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0144B1 - 볼링용 손목보호대의 각도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볼링용 손목보호대의 각도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0144B1
KR102480144B1 KR1020210131093A KR20210131093A KR102480144B1 KR 102480144 B1 KR102480144 B1 KR 102480144B1 KR 1020210131093 A KR1020210131093 A KR 1020210131093A KR 20210131093 A KR20210131093 A KR 20210131093A KR 102480144 B1 KR102480144 B1 KR 102480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gear
guider
hol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1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영
Original Assignee
박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영 filed Critical 박현영
Priority to KR1020210131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0144B1/ko
Priority to PCT/KR2022/002259 priority patent/WO2023054820A1/ko
Priority to KR1020220177869A priority patent/KR20230047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0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0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4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 A63B71/141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in the form of gloves
    • A63B71/148Gloves for bowling and other ball gam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8Arm or han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8Arm or hand
    • A41D13/081Hand protectors
    • A41D13/088Hand protectors especially for the wris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4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볼링용 손목보호대의 각도 조절 장치의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착용자의 손을 지지하는 손지지부 및 착용자의 팔을 지지하는 팔지지부를 포함하는 볼링용 손목보호대의 각도 조절 장치는, 상기 손지지부 및 상기 팔지지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손지지부 및 상기 팔지지부를 연결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 결합되어 상기 손지지부 및 상기 팔지지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부와, 상기 조절부에 의해 조절된 상기 손지지부 및 상기 팔지지부의 각도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볼링용 손목보호대의 각도 조절 장치{Angle regulation device of bowling wrist safegua}
본 발명은 볼링용 손목보호대의 각도 조절 장치의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볼링은 일정한 중량의 공을 레인을 따라 굴려서 레인의 끝에 정렬된 핀을 쓰러뜨리는 실내 스포츠의 일종으로서 그 경기방식이 비교적 간단하면서도 높은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최근들어 많은 각광을 받고 있다.
볼링 경기 시 착용자는 손목 등의 부상방지와 일정한 각도 조절을 위하여 손목에 볼링용 손목보호대를 부착하고 경기를 수행한다. 이때, 볼링용 손목보호대는 착용자가 릴리스 동작 및 드로우 동작 등 연속동작에서의 볼의 회전력 각도 등을 향상시키는데 사용된다.
이와 같은 손목보호대는 착용자의 손에 고정적으로 부착되는 손지지부와 손지지부에서 상하 또는 좌우로 경사지게 조절할 수 있으면서 착용자의 팔을 지지하게되는 팔지지부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손지지부를 좌우로 경사지게 조절하는 좌우조절부재와 상하로 경사지게 조절하는 상하조절부재는 여러 방식으로 채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손목 보호대는, 구조가 복잡하고, 손목보호대의 각도조절을 위한 과정이 복잡하게 이루어져 원가가 상승되며, 각도를 조절 시에 시간이 지체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12-0008658호(2018.09.12)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볼링용 손목보호대의 각도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착용자의 손을 지지하는 손지지부 및 착용자의 팔을 지지하는 팔지지부를 포함하는 볼링용 손목보호대의 각도 조절 장치는, 상기 손지지부 및 상기 팔지지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손지지부 및 상기 팔지지부를 연결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 결합되어 상기 손지지부 및 상기 팔지지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부와, 상기 조절부에 의해 조절된 상기 손지지부 및 상기 팔지지부의 각도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부는, 상기 바디부의 일면에 결합되는 제1가이더 및 제2가이더와, 상기 제1가이더 및 상기 제2가이더 사이에 연결되는 제1고정봉과, 상기 제1고정봉에 설치되는 제1기어와, 상기 제1가이더 및 상기 제2가이더 사이에 내장되고, 상기 제1기어와 맞물리는 복수의 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1기어의 회전에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스토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제1가이더 