵 클램프를 이용한 볼링용 손목보호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68193B2 (en) * 2004-01-28 2009-07-28 Ati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tatic single assignment form dead code elimination
US20070105636A1 (en) * 2005-11-04 2007-05-10 Eui-Bae Chung Auxiliary pad for bowling wrist guard
KR200420579Y1 (ko) * 2006-04-22 2006-07-04 이미자 볼링 경기용 손목 보호대
IT1392423B1 (it) * 2008-08-13 2012-03-02 Alpinestars Res Srl Struttura di guanto, in particolare da motociclismo, e metodo per la sua realizzazione.
US8858352B2 (en) * 2010-06-25 2014-10-14 Sang-Hak Jun Wrist guard for bowling
US8834283B2 (en) 2012-04-24 2014-09-16 Eileen's Bowling Buddy, Llc Bowling practice device and method
US9301865B2 (en) 2012-09-16 2016-04-05 Lauren Marie Farco Accessory anchoring system and method
CN108883330A (zh) * 2016-02-22 2018-11-23 鹦鹉螺公司 平衡训练装置
KR102480144B1 (ko) * 2021-10-01 2022-12-22 박현영 볼링용 손목보호대의 각도 조절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66158A (en) * 1985-10-23 1987-05-19 Joseph Moro Adjustable bowling release positioner
US4925187A (en) * 1987-01-22 1990-05-15 Fleenor Charles R Bowling hand and wrist support device
US5163678A (en) * 1991-09-20 1992-11-17 Ebonite International, Inc. Bowler's wrist positioner
US5466192A (en) * 1994-03-03 1995-11-14 Castolo; Rodrigo L. Adjustable hinged bowling wrist support
US6361447B1 (en) * 1997-01-13 2002-03-26 Terry Lindstrom Bowler's dual position wrist and finger control device
US6827653B2 (en) * 2003-03-21 2004-12-07 Sung-Hoan Be Wrist support for bowlers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62495A2 (ko) * 2010-06-25 2011-12-29 Jun Sang-Hak 볼링용 손목 보호대
WO2011162495A3 (ko) * 2010-06-25 2012-05-03 Jun Sang-Hak 볼링용 손목 보호대
KR101166657B1 (ko) 2010-06-25 2012-07-18 전상학 볼링용 손목 보호대
KR20180047415A (ko) * 2016-10-31 2018-05-10 배성환 볼링용 손목 보호대
KR101900011B1 (ko) * 2017-02-07 2018-09-20 배재영 볼링용 손목 보호대
KR20210000169U (ko) * 2019-07-12 2021-01-20 (주)엠케이트레이딩 볼링용 손목 보호대
KR200493922Y1 (ko) * 2019-07-12 2021-06-29 (주)엠케이트레이딩 볼링용 손목 보호대
KR20210073211A (ko) 2019-12-10 2021-06-18 구연욱 회전 퀵 클램프를 이용한 볼링용 손목보호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043769B2 (en) 2006-05-16
US20050193468A1 (en) 2005-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53579Y1 (ko) 볼링용 손목보호대
JP4904259B2 (ja) 手首整形器具
US3970305A (en) Athletic wrist support
JP2006305329A (ja) ビンディングおよびスノーボードのビンディング
CA2700496C (en) Keyboard practice apparatus
US5472190A (en) Racket handle grip
KR101178703B1 (ko) 운동형 단상지 보조기
WO2004113819A1 (en) Finger tab
KR200231252Y1 (ko) 골프채 그립
US5257782A (en) Racket grip-enhancing device
KR100441378B1 (ko) 손목보호대
JP3229929B2 (ja) ボウリング用手首規制具
KR200315735Y1 (ko) 볼링용 손목보호대의 좌우각도 조절장치
KR101715239B1 (ko) 볼링용 손목보호대
KR200315736Y1 (ko) 볼링용 손목보호대의 꺽임각 조절장치
KR100414944B1 (ko) 볼링용 보조기구
KR20160045052A (ko) 보조손잡이를 갖는 탁구라켓
KR100368967B1 (ko) 볼링용 손목보호대의 각도 조절장치
KR100337258B1 (ko) 볼링용 손목보호대의 각도 조절장치
KR102346902B1 (ko) 자세교정용 골프장갑
KR100368966B1 (ko) 볼링용 손목보호대의 각도 조절장치
KR200215475Y1 (ko) 볼링용 손목보호대의 각도 조절장치
KR200276803Y1 (ko) 볼링용 보조기구
WO2004018286A1 (en) Rotatable control surface for a ride-on device
KR100424495B1 (ko) 각도조정이 가능한 볼링용 손목 보호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