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2473Y1 - 공압용 마사지기 - Google Patents

공압용 마사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2473Y1
KR200352473Y1 KR20-2004-0006845U KR20040006845U KR200352473Y1 KR 200352473 Y1 KR200352473 Y1 KR 200352473Y1 KR 20040006845 U KR20040006845 U KR 20040006845U KR 200352473 Y1 KR200352473 Y1 KR 2003524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ad
pneumatic
variable
inj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68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일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우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우메디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우메디칼
Priority to KR20-2004-00068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24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24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24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00Pneumatic or hydraulic massage
    • A61H9/005Pneumatic massage
    • A61H9/0078Pneumatic massage with intermittent or alternately inflated bladders or cuf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201/1215Rotary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07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변용 공기주입장치를 개량 고안하여 조립성과 마사지기능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사용 후 충진된 공기를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보관성에 있어서도 기능을 향상시킨 공압용 마사지기의 가변 공기 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같은 본 고안은, 복수개의 튜브실이 연결 형성되며 각각의 튜브실 일측에 공기주입구가 설치된 가압식 공기패드와, 상기 가압식 공기패드의 공기주입구에 출력콘넥터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가압식 공기패드에 가변적으로 공기를 공급 및 배출하는 가변 공기주입장치와, 상기 가변 공기주입장치에 연결되어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압모터로 구성된 공압용 마사지기에 있어서; 상기 가변 공기주입장치와 공기압모터 사이에, 상기 가압식 공기패드를 사용한 후 공기패드에 충진된 공기를 신속하게 토출시킬 수 있도록 공기배출밸브가 추가로 설치하고, 상기 공기압모터의 작동시 공기배출밸브가 차단되며 상기 공기압모터의 정지시 공기배출밸브가 개방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전동모터가 상기 공기압모터 정지후에도 일정시간동안 구동한 다음 정지되도록 프로그래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압용 마사지기{Air massage device}
본 고안은 공압용 마사지기의 가변 공기 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변용 공기주입장치를 개량 고안하여 조립성과 마사지기능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사용 후 충진된 공기를 또한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보관성에 있어서도 기능을 향상시킨 공압용 마사지기의 가변 공기 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선원의 공지한 공압용 마사지장치로서, 실용신안등록 제156589호를 예시하고 있다. 선원의 등록고안에 따르면, 내피와 외피로 겹쳐지고 여러개의 공기실을 유지한체 신체의 일부에 삽입 또는 감기어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가압부(4)를 가지고 있다. 이같은 가압부(4)는 외부에서 공기주입장치(3)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압으로 부풀려지는 것으로서, 상기 복수개의 공기실 각각에는 흡,토출부(5)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흡,토출부(5)에는 공기를 번갈아 공급하기 위해 가변용 공기주입장치(3)가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공기주입장치(1)는, 하우징(10)의 내측으로 공기 가이드홈부(22)와 배출홈(36) 및 압력유지부(26)로 구성되는 가동부재(2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흡,배출부(5)에 호스로 연결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연결구(32)가 형성된 고정부재(30)를 구비하되, 상기 연결구(32)의 내측으로 공기 유입홈부(32a)가 형성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같은 공기주입장치(1)는, 사용자가 신체 일부에 공기패드(1)를 착용한 상태에서 공기주입장치(3)를 통해 가변적으로 공기를 공급하게 되면, 공기패드(1)의 각부위에 팽창과 