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3062Y1 - 재생골재 제조장치의 골재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재생골재 제조장치의 골재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3062Y1
KR200353062Y1 KR20-2004-0006481U KR20040006481U KR200353062Y1 KR 200353062 Y1 KR200353062 Y1 KR 200353062Y1 KR 20040006481 U KR20040006481 U KR 20040006481U KR 200353062 Y1 KR200353062 Y1 KR 2003530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gregate
washing water
recycled
washing
me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64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희돈
Original Assignee
정희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희돈 filed Critical 정희돈
Priority to KR20-2004-00064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30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30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30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02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using shaken, pulsated or stirred beds as the principal means of separation
    • B03B5/04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using shaken, pulsated or stirred beds as the principal means of separation on shaking 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28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sink-float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68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water impul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Separation Of Solids By Using Liquids Or Pneumatic Pow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재생골재를 생산함에 있어 슬러지와의 빠른 분리 경화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세척수의 응고제가 제품으로 완성되는 골재에 악영향을 끼치게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제품단계에서 골재에 묻은 응고제를 완전히 세척하도록 하는 재생골재 제조장치의 골재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른 본 고안은, 재생골재의 원료로 하는 폐콘크리트가 조크러셔, 콘크러셔, 임팩트크러셔의 다단계 파쇄공정을 거치고, 1차 스크린 및 2차 스크린의 입경 선별공정 및 세척공정을 거친 후 이물질과 분급시키는 분급공정을 거쳐 모래와 자갈 등의 재생골재가 생산되는 한편, 분급공정을 거친 세척수의 재순환을 위해 침전시키고 농축시키는 과정에서 응고제를 투여하여 슬러지를 분리 경화를 촉진시키는 재생골재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정에서 원료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라인과 별도로 구축되는 세척수 탱크와; 상기 세척수 탱크와 분급공정을 거친 제품단계의 골재가 배출되는 방향의 분급기 일측의 고정프레임 간에 연결 설치되어, 배출흐름의 골재에 세척수를 분사 세척하는 세척수 분사파이프와; 상기 세척수 분사 파이프의 하부에 위치되어, 세척수는 분급기 안으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되, 충분히 세척된 골재는 진동에 의해 천천히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바이브레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재생골재 제조장치의 골재 세척장치{Cleaning device for reclaimed gravel and sands}
본 고안은 재생골재 제조장치의 골재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재생골재를 생산함에 있어 슬러지와의 빠른 분리 경화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세척수의 응고제가 제품으로 완성되는 골재에 악영향을 끼치게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제품단계에서 골재에 묻은 응고제를 완전히 세척하도록 하는 재생골재 제조장치의 골재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국내에서는 매년 약 2000만톤 이상의 건설폐기물이 발생되고 있고, 그 중에서 폐콘크리트 덩이가 약 500만톤 이상, 아스팔트 폐콘크리트 덩이가 약 250만톤 이상이 차지하고 있으며, 향후에는 더욱 많은 양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매년 발생되고 있는 건설폐기물중에서 아주 극히 소량만이 도로공사의 노반조성재나 충진조성재로 재활용되고 있을 뿐, 대부분은 불법적으로 매립되거나 상당량이 무단 투기되어 심각한 토양오염을 유발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국내에서는 이러한 건설폐기물중 일부를 여러 건설폐기물 중간처리업체가 재처리하여 재활용 골재로 재활용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으나 여러 가지 문제점에 의해 그다지 큰 성과를 보이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다음에서는 폐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재생골재를 생산하기 위한 제조장치의 구성 및 공정순서에 대해 도 1 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1 에 도시된 처리방법의 경우, 우선 재생골재의 원료로 하고 있는 호퍼(100)의 폐콘크리트 덩이를 죠크러셔(110)(120)에 의해 파쇄한 후에 컨베이어(130)를 거쳐 1차 스크린(140)에 투입시키고, 상기 1차 스크린(140)에서는 석분을 걸러내는 한편, 공급된 원료중 망(입경 25mm)을 통과하지 못한 일부분은 다시 콘크러셔(150)로 보내 2차로 파쇄하여 1차 스크린(140)에서 재선별하는 순환계통을 거치는 한편, 망(25mm)을 통과한 원료의 일부분은 컨베이어를 경유, 임팩트 크러셔(160)에서 더 작은 입경으로 파쇄되어 2차 스크린(170)의 5mm 망체를 거친다. 한편, 2차 스크린(170)의 망체를 통과한 원료는 미세한 이물질과 슬러지를 재생골재의 원료로부터 분급시키기 위해 분급기(180)로 이동시키는 한편, 상기 2차 스크린(160)의 망체를 통과하지 못한 일부분은 다시 임팩트 크러셔(160)를 거쳐 재선별되도록 순환계통을 따른다. 이 후 분급기(170)로 보내진 원료는 물에 부유하는 미세한 입자의 이물질과 슬러지를 상기 재생골재의 원료부터 분급함으로써 재생골재인 모래가 생산되는 것이다.