및 상기 제2가이더 사이에 연결되는 제2고정봉과, 상기 제2고정봉에 설치되며, 상기 제1기어와 맞물리는 제2기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기어의 크기는 상기 제1기어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부에는 상기 고정부가 수용되는 제1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 및 상기 제1기어가 수용되는 제2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기어가 수용되는 제3홀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손지지부를 지지하기 위해 일 끝단에 형성된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에 연결되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에 연결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부와, 상기 볼트부와 인접한 상기 고정축의 일단에 돌출형성되는 제1가이드부와, 상기 고정축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1가이드부와 접촉하지 않는 제2가이드부와, 상기 고정축의 외주면에 형성되되, 상기 손잡이부 및 상기 제2가이드부 사이에 형성되는 스프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는, 상기 고정부가 삽입되는 제1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부가 결합되는 제1바디부와, 상기 제1바디부에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가 삽입되는 제2고정홀 및 상기 제1기어 또는 제2기어 중 적어도 하나의 기어가 삽입되는 기어홀이 형성된 제2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바디부는, 상기 제1바디부에 결합되도록 돌출형성된 복수의 결합돌기와,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고정부가 삽입되는 메인홀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홀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서브홀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는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의 고정 여부에 따라 상기 제1가이드부가 상기 메인홀에 삽입되거나, 상기 지지부재에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볼링 경기 시 착용자가 착용하는 볼링용 손목보호대에 구비되는 각도 조절 장치를 이용하여 손목의 상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회전체를 회전시켜 손과 팔 사이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여 각도 조절 작업이 단시간에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볼링용 손목보호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도 조절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조절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어의 회전 방향에 따른 스토퍼부의 이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바디부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볼링용 손목보호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볼링용 손목보호대(10)는 각도 조절 장치(100), 손지지부(200) 및 팔지지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손지지부(200)는 볼링용 손목보호대(10)를 착용 시 착용자의 손을 지지할 수 있고, 팔지지부(300)는 볼링용 손목보호대(10)를 착용 시 착용자의 팔을 지지할 수 있다.
각도 조절 장치(100)는 손지지부(200) 및 팔지지부(300)에 각각 연결되어 손지지부(200) 및 팔지지부(300)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각도 조절 장치(100)는 손지지부(100) 및 팔지지부(200)간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각도 조절 장치(100)는 손목의 상하각도, 즉 손바닥 또는 손등 방향으로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고, 손목의 좌우각도 또한 조절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도 조절 장치(100)는 손목의 상하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착용자가 볼링용 손목보호대(10)를 착용한 상태에서 간단한 조작만으로 원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도 조절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도 조절 장치(100)는 제1바디부(110), 조절부(120), 고정부(130) 및 제2바디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바디부(110)는 손지지부(200) 및 팔지지부(300)에 각각 연결되어 손지지부(200) 및 팔지지부(300)를 연결할 수 있다.
제1바디부(110)는 조절부(120)가 결합되는 중앙부와 손지지부(200) 및 팔지지부(300)가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의 일단에는 연결홀이 형성될 수 있고, 연결부에 형성된 연결홀, 손지지부(200)에 형성된 연결홀, 팔지지부(300)에 형성된 연결홀을 관통하여 나사가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바디부(110)에 의해 손지지부(200) 및 팔지지부(300)는 연결될 수 있다.
제1바디부(110)의 중앙에는 제1고정홀(111)이 형성되고, 제1고정홀(111)에는 고정부(130)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1바디부(110)에는 제2바디부(140)가 결합되는 결합홀(112)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홀(112)은 조절부(120)를 둘러싸는 위치에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제2바디부(140)가 결합홀(112)에 결합될 때, 조절부(120)를 가리도록 결합될 수 있다.
