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3162Y1 - 에어진공펌프 - Google Patents

에어진공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3162Y1
KR200353162Y1 KR20-2004-0008455U KR20040008455U KR200353162Y1 KR 200353162 Y1 KR200353162 Y1 KR 200353162Y1 KR 20040008455 U KR20040008455 U KR 20040008455U KR 200353162 Y1 KR200353162 Y1 KR 2003531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air
refrigerant
motif
ch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84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진
Original Assignee
김종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진 filed Critical 김종진
Priority to KR20-2004-00084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31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31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31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5/00Adaptations of pumps for special use of pumps for elastic fluids
    • F04C25/02Adaptations of pumps for special use of pumps for elastic fluids for producing high vacu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092Removing solid or liquid contaminants from the gas under pumping, e.g. by filtering or deposition; Purging; Scrubbing; Clea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12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 F04C29/124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with inlet and outlet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rotary or oscillating piston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10/00Fluid
    • F04C2210/26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5/00Rotary kinetic fluid motors or 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등 일반적인 에어컨 시스템에서 냉매 시스템에 남겨진 폐냉매 및 에어를 밖으로 배출하기 위해 노즐을 이용하는 에어진공펌프에 관한 것으로, 모티브 플러그를 통해 에어컴프레셔로부터 유입된 에어를 더욱 빠르게 통과시키면서 주위를 진공상태로 만들어 상부에서 흡입된 물질을 벤트리 노즐로 내보내는 모티브 노즐과, 상기 모티브 노즐이 하측에 내포되고 상기 모티브 노즐을 지지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상부 일측에 삽입된 체크 밸브 하우징의 중앙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모티브 노즐과 연통되어 상기 모티브 노즐의 진공흡입력에 의해 개폐되는 체크볼을 구비하는 체크 볼 하우징과, 상기 체크 밸브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관통 홀이 형성되는 사이드 바디 밸브와, 상기 사이드 바디 밸브의 상측 끝단에 결합되어 냉매 시스템 또는 파이프에 연결되는 니플로 구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냉매 시스템에 잔류된 에어를 밖으로 배출하기 위해 모터대신에 노즐을 사용하기 때문에 전기가 따로 필요 없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에어컴프레셔만 있으면 사용이 가능하고, 오일관리가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수명이 반영구적이기 때문에 제조 및 유지비용이 상당히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에어진공펌프{AIR VACUUM PUMP}
본 고안은 에어진공펌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등 일반적인 에어컨 시스템에서 냉매 시스템에 남겨진 냉매 및 에어를 밖으로 배출하기 위해 노즐을 이용하는 에어진공펌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컨, 냉장고, 냉동기 및 기타 기온을 낮추는 데에 사용되는 장치에는 일반적으로 냉매가스가 활용된다. 이와 같은 냉매가스가 사용되는 장치의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냉매싸이클이라고 하는 일반적인 구조를 갖는다.
예컨대 자동차에 설치된 에어컨장치에 있어서, 엔진의 회전시 압축기를 회전시켜 냉매가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시킨 냉매가스를 냉매파이프를 통해 응축기로 배송시키고, 응축기는 냉매가스를 고압상태로 두고 저온으로 온도를 낮추어 드라이어를 통해 냉각기, 즉 증발로로 전송한다. 증발기에서 고압의 냉매가스가 팽창 및 기화되면서 그 기화열에 의해 열교환되어져 주변의 온도를 뺏어 기온을 하강시키고, 그 하강시켜진 냉기를 실내로 송풍하여 냉방시키게 된다.
자동차 이외에도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사용하는 에어컨 등도 전술한 바와 같은 냉매가스를 이용하는 냉방시스템들을 많이 채용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에어컨 시스템에 연결된 냉매 시스템에 냉매 및 수분이 함유된 에어가 잔류하게 되는데, 수분이 함유된 에어가 에어컨 시스템에 유입되면 수분과 냉매 사이클내에 순환되는 냉매와 반응을 하여 냉매 효율이 떨어지게 되는데, 이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는 모터를 이용하여 냉매 시스템내에 잔류된 에어를 배출하였다.