또한 원료를 세척하기 위해 분사되는 세척수는 상기 분급기(170)를 거쳐 슬러지와 함께 침전조탱크(200)와 농축조탱크(210)를 거쳐 슬러지를 분리시키게 되는데, 이 때 농축과정에서 약품탱크(220)를 통해 응고제를 투여하여 슬러지의 빠른 경화를 촉진시켜 세척수의 빠른 순환을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세척수에 투여되는 응고제는 슬러지의 경화를 촉진시켜 세척수의 재순환을 돕도록 함에 부족함이 없지만 이러한 응고제에 노출된 골재는 시멘트와 배합될 때 잘 혼합되지 않고 박리되는 현상이 발생되었다.
이와 같은 현상은 곧 건축물의 강도약화를 초래하게 되는 치명적인 약점으로서,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히 요구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의 제반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재생골재를 생산함에 있어 슬러지와의 빠른 분리 경화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세척수의 응고제가 제품으로 완성되는 골재에 악영향을 끼치게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제품단계에서 골재에 묻은 응고제를 완전히 세척하도록 하기 위해 별도의 세척라인을 구성하도록 하는 재생골재 제조장치의 골재 세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 은 종래 재생골재 제조장치에서 제조공정을 보인 구성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재생골재 제조장치의 제조공정을 보인 구성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재생골재 세척장치를 발췌 도시한 측면 구성도.
도 4 는 도 3 의 요부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6, 30: 분급기,38: 세척수 탱크,
52: 고정 프레임,54: 분사파이프,
54a: 분사노즐,60: 바이브레이터,
61: 전동모터,62: 망체,
63: 스프링,64: 벨트,
65a, 65b: 풀리,66: 편심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재생골재의 원료로 하는 폐콘크리트가 조크러셔, 콘크러셔, 임팩트크러셔의 다단계 파쇄공정을 거치고, 1차 스크린 및 2차 스크린의 입경 선별공정 및 세척공정을 거친 후 이물질과 분급시키는 분급공정을 거쳐 모래와 자갈 등의 재생골재가 생산되는 한편, 분급공정을 거친 세척수의 재순환을 위해 침전시키고 농축시키는 과정에서 응고제를 투여하여 슬러지를 분리 경화를 촉진시키는 재생골재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정에서 원료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라인과 별도로 구축되는 세척수 탱크와;
상기 세척수 탱크와 분급공정을 거친 제품단계의 골재가 배출되는 방향의 분급기 일측의 고정프레임 간에 연결 설치되어, 배출흐름의 골재에 세척수를 분사 세척하는 세척수 분사파이프와;
상기 세척수 분사 파이프의 하부에 위치되어, 세척수는 분급기 안으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되, 충분히 세척된 골재는 진동에 의해 천천히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바이브레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이에 따른 상기 바이브레이터는 전동모터와; 상기 전동모터와 근접되고 분사파이프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구성되고, 상부에 세척수가 드레인 되는 한편, 골재의 배출흐름방향으로 비스듬한 경사각을 갖는 판상의 망체와; 상기 망체의 하부에, 요동이 가능하도록 탄력지지되는 스프링과; 상기 전동모터의 구동력이 망체에 전달되도록 연결 구성되는 벨트, 풀리; 및 상기 망체 측의 풀리와 축결합되어 전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연동하면서 망체에 요동을 제공하는 편심휠;을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재생골재 제조장치의 제조공정을 보인 구성도이고,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재생골재 세척장치를 발췌 도시한 측면 구성도이며, 도 4 는 도 3 의 요부 확대도이다.
