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6351A - 수냉식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수냉식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6351A
KR20100026351A KR1020080085325A KR20080085325A KR20100026351A KR 20100026351 A KR20100026351 A KR 20100026351A KR 1020080085325 A KR1020080085325 A KR 1020080085325A KR 20080085325 A KR20080085325 A KR 20080085325A KR 20100026351 A KR20100026351 A KR 201000263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efrigerant
air conditioner
heat exchanger
coo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5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6339B1 (ko
Inventor
추원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5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6339B1/ko
Publication of KR20100026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6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6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6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3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to fire, excessive heat or smo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25B49/022Compressor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20Heat-exchange fluid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7Water-cooled 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16Temperatures of a condenser
    • F25B2700/21163Temperatures of a condenser of the refrigerant at the outlet of the condenser

Abstract

본 발명의 수냉식 공기조화기는 냉방 운전 중, 수냉식 열교환기에서 유출되는 냉매의 토출 온도에 따라 단수인지 판단하여 냉매의 과도 상승을 방지하도록, 본 발명은 공기 조화를 위한 실내 공간의 공기를 열교환하는 공냉식 열교환기 및 상기 공냉식 열교환기와 배관에 의해 연통되며, 냉매와 냉각수가 열교환되는 수냉식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수냉식 열교환기의 냉매토출구에서 유출되는 냉매의 토출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부, 압축기를 구동시키는 압축기 구동부 및 상기 토출 온도와 설정 조건을 비교하고, 상기 설정 조건에 부합되면 단수 조건으로 판단하여 상기 냉방 운전을 정지하도록 상기 압축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수냉식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수냉식, 토출 온도

Description

수냉식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Water cooling type air conditioner and the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수냉식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냉방 운전 중, 수냉식 열교환기에서 유출되는 냉매의 토출 온도에 따라 단수인지 판단하여 냉매의 과도 상승을 방지하는 수냉식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사무실 또는 주택 등과 같은 실내 공간의 공기를 냉방하거나 난반하게 되는 냉/난방 기기로서 압축 - 응축 - 팽창 - 증발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사이클로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주로 실외 공간의 공기를 이용하여 응축열 또는 증발열을 실외 공간으로 배출하게 된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일반적으로 실내 공간의 공기를 조화시키는 실내기와 실내기로부터 유동되는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실외기가 일체로 형성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및 실내기와 실외기가 분리되어 실내기는 실내 공간에 설치되고, 실외기는 실외 공간에 설치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로 구분된다.
공기조화기는 최근에 냉/난방 외에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여과시킨 후 깨끗한 공기를 실내고 재투입하는 공기 청정기능과 다습한 공기를 건습 공기로 만들어 실내로 재투입하는 제습 기능 등 여러가지 부가적인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연구가 진행중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냉방 운전 중, 수냉식 열교환기에서 유출되는 냉매의 토출 온도에 따라 단수인지 판단하여 냉매의 과도 상승을 방지하는 수냉식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냉식 공기조화기는 공기 조화를 위한 실내 공간의 공기를 열교환하는 공냉식 열교환기 및 상기 공냉식 열교환기와 배관에 의해 연통되며, 냉매와 냉각수가 열교환되는 수냉식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수냉식 열교환기의 냉매토출구에서 유출되는 냉매의 토출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부, 압축기를 구동시키는 압축기 구동부 및 상기 토출 온도와 설정 조건을 비교하고, 상기 설정 조건에 부합되면 단수 조건으로 판단하여 상기 냉방 운전을 정지하도록 상기 압축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냉식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냉방 운전 중, 수냉식 열교환기의 냉매토출구에서 유출되는 냉매의 토출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토출 온도가 설정 조건을 부합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설정 조건에 부합하면, 부합 횟수가 소정 횟수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 횟수 이상이면, 단수 조건으로 판단하여 상기 냉방 운전을 정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냉식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은 냉각탑의 냉각수공급관 이 막히거나 단수 조건에 대한 발생 여부를 수냉식 열교환기의 냉매토출구에서 유출되는 냉매의 토출 온도를 측정하고, 토출 온도와 설정 조건에 따라서 냉각수공급관의 막힘 또는 단수 조건의 발생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수냉식 열교환기에서 유출되는 냉매의 과도한 온도 상승을 방지하고, 그에 따른 제품의 신뢰성 및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냉식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수냉식 공기조화기가 설치된 건물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수냉식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수냉식 공기조화기는 다수의 실내 공간이 구비되는 대형 건물 및 고층 건물 등의 실내 공간을 조화시키기 위하여 설치된다. 따라서, 수냉식 공기조화기가 설치되는 건물에는 다수의 실내 공간이 구비되고, 이러한 실내 공간을 조화시키기 위하여 수냉식 공기조화기가 설치된다.