조절부(120)는 제1바디부(110)에 결합되어 손지지부(200) 및 팔지지부(30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조절부(120)는 제1가이더(121), 제2가이더(122), 제1고정봉(123), 제1기어(124) 및 스토퍼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가이더(121) 및 제2가이더(122)는 제1바디부(110)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1가이더(121) 및 제2가이더(122)는 판 형태일 수 있으며, 제1가이더(121) 및 제2가이더(122)는 일정한 거리를 두고 제1바디부(110)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제1가이더(121) 및 제2가이더(122)는 서로 평행하며, 제1바디부(110)의 일면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1가이더(121) 및 제2가이더(122)를 제2바디부(140)가 결합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1가이더(121) 및 제2가이더(122)는 각각 '/'의 형태, '\'의 형태로 제1바디부(110)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제1가이더(121) 및 제2가이더(122)는 제1바디부(110)의 일면에는 수직이되, 서로 평행이 아닌 형태로 결합될 수도 있다. 이때, 제1가이더(121) 및 제2가이더(122)는 서로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1가이더(121) 및 제2가이더(122)를 손지지부(200)의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1가이더(121) 및 제2가이더(122)는 각각 '/'의 형태, '\'의 형태로 제1바디부(110)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제1가이더(121) 및 제2가이더(122)는 제1바디부(110)의 일면에 수직이 아니며, 서로 평행이 아닌 형태로 결합될 수도 있다. 이때, 제1가이더(121) 및 제2가이더(122)는 서로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제1가이더(121) 및 제2가이더(122)는 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고, 제1바디부(110)에 형성되는 홀에 결합돌기가 삽입됨으로써 제1바디부(110)와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가이더(121) 및 제2가이더(122) 사이에는 제1고정봉(123)이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제1고정봉(123)의 일 끝단은 제1가이더(121)의 일면에 고정되고, 제1고정봉(123)의 다른 일 끝단은 제2가이더(122)의 일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제1고정봉(123)이 고정되는 제1가이더(121)의 일면 및 제2가이더(122)의 일면은 서로 마주보는 면일 수 있다.
제1고정봉(123)은 납땜,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제1가이더(121) 및 제2가이더(122)에 고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제1가이더(121) 및 제2가이더(122)에 접촉하는 제1고정봉(123)의 양 끝단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제1가이더(121)의 일면 및 제2가이더(122)의 일면에 각각 접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제1고정봉(123)의 양 끝단이 제1가이더(121)의 일면 및 제2가이더(122)의 일면에 접촉된 상태로 제1고정봉(123)의 양 끝단을 납땜하여 제1고정봉(123)을 고정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1가이더(121) 및 제2가이더(122)에는 제1고정봉(123)이 삽입될 홀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제1가이더(121) 및 제2가이더(122)에 형성되는 홀의 크기는 제1고정봉(123)의 크기보다 조금 더 클 수 있다. 이때, 제1가이더(121) 및 제2가이더(122)에 형성되는 홀의 크기는 제1고정봉(123)이 홀에 삽입될 경우, 물리적으로 분리하지 않으면 빠지지 않을 정도의 크기로, 제1고정봉(123)의 크기와 아주 유사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고정봉(123)이 삽입된 상태로, 제1고정봉(123)을 남땜하여 제1가이더(121) 및 제2가이더(122)와 제1고정봉(123)을 더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도 있다.
제1고정봉(123)에는 제1기어(124)가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기어(124)의 중심에 제1고정봉(123)이 연결되며, 제1기어(124)는 제1고정봉(123)을 축으로 이용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제1기어(124)는 착용자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제1기어(124)의 회전에 따라 스토퍼부(125)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가이더(121) 및 제2가이더(122) 사이에는 스토퍼부(125)가 내장될 수 있다. 스토퍼부(125)는 제1기어(124)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며 노출되는 정도에 따라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제1가이더(121) 및 제2가이더(122) 사이에 내장됨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은 제한될 수 있다.
스터퍼부(125)의 일 끝단에는 손지지부(20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125a)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대(125a)는 손지지부(200)와 접촉하는 구성이며, 노출되는 스토퍼부(125)의 길이에 따라 손지지부(200) 및 팔지지부(300) 사이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예컨대, 스토퍼부(125)가 조금 노출된 상태인 경우, 스토퍼부(125)가 더 많이 노출된 상태일 때보다 손지지부(200)를 손등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각도가 더 클 수 있다. 이때, 손지지부(200)가 손등 방향으로 이동 시, 지지대(125a)에 접촉함으로써 더 이상의 이동이 불가할 수 있으며, 손지지부(200) 및 팔지지부(300)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은 손지지부(200)와 지지대(125a)가 접촉할 때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일 수 있다.
