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4476B1 - 볼링용 손목보호대 - Google Patents

볼링용 손목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4476B1
KR101704476B1 KR1020140135834A KR20140135834A KR101704476B1 KR 101704476 B1 KR101704476 B1 KR 101704476B1 KR 1020140135834 A KR1020140135834 A KR 1020140135834A KR 20140135834 A KR20140135834 A KR 20140135834A KR 101704476 B1 KR101704476 B1 KR 101704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st
adjusting member
handgrip
fixing member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5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8886A (ko
Inventor
정석원
아이다 요시타카
Original Assignee
정석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석원 filed Critical 정석원
Publication of KR20150118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8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4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4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4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8Arm or han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8Arm or hand
    • A41D13/081Hand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8Arm or hand
    • A41D13/081Hand protectors
    • A41D13/088Hand protectors especially for the wris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4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 A63B71/141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in the form of gloves
    • A63B71/148Gloves for bowling and other ball games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손등을 감싸는 손등부, 사용자의 손목을 감싸는 손목부, 상기 손등부 및 상기 손목부에 결합하고, 상기 손등부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x축에 수직한 z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선회부, 상기 손등부의 폭 방향을 따르는 y축 방향으로 상기 손등부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손목부에 대한 상기 손등부의 상기 z축 중심 회전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1 조절부재 및 상기 선회부 및 상기 손목부 상에 상기 x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손목부에 대한 상기 손등부의 상기 y축 중심 회전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2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볼링용 손목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볼링용 손목보호대{Wrist protective supporter for bowling}
본 발명은, 볼링공의 중량에 의해 손목에 가해지거나 전달되는 충격으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부상을 미연에 방지하고, 아울러 볼을 정확하게 투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볼링용 손목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손목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릴리즈 상태(손에서 볼링공을 놓는 상태)에서 볼링공의 고속 회전이 수행되어 손목 힘이 약한 사용자라도 볼링공의 투구시 볼의 회전 속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손목보호대는, 볼링공의 중량으로 인해 사용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손목이나 손가락 부상을 방지하면서, 자신의 투구특성에 따라 볼링공을 정확하게 투구할 수 있도록 하여 경기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볼링용 도구로서, 현재 다양한 타입의 손목보호대가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가장 간단한 구조의 손목보호대는, 흡착력을 갖는 소재로 손목보호대의 바닥면을 형성하고, 볼링공을 용이하게 다룰 수 있도록 손목에 고정시켜 손목을 보호하는 기능을 발휘한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2010-0010070호(2010. 10. 14. 공개)에는, 볼링공의 투구시 손목을 고정하는 볼링용 손목보호대가 개시되어 있다. 본 선행문헌에 개시된 손목보호대는 손등부와 손목부 사이에 핀으로 연결되는 중간판이 삽입되고, 상기 중간판은 회전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사용자의 투구특성에 따라 손목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손목보호대를 사용하게 되면 볼링공은 초당 약 3 내지 4회전이 수행되고, 헤비 오일의 레인 상태(레인 위에 기름의 양이 많은 레인 컨디션)에서는 상기 회전수 이하의 값을 가지므로 충분한 훅과 스트라이크 포켓 진입 각도를 얻기 힘든 문제가 있었다.
이보다 복잡한 구성을 가지는 각도조정이 가능한 손목보호대는, 서로 분리되어 있는 손목부와 손등부를 관절 형식으로 연결하고, 착용자가 손목의 안착 위치를 임의로 조정하여 투구할 때 볼링공에 스핀을 용이하게 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6-0012083호(2006. 02. 07. 공개)에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볼링용 손목보호대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손목보호대는, 손등부, 손목부 및 힌지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힌지 연결부에는, 손목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좌우각도 조절부재와 전후각도 조절부재가 구비되어 있다. 다만, 상기 손목보호대에 의하더라도, 투구시 볼링공의 고속 회전 속도를 얻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각도 조절부재는 기계식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조작이 어렵고, 오류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은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2010-0010070호(2010. 10. 14.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6-0012083호(2006. 02. 07. 공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한계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볼링공의 투구시 손목의 자유도가 향상되고 사용자의 특성에 따라 손목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헤비 오일의 레인 상태에서도 볼링공이 매초 5~6회전 이상의 고속 회전이 수행되는 볼링용 손목보호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의 손등을 감싸는 손등부, 사용자의 손목을 감싸는 손목부, 상기 손등부 및 상기 손목부에 결합하고, 상기 손등부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x축에 수직한 z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선회부, 상기 손등부의 폭 방향을 따르는 y축 방향으로 상기 손등부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손목부에 대한 상기 손등부의 상기 z축 중심 회전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1 조절부재 및 상기 선회부 및 상기 손목부 상에 상기 x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손목부에 대한 상기 손등부의 상기 y축 중심 회전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2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볼링용 손목보호대를 제공한다.