그러나, 상기 모터를 이용한 종래의 기술은 모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반영구적이지 못하고, 고장이 잦고 전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작업 및 유지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밸브를 닫고 모터를 작동하여 작업을 하기 때문에 작업시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에어컴프레셔로부터 공급받은 에어를 노즐로 통과시키면서 진공상태를 만들고, 진공상태에 의해 발생된 흡입력으로 냉매 시스템내에 잔류된 에어를 완전히 배출하고 냉매 시스템내를 진공상태로 만드는 에어진공펌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진공펌프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진공펌프의 티자형 밸브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의 a와 b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진공펌프의 노즐을 도시한 단면도 및 단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바디 2: 모티브 플러그
3: 벤트리 노즐 4: 모티브 노즐
5: 체크 밸브 하우징 6: 사이드 바디 밸브
7: 필터 8: 슬리브
9: 니플 10: 체크 볼 하우징
11: 체크 볼 12: 관통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에어진공펌프는 모티브 플러그를 통해 에어컴프레셔로부터 유입된 에어를 더욱 빠르게 통과시키면서 주위를 진공상태로 만들어 상부에서 흡입된 물질을 벤트리 노즐로 내보내는 모티브 노즐과, 상기 모티브 노즐이 하측에 내포되고 상기 모티브 노즐을 지지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상부 일측에 삽입된 체크 밸브 하우징의 중앙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모티브 노즐과 연통되어 상기 모티브 노즐의 진공흡입력에 의해 개폐되는 체크볼을 구비하는 체크 볼 하우징과, 상기 체크 밸브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사이드 바디 밸브와, 상기 사이드 바디 밸브의 상측 끝단에 결합되어 냉매 시스템 또는 파이프에 연결되는 니플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에어진공펌프에 대한 일 실시 예로서는 다수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진공펌프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본 발명에 따른 에어진공펌프의 티자형 밸브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의 a와 b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진공펌프의 노즐을 도시한 단면도 및 단면 사시도이다.
도 1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에어진공펌프는 모티브 플러그(2)를 통해 에어컴프레셔로부터 유입된 에어를 더욱 빠르게 통과시키면서 주위를 진공상태로 만들어 상부에서 흡입된 물질을 벤트리 노즐(3)로 내보내는 모티브 노즐(4)로 구비되고, 상기 모티브 노즐(4)의 외측에는 상기 모티브 노즐(4)을 지지하는 바디(1)가 구비된다.
상기 바디(1)의 상부 일측에는 체크 밸브 하우징(5)이 결합되고, 상기 체크 밸브 하우징(5)의 중앙 내부에는 상기 모티브 노즐(4)과 연통되어 상기 모티브 노즐(4)의 진공흡입력에 의해 개폐되는 체크볼(11)을 구비하는 체크 볼 하우징(10)이 결합된다.
상기 체크 밸브 하우징(5)의 상부에는 내부에 관통홀(12)이 형성되는 사이드 바디 밸브(6)가 결합되고, 상기 사이드 바디 밸브(6)의 상측 끝단에는 냉매 시스템 또는 파이프에 연결되는 니플(9)이 구비된다.
상기 모티브 노즐(4)은 그 입구부(13)가 55~65°로 테이퍼져서 형성되고, 중앙부(15)의 지름이 1.0~1.4mm로 형성되고, 출구부(14)가 10~20°로 테이퍼져서 형성되는게 바람직한데, 상기 모티브 노즐(4)의 치수는 다수의 실험과 실시를 통해서 얻어진 가장 효과인 값이다.