본 고안을 설명하기 전에 본 고안이 적용되는 재생골재 제조장치의 제조공정에 대해 잠시 언급하기로 한다.
먼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골재의 원료인 폐콘크리트를 호퍼(10)에 투입하여 파쇄공정으로 공급을 준비하는 공정을 거치고, 상기 공정으로부터 공급된 원료를 1차 죠크러셔(12)를 거치면서 초기 파쇄하는 공정을 거치며, 원료의 공급흐름 중에 전자 마그넷(14)에 의해 철류 등 자성물질을 제거하는 공정을 거치며, 상기 제3단계를 거친 원료를 2차 죠크러셔(16)에 의해 2차로 파쇄하는 공정을 거치며, 파쇄되어 이동하는 원료 중 1차 스크린(18)의 눈금 25mm 망을 통과한 일부는 2차 스크린(20)으로, 통과하지 못한 일부는 콘크러셔(22)로 투입 재파쇄시켜 다시 1차 스크린(18)으로 이동시키도록 순환하되, 상기 1차 스크린(18)의 상부로 물을 분사시켜 1차로 원료를 세척시키는 공정을 거치며, 상기 단계에서 1차 스크린(18)의 눈금 25mm 망을 통과하여 2차 스크린(20)으로 공급된 원료를 2차로 세척 분사함과 동시에 그 원료 중 2차 스크린(20)에서 5mm 망을 통과하지 못한 일부는 강한 원심력에 의해 원료에 부착된 시멘트 몰탈을 해쇄(解碎)와 마광(摩鑛) 박리(剝離)작용을 통해 이물질을 제거하는 임팩트 크러셔(24)를 거쳐 자갈용 분급기(26)로 보내고, 상기 수평스크린(20)에서 5mm 망을 통과한 일부는 1차 및 2차에 걸쳐 세척수로 사용된 탁수와 함께 일정 경사와 길이를 갖는 슈터(28)를 거치도록 함으로써 탁수의 빠른 조속과 와류에 의해 슈터(28)에 부딪혀 원료에 부착된 시멘트 몰탈을 박리시킨 후 모래용 분급기(30)로 이동시키는 공정을 거치며, 상기 자갈용 분급기(26)와 모래용 분급기(30)로 각각 투입된 재생골재(자갈, 모래)와 슬러지를 분급함과 동시에 물에 부유하는 입자가 작은 이물질을 걸러내는 공정을 거치며, 배출되는 이물질과 탁수를 오수조(32)로 모아 부유하는 이물질을 이물질제거 수차(34)에 의해 제거하고, 이물질이 제거된 탁수에 응고제를 투여 침전, 농축하여 슬러지를 제거한 후 다시 정수시켜 정수조(36)로 보내 1차 스크린(18)과 2차스크린(20)으로 세척수로 사용되도록 순환시키는 공정을 거치며, 마지막으로 상기 자갈용 분급기(26) 및 모래 분급기(30)를 통해 분급된 재생골재를 상기 전공정의 세척수와 다른 별도의 세척수 순환라인을 통해 세척하여 재생골재 표면에 묻은 응고제를 제거하여 제품화하는 공정을 거친다.
상기의 공정 및 장치에서 본 고안의 구성의 핵심은, 상기 분급공정을 거친 제품단계의 재생골재에서 응고제를 제거하기 위한 구체적인 구성에 관한 것이며,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상기 공정에서 원료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라인과 별도로 구축되는 세척수 탱크(38)를 구축한다.