수축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져 마치 신체를 지압과 마사지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공기주입장치는 하우징(10) 내측으로 설치되는 가동부재(20)와 상기 가동부재(20)와 인접하게 설치되는 고정부재(30)로 구성되며, 상기 공기주입장치(3)를 이용해 공기패드에 공기를 공급과 배출시키기 위해서는 가동부재(2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 고정부재(3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가동부재의 공기 가이드홈부(22)에서 고정부재의 연결구(32)에 가변적으로 공기를 공급하여 공기패드(1)를 팽창시키게 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공기 가이드홈부(22)의 시계방향 일측에 위치한 배출구(24)는 이미 충진되어 있는 공기패드(1)의 공기를 배출구(24)를 통해 일정량 배출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 공기패드(1)에 공기를 공급과 배출하는 과정에서 고정부재의 각 연결구(32)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고정부재의 공기 유입홈부(32a)에 충진된 상태에서 가동부재의 배출구(24)를 통해 배출됨에 따라, 공기패드(1)에 충진된 상당량의 공기가 과다하게 배출되어 공기패드(1)에 새로운 공기를 다시 신속하게 공급하기 어려워 지압 및 마사지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말해, 상기 공기주입장치(3)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고정부재의 연결구(32)로 공급한 후, 공기 가이드홈부(22) 일측에 형성된 배출구(24)를 통해 소량의 공기를 공기패드(1)에서 하우징(10) 외측으로 배출하여 공기패드(1)를 확장및 축소함에 따라 신체에 순차적인 지압효과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상기 고정부재의 공기 유입홈부(32a)에 충진된 공기는 배출구(24)를 통해 배출과 동시에 상기 공기 유입홈부(32a)에는 공기패드(1)로부터 배출된 새로운 공기가 다시 충진되고, 상기 충진된 공기는 압력조절을 위해 가동부재의 압력유지부(26) 내에서 상호 연통되면서 소량 누출됨으로써, 공기패드(1)로부터 불필요하게 많은 양의 공기를 누출하여 순간적으로 공기패드(1)에 공기를 공급하기 어려운 것이다.
또한 상기 공기패드로부터 고정부재의 연결구(32)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가동부재의 배출구(24)를 통해 가동부재 외면으로 빠져나와 하우징(10) 내주면을 따라 전동모터의 구동축이 유입되는 가동부재(20) 후방이나 고정부재(30)가 결합된 하우징(10) 전방으로 배출된다.
하지만, 상기 하우징(10) 단부에 설치된 고정부재(30)를 통하여 공기가 배출될 때에는 공기의 원할한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고정부재(30) 외주면에 공기배출홈(36)이 형성되어, 하우징(10)에 결합시 나사 결합이나 억지 끼움형태와 같은 안정적인 결합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됨으로, 상기 고정부재(30)와 하우징(10) 외측면에는 별도의 플랜지부(38,38')를 복수개 형성한 후 각각 볼트 체결이 이루어져 조립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는 상기 공기마사지를 조립하는 과정이 전부 작업자의 손을 거쳐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조립성의 저하로 인해 생산원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공기 마사지기는 사용 후 공기 마사지기에 충진된 공기를 단시간안에 빼내어 일정장소에 보관해야 하나, 상기 공기 마사지기로부터 공기를신속하게 빼내기 위해서는 공기패드의 흡 토출부(5)에서 연결된 호스를 각각 분리하여 공기를 빼낸 후 다시 연결해야 하는 등 상당히 번거로운 불편함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공지한 가변용 공기주입장치를 개량 고안하여 조립성과 마사지기능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상기 공압용 마사지기를 사용 후 충진된 공기를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보관성에 있어서도 향상된 공압용 마사지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가변용 공기주입장치를 구성하는 가동부재의 배출구를 관통 형성하여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고정부재를 하우징에 편리하게 결합할 수 있어 조립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조립성 증대를 통해 공기패드에 공급되는 공기를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는 공압용 마사지기의 가변 공기 주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사용되고 있는 공압용 마사지기의 전체 개략도.
도 2는 도 1의 가변 공기주입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공압용 마사지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일측 결합 단면도.
도 5a,5b는 본 고안에 따른 공압용 마사지기의 가변 공기 주입장치가 작동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공압용 마사지기가 동작되는 상태를 보인 개략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공압용 마사지기가 정지된 상태를 보인 개략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공압용 마사지기의 컨트롤장치 전기회로 블럭도.