상기 모티브 노즐(4)의 입구측에는 모티브 플러그(2)가 구비되고, 상기 모티브 플러그(2)의 일측에 에어컴프레셔(미도시)가 결합되어 에어를 공급하는데(에어공급량은가 일반적임), 이때 모티브 노즐에 발생하는 진공도가 760mmHg이면 가장 이상적인 수치이다.
따라서, 상기의 진공도에 가장 가까운 값을 얻기 위해 측정해 본 결과 모티브 노즐의 입구부(13)는 60°로 테이퍼지고, 중앙부(15)의 지름은 1.2mm이고, 출구부(14)는 15°로 테이퍼져서 형성될 때 이상적인 진공도에 가장 가까운 705mmHg값을 얻을 수 있고, 상기 모티브 노즐의 수치에서 멀어질수록 705mmHg의 값이 나오지 않게 된다.
상기 체크 볼 하우징(5)의 상부에는 흡입된 냉매 및 에어에 포함된 찌거기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7)가 구비되고, 상기 필터(7)는 상기 사이드 밸브 바디(6)의 하단 내부에 삽입되는데, 필터(7)에 의해 찌거기나 불순물이 걸러짐으로써 모티브 노즐(4)을 통해 연결되는 벤트리 노즐(3)의 막힘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니플(9)에는 냉매 캔으로부터 고압의 냉매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티자형 밸브(30)가 결합될 수도 있는데, 이때 티자형 밸브(30)의 냉매 캔 결합부(20)에는 냉매 캔이 연결되고, 니플 결합부(22)에는 상기 니플(9)이 결합되고, 냉매 시스템 결합부(21)에는 냉매 시스템이 연결된다.
상기 사이드 밸브 바디(6)의 상단 외측에는 상기 냉매 캔에 연결된 티자형 밸브로 부터 냉매가 공급될 때 냉매가 냉매 시스템으로 유입되지 않고, 상기 사이드 밸브 바디(6)쪽으로 역류하여 상기 체크 볼 하우징(1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관통홀(12)을 개폐가능하게 하는 슬리브(8)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진공펌프의 작용을 살펴본다.
도 1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측에 설치된 에어컴프레셔로부터 에어가 모티브 플러그(2)를 통해 모티브 노즐(4)에 공급되면 노즐 주위는 진공상태가 되면서 상기 체크 밸브 하우징(5)에 흡입력이 발생하여 체크 볼(11)을 끌어당긴다.
그리고, 클로즈되어 있는 슬리브(8)를 슬라이딩시켜 오픈하여 관통홀(12)을 열면 니플(4)에 연결된 냉매 시스템에서 잔류 에어가 진공에 의해 흡입되어 상기 필터(7)를 통해 이물질 등이 걸러지고 나서 모티브 노즐(4)을 통해 벤트리 노즐(3)로 빠져나가게 되고, 상기 냉매 시스템는 진공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벤트리 노즐(3)의 끝에는 소음기(미도시)가 부착되어 에어의 방출로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니플(4)의 끝에는 티자형 밸브(30)가 구비될 수도 있는데, 이때는 티자형 밸브(30)의 냉매 캔 결합부(20)에 냉매 캔이 연결되고, 니플 결합부(22)에 상기 니플(9)이 결합되고, 냉매 시스템 결합부(21)에 냉매 시스템가 연결되어 냉매 캔으로부터 냉매가 유입될 때에 상기 슬리브(8)를 클로즈시켜 냉매가 모티브 노즐(4)로 배출되지 않고, 니플(9)을 통해 냉매 시스템로만 빠져나가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과 작용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진공펌프는 냉매 시스템에 잔류된 에어를 밖으로 배출하기 위해 모터대신에 노즐을 사용하기 때문에 전기가 따로 필요없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에어컴프레셔만 있으면 사용이 가능하고, 오일관리가 필요없을 뿐만 아니라 수명이 반영구적이기 때문에 제조 및 유지비용이 상당히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티브 노즐의 입구부는 60°로 테이퍼지고, 중앙부의 지름은 1.2mm이고, 출구부는 15°로 테이퍼져서 형성될 때 이상적인 진공도에 가장 가까운 705mmHg값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모티브 플러그(2)를 통해 에어컴프레셔로부터 유입된 에어를 더욱 빠르게 통과시키면서 주위를 진공상태로 만들어 상부에서 흡입된 물질을 벤트리 노즐(3)로 내보내는 모티브 노즐(4)과;
    상기 모티브 노즐(4)이 하측에 내포되고 상기 모티브 노즐(4)을 지지하는 바디(1)와;