수냉식 공기조화기는 건물의 내부에 구비되는 다수의 실내 공간에 실내기(100)가 각각 설치되고, 실내기(100)가 설치되는 실내공간의 측방에는 다수의 실내기(100)와 배관에 의해 연결되는 실외기(200)가 설치되는 공조실(A)이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인 멀티형 공기조화기가 아닌 일체형 공기조화기로 구성되는 수냉식 공기조화기에서는 별도의 덕트에 의해 각각의 실내 공간과 공기조화기가 연결되어 있으며, 공기조화기의 내부 공간에서 조화된 공기는 덕트를 통해 각각의 실내 공간으로 유동되어 실내 공간을 조화시키게 된다.
이때, 각각의 실내 공간으로 유동되는 조화된 공기의 유동을 제어하여 불필요한 공간으로 조화된 공기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각각의 실내 공간의 조건에 적합하도록 실내 공간을 조화시키게 되어 조화된 공기의 소비를 방지하게 된다.
각각의 실내 공간에는 실내 공간에 적합한 형태의 상기 실내기(100)가 장착되어 실내 공간을 조화시키게 된다.
즉, 실내기(100)는 스탠드형, 천정형, 벽걸이형 등 다양한 모델의 사용이 가능하게 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설치된다. 이러한 실내기(100)는 상기 실외기(200)와 냉매배관(300)에 의해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냉매배관(300)은 실내기(100)와 실외기(200) 사이의 냉매 유동을 안내하게 된다.
실내기(100)는 공기 조화를 위한 실내 공간에 설치되며, 실내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여 냉매와 열교환시킨 다음 열교환 된 공기를 실내 공간으로 재투입함으로써 실내 공간의 공기를 사용자의 의도에 적합하도록 조화시키게 된다. 이러한 실내기(100)는 공기 조화를 위한 실내 공간에 적합한 형상의 실내기(100)가 사용된다.
즉, 상기 실내기(100)는 실내 공간의 크기 또는 형태, 용도 등에 적합한 형상의 실내기(100)를 설치하게 되는데, 이러한 실내기(100)에는 스탠드형, 천정형, 벽걸이형 등이 주로 설치된다.
실내기(100)와 실외기(200)의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며, 내부 공간으로 냉매가 유동되는 상기 냉매배관(300)은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원형파이프 형상으로 성형되며, 내부 공간으로 작동 유체인 냉매가 유동하게 된다. 따라서, 냉매배관(300)은 실외기(200)로부터 연결되는 배관에서 각각의 실내기(100)로 분지되도록 설치된다.
한편, 수냉식 공기조화기가 설치되는 건물의 옥상 등에는 물을 냉각시켜 냉각수를 형성하게 되는 냉각탑(400)이 설치된다. 냉각탑(400)은 물을 공기와 직접 접촉시킴으로써 물을 냉각시켜 냉각수를 형성하게 된다.
즉, 물이 찬 공기와 접촉하게 되면, 물의 일부가 증발하게 되면서 증발에 필요한 열을 주변으로부터 빼앗아 수온을 하강시키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이용하여 냉각탑(400)에서는 상방에서 하방으로 물을 흘려보내고, 하단부에서 공기를 주입하여 물을 냉각시키게 된다.