제안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x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2 조절부재의 중앙에는, 선회부 및 손목부와 결합하는 복수의 고정부재의 이동 통로인 고정부재 이동 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조절부재의 x축 방향 이동에 따라 손목부에 대한 손등부의 y축 중심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손등부에는 y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공이 마련되고, 상기 장공을 따라 제1 조절부재가 y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손목부에 대한 손등부의 z축 중심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볼링공의 투구시 스트라이크 포켓에 진입하는 각도를 크게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고정부재의 일단에는, 나비 너트가 결합되므로 사용자가 상기 복수의 고정부재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2 조절부재에는, 투구 준비 동작시 손목의 상태인 로드(load) 상태에서 상기 제1 조절부재가 안착되는 스타트 안착부와, 투구가 완료된 후의 손목의 상태인 언로드(unload) 상태에서 상기 제1 조절부재가 안착되는 릴리즈 안착부가 형성되므로 볼링의 투구시 손목의 자유도가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볼링용 손목보호대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상기 볼링용 손목보호대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도이다.
도 2b 및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조절부재의 여러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상기 제2 조절부재의 x축 방향 이동에 따른 손목보호대의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제1 조절부재의 y축 방향 이동에 따른 손목보호대의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볼링공의 투구 완료 후의 손목의 상태인 언로드 상태에서, 상기 제1 조절부재가 제2 조절부재의 릴리즈 안착부에 안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손목보호대의 평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볼링용 손목보호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볼링용 손목보호대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도 6에 도시된 제2 조절부재의 여러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탄성부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볼링용 손목보호대를 사용시 볼링공의 투구 라인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볼링용 손목보호대의 사시도이고, 도 2a는 상기 볼링용 손목보호대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도이다. 그리고, 도 2b는 제2 조절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c는 상기 제2 조절부재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볼링용 손목보호대(1)는, 손등 부분을 감싸도록 만곡된 형상의 손등부(10), 손목과 팔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만곡된 형상의 손목부(30)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손등과 손목을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형성된다. 상기 손등부(10)와 손목부(30)는 손목을 감싸도록 만곡되는 선회부(20)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x축 방향은 전후 방향(손등부의 길이 방향)을 의미하고, y축 방향은 좌우 방향(손등부의 폭 방향)을 의미하며, z축 방향은 상기 x축과 y축에 수직하는 방향인 상하 방향을 의미한다(도 1 참조). 상기 x축, y축 및 z축의 중심은 선회 고정부재(42)이다. 이하에서는, 방향을 나타내는 표시로서 도 1에 도시된 x, y, z축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손등부(10)의 양측면 단부와 선회부(20)의 양측면 단부에는, 힌지 결합이 가능하도록 각각 제 1 힌지 핀 홀(12)과 제 2 힌지 핀 홀(22)이 형성된다. 즉, 상기 힌지 핀 홀(12, 22)에 힌지 핀이 회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손등부(10), 선회부(20) 및 손목부(30)의 상부에는 x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2 조절부재(10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2 조절부재(100)의 중앙에는 x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고정부재 이동 공(110)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재 이동 공(110)은 복수의 고정부재가 이동되는 통로를 형성한다.