    상기 바디(1)의 상부 일측에 삽입된 체크 밸브 하우징(5)의 중앙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모티브 노즐(4)과 연통되어 상기 모티브 노즐(4)의 진공흡입력에 의해 개폐되는 체크볼(11)을 구비하는 체크 볼 하우징(10)과;
    상기 체크 밸브 하우징(5)의 상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관통홀(12)이 형성되는 사이드 바디 밸브(6)와;
    상기 사이드 바디 밸브(6)의 상측 끝단에 결합되어 냉매 시스템 또는 파이프에 연결되는 니플(9)을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진공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티브 노즐(4)은 그 입구부(13)가 55~65°로 테이퍼져서 형성되고, 중앙부(15)의 지름이 1.0~1.4mm로 형성되고, 출구부(14)가 10~20°로 테이퍼져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진공펌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 볼 하우징(5)의 상부에는 흡입된 냉매 및 에어에 포함된 찌거기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7)가 구비되고, 상기 필터(7)는 상기 사이드 밸브 바디(6)의 하단 내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진공펌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밸브 바디(6)의 상단 외측에는 티자형 밸브(30)로부터 냉매가 공급될 때 냉매가 역류되어 상기 체크 볼 하우징(1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관통홀(12)을 개폐가능하게 하는 슬리브(8)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진공펌프.
KR20-2004-0008455U 2004-03-26 2004-03-26 에어진공펌프 KR2003531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8455U KR200353162Y1 (ko) 2004-03-26 2004-03-26 에어진공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8455U KR200353162Y1 (ko) 2004-03-26 2004-03-26 에어진공펌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3162Y1 true KR200353162Y1 (ko) 2004-06-14

Family

ID=49431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8455U KR200353162Y1 (ko) 2004-03-26 2004-03-26 에어진공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316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04340A (ko) 배관 내장형 필터 및 이를 갖춘 공기조화기
JP3102322U (ja) 空調およびエンジン温度冷却用の冷媒を含む冷却システム
KR200353162Y1 (ko) 에어진공펌프
CN107436059A (zh) 一种结构简化的储液器
KR20100026351A (ko) 수냉식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10059259A (ko) 체크밸브 겸용 소음기
CN112431764A (zh) 润滑效果好的压缩机结构及空调
CN206785648U (zh) 旋转式压缩机及温度调节系统
KR20000047798A (ko) 에어컨 장치의 드레인 구조
KR100479734B1 (ko) 산소 발생 에어컨
CN214247681U (zh) 润滑效果好的压缩机结构及空调
CN109488595A (zh) 压缩机
KR20090069923A (ko) 공기조화 시스템
CN217381757U (zh) 单向阀和具有其的空调器
KR100357113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CN202813892U (zh) 用于冷水机组的引射器
JP2007178047A (ja) サイレンサ
CN209279425U (zh) 二氧化碳热泵系统
KR100858497B1 (ko) 공기조화기용 팽창장치
CN208398201U (zh) 一种空调机组
JP2007100511A (ja) 圧縮機のドレン排出部構造
CN110486986A (zh) 一种用于微通道制冷系统的绝热蒸发器
KR20010036857A (ko) 냉동시스템의 냉매흐름 제어장치
KR100368711B1 (ko) 일체형 냉난방기의 배기 소음 저감장치
KR100873141B1 (ko) 냉난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