냉각탑(400)의 내부에서 생성되는 냉각수는 냉각수공급관(420)에 의해 안내되어 실외기(200)의 내부공간으로 공급된다. 냉각수공급관(420)은 내부 공간이 비어있는 원형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건물의 외측 벽면을 따라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냉각수공급관(420)의 측방에는 실외기(200)의 내부 공간에서 작동 유체인 냉매와 열교환된 냉각수가 냉각탑(400)으로 회수되도록 안내하는 냉각수회수관(440)이 설치된다. 냉각수회수관(440)은 내부가 비어있는 원형 파이프 형상으로 성형되어 건물의 외측 벽면을 따라 설치되며, 단부는 냉각탑(400)의 상단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냉각탑(400)의 내부 공간에서 생성되는 냉각수는 냉각수공급관(420) 에 의해 안내되어 실외기(200)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되며, 실외기(200)의 내부 공간에서 작동 유체인 냉매와 열교환된 냉각수는 냉각수회수관(440)에 의해 안내되어 냉각탑(400)의 상단부로 유동된 다음 냉각탑(400)의 내부 공간에서 다시 냉각되어 실외기(200)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냉각수공급관(420)에는 냉각수펌프(460)가 장착되어 냉각탑(400)에서 생성되는 냉각수를 실외기(200)의 내부 공간으로 일정한 압력으로 공급하게 된다.
냉각수공급관(420)과 냉각수회수관(440)은 건물의 외측 벽면을 따라 연장 설치되며, 각각의 실외기(200)로 분지되어 실외기(200)의 내부 공간으로 냉각수를 유동시키게 된다. 즉, 냉각수공급관(420)과 냉각수회수관(440)으로부터 분지되는 냉각수공급분지관(422)과 냉각수회수분지관(442)이 공조실(A)의 측면을 관통하여 설치됨으로써 냉각수를 실외기(200)의 내부 공간으로 안내하게 된다
이처럼, 냉각수공급관(420)에서 분지되어 실외기(200)의 내부 공간으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공급분지관(422)은 일단부가 냉각수공급관(420)과 연통되도록 성형되고, 타단부는 실외기(200)의 내부 공간으로 인입된다. 실외기(200)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인출되는 냉각수회수분지관(442)은 단부가 상기 냉각수회수관(440)과 연통되도록 설치된다.
냉각수회수분지관(442)에는 냉각수회수밸브(444)가 장착되어 냉각탑(400)으로부터 실외기(200)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되는 냉각수가 냉매와 열교환된 다음 냉각수회수분지관(442)으로 회수되는 냉각수의 유동을 제어하게 된다.
즉, 공기조화기를 정상적으로 사용하여 작동하게 될 경우에는 냉각수회수밸 브(444)를 개방하여 공기조화기의 내부 공간에서 냉매와 열교환 된 냉각수가 상기 냉각탑(400)으로 회수되도록 하며, 다수의 층 가운데 하나의층에 설치되는 공기조화기를 사용하지 않아 작동하지 않게 될 경우 냉각수회수밸브(444)를 차폐하여 공기조화기의 내부 공간에 충만되는 냉각수가 냉각탑(400)으로 회수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
이처럼, 공기조화기의 내부 공간에 충만되는 냉각수가 냉각탑(400)으로 회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은 작동하지 않던 공기조화기를 필요에 의해 작동하게 될 경우 공기조화기의 초기 가동시 냉매와 충만되어 있던 냉각수가 열교환하여 냉매를 냉각시킴으로써 뜨거운 냉매가 압축기(260)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압축기가 소손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냉각탑(400)의 측방에는 보일러(480)가 구비된다. 보일러(480)는 수냉식 공기조화기가 난방 모드 또는 온수 사용시 작동하게 될 때, 즉, 냉각수의 동결방지를 위해 가동하게 되며, 냉각탑(400)에서 생성되는 냉각수는 보일러(480)를 통과하여 실외기(200)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된다.
실내기(100)의 내부에는 실내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여 냉매와 열교환시킴으로써 실내기(100)가 설치되어 있는 공간을 조화시키는 공냉식 열교환기(120)가 장착된다.
공냉식 열교환기(120)는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원형 파이프가 다수회 절곡되어 성형되며, 내부에 작동 유체인 냉매가 유동된다.