상기 복수의 고정부재는, 상기 선회부(20)와 손목부(30)에 결합하는 선회 고정부재(42) 및 상기 손목부(30)와 결합하는 손목부 고정부재(43)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선회부(20)에는 상기 선회 고정부재(42) 통과용 관통공(21)이 형성되고, 상기 손목부(30)에는 상기 선회 고정부재(42) 통과용 관통공(31)과 상기 손목부 고정부재(43) 통과용 관통공(32)이 x축 방향으로 이격하게 형성된다.
상기 선회 고정부재(42)는 상기 관통공(21, 31)을 통하여 상기 고정부재 이동 공(110)에 삽입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손목부 고정부재(43)는 상기 손목부(30)에 형성된 관통공(32)을 통하여 상기 고정부재 이동 공(110)에 삽입된다.
상기 복수의 고정부재(42, 43)의 일단에는 나비 너트(33, 34)가 결합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나비 너트를 조절하여 상기 복수의 고정부재(42, 43)를 상기 선회부(20) 또는 손목부(30)로부터 용이하게 결합 또는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손등부(10)에는, y축 방향으로 길게 관통되어 있는 장공(11)이 형성된다. 상기 장공(11)에는, 상기 손목부(30)에 대한 상기 손등부(10)의 z축 중심 회전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1 조절부재(41)가 삽입된다. 상기 제1 조절부재(41)는 상기 손등부에 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 조절부재(41)는, 상기 장공(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조절부재(100)의 선단에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조절부재(41)와 접촉하는 상기 제2 조절부재(100)의 선단에는 계단식으로 구성된 안착부(120)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120)는 로드 상태(볼링공 투구 전 손목 상태)시 상기 제1 조절부재(41)와 접촉하는 스타트 안착부(121)와, 언로드 상태(볼링공 투구 후 손목 상태)시 상기 제1 조절부재(41)와 접촉하는 릴리즈 안착부(122)를 포함한다. 상기 스타트 안착부(121)와 릴리즈 안착부(122) 사이에는 x축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절곡부(125)가 형성된다.
즉, 상기 스타트 안착부(121)와 릴리즈 안착부(122)는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성이고, 상기 절곡부(125)는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스타트 안착부(121)와 릴리즈 안착부(122)는 서로 계단식으로 층이 나누어져서 구성될 수 있고, 손목의 각도에 따라 상기 제1 조절부재(41)가 상기 안착부(120) 중 어느 하나에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다.
도 2c에는, 상기 제2 조절부재(100)의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제2 조절부재(100)에는 제1 조절부재(41)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안내부(126)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조절부재(41)는 절곡부(125)와 안내부(126) 사이 또는 안착부(120)와 상기 안내부(126)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서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안내부(126)에 의해 상기 제1 조절부재(41)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볼링공의 투구시 사용자의 손목이 과도하게 꺾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볼링용 손목보호대(1)를 구성하는 복수의 구성요소들은, 볼트, 너트 또는 와셔 등의 체결 부재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볼링용 손목보호대(1)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a 내지 도 3d는 제2 조절부재의 x축 방향 이동에 따른 손목보호대의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a 및 도 4b는 제1 조절부재의 y축 방향 이동에 따른 손목보호대의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5는 볼링공의 투구 완료시 손목의 상태인 언로드 상태에서, 상기 제1 조절부재가 제2 조절부재의 릴리즈 안착부에 안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손목보호대의 평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선회 고정부재(42)를 기준으로,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선을 기준선(50)이라 하고, 상기 선회 고정부재(42)를 기준으로 검지 손가락이 연장되는 가상의 선을 제 1 연장선(70)이라 한다. 또한 상기 선회 고정부재(42)를 기준으로, 중지가 연장되는 가상의 선을 제 2 연장선(60)이라 한다.