<도면 각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공기패드, 42,44: 튜브실, 42a,44a: 공기주입구, 45: 출력커넥터, 50: 하우징, 52: 유입홈, 54: 나사산, 56: 연결부재, 58: 거치대, 60: 고정부재, 62: 나사산, 64a,64b,64c,64d,64e,64f: 연결구, 66: 공기공급 연결구, 70: 가동부재, 72: 공기가이드홈, 74: 배출공, 75: 전동모터, 80: 공기주입장치, 85: 연결관, 90: 공기압모터, 95: 공기배출밸브, 100: 컨트롤장치, 110: 전원부, 120: 감지센서, 130: 중앙제어장치, 140: 제어부
이와 같은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복수개의 튜브실이 연결 형성되며 각각의 튜브실 일측에 공기주입구가 설치된 가압식 공기패드와, 상기 가압식 공기패드의 공기주입구에 출력콘넥터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가압식 공기패드에 가변적으로 공기를 공급 및 배출하는 가변 공기주입장치와, 상기 가변 공기주입장치에 연결되어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압모터로 구성된 공압용 마사지기에 있어서; 상기 가변 공기주입장치와 공기압모터 사이에, 상기 가압식 공기패드를 사용한 후 공기패드에 충진된 공기를 신속하게 토출시킬 수 있도록 공기배출밸브가 추가로 설치하고, 상기 공기압모터의 작동시 공기배출밸브가 차단되며 상기 공기압모터의 정지시 공기배출밸브가 개방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전동모터가 상기 공기압모터 정지후에도 일정시간동안 구동한 다음 정지되도록 프로그래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같은 본 고안의 상기 가변 공기주입장치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하우징과 나사결합되어 밀폐된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수용공간 내부에 설치되며 일면에 공기 가이드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부와 인접한 일측에는 상기 고정부재의 둘레를 따라 배열되는 다수개의 연결구를 순차적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배출공이 형성된 가동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공압용 마사지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일측 결합 단면도이며, 도 5a,5b는 본 고안에 따른 공압용 마사지기의 가변 공기 주입장치가 작동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공압용 마사지기가 동작되는 상태를 보인 개략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공압용 마사지기가 정지된 상태를 보인 개략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공압용 마사지기의 컨트롤장치 전기회로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튜브실(42,44)이 연결 형성되며 각각의 튜브실(42,44) 일측에 공기주입구(42a,44a)가 설치된 가압식 공기패드(40)와, 상기 공기패드(40)에 연결 설치되는 가변 공기주입장치(80)와, 상기 가변공기주입장치(80)에 연결되어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압모터(90)와, 상기 가변 공기주입장치(80)와 공기압모터(90)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공기배출밸브(9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공기패드(40)는 복수개의 튜브실(42,44)이 연결 형성되어 제조된 것으로, 각각의 튜브실(42,44) 일측에는 공기주입구(42a,44a)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공기패드(40)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충분히 감싸는 길이와 내경으로 제조되며, 공기패드(40)가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 일부에 잘 맞도록 조절수단(미도시)을 공기패드 일측에 구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같은 공기패드(40)에는 공기주입구(42a,44a)에 출력콘넥터(45)를 통해 연결되어 공기를 가변적으로 공급 및 배출시키도록 가변 공기주입장치(100)가 연결 설치된다.
상기 공기주입장치(80)는 일면에 전동모터(75)의 구동축이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홈(52)이 형성된 하우징(50)과 상기 하우징(50) 선단에 결합되는 고정부재(60)와 상기 하우징(50) 내부에 수용되며 고정부재(60) 내측면과 면접촉되는 가동부재(70)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50)은 내부에 수용공간부가 형성되고 개구된 선단에는 나사산(5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입홈(52)에는 전동모터의 구동축이 유입된 상태에서 연결부재(56)가 하우징(50) 내측으로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50)의 외주면에는 하우징(50)이 지면에 안정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거치대(58)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50)의 