또한 상기 세척수 탱크(38)와 분급공정을 거친 제품단계의 골재가 배출되는 방향의 분급기(26)(30) 일측의 고정프레임(52) 간에 연결 설치되어, 배출흐름의 골재에 세척수를 분사 세척하기 위해 분사노즐(54a)을 갖는 세척수 분사파이프(54)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세척수 분사 파이프(54)의 하부에 위치되어, 세척수는 분급기 안으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되, 충분히 세척된 골재는 진동에 의해 천천히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바이브레이터(60)를 구성한다.
상기 바이브레이터(60)는 전동모터(61)와, 상기 전동모터(61)와 근접되고 분사파이프(54)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구성되고, 세척수는 드레인 되어 분급기(26)(30)내부로 유입되되 골재는 흘러내리지 않고 골재의 흐름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해 골재의 배출흐름방향으로 비스듬한 경사각을 갖는 판상의 망체(62)와, 상기 망체(62)의 하부에, 요동이 가능하도록 탄력지지되는 스프링(63)과, 상기 전동모터(61)의 구동력이 망체(62)에 전달되도록 연결 구성되는 벨트(64), 풀리(65a)(65b) 및 상기 망체(62)측의 풀리(65b)와 축결합되어 전동모터(61)의 구동력에 의해 연동하면서 망체(62)에 요동을 제공하는 편심휠(66)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쇄와 스크린공정을 통해 모래와 자갈입경으로 재생된 재생골재의 원료를 모래용 분급기(26)와 자갈용 분급기(30)를 통해 물에 부유하는 미세입자의 이물질과 슬러지를 분급시킨 다음 분급스크류와 분급된 재생골재를 제품단계과정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스크레이퍼를 통해 고정프레임(52)의 하부에 위치된 본 고안의 바이브레이터(60)의 망체(62)위로 이동시킨다.
상기 바이브레이터(60)에서는 모터(61)의 구동력과 이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벨트(64), 풀리(65a)(65b) 및 상기 벨트(64), 풀리(65a)(65b)의 전달 구동력에 의해 연동하는 편심휠(66)과, 상기 일정 경사각으로 기울어진 망체(62)를 수직방향에서 탄력지지하는 스프링(63)에 의해 요동하면서 분급이 완료된 재생골재를 골재 배출흐름으로 조금씩 이동시킨다.
이와 동시에 세척수 탱크(38)의 공급라인을 거쳐 분사파이프(54)의 분사노즐(54a)을 통해 이동중인 재생골재 위로 깨끗한 세척수가 분사되고, 분사된 세척수에 의해 분쇄, 스크린, 분급공정상에서 공급되는 세척수에 의해 묻게 되는 응고제를 깨끗하게 세척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현상은 곧 건축물의 강도약화를 초래하게 되는 치명적인 약점으로서,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히 요구되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슬러지의 빠른 경화와 세척수순환의 효율성을 위해 부득이하게 첨가되는 응고제를 재생골재의 완성단계에서 완전히 제거되도록 세척단계를 별도로 거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시멘트와 잘 혼합되지 않아 구조물의 강도약화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뿐만 아니라 양질의 재생골재를 생산할 수 있는 초석이 된다.

Claims (2)

  1. 재생골재의 원료로 하는 폐콘크리트가 조크러셔, 콘크러셔, 임팩트크러셔의 다단계 파쇄공정을 거치고, 1차 스크린 및 2차 스크린의 입경 선별공정 및 세척공정을 거친 후 이물질과 분급시키는 분급공정을 거쳐 모래와 자갈 등의 재생골재가 생산되는 한편, 분급공정을 거친 세척수의 재순환을 위해 침전시키고 농축시키는 과정에서 응고제를 투여하여 슬러지를 분리 경화를 촉진시키는 재생골재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정에서 원료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라인과 별도로 구축되는 세척수 탱크와;
    상기 세척수 탱크와 분급공정을 거친 제품단계의 골재가 배출되는 방향의 분급기 일측의 고정프레임 간에 연결 설치되어, 배출흐름의 골재에 세척수를 분사 세척하는 세척수 분사파이프와;
    상기 세척수 분사 파이프의 하부에 위치되어, 세척수는 분급기 안으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되, 충분히 세척된 골재는 진동에 의해 천천히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바이브레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골재 제조장치의 골재 세척장치.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바이브레이터는
    전동모터와;
    상기 전동모터와 근접되고 분사파이프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구성되고, 상부에 세척수가 드레인 될 수 있도록 된 판상의 망체와;
    상기 망체의 하부에, 요동이 가능하도록 탄력지지되는 스프링과;
    상기 전동모터의 구동력이 망체에 전달되도록 연결 구성되는 벨트, 풀리; 및
    상기 망체 측의 풀리와 축결합되어 전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연동하면서 망체에 요동을 제공하는 편심휠;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골재 제조장치의 골재 세척장치.
