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6158B1 - 온도센서를 갖는 사용자 맞춤형 교정 헬멧 - Google Patents

온도센서를 갖는 사용자 맞춤형 교정 헬멧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6158B1
KR102546158B1 KR1020230028794A KR20230028794A KR102546158B1 KR 102546158 B1 KR102546158 B1 KR 102546158B1 KR 1020230028794 A KR1020230028794 A KR 1020230028794A KR 20230028794 A KR20230028794 A KR 20230028794A KR 102546158 B1 KR102546158 B1 KR 102546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elmet
head
air injection
sensor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8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목
Original Assignee
이정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목 filed Critical 이정목
Priority to KR1020230028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6158B1/ko
Priority to KR1020230076131A priority patent/KR1025697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6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6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83Splints for the neck or head
    • A61F5/05891Splints for the neck or head for the head, e.g. jaws, no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상부가 개방되고, 두상의 측면 둘레만을 둘러쌀 수 있도록 형성되는, 교정 헬멧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온도센서를 갖는 사용자 맞춤형 교정 헬멧{CRANIAL REMOLDING HELMET}
본 발명은 온도센서를 갖는 사용자 맞춤형 교정 헬멧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생아의 두개골은 뇌보다 작은 여러 개의 뼈로 이루어져 있고 각각의 뼈 조각은 서로 떨어져 있다. 이때, 뼈와 뼈 사이는 봉합선으로 연결되어 있고, 이 봉합선은 일명 우리가 말하는 숨구멍으로 보통 대천문, 소천문이라 일컬어진다.
이러한 두개골은 출생후 뇌가 빠른 속도로 자라게 되므로 이에 맞추어 머리뼈도 자라게 되는데, 보통 뇌보다 작은 여러 개 뼈의 끝부분이 뇌보다 더 빠른 속도로 자라게 된다.
그리하여, 생후 1~2세가 되면 머리뼈는 뇌 크기 또는 그보다 크게 자라게 되고, 뇌보다 더 커진 머리뼈는 인접한 작은 머리뼈들끼리 모두가 붙게 되며(봉합선이 없어짐), 붙은 후에는 각각의 뼈 조각에서 끝이 없어지면서 생후 약 18개월부터 점차 칼슘화되어 딱딱해지며 굳게 되어 초기 태어났을 때의 연성이 없어지게 된다.
그런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두개골의 뼈가 굳지 않는 약 18개월 이하 유아의 경우 두상이 눕히는 지속적인 자세에 따라서 두상 변형이 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두상 변형을 교정하기 위해 성형외과, 소아과, 신경외과, 재활의학과의 담당 전문의들은 보통 맞춤형 교정모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원리로 두상 교정모는 유아의 머리뼈가 굳기전인 약 생후 18개월 이전에 전문의가 시행할 수 있지만 유아들의 성장 발육에 따라 교정가능한 시기에 있어 편차가 생길 수 있다.
그런데, 앞서 언급했듯이 유아의 두상 변형은 크게 질병으로 인한 두상 변형과, 두상이 놓인 자세로 인한 두상 변형으로 구분되는데, 후자의 경우는 교정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먼저, 전자의 경우는 두개골이 자라는 머리뼈 자체에 이상이 있어서 두개골이 자라지 않거나 이상한 모양으로 자라는 두개골 유합증과, 뇌에 이상이 있어서 두개골이 자라지 않는 소두증과, 뇌에 물이 차서 두개골의 뼈에 이상이 생기는 수두증 등이 있는 바, 이들은 교정모로 두상 변형의 교정이 불가능하며 두상 수술을 해야 하는 경우이다.
그리고, 후자의 경우로는, 선천적인 요인과 후천적인 요인으로 나뉘는데 선천적인 요인으로 다산(Multi-births, 쌍둥이 이상)인 경우 자궁이 협소한 관계로 자궁속에 있는 아기의 두상이 자궁속에서 압력을 받아 변형이 올 수 있으며, 분만중 산고가 길어지면 유아가 산관(Birth trauma)에 있는 시간도 길어져 두상 변형이 생기는 것을 들 수 있고, 후천적인 요인으로는 자세성 변형(Positional deformity)을 들 수 있는데, 이는 유아의 잠자는 자세(Sleeping position), 목근육의 이상으로 발생하는 사경(Torticollis)인 경우 두상이 어느 한쪽으로 지속적으로 유지될 때 두상 변형이 생길 수 있으며, 또한 유모차나 카시트 등 딱딱한 기구에 장기간 두상의 한쪽이 유지될 때 두상 변형이 생길 수 있다.