공냉식 열교환기(120)의 입구측에는 팽창밸브(140)가 구비된다. 팽창밸 브(140)는 통과하는 냉매를 팽창시킴으로써 냉매가 가지는 압력을 감압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즉, 팽창밸브(140)로 유입되는 냉매는 고압의 냉매가 유입되고, 팽창밸브(140)를 통과하여 토출되는 냉매는 저압의 냉매가 토출된다.
실내기(100)와 실외기(200)의 사이에는 냉매가 유동되도록 냉매배관(300)이 연결된다. 냉매배관(300)은 고압의 냉매가 유동되는 고압관과, 저압의 냉매가 유동되는 저압관으로 구성되며, 실외기(200)로부터 연결되는 냉매배관(300)으로부터 각각의 실내기(100)로 분지되도록 형성되어 공냉식 열교환기(120)의 내부로 냉매가 안내되어 유동된다.
따라서, 실외기(200)에는 냉매배관(300)을 따라 유동되는 냉매가 유입되어 냉각수공급분지관(422)에 의해 안내되어 유동되는 냉각수와 열교환하게 되고, 열교환된 냉매는 냉매배관(300)을 따라 유동되어 공냉식 열교환기(120)의 내부로 유동되며, 실내기(100)가 설치되는 공간의 공기와 열교환되어 실내 공간을 조화시키게 된다.
또한, 실외기(200)의 내부에서 작동유체인 냉매와 열교환된 냉각수는 상기 냉각수회수분지관(442)에 의해 안내되어 냉각수회수관(440)을 따라 냉각탑(400)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되면서 냉각수는 하나의 사이클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압축기(260)의 출구측에는 압축기(260)의 내부 공간에서 고온 고압으로 압축되어 압축기(260)의 외부로 토출되는 냉매에 포함되어 냉매와 동시에 토출되는 오일을 분리하는 오일분리기(265)가 장착된다. 오일분리기(265)는 소정의 직경과 높이를 가지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오일분리기(265)에는 오일분리기(265)의 내부 공간에서 냉매와 분리된 오일을 압축기(260)의 내부 공간으로 회수하기 위한 오일회수관(266)이 구비된다. 이러한 오일회수관(266)의 일단부는 오일분리기(265)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도록 성형되고, 타단부는 압축기(26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즉, 압축기(260)의 구동시 발생하게 되는 마찰열을 냉각시키기 위해 오일을 압축기(260)의 내부로 유동시키게 되고, 압축기(260)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되는 오일은 압축기(260)의 내부 공간에서 고온 고압으로 압축되는 냉매에 포함되어 압축기(260)의 외부로 토출된다. 냉매에 포함되어 압축기(260)의 외부로 토출되는 오일은 오일분리기(265)에서 분리되어 오일회수관(266)을 통해 압축기(260)로 되돌려 보내지게 된다.
오일분리기(265)의 출구측에는 오일분리기체크밸브(267)가 더 구비되어 냉매의 역류를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오일분리기체크밸브(267)는 정속압축기(261) 또는 인버터압축기(262) 중 어느 하나만 가동되는 경우 가동되지 않는 압축기(260)의 내부 공간으로 압축된 냉매가 역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오일분리기(265)는 배관에 의해 냉매제어밸브(270)와 연통되도록 성형된다. 냉매제어밸브(270)는 사방밸브(270)가 사용되어 수냉식 공기조화기의 운전 모드에 따라 냉매의 유동 방향을 전환시켜 주는 역할을 담당하게 되며, 이러한 냉매제어밸브(270)에 구비되는 각각의 포트 중 하나는 오일분리기(265)와 연통되고, 그 외 각각의 포트는 공냉식 열교환기(120), 수냉식 열교환기(230), 어큐뮬레이터(264)와 배관에 의해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일분리기(265)에는 메인제어밸브(270)로 유동되는 냉매의 일부가 상기 어큐뮬레이터(264)의 내부로 바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핫가스(Hot gas)관(268)이 구비된다.
핫가스관(268)은 수냉식 공기조화기의 운전 중에 어큐뮬레이터(264)로 유입되는 저압의 냉매 압력을 높일 필요가 있는 경우 압축기(260)로부터 토출되는 고압의 냉매가 어큐뮬레이터(264)로 직접 공급되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되며, 이러한 핫가스관(268)에는 바이패스밸브인 핫가스밸브(269)가 장착되어 핫가스관(268)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게 된다.