개구된 선단에는 일면에 연결구(64)가 돌출 형성되고, 외주면에 나사산(62)이 형성된 고정부재(60)가 하우징(50) 선단과 결합하여 상기 하우징(50) 내부에는 밀폐된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구(64a,64b,64c,64d,64e,64f)는 공기패드의 튜브실 갯수와 동일한 갯수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60)가 하우징(50)에 결합된 상태에서 원주를 중심으로 분할되게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구(64a,64b,64c,64d,64e,64f)의 중앙은 공기를 공급 및 배출하기 위해 관통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부재(60)의 중앙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공기공급 연결구(6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50) 내부에는 고정부재(60)의 내측면과 가동부재(70)가 면접촉되도록 삽입되며, 상기 가동부재(70)의 이면에는 전동모터(75)의 구동축에 연결부재(56)가 결합되어 전동모터(75)의 구동력으로 연결부재(56)를 회전시켜 가동부재(70)를 동시에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가동부재(70)는 연결부재(56)에 의해 회전됨에 있어 하우징(50) 내주면과 마찰이 발생하지 않는 직경을 유지하며 형성되고, 일면에는 전체 형상이 'T' 형상을 이루는 공기 가이드홈(7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기 가이드홈(72)의 인접한 위치에는 배출공(7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공(74)은 공기 가이드홈(72)을 중심으로 한개가 천공되어도 무방하지만 지압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공기 가이드홈(72) 양측에 각각 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 가이드홈(72)과 배출공(74)의 형성 위치는 전술한 고정부재(60)의연결구(64a,64b,64c,64d,64e,64f)의 형성 위치와 동일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원주를 중심으로 분할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가동부재(70)의 공기 가이드홈(72)이 고정부재(60)의 연결구(64a)와 동일한 각도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배출공(74) 또한 상기 고정부재(60)의 연결구(64b,64c,64d,64e,64f)와 다른 각도를 유지하며 상호 연통된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가동부재(70)가 회전하면서 상기 고정부재(60)의 연결구(64a,64b,64c,64d,64e,64f)에 공기를 각각 순차적으로 공급 및 배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공기 가이드홈(72)과 배출공(74)과 상호 연통되지 않은 복수개의 연결구(64b,64c,64d,64e)는 고정부재(60)에 면 접촉되도록 설치된 가동부재(70)의 외면에 의해 공기 유출이 차단된 상태가 됨으로, 공기패드(40)에 충진된 공기는 공기 가이드홈(72)과 배출공(74)을 통해서만 순간적으로 공급 및 배출된다.
이렇게 가변 공기주입장치(80)는 공기패드에 공기를 가변적으로 공급 및 배출시켜 공기패드(40)를 착용한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마사지할 수 있게 되는데, 상기 가변 공기주입장치(80)에는 공기압모터(90)가 연결 설치되어 외부 공기를 공기패드(40)에 공급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공기압모터(90)와 가변 공기주입장치(80) 사이에는 사용자가 더이상 마사지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공기패드(40)에 충진된 공기를 신속하게 빼내어 일정장소에 보관이 용이하도록 공기배출밸브(95)가 연결 설치된다.
상기 공기배출밸브(95)는 공기압모터(90)에서 가변 공기주입장치(80)로 공기를 공급하는 연결관(85) 일측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공기압모터(90)가 작동을 시작하게 되면 공기배출밸브(95)는 공기의 유출이 없도록 차단된 상태가 되며, 반대로 공기압모터(90)가 작동을 멈추게 되면 공기배출밸브(95)는 개방되어 공기패드(40)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가변 공기주입장치의 공기공급연결구(66)를 통해 공기압모터(40)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공기배출밸브(95)를 통해 유출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이러한 일연의 과정은 프로그래밍된 컨트롤장치(100)를 통해 제어되는데, 상기 컨트롤장치(100)는 전원부(110)에서 전원을 공급받으면 스위칭 작동에 따라 공기압모터(90)와 전동모터(75)에도 동시에 전원이 공급되어 작동이 시작된다.
이후, 사용자가 컨트롤장치(100)에서 스위치를 조작하여 전원을 오프시키면 컨트롤장치(100)에 구비되는 타이밍기능을 통해 전원은 곧바로 오프되지 않고 감지센서(120)가 공기압모터의 정지상태를 확인한 후, 이러한 상태를 중앙제어장치(130)에 송신하여 상기 중앙제어장치(130)는 제어부(140)를 통해 전동모터(75)를 몇초 내지 몇분간 동안 작동시키게 된다.