덧붙여, 선천적인 두상 변형은 의학적으로 대개 생후 약 4주 이내에 두상 변형이 정형으로 되돌아오지만, 현재 의학계 자료에 의하면 약 5~10% 정도에서 유아들은 두상 변형이 유지된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또한 질병이 아닌 선천적인 두상 변형이나 후천적인 두상변형의 경우 둘 다 심한 경우 두상 변형으로 인해 유아의 안면비대칭, 사시, 윗이와 아랫이가 맞지 않는 부정교합, 그리고 뇌의 발달장애를 초래할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두상 변형은 교정되어야 하는데, 그 교정 방법으로는 크게 세가지가 알려져 있다.
첫째, 자세 교정법이 그것이며, 치료 방법으로는 생후 3개월 이전의 목을 가누기 이전 시기에 조기 발견된 경우에 해당되고, 두상 자세 교정이나 베개 등에 의한 두개골 위치를 인위적으로 위치시켜줌으로써 두상 변형을 교정하는 방법을 말한다.
둘째, 교정모(Cranial Remolding Orthoses)에 의한 방법으로, 이 방법은 미국에서 1979년 Dr. Clarren에 의해서 처음 시술되었으며, 의사의 주관하에서 시행되는 안전한 교정 방법인 바, FDA의 공인을 받아서 현재 미국에서 매년 수만명의 유아들이 교정모를 통한 두상 변형의 교정을 받고 있다.
셋째, 수술적 치료가 있는데, 이 경우는 심한 장애를 초래하지 않는다면 시행하지 않는 방법이다. 왜냐하면, 두개골이라는 특수성과 유아라는 조건 때문에 수술로 인한 부작용 발생의 위험부담이 높다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국내에서도 교정모를 이용하기 위한 선행기술로, 등록실용 제200615호(2000.08.10) "두형 교정모"가 개시된 바 있으며, 등록실용 제437272호(2007.11.12) "경첩을 부착한 덮개식 착용 두상 교정모"가 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이들 개시 기술들은 외국 사례에 비추어 매우 미진한 상태에 있으며, 두형모의 구조와 체결구조가 복잡하고 번거로워 더 많은 개선이 요구되고 있는 바, 예컨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여러가지 요건들을 감안하여 제조하기 쉽고 착용하기 용이하며 안전한 교정모 제조를 위한 연구가 절실히 요청되고 있다.
종래에는 석고 캐스트를 이용하여 교정모를 제작하였는데, 이 경우에는 병원에서 의사의 진단을 받은 후 석고 캐스트를 위해 병원밖 별도의 공간으로 이동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고, 또 석고 캐스트 작업시 유아의 얼굴에 석고가 묻을 수 있어 불쾌감을 줄 뿐만 아니라, 석고 작업후 유아를 씻겨야 하고, 적어도 1시간 이상 작업해야 하기 때문에 지루하고 특히, 유아의 경우는 견디기 어려우며, 또 석고 캐스트를 위한 전문인력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아울러, 미국 FDA 규정에 의하면 생후 18개월 이전의 유아들은 성장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두상 캐스트 작업후 적어도 14일 이내에 완성된 교정모를 씌워야 하는데 캐스트 장소와 교정모 제작소간 장소적 제약으로 인해 상기 기간을 지키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되게 된다.
한편, 개시된 교정모 제품들은 대부분 유아의 머리를 완전히 감싸 밀폐하는 형태로 제작되기 때문에 하절기와 같이 기온이 급증하는 날씨에는 유아의 머리에 착용된 교정모 내부 온도가 급상승될 우려가 높고, 이 경우 유아의 두부에서는 과도한 땀이 발생되게 되는데 이는 피부 습진이나 발진, 땀띠 등을 일으켜 유아의 두피를 손상시키거나 짖무르게 하는 등 많은 병리 현상을 일으키게 된다.