냉매제어밸브(270)의 포트 가운데 하나의 포트와 수냉식 열교환기(230)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배관의 단부는 수냉식 열교환기(230)의 내부 공간으로 냉매가 유입되는 통로인 흡입측의 냉매입구부(233)와 연결되며, 냉매입구부(233)를 통해 수냉식 열교환기(230)의 내부를 통과하면서 냉각수와 열교환되는 냉매가 유출되는 통로인 토출측의 냉매출구부(234)는 공냉식 열교환기(120)와 배관에 의해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냉매출구부(234)와 공냉식 열교환기(120)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배관에는 실외체크밸브(280)가 장착되며, 실외체크밸브(280)의 일측에는 실외전자밸브(281)가 장착된다.
또한, 냉매출구부(234)에는 냉각수에 의해 열교환된 냉매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미도시)가 설치된다.
즉, 냉매출구부(234)와 공냉식 열교환기(120)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배관에 는 실외체크밸브(280)가 장착되며, 냉매출구부(234)와 실외체크밸브(280)의 사이에 성형되는 배관으로부터 분지되는 배관에 실외전자밸브(281)가 장착된다. 실외전자밸브(281)가 장착되는 배관은 다시 실외체크밸브(280)와 공냉식 열교환기(120)가 연결되도록 성형되는 배관에 합지된다.
이처럼, 성형되는 배관에 의해 냉매출구부(234)를 통과하여 유동되는 냉매는 기 실외체크밸브(280)를 통과하여 공냉식 열교환기(120)로 유동되며, 공냉식 열교환기(120)로부터 유동되어 냉매출구부(234)로 유동되는 냉매는 실외전자밸브(281)를 통과하여 수냉식 열교환기(230)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하게 된다.
실외체크밸브(280)와 공냉식 열교환기(120)의 사이 배관에는 냉매를 과냉각시키는 과냉각기(282)가 구비된다. 과냉각기(282)는 공냉식 열교환기(120) 및 수냉식 열교환기(230)에서 열교환된 냉매를 과냉각시키기 위한 수단이며, 이러한 과냉각기(282)는 이중관 형상으로 성형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냉식 공기조화기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수냉식 공기조화기는 압축기(260)를 구동시키는 압축기 구동부(500), 수냉식 열교환기(230)의 냉매출구부(234)에서 유출되는 냉매의 토출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부(510) 및 상기 토출 온도에 따라 수냉식 열교환기(230)의 냉매입구부(232)의 막힘 또는 단수 조건인지 판단하는 제어부(520)를 포함한다.
센서부(510)는 수냉식 열교환기(230)의 냉매입구부(232) 및 냉매출구부(234)에 냉매의 흡입 및 토출 온도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미도시)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부(520)는 센서부(510)로부터 상기 토출 온도를 입력받아, 설정 조건의 부합 여부를 판단하여 냉매입구부(232)의 막힘 또는 단수 조건인지 판단하여, 상기 냉각 운전을 지속하거나 또는 운전 정지가 되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설정 조건은 상기 토출 온도와 비교하는 설정 온도 및 상기 토출 온도가 상기 설정 온도 이상으로 유지되는 시간을 비교하는 설정 시간이다.
다시말하면, 제어부(520)는 상기 토출 온도가 상기 설정 온도 이상이고, 상기 설정 온도 이상으로 상기 설정 시간 동안 유지되면, 냉매입구부(232)의 막힘 또는 단수 조건인지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설정 온도는 60℃ 내지 80℃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설정 시간은 8초 내지 12초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상기 설정 온도 및 상기 설정 시간은 수냉식 열교환기(230)에서 냉각수에 의해 열교환 된 냉매가 냉매출구부(234)에서 유출되는 경우, 냉매입구부(232)의 막힘 또는 냉각수의 단수에 의해 냉매의 온도가 상승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최소한의 온도 및 시간이다.