스토퍼부(125)에는 복수의 홀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홀은 고정부(130)가 수용되는 제1홀(125b), 고정부(130) 및 제1기어(124)가 수용되는 제2홀(125c) 및 제1기어(124)가 수용되는 제3홀(125d)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홀(125b)은 고정부(130)가 수용되는 홀로써, 볼트부(133)가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홀(125b)의 크기는 볼트부(133)보다는 크며, 고정축(132)보다는 작은 크기일 수 있다. 이때, 스토퍼부(125)는 상하로 이동가능하며, 이에 따라 고정부(130)가 삽입되는 위치는 상청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홀(125b)은 스토퍼부(125)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3홀(125d)은 제1기어(124)가 수용되는 홀로써, 제1기어(124)의 날이 맞물리도록 복수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3홀(125d)은 제1기어(124)의 날이 수용될 수 있는 크기이며, 제1기어(124)의 날과 날 사이의 거리만큼의 간격을 가지는 복수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제1기어(124)가 회전 시, 제1기어(124)의 날은 순차적으로 제3홀(125d)에 수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스토퍼부(125)는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제3홀(125d)은 제1기어(124)의 날이 맞물리도록 형성됨에 따라 제1홀(125a)과는 다른 형태일 수 있다. 예컨대, 제1홀(125b)은 종방향으로의 하나의 홀일 수 있고, 제3홀(125d)은 횡방향으로의 복수의 홀일 수 있다.
한편, 제2홀(125c)은 고정부(130) 및 제1기어(124)가 모두 수용되는 홀로써, 제1홀(125b) 및 제3홀(125d)이 합쳐진 형태일 수 있다. 즉, 제2홀(125c)은 제1기어(124)의 날과 날 사이의 거리만큼의 간격을 가지는 복수의 홀의 형태 및 스토퍼부(125)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하나의 홀의 형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2홀(125c) 및 제3홀(125d) 사이는 홀이 형성되지 않음에 따라 스토퍼부(125)에 의해 구분되고, 스토퍼부(125)를 상하방향으로 이동 시, 고정부(123)가 제2홀(125c) 및 제3홀(125d) 사이의 스토퍼부(125)에 의해 제3홀(125d)에 수용되지 못함에 따라 스토퍼부(125)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토퍼부(125)가 각도 조절 장치(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스토퍼부(125)가 분실되어 볼링용 손목보호대(1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없게 되는 상황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조절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조절부(120)는 제1가이더(121), 제2가이더(122), 제1고정봉(123), 제1기어(124), 스토퍼부(125), 제2고정봉(126) 및 제2기어(12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가이더(121), 제2가이더(122), 제1고정봉(123), 제1기어(124), 스토퍼부(125)는 상기 도 2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으로 설명은 생략한다.
제1가이더(121) 및 제2가이더(122) 사이에는 제2고정봉(126)이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제2고정봉(126)의 일 끝단은 제1가이더(121)의 일면에 고정되고, 제2고정봉(126)의 다른 일 끝단은 제2가이더(122)의 일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제2고정봉(126)이 고정되는 제1가이더(121)의 일면 및 제2가이더(122)의 일면은 서로 마주보는 면일 수 있다. 이때, 제2고정봉(126)은 제1고정봉(123)에 비해 스토퍼부(125)로부터 더 멀어지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제2고정봉(126)은 납땜,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제1가이더(121) 및 제2가이더(122)에 고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제1가이더(121) 및 제2가이더(122)에 접촉하는 제2고정봉(126)의 양 끝단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제1가이더(121)의 일면 및 제2가이더(122)의 일면에 각각 접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제2고정봉(126)의 양 끝단이 제1가이더(121)의 일면 및 제2가이더(122)의 일면에 접촉된 상태로 제2고정봉(126)의 양 끝단을 납땜하여 제2고정봉(126)을 고정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1가이더(121) 및 제2가이더(122)에는 제2고정봉(126)이 삽입될 홀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제1가이더(121) 및 제2가이더(122)에 형성되는 홀의 크기는 제2고정봉(126)의 크기보다 조금 더 클 수 있다. 이때, 제1가이더(121) 및 제2가이더(122)에 형성되는 홀의 크기는 제2고정봉(126)이 홀에 삽입될 경우, 물리적으로 분리하지 않으면 빠지지 않을 정도의 크기로, 제2고정봉(126)의 크기와 아주 유사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고정봉(126)이 삽입된 상태로, 제2고정봉(126)을 남땜하여 제1가이더(121) 및 제2가이더(122)와 제2고정봉(126)을 더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도 있다.