먼저, 제2 조절부재(100)의 x축 방향 이동에 따라 손목보호대(1)의 형상이 변화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a와 도 3b에서는 손목부(30)에 대한 손등부(10)의 y축 중심 회전 각도를 작게 세팅하였을 때의 볼링용 손목보호대(1)의 평면도와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3c와 도 3d에서는 손목부(30)에 대한 손등부(10)의 y축 중심 회전 각도를 크게 세팅하였을 때의 상기 볼링용 손목보호대(1)의 평면도와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2 조절부재(100)가 후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도 3a 및 도 3b 참조), 스타트 안착부(121)에 제1 조절부재(41)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조절부재(41)의 일단과 선회 고정부재(42)의 일단 사이의 x축 방향 길이는 L1이 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조절부재(100)가 전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도 3c 및 도 3d 참조), 상기 스타트 안착부(121)에 제1 조절부재(41)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조절부재(41)의 일단과 선회 고정부재(42)의 일단 사이의 x축 방향 길이는 L1 보다 상대적으로 큰 값을 가지는 L2가 된다.
즉, 상기 L1과 L2의 길이 차이만큼, 손목이 앞으로 꺾이는 각도, 즉 손목부(30)에 대한 손등부(10)의 y축 중심 회전 각도가 커지게 된다. 다시 말하면, L1의 길이를 가질 때 기준선(50)과 제 1 연장선(70) 사이의 각도(θ1)(도 3b 참조)는 L2의 길이를 가질 때 기준선(50)과 제 1 연장선(70) 사이의 각도(θ2)(도 3d 참조)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값을 가지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투구특성에 따라 제2 조절부재(100)를 x축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손목부(30)에 대한 손등부(10)의 y축 중심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조절부재(41)의 y축 방향 이동에 따라 손목보호대(1)의 형상이 변화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a에서는 손목부(30)에 대한 손등부(10)의 z축 중심 회전 각도를 작게 세팅하였을 때의 볼링용 손목보호대(1)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4b에서는 손목부(30)에 대한 손등부(10)의 z축 중심 회전 각도를 크게 세팅하였을 때의 상기 볼링용 손목보호대(1)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먼저, 제1 조절부재(41)가 장공(11)을 따라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면(도 4a 참조), 상대적으로 상기 손등부(10)와 선회부(2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때, 상기 기준선(50)과 제 2 연장선(60) 사이의 각도는 θ3이다. 이와 반대로, 상기 제1 조절부재(41)가 상기 장공(11)을 따라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면(도 4b 참조), 상대적으로 상기 손등부(10)와 선회부(2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때, 상기 기준선(50)과 제 2 연장선(60) 사이의 각도는 상기 θ3 보다 큰 값을 가지는 θ4이다. 즉, 상기 θ3와 θ4의 각도 차이만큼, 손목부(30)에 대한 손등부(10)의 z축 중심 회전 각도가 달라지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투구특성에 따라 제1 조절부재(41)를 장공(11)을 따라 y축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손목부(30)에 대한 손등부(10)의 z축 중심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5에는, 볼링공의 투구 완료시 볼링용 손목보호대(1)의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5a에는, 볼링공의 투구 완료시 상기 볼링용 손목보호대(1)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b에서는 상기 볼링용 손목보호대(1)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먼저, 볼링공의 투구 직전에는, 상기 제1 조절부재(41)가 제2 조절부재(100)의 일면에 형성되는 스타트 안착부(121)에 안착된다. 그 다음, 사용자가 볼링공의 투구를 완료하게 되면, 상기 제1 조절부재(41)는 상기 스타트 안착부(121)의 하부에 계단식으로 형성되는 릴리즈 안착부(122)로 이동하게 된다(도 5a 참조). 즉, 볼링공의 투구 과정을 기준으로 볼 때, 상기 제1 조절부재(41)는, 스타트 안착부(121)에서 절곡부(125)를 따라 이동하여 릴리즈 안착부(122)에 안착하게 되는 것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손등부(10)는 선회 고정부재(42)를 중심으로 상기 손목부(30)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볼링공을 투구시, 상기 제1 조절부재(41)는 상기 스타트 안착부(121), 절곡부(122) 및 릴리즈 안착부(123)에 순차적으로 접촉함으로써 손목부(30)에 대한 손등부(10)의 z축 중심 회전 각도가 반시계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타트 안착부(121), 절곡부(122) 및 릴리즈 안착부(123)는 볼링공의 투구가 이루어지는 동안에 상기 제1 조절부재(41)의 안착 또는 이동 공간을 제공하므로 안착 영역이라 이름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볼링공의 투구시 손목의 회전 자유도가 상승되므로 볼링공의 투구시 고속 회전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볼링용 손목보호대와 비교할 때 세부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볼링용 손목보호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볼링용 손목보호대의 사시도이고, 도 7은 상기 볼링용 손목보호대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볼링용 손목보호대는 이전 실시 예에 따른 볼링용 손목보호대와 전체적인 구조가 유사하므로 양 실시 예에서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볼링용 손목보호대는 손등부(10), 선회부(20) 및 손목부(30)를 포함한다. 