여기서, 제어부(520)는 상기 토출 온도가 상기 설정 온도 이상인 상태로 상기 설정 시간을 유지하지 않으면, 상기 막힘 또는 단수 조건이 아닌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냉방 운전을 지속하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520)는 상기 설정 온도 및 상기 설정 시간 중 어느 하나만 만족하는 경우에는 상기 막힘 또는 단수 조건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제어부(520)는 최초 토출 온도가 상기 설정 조건을 부합하면, 부합 횟수를 카운트한다. 다시 말하면, 제어부(520)는 최초 토출 온도가 상기 설정 조건에 부합한다고 하여 상기 막힘 또는 단수 조건으로 판단하지 않고, 소정 횟수 이상인 경우만 상기 막힘 또는 단수 조건으로 판단하여 상기 냉방 운전을 정지하게 된다.
여기서, 소정 횟수는 3회 내지 10회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냉식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수냉식 공기조화기는 냉방 운전을 시작하고(S100), 상기 냉각 운전 중 수냉식 열교환기에서 유출되는 냉매의 토출 온도를 측정한다(S102).
즉, 센서부(510)는 냉방 운전 중, 수냉식 열교환기(230)의 냉매출구부(234)에서 유출되는 냉매의 토출 온도를 측정한다.
상기 냉매의 토출 온도가 설정 조건에 부합되는지 판단하고(S104),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토출 온도가 상기 설정 조건에 부합되면, 부합 횟수를 카운트하여 소정 횟수 이상인지 판단하여 상기 소정 횟수 미만이면 (S102) 단계로 리턴하고 (S106), 상기 소정 횟수 이상이면 상기 냉방 운전을 정지한다(S108)
즉, 제어부(520)는 센서부로부터(510) 측정된 상기 냉매의 토출 온도를 전달받고 설정 조건에 부합되는지 판단한다.
다시 말하면, 제어부(520)는 상기 토출 온도와 비교하는 설정 온도 및 상기 설정 온도이상으로 유지되는 시간에 대한 설정 시간을 포함하는 상기 설정 조건에 상기 토출 온도가 부합되는지 판단하는 것이다.
제어부(520)는 상기 토출 온도가 상기 설정 조건에 부합되면 부합 횟수를 카운드하고, 상기 부합 횟수가 설정 횟수 이상인지 판단하여 상기 소정 횟수 이상이면 상기 냉방 운전이 정지되도록 압축기 구동부(50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520)는 상기 부합 횟수가 상기 소정 횟수 미만이면 센서부(510)에서 상기 냉매의 토출 온도를 재측정하도록 제어한다.
(S104) 단계에서, 상기 냉매의 토출 온도가 상기 설정 조건을 부합하지 않으면 상기 냉방 운전을 지속한다(S110).
즉, 제어부(530)는 상기 냉매의 토출 온도가 상기 설정 조건에 부합하지 않으면, 상기 냉방 운전을 지속시킨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수냉식 공기조화기가 설치된 건물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수냉식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냉식 공기조화기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냉식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Claims (10)

  1. 냉방 운전 중, 수냉식 열교환기의 냉매토출구에서 유출되는 냉매의 토출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토출 온도가 설정 조건을 부합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설정 조건에 부합하면, 부합 횟수가 소정 횟수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 횟수 이상이면, 단수 조건으로 판단하여 상기 냉방 운전을 정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냉식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조건은,
    상기 토출 온도와 비교하는 설정 온도 및 상기 토출 온도가 상기 설정 온도 이상으로 유지되는 시간을 비교하는 설정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온도는,
    60℃ 내지 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시간은,
    8초 내지 12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조건 부합 판단 단계는,
    상기 설정 온도 및 상기 설정 시간 중 어느 하나만 부합되면, 상기 단수 조건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냉방 운전을 지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횟수는,
    3회 내지 10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7. 공기 조화를 위한 실내 공간의 공기를 열교환하는 공냉식 열교환기 및 상기 공냉식 열교환기와 배관에 의해 연통되며, 냉매와 냉각수가 열교환되는 수냉식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수냉식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수냉식 열교환기의 냉매토출구에서 유출되는 냉매의 토출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부;
    압축기를 구동시키는 압축기 구동부; 및
    상기 토출 온도와 설정 조건을 비교하고, 상기 설정 조건에 부합되면 단수 조건으로 판단하여 상기 냉방 운전을 정지하도록 상기 압축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수냉식 공기조화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조건은,
    상기 토출 온도와 비교하는 설정 온도 및 상기 토출 온도가 상기 설정 온도 이상으로 유지되는 시간을 비교하는 설정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공기조화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 온도 및 상기 설정 시간 중 어느 하나만 부합되면 상기 단수 조건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냉방 운전이 지속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공기조화기.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 조건을 부합하면, 부합 횟수를 카운트하여 소정 횟수 미만이면 상기 토출 온도를 재 측정하고, 상기 부합 횟수가 상기 소정 횟수 이상이면 상기 단수 조건인 것으로 판단하는 수냉식 공기조화기.