제2고정봉(126)에는 제2기어(127)가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2기어(127)의 중심에 제2고정봉(126)이 연결되며, 제2기어(127)는 제2고정봉(126)을 축으로 이용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제2기어(127)는 제1기어(124)와 맞물리도록 설치되고,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르면 제2기어(127)는 착용자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착용자는 제2기어(127)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제2기어(127)의 회전에 의해 제1기어(124) 또한 회전하게 되며, 제1기어(124)의 회전에 의해 스토퍼부(125)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어의 회전 방향에 따른 스토퍼부의 이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기어(124)가 제1방향으로 회전 시, 제1기어(124)와 맞물려 있는 스토퍼부(125)는 제2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제1기어(124)가 제2방향으로 회전 시, 스토퍼부(125)는 제1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기어(124)의 회전 방향과 스토퍼부(125)의 이동 방향은 반대가 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와 같이 제1기어(124)가 착용자의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경우, 착용자는 제1기어(124)의 회전방향과 스토퍼부(125)의 방향이 반대로 되어 혼란을 일으킬 수 있다.
한편, 제2기어(127)가 제1방향으로 회전 시, 제2기어(127)와 맞물려 있는 제1기어(124)는 제2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제1기어(124)와 맞물려 있는 스토퍼부(125)는 제1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제2기어(127)가 제2방향으로 회전 시, 제2기어(127)와 맞물려 있는 제1기어(124)는 제1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제1기어(124)와 맞물려 있는 스토퍼부(125)는 제2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2기어(124)의 회전 방향과 스토퍼부(125)의 이동 방향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와 같이 제2기어(127)가 착용자의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경우, 착용자는 스토퍼부(125)를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제2기어(127)를 해당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2기어(127)의 크기는 제1기어(124)의 크기보다 더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착용자가 더 적은 힘으로 제2기어(127)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고정부(130)는 손잡이부(131), 고정축(132) 및 볼트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30)는 제2바디부(140), 조절부(120) 및 제1바디부(110)를 관통하여 삽입되며, 조절부(120)에서 조절한 손지지부(200) 및 팔지지부(300)의 각도를 고정할 수 있다.
손잡이부(131)는 착용자가 손지지부(200) 및 팔지지부(30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고정부(130)를 고정하거나, 고정을 해지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예컨대, 착용자는 손잡이부(131)를 잡고 고정부(130)를 회전시켜 고정부(130)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착용자는 손잡이부(131)를 잡고 고정부(130)를 회전시켜 고정부(130)를 고정시킬 수도 있다. 즉, 손잡이부(131)는 제2바디부(141) 외부로 노출되는 구성일 수 있다.
고정축(132)은 손잡이부(131)와 연결될 수 있다. 고정축(132)의 외주면에는 제1가이드부(132a) 및 제2가이드부(132b)가 형성될 수 있다. 제1가이드부(132a) 및 제2가이드부(132b)는 고정축(132)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1가이드부(132a)는 볼트부(133)와 인접한 고정축(132)의 일단에 돌출형성될 수 있다. 제2가이드부(132b)는 제1가이드부(132a)와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서 고정축(132)에 돌출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가이드부(132a) 및 제2가이드(132b)를 고정축(132)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형성되는 구성인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고정축(132)의 외주면 일부에만 돌출형성되는 구성일 수도 있다. 예컨대, 고정축(132)의 외주면을 4등분한 각 부분 중, 인접하지 않는 두 부분의 외주면에만 제1가이드부(132a) 및 제2가이드부(132b)가 형성될 수도 있다.