상기 손등부(10)에는 제1 조절부재(41)의 y축 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장 공(1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조절부재(41)의 y축 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손목부(30)에 대한 상기 손등부(10)의 z축 중심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2 조절부재(200)의 x축 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손등부(10)는 상기 손목부(30)에 대해 y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조절부재(200)에는 상기 제1 조절부재(41)가 삽입되는 가이드 공(210), 상기 선회부(20)와 상기 손목부(30)를 결합하는 선회 고정부재(223)가 삽입되는 선회 고정부재 삽입 공(220) 및 상기 손목부(30)의 위치를 고정하는 손목부 고정부재(43)가 삽입되는 손목부 고정부재 이동 공(230)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공(210)은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부분과,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부분과, 상기 직선 부분들의 사이에 위치하고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곡선 부분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볼링공을 투구시, 상기 가이드 공(210)은 상기 제1 조절부재(41)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사용자가 볼링공을 투구시, 상기 제1 조절부재(41)는 상기 제2 조절부재(200)의 상부에 형성되는 가이드 공(210)의 내면에 접촉한 상태로 z축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공(210)은 볼링공의 투구시 상기 제1 조절부재(41)의 안착 내지 이동 공간을 제공하므로 안착 영역이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제2 조절부재(200)의 상면에는 상기 제1 조절부재(41)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스토퍼(240)가 부착된다. 상기 스토퍼(240)에는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조절부재(200)에는 상기 돌출부와 결합하는 복수의 조절 공이 형성된다. 도 8a와 도 8b에서는, 세 개의 조절 공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상기 조절 공의 개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 조절부재(200)의 일측에 형성된 복수의 조절 공 중 어느 하나의 조절 공에 삽입되고, 이에 따라 상기 스토퍼(24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스토퍼(240)의 위치를 조정하여 상기 가이드 공(210)에 의해 안내되는 상기 제1 조절부재(41)의 이동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선회 고정부재(223)의 하측에는 복수의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선회 고정부재 이동 공(220)의 일측에는 상기 나사산과 맞물리는 톱니부가 형성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선회 고정부재(223)를 회전하여 상기 나사산과 상기 톱니부를 맞물림 결합시킨 후 상기 제2 조절부재(200)를 x축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면, 상기 손목부(30)에 대한 상기 손등부(10)의 y축 중심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회 고정부재(223)의 나사산과 상기 선회 고정부재 이동 공(220)의 톱니부 사이에는 양 구성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어(221)가 삽입될 수 있다.
사용자가 볼링공 투구시 볼링공에 더 많은 회전력을 가하기 위해, 상기 손목부(30)에는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250)가 결합된다. 상기 탄성부(250)는 상기 선회부(20)의 하면과 접촉하여 상기 선회부(20)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탄성부(250)는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252), 일부분이 상기 하우징(252)의 내부에 삽입되고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두 개의 부분으로 구성되는 로드(251), 상기 로드의 외면 일부를 따라 감겨있는 복귀 스프링(254) 및 상기 로드(251)의 이동 경로를 제한하는 와셔(253)로 구성된다.
상기 로드(251)는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상기 하우징(252)에 대해 x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성이다. 또한 상기 로드(251)는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는 제1 로드 및 상기 제1 로드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고 상기 제1 로드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로드와 일체로 제조되는 제2 로드로 구성된다. 상기 복귀 스프링(254)은 상기 제2 로드의 외면에 감겨 있다.