이렇게 전동모터(75)가 작동되어 가동부재(70)를 회전시키게 되면, 공기패(40)드에 충진된 공기는 공기패드(40)에 가해지는 공압이 제거되어 공기공급 연결구(66)를 통해 공기가이드홈(72)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이동된 공기는 배출공(74)을 통해 하우징(50) 외측으로 배출되며, 상기 공기가이드홈(72)으로 이동된 공기중에서 일부는 공기공급 연결구(66)와 연결된 연결관(85)으로 이동하여 공기배출밸브(95)를 통해 외부로 유출됨으써, 상기 공기패드(40)에 충진된 공기는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공압용 마사지기는 조립성과 마사지기능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상기 공압용 마사지기를 사용 후 충진된 공기를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보관성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가변용 공기주입장치를 구성하는 가동부재의 배출구를 관통 형성하여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고정부재를 하우징에 편리하게 결합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만족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복수개의 튜브실이 연결 형성되며 각각의 튜브실 일측에 공기주입구가 설치된 가압식 공기패드와, 상기 가압식 공기패드의 공기주입구에 출력콘넥터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가압식 공기패드에 가변적으로 공기를 공급 및 배출하는 가변 공기주입장치와, 상기 가변 공기주입장치에 연결되어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압모터로 구성된 공압용 마사지기에 있어서;
    상기 가변 공기주입장치와 공기압모터 사이에, 상기 가압식 공기패드를 사용한 후 공기패드에 충진된 공기를 신속하게 토출시킬 수 있도록 공기배출밸브가 추가로 설치하고, 상기 공기압모터의 작동시 공기배출밸브가 차단되며 상기 공기압모터의 정지시 공기배출밸브가 개방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전동모터가 상기 공기압모터 정지후에도 일정시간동안 구동한 다음 정지되도록 프로그래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용 마사지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공기주입장치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하우징과 나사결합되어 밀폐된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수용공간 내부에 설치되며 일면에 공기 가이드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부와 인접한 일측에는 상기 고정부재의 둘레를 따라 배열되는 다수개의 연결구를 순차적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배출공이 형성된 가동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용 마사지기.
KR20-2004-0006845U 2004-03-12 2004-03-12 공압용 마사지기 KR2003524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6845U KR200352473Y1 (ko) 2004-03-12 2004-03-12 공압용 마사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6845U KR200352473Y1 (ko) 2004-03-12 2004-03-12 공압용 마사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2473Y1 true KR200352473Y1 (ko) 2004-06-04

Family

ID=49431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6845U KR200352473Y1 (ko) 2004-03-12 2004-03-12 공압용 마사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247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6158B1 (ko) * 2023-03-03 2023-06-21 이정목 온도센서를 갖는 사용자 맞춤형 교정 헬멧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6158B1 (ko) * 2023-03-03 2023-06-21 이정목 온도센서를 갖는 사용자 맞춤형 교정 헬멧
KR102569753B1 (ko) * 2023-03-03 2023-08-22 이정목 내측 구조의 변형이 가능한 교정 헬멧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14448A (ko) 다양한 기능을 갖는 샤워기 헤드
CN101450345A (zh) 手持式电动清洗机
CN1956693B (zh) 用于水疗按摩沐浴的喷头
KR200352473Y1 (ko) 공압용 마사지기
US20190120216A1 (en) Electric-driven air pump
US5795476A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BR0113203B1 (pt) sistema de resfriamento para motor de válvula rotativa.
US20230329966A1 (en) Air passage unit, air passage system, pool body, and massaging pool
KR100436725B1 (ko) 급수 밸브
KR200192373Y1 (ko) 분수용 공압밸브장치
KR100476465B1 (ko) 전동칫솔
CN220899101U (zh) 伸缩旋转负压按摩器
CN113089249B (zh) 一种洗衣机及其控制方法
CN115486426B (zh) 止漏装置及喷洒无人机
KR19990054663A (ko) 식기세척기
US11865003B2 (en) External hydraulically erectable phallus prosthetic device
KR100557453B1 (ko) 4웨이 밸브
KR200244640Y1 (ko) 일방향 밸브
KR102034414B1 (ko) 회동체결구조를 갖는 수도용 앵글밸브
JP2595890Y2 (ja) 衛生洗浄装置におけるノズル装置
CN211587121U (zh) 一种残留水排出装置
KR101633857B1 (ko) 에어펌프
CN109424514B (zh) 电动打气机
KR200401685Y1 (ko) 튜브의 공기주입구 구조
KR20200047986A (ko) 건타입 수중코팅 분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