고정축(132)은 제2바디부(140)에 삽입되는 구성일 수 있다. 제1가이더(121)는 제2바디부(140)의 제2고정홀(141)에 삽입되어 스토퍼부(125)에 접촉할 수 있으며, 제1가이더(121)가 스토퍼부(125)를 압박하는 힘에 의해 스토퍼부(125)가 더 이상 이동할 수 없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절부(120)에서 조절된 각도가 고정부(13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제1가이더(121) 및 스토퍼부(125)가 접촉하는 부분 중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는 탄성부재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제1가이더(121)가 접촉하는 제1홀(125b)의 외주면에는 외주면을 따라 탄성부재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스토퍼부(125)가 접촉하는 제1가이더(121)의 일면에는 탄성부재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토퍼부(125)와 고정부(130)가 접촉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기스나 흠집을 방지할 수 있다.
제2가이드부(132b) 및 손잡이부(131) 사이에는 스프링부(132c)가 설치될 수 있다. 스프링부(132c)는 고정축(132)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볼트부(133)는 고정축(132)에 연결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볼트부(133)는 조절부(120)의 제1홀(125b) 및 제1바디부(110)의 제1고정홀(111)에 삽입될 수 있다.
제2바디부(140)는 조절부(120)를 가리도록 제1바디부(110)에 결합되고, 고정부(130)가 삽입되는 제2고정홀(141) 및 제1기어(124) 또는 제2기어(127)가 삽입되는 기어홀(142)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1기어(124) 또는 제2기어(127)는 기어홀(142)을 통해 노출될 수 있고, 착용자는 노출된 제1기어(124) 또는 제2기어(127)를 회전시킴으로써 스토퍼부(125)를 이동시켜, 손지지부(200) 및 팔지지부(300) 사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2바디부(140)에는 제1바디부(110)에 결합되도록 돌출형성된 복수의 결합돌기(143)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결합돌기(143)는 결합홀(112)에 결합될 수 있고, 결합돌기(143)와 결합홀(112)이 결합된 상태로 납땜을 통해 제1바디부(110)와 제2바디부(140)를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다.
결합돌기(143)는 결합홀(112)의 개수 및 위치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돌기(143)의 개수 및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바디부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바디부(140)의 내주면에는 고정부(13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44)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144)에는 고정부(130)가 삽입되는 메인홀(144a)이 형성되고, 메인홀(144a)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서브홀(144b)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서브홀(144b)은 메인홀(144a)에 제1가이드부(132a)가 삽입되는데, 제1가이드부(132a)가 삽입되거나 빠질 때, 좀 더 수월하게 삽입되고 빠질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지지부재(144)는 탄성력을 가지는 재료, 예컨대 고무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메인홀(144a)에는 고정부(130)가 삽입되므로, 메인홀(144a)은 제2고정홀(141)과 동일한 선상에 형성될 수 있다. 즉, 고정부(130)는 제2고정홀(141) 및 메인홀(144a)을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지지부재(144)는 제2바디부(140)의 일부(도면상 제2바디부(140)의 상단)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제2바디부(140)의 내주면 전체를 따라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a)는 고정부(130)가 고정되어 있을 때의 도면이다. 고정부(130)가 고정되어 있는 경우, 메인홀(144a)에는 제1가이드부(132a)가 삽입된 상태일 수 있다. 즉, 지지부재(144)의 위치는 제1가이드부(132a) 및 제2가이드부(132b) 사이일 수 있다.
이때, 제1가이드부(132a)는 스토퍼부(125)를 압박하고 있는 상태로, 손지지부(200) 및 팔지지부(300) 사이의 각도를 고정할 수 있다.