상기 탄성부(25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볼링공의 투구시, 상기 선회부(20)는 z축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로드(251)의 상부를 가압한다. 이 때, 상기 로드(251)는 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제1 로드의 하면과 상기 하우징(252)의 하면 사이에 위치한 상기 복귀 스프링(254)은 압축력을 가지게 된다. 그 다음, 사용자의 손에서 볼링공이 빠져나감에 따라 상기 복귀 스프링(254)은 상기 제1 로드의 하면에 인장력을 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로드(251)의 상면과 접촉하는 선회부(20)는 z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즉, 상기 탄성부(250)에 의해 사용자의 볼링공 투구시, 볼링공에 더욱 많은 초당 회전 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볼링용 손목보호대의 사용시 달성되는 효과를 종래의 손목보호대와 비교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볼링용 손목보호대를 사용시 볼링공의 투구 라인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면부호 A는 기존의 볼링용 손목보호대를 착용하여 볼링공의 투구시 볼링공의 투구 라인을 도시하고 있고, 도면부호 B는 본 발명에 따른 볼링용 손목보호대를 착용하여 볼링공의 투구시 볼링공의 투구 라인을 도시하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볼링용 손목보호대는 볼링공의 회전수가 매초 3~4회전이 이루어지고, 스트라이크 진입 각도는 약 3~4도로 형성되었다. 이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볼링용 손목보호대(1)는, 손목의 자유도가 향상되므로 볼링공의 회전수가 매초 4.5~6회전이 이루어지고, 스트라이크 진입 각도는 약 4.5~6도로 형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조절부재(100)의 x축 방향 이동에 따라 손목부(30)에 대한 손등부(10)의 y축 중심 회전 각도 조절이 가능하므로 볼링공의 투구시 고속 회전이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손등부(10)에 형성되는 장공(11)을 따라 제1 조절부재(41)가 y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손목부(30)에 대한 상기 손등부(10)의 z축 중심 회전 각도 조절이 가능하므로, 볼링공의 투구시 스트라이크 포켓에 진입하는 각도를 크게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고,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볼링용 손목보호대
10: 손등부
20: 선회부
30: 손목부
41: 제1 조절부재
42: 선회 고정부재
43: 손목부 고정부재
50: 기준선
100: 제2 조절부재
110: 고정부재 이동 공

Claims (10)

  1. 사용자의 손등을 감싸는 손등부;
    사용자의 손목을 감싸는 손목부;
    상기 손등부 및 상기 손목부에 결합하고, 상기 손등부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x축에 수직한 z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선회부;
    상기 손등부의 폭 방향을 따르는 y축 방향으로 천공된 장 공 내에서 상기 손등부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장 공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손목부에 대한 상기 손등부의 상기 z축 중심 회전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1 조절부재;
    상기 선회부 및 상기 손목부 상에 상기 x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x축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손목부에 대한 상기 손등부의 상기 y축 중심 회전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2 조절부재; 및
    상기 제1 조절부재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선회부와 손목부 중 하나 이상을 관통함으로써 상측에서 볼 때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2 조절부재의 x축 방향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조절부재에는,
    볼링공의 투구시 상기 제1 조절부재가 상기 제2 조절부재와 접촉한 상태로 손목부에 대한 손등부의 z축 중심의 반시계 방향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제1 조절부재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안착 영역과,
    상기 안착 영역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부재가 관통되는 공간인 고정부재 이동 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링용 손목보호대.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선회부 및 상기 손목부와 결합하는 선회 고정부재와, 상기 손목부와 결합하는 손목부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 이동 공은, 상기 선회 고정부재가 관통되는 선회 고정부재 이동 공과, 상기 손목부 고정부재가 관통되는 손목부 고정부재 이동 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링용 손목보호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 고정부재의 하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선회 고정부재 이동 공의 일측은 상기 나사산과 맞물리도록 톱니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링용 손목보호대.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 영역은, 상기 제1 조절부재의 z축 중심 이동 경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2 조절부재의 일측에 천공되는 가이드 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링용 손목보호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절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제1 조절부재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스토퍼가 부착되고,
    상기 스토퍼에는 상기 스토퍼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 조절부재의 일측에 형성된 복수의 조절 공 중 어느 하나의 조절 공에 삽입되어 상기 스토퍼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링용 손목보호대.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절부재의 선단에 배치되는 안착 영역에는,
    상기 제1 조절부재가 안착되도록 상기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안착부; 및
    상기 복수의 안착부를 연결하고 상기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링용 손목보호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목부는, 상기 선회부의 하단과 접촉하는 탄성부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링용 손목보호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고, 제1 로드 및 상기 제1 로드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로드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는 제2 로드로 구성되는 로드; 및
    상기 제2 로드의 외면에 감겨있고 상기 제1 로드의 하면과 접촉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귀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링용 손목보호대.