KR20-2004-0006481U 2004-03-10 2004-03-10 재생골재 제조장치의 골재 세척장치 KR2003530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6481U KR200353062Y1 (ko) 2004-03-10 2004-03-10 재생골재 제조장치의 골재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6481U KR200353062Y1 (ko) 2004-03-10 2004-03-10 재생골재 제조장치의 골재 세척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6204A Division KR100631430B1 (ko) 2004-03-10 2004-03-10 재생골재 제조장치의 골재 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3062Y1 true KR200353062Y1 (ko) 2004-06-14

Family

ID=49431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6481U KR200353062Y1 (ko) 2004-03-10 2004-03-10 재생골재 제조장치의 골재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306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086B1 (ko) 2007-05-07 2008-03-20 두제산업개발(주) 건설폐기물을 파분쇄하여 고강도의 친환경 순환골재를생산하는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086B1 (ko) 2007-05-07 2008-03-20 두제산업개발(주) 건설폐기물을 파분쇄하여 고강도의 친환경 순환골재를생산하는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0762B1 (ko) 진동스크린의 변형구조를 이용한 이물질 분리방법 및 그장치
JP4676245B2 (ja) 再生細骨材の製造方法、並びに、再生細骨材
KR19990066128A (ko) 건설폐기물 처리와 재활용을 위한 중간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CN105478663A (zh) 回收铸造用水玻璃旧砂的装置和方法
KR20070000615A (ko) 건설폐기물의 선별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20020042569A (ko) 폐 콘크리트를 이용한 재생 골재 제조방법 및 장치
KR100521764B1 (ko)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부순모래 제조방법
KR100631430B1 (ko) 재생골재 제조장치의 골재 세척장치
KR100764643B1 (ko)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순환골재의 생산방법 및 그 장치
KR100500135B1 (ko) 폐 콘크리트 폐기물 재활용 방법 및 그 장치
KR100660142B1 (ko) 건식 모래 생산 방법 및 그 시스템
KR19990068788A (ko) 습식공정을이용한건설폐기물재활용방법및장치
KR100810161B1 (ko) 건설폐기물의 중간처리물로부터 몰타르 및 페이스트를제거하기 위한 분리방법 및 그 장치
KR100506369B1 (ko) 건설폐기물의 파/분쇄및 선별장치
KR200353062Y1 (ko) 재생골재 제조장치의 골재 세척장치
KR100615979B1 (ko) 수타방식을 이용한 재생골재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0575106B1 (ko) 재생골재 제조장치의 이물질 제거장치
KR200298430Y1 (ko) 폐 콘크리트를 이용한 재생 골재 제조방법 및 장치
KR100624444B1 (ko) 유류오염 건설폐자재의 재생공법
KR100456716B1 (ko) 재생골재 제조시스템의 이물질 제거장치
KR200311094Y1 (ko) 건설 폐기물을 이용한 재생 세 골재 제조장치
KR200353061Y1 (ko) 수타방식을 이용한 재생골재의 이물질 제거장치
KR20050051428A (ko) 건설폐기물인 폐 콘크리트를 이용한 모래 재생방법 및재생장치
KR100615976B1 (ko) 고품질 재생 골재의 제조방법
JPH10338558A (ja) コンクリート骨材再生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