(b)는 고정부(130)의 고정이 해제되었을 때의 도면이다. 손지지부(200) 및 팔지지부(300) 사이의 각도를 재조정하기 위해 착용자는 손잡이부(131)를 잡고 고정부(130)를 회전시켜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이때, 제1가이드부(132a)가 스토퍼부(125)를 압박하던 힘이 점점 약해지며 스토퍼부(125)의 이동이 가능하게 될 수 있으며, 착용자는 제1기어(124) 또는 제2기어(127)를 회전시켜 스토퍼부(125)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스토퍼부(125)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제1가이드부(132a)와 스토퍼부(125)는 접촉하지 않은 상태이어야 하나, 이를 위해서는 착용자가 고정부(130)를 잡고 있어야만 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지부재(144)가 제1가이드부(132b)를 지지하도록 하여 착용자가 고정부(130)를 잡고 있지 않더라도 제1가이드부(132a)와 스토퍼부(125)가 접촉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제1가이드부(132b)는 메인홀(144a)에서 빠지면서, 지지부재(144)에 지지될 수 있다. 이때, 메인홀(144a)의 크기는 제1가이드부(132b)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어 제1가이드부(132b)가 지지부재(144)에 지지되더라도 다시 삽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지지부재(144)는 탄성력을 가지며, 메인홀(144a)의 외주면을 따라 서브홀(144b)이 형성됨에 따라 제1가이드부(132b)의 크기보다 메인홀(144a)의 크기가 작더라도 물리적으로 압력을 가했을 때 제1가이드부(132b) 삽입되거나 빠지는 것은 가능할 수 있다.
이때, 스프링부(132c)는 제2바디부(140)에 의해 눌러지면서 복원력이 작용하게 될 수 있다. 착용자가 손지지부(200) 및 팔지지부(300) 사이의 각도 조절을 완료한 후, 고정부(130)로 손지지부(200) 및 팔지지부(300) 사이의 각도를 고정하기 위해, 고정부(120)를 다시 (a)상태로 전환할 때, 스프링부(132c)의 복원력에 의해 적은 힘으로도 전환이 가능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각도 조절 장치 200: 손지지부
300: 팔지지부 110: 제1바디부
111: 제1고정홀 112: 결합홀
120: 조절부 121: 제1가이더
122: 제2가이더 123: 제1고정봉
124: 제1기어 125: 스토퍼부
125a: 지지대 125b: 제1홀
125c: 제2홀 125d: 제3홀
126: 제2고정봉 127: 제2기어
130: 고정부 131: 손잡이부
132: 고정축 132a: 제1가이드부
132b: 제2가이드부 132c: 스프링부
133: 볼트부 140: 제2바디부
141: 제2고정홀 142: 기어홀
143: 결합돌기 144: 지지부재
144a: 메인홀 144b: 서브홀

Claims (8)

  1. 착용자의 손을 지지하는 손지지부 및 착용자의 팔을 지지하는 팔지지부를 포함하는 볼링용 손목보호대의 각도 조절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손지지부 및 상기 팔지지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손지지부 및 상기 팔지지부를 연결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결합되어 상기 손지지부 및 상기 팔지지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부;
    상기 조절부에 의해 조절된 상기 손지지부 및 상기 팔지지부의 각도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바디부의 일면에 결합되는 제1가이더 및 제2가이더;
    상기 제1가이더 및 상기 제2가이더 사이에 연결되는 제1고정봉;
    상기 제1고정봉에 설치되는 제1기어;
    상기 제1가이더 및 상기 제2가이더 사이에 내장되고, 상기 제1기어와 맞물리는 복수의 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1기어의 회전에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스토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제1가이더 및 상기 제2가이더 사이에 연결되는 제2고정봉; 및
    상기 제2고정봉에 설치되며, 상기 제1기어와 맞물리는 제2기어를 더 포함하는, 각도 조절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어의 크기는 상기 제1기어의 크기보다 큰, 각도 조절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에는 상기 고정부가 수용되는 제1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 및 상기 제1기어가 수용되는 제2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기어가 수용되는 제3홀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손지지부를 지지하기 위해 일 끝단에 형성된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각도 조절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에 연결되는 고정축;
    상기 고정축에 연결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부;
    상기 볼트부와 인접한 상기 고정축의 일단에 돌출형성되는 제1가이드부;
    상기 고정축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1가이드부와 접촉하지 않는 제2가이드부;
    상기 고정축의 외주면에 형성되되, 상기 손잡이부 및 상기 제2가이드부 사이에 형성되는 스프링부;를 포함하는, 각도 조절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고정부가 삽입되는 제1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부가 결합되는 제1바디부; 및
    상기 제1바디부에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가 삽입되는 제2고정홀 및 상기 제1기어 또는 제2기어 중 적어도 하나의 기어가 삽입되는 기어홀이 형성된 제2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바디부는,
    상기 제1바디부에 결합되도록 돌출형성된 복수의 결합돌기; 및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각도 조절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고정부가 삽입되는 메인홀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홀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서브홀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는 탄성력을 가지는, 각도 조절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고정 여부에 따라 상기 제1가이드부가 상기 메인홀에 삽입되거나, 상기 지지부재에 지지되는, 각도 조절 장치.