KR1020140135834A 2014-04-15 2014-10-08 볼링용 손목보호대 KR1017044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44634 2014-04-15
KR1020140044634 2014-04-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8886A KR20150118886A (ko) 2015-10-23
KR101704476B1 true KR101704476B1 (ko) 2017-02-09

Family

ID=54427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5834A KR101704476B1 (ko) 2014-04-15 2014-10-08 볼링용 손목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44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8036B1 (ko) * 2015-10-28 2016-11-21 (주)디엔에스 볼링용 손목보호대
KR101676317B1 (ko) * 2016-04-27 2016-11-15 배성환 볼링용 손목 보호대
KR101900010B1 (ko) * 2016-10-31 2018-09-20 배재영 볼링용 손목 보호대
KR102480144B1 (ko) * 2021-10-01 2022-12-22 박현영 볼링용 손목보호대의 각도 조절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6187Y1 (ko) * 2004-11-29 2005-03-08 주식회사 로드필드 볼링용 손목보호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29929B2 (ja) * 1996-12-18 2001-11-19 有限会社エンリッチライフ ボウリング用手首規制具
KR100441378B1 (ko) * 2002-05-03 2004-07-23 배성환 손목보호대
KR100583793B1 (ko) 2004-08-02 2006-05-29 정동석 볼링용 손목보호대
KR101507736B1 (ko) 2008-07-22 2015-04-08 위순임 기판정렬장치 및 기판정렬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6187Y1 (ko) * 2004-11-29 2005-03-08 주식회사 로드필드 볼링용 손목보호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8886A (ko) 2015-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4476B1 (ko) 볼링용 손목보호대
US7883452B1 (en) Kettlebell having pivotal handle
US8745878B2 (en) Folding knife locking mechanism with carrier device
US20160183622A1 (en) Apparatuses for reducing angular velocity of protective shells associated with protective headwear
US8656519B2 (en) Position control mechanism for a full-faced and open-faced helmet
US9370692B2 (en) Active cam device
EP2853667B1 (en) Hinge device
KR101676317B1 (ko) 볼링용 손목 보호대
US9395144B1 (en) Bowstring release device
US8317145B2 (en) Spring loaded camming device with movably-anchored trigger
KR20140033151A (ko) 벨트 리트랙터용 조립체
KR101678036B1 (ko) 볼링용 손목보호대
US5860874A (en) Golfer's swing training device
KR101842990B1 (ko) 볼링용 손목보호대
US10054260B2 (en) Rotation-adjustable hanging device
JP3229929B2 (ja) ボウリング用手首規制具
KR101715239B1 (ko) 볼링용 손목보호대
KR19980023945A (ko) 골프용 스탠스 교정구
EP0796568A1 (en) Adjusting mechanism for bands, especially headbands
KR100368966B1 (ko) 볼링용 손목보호대의 각도 조절장치
CN107278127B (zh) 用于减小与防护头具相关联的防护壳体的角速度的装置
JP2014043147A (ja) 操舵装置
US8118686B1 (en) Device for reducing effect of dominant hand on golf swing
KR200489321Y1 (ko) 볼링용 손목보호대
KR102646629B1 (ko) 헬멧용 회동 메커니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