KR1020080085325A 2008-08-29 2008-08-29 수냉식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26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5325A KR101526339B1 (ko) 2008-08-29 2008-08-29 수냉식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5325A KR101526339B1 (ko) 2008-08-29 2008-08-29 수냉식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6351A true KR20100026351A (ko) 2010-03-10
KR101526339B1 KR101526339B1 (ko) 2015-06-05

Family

ID=42177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5325A KR101526339B1 (ko) 2008-08-29 2008-08-29 수냉식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633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76129A (zh) * 2012-10-24 2014-05-07 姚琛 空调系统及其末端空调机的焓差控制方法和焓差控制系统
WO2014129713A1 (ko) * 2013-02-21 2014-08-28 (주)귀뚜라미 열교환 매체 감시 기능을 갖는 제습 냉방기
CN115875839A (zh) * 2022-11-08 2023-03-31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冷却管的防凝露控制方法、装置及空调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1349A (ko) 2018-11-05 2020-05-13 이정수 조립식 보일러 원격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88437A (ja) * 1992-04-09 1993-11-02 Hitachi Ltd 冷凍装置の水冷却器凍結防止制御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76129A (zh) * 2012-10-24 2014-05-07 姚琛 空调系统及其末端空调机的焓差控制方法和焓差控制系统
CN103776129B (zh) * 2012-10-24 2016-04-13 姚琛 空调系统及其末端空调机的焓差控制方法和焓差控制系统
WO2014129713A1 (ko) * 2013-02-21 2014-08-28 (주)귀뚜라미 열교환 매체 감시 기능을 갖는 제습 냉방기
CN115875839A (zh) * 2022-11-08 2023-03-31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冷却管的防凝露控制方法、装置及空调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6339B1 (ko) 2015-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0725B1 (ko) 수냉식 공기조화기
KR101266657B1 (ko) 공기조화기
KR20070111919A (ko) 지열을 이용한 공기조화 시스템
KR101180207B1 (ko) 수냉식 공기조화기
KR101070186B1 (ko) 냉매 흐름량 변화에 따른 송풍기 풍량 자동 제어 장치를 구비한 직접팽창방식 공조기
KR101198457B1 (ko) 수냉식 공기조화기
CN112378004A (zh) 空气调节装置
KR20100026351A (ko) 수냉식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430278B1 (ko) 히트파이프를 적용한 에너지 절약형 폐열회수 공기조화기
KR101135809B1 (ko) 수냉식 공기조화기
KR20130112335A (ko) 실외기 없는 냉,난방 공조시스템
KR101179030B1 (ko) 수냉식 공기조화기
KR20080020771A (ko) 수냉식 공기조화기
CN105953474B (zh) 水冷式废热回收太阳能移动热泵空调
KR101029988B1 (ko) 직접팽창방식 공조기의 냉매 흐름량 변화에 따른 송풍기 풍량 자동 제어 방법
KR200181345Y1 (ko) 냉난방겸용 공기조화기
KR20080065176A (ko) 휴대용 공기 조화기
KR100631545B1 (ko) 증발탱크를 구비한 멀티형 공기조화기
CN100371649C (zh) 自干式电梯空调器
CN207501482U (zh) 一种可以在-30℃环境温度用的家用空调机组
KR101498627B1 (ko) 공기조화기
KR20080089962A (ko) 공기조화기
CN215675528U (zh) 一体化户式辐射空调能源系统
CN113932319B (zh) 一体化空调器及其控制方法
CN217636249U (zh) 双源式空调热泵机组及其制热兼冰霜清除机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