KR1020210131093A 2021-10-01 2021-10-01 볼링용 손목보호대의 각도 조절 장치 KR102480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1093A KR102480144B1 (ko) 2021-10-01 2021-10-01 볼링용 손목보호대의 각도 조절 장치
PCT/KR2022/002259 WO2023054820A1 (ko) 2021-10-01 2022-02-16 볼링용 손목보호대의 각도 조절 장치
KR1020220177869A KR20230047942A (ko) 2021-10-01 2022-12-19 볼링용 손목보호대의 각도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1093A KR102480144B1 (ko) 2021-10-01 2021-10-01 볼링용 손목보호대의 각도 조절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7869A Division KR20230047942A (ko) 2021-10-01 2022-12-19 볼링용 손목보호대의 각도 조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0144B1 true KR102480144B1 (ko) 2022-12-22

Family

ID=8457852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1093A KR102480144B1 (ko) 2021-10-01 2021-10-01 볼링용 손목보호대의 각도 조절 장치
KR1020220177869A KR20230047942A (ko) 2021-10-01 2022-12-19 볼링용 손목보호대의 각도 조절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7869A KR20230047942A (ko) 2021-10-01 2022-12-19 볼링용 손목보호대의 각도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2480144B1 (ko)
WO (1) WO2023054820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8658A (ko) 2010-07-19 2012-02-01 배성환 볼링용 손목 보호대
KR20150118886A (ko) * 2014-04-15 2015-10-23 정석원 볼링용 손목보호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173Y1 (ko) * 2003-07-14 2003-10-22 강신영 볼링용 손목보호대
KR200353579Y1 (ko) * 2004-03-06 2004-06-22 주식회사 로드필드 볼링용 손목보호대
KR200472294Y1 (ko) * 2012-11-22 2014-04-15 김종익 볼링용 손목보호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8658A (ko) 2010-07-19 2012-02-01 배성환 볼링용 손목 보호대
KR20150118886A (ko) * 2014-04-15 2015-10-23 정석원 볼링용 손목보호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54820A1 (ko) 2023-04-06
KR20230047942A (ko) 2023-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66158A (en) Adjustable bowling release positioner
KR101676317B1 (ko) 볼링용 손목 보호대
KR102480144B1 (ko) 볼링용 손목보호대의 각도 조절 장치
US11713844B2 (en) Support device
KR101704476B1 (ko) 볼링용 손목보호대
CN109084135B (zh) 一种云台锁紧调节结构
ES2189832T3 (es) Banda de cabeza con dispositivo regulable para colocar un dispositivo optico.
KR20170002576U (ko) 볼링용 손목보호대
KR101414071B1 (ko) 볼링용 손목보호대
CN211243916U (zh) 胫骨假体锁定结构和膝关节假体
KR20080113787A (ko) 각도 조절장치
KR101842990B1 (ko) 볼링용 손목보호대
KR200459411Y1 (ko) 볼링용 손목보호대
KR200376187Y1 (ko) 볼링용 손목보호대
US5470066A (en) String fixer in sports racket
KR200486471Y1 (ko) 볼링용 손목보호대
KR200489321Y1 (ko) 볼링용 손목보호대
KR200472294Y1 (ko) 볼링용 손목보호대
KR200380715Y1 (ko) 볼링용 손목보호대
JPH03202078A (ja) トーピース及びヒールピースを有するスキーバインデイング
KR101253145B1 (ko) 콘텍트렌즈 몰드 가공유닛
KR100997747B1 (ko) 슬라이드 틸팅 힌지장치
CN219848111U (zh) 绑带调节装置及手柄
EP3827193B1 (en) Blocking device for shafts and a tripod comprising such a blocking device
KR102403643B1 (ko) 회전 퀵 클램프를 이용한 볼링용 손목보호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