특히, 착용자의 연령이 주로 생후 3개월에서 약 18개월 사이인 점을 감안할 때 자신의 의사표현이 어렵기 때문에 부모나 보호자는 교정모를 착용한 유아의 두부 상태를 쉽게 파악하기 힘들고 이는 상술한 문제를 더욱 가속화시키는 요인중 하나이기도 하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실시간으로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여 모니터링하는 교정 헬멧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내측 구조의 변형이 가능하도록 구현된 교정 헬멧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교정 헬멧은 상부가 개방되고, 두상의 측면 둘레만을 둘러쌀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편, 헬멧 형태로 형성되되, 착용시 정수리 부분이 보일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어 두상의 측면 둘레만을 둘러쌀 수 있도록 형성되고, 측면부에 상하 방향으로 절단된 절단부에 의해 양쪽 부분으로 구분되고, 양쪽으로 벌어지면서 개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본체부; 및 상기 절단부에 의해 절단된 본체부의 양쪽 부분을 연결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착용자의 두피와 맞닿는 내피; 상기 내피의 외부에 형성되는 외피; 및 상기 내피 및 상기 외피 사이에 내장되고, 소정 위치에 외부 장치로부터 공기를 주입 받기 위한 공기 주입구를 형성하고, 공기 주입 여부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하는 공기 주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일측에 삽입 홈을 형성하고, 타측에 상기 삽입 홈에 삽입 체결되는 삽입 바아를 형성한 복수의 헬멧 블록 간의 조립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헬멧 블록은, 각각 상기 공기 주입부가 내장되어 팽창 또는 수축에 의해 착용자의 두상에 맞추어 내부 현상을 변경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공기 주입구는, 상기 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일측에 주입공을 형성하고,
상기 공기 주입부는, 상기 공기 주입구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홈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되고, 외부 제어 신호를 인가 받는 경우,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공기 주입구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홈에 삽입되는 결합 돌기가 내주면에 마련된 링 부재; 및 상기 링 부재의 개방된 면을 차단하도록 마련되는 원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원판 부재는, 회전 운동되는 링 부재에 의해 상기 주입공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공기 주입구에서 상기 주입공이 형성된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돌기; 및 상기 돌기로부터 상기 원판 부재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링 부재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주입공과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공기 주입부로부터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원주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실시간으로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여 보호자가 헬멧을 착용한 유아의 신체 온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나아가 온도 변화에 따른 알람을 발생시켜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내측 구조의 변형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 맞춤형 내측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 헬멧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의 일 부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정 헬멧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주입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 헬멧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 헬멧(100)은 헬멧 형태를 지니고 있으며 두상을 둘러쌈으로써 선천적 또는 후천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두상 기형을 표준 형태로 개선시켜 줄 수 있다.
교정 헬멧(100)은 전체적으로는 헬멧 형태로 형성되되, 상부가 개방되어 있어 착용시에 정수리 부분이 보일 수 있고, 두상의 측면 둘레만을 둘러쌀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교정 헬멧(100)은 본체부(110) 및 체결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10)는 전체적으로는 헬멧 형태로 형성되되,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두상의 측면 둘레만을 둘러쌀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110)는 측면부에 상하 방향으로 절단된 절단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체부(110)는 절단부(120)를 중심으로 양쪽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절단부(120)에 의해 벌어지면서 개방이 가능하다. 따라서, 착용자는 절단부(120)를 통해 본체부(110)를 개방하여 착용함으로써 두상 위에서부터 아래쪽으로 착용할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사용시 불편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체결부(130)는 절단부(120)에 의해 절단된 본체부(110)의 양쪽 부분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체결부(130)는 벨크로로 적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체부(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 홀(115)을 형성할 수 있다.
관통 홀(115)은 본체부(110)의 내외부의 통풍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장기간 본체부(110)를 착용하더라도 쾌적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체부(110)는 공기 주입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10)는 착용자의 두피와 맞닿는 내피 및 내피의 외부에 형성되는 외피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주입부(150)는 내피 및 외피 사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소정 위치에 외부 공기 주입 장치로부터 공기를 주입받기 위한 공기 주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체부(110)는 공기 주입부(150)에 공기가 주입되는 경우 팽창하고, 공기 주입부(150)로부터 공기가 배출되는 경우 수축할 것이다.
이와 같은 본체부(110)는 착용자의 두상에 맞추어 팽창 또는 수축함으로써 사용자 맞춤형 교정 효과를 갖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의 일 부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체부(110)는 구획부(111)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역으로 나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체부(110)는 구획부(111)에 의해 제1 영역(111a) 및 제2 영역(111b)으로 나뉠 수 있다.
이때, 제1 영역(111a) 및 제2 영역(111b)는 각각 공기 주입 제어가 가능한 공기 주입부(150)가 내장될 수 있으며, 착용자의 두상 형상, 크기에 맞추어 영역별로 공기 주입부(150)로의 공기 주입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 맞춤형 내부 형상을 구현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10)는 복수의 헬멧 블록(112)의 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헬멧 블록(112)은 일측에 삽입 홈(112a)을 형성하고 타측에 삽입 홈(112a)에 삽입 체결되는 삽입 바아(112b)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10)는 이와 같은 복수의 헬멧 블록(112)의 결합으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헬멧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각 헬멧 블록(112)에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공기 주입부(150)가 내장될 수 있으며, 공기 주입부(150)로의 공기 주입 여부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체부(110)는 복수의 헬멧 블록(112)의 조립으로 전체적인 크기를 사용자의 두상에 맞추어 변경할 수 있으며, 나아가 공기 주입부(150)로의 공기 주입 제어에 따라 그 내부 형상을 사용자 맞춤형으로 구현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정 헬멧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정 헬멧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교정 헬멧(100)의 구성에 더하여 온도 센서(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센서(180)는 본체부(110)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착용자의 신체 온도를 감지한 센서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온도 센서(180)는 감지한 센서 데이터를 외부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서버(200)는 온도 센서(180)로부터 센서 데이터를 소정 주기로 수신할 수 있으며, 센서 데이터와 임계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다. 예컨대, 임계 데이터는 36.7도 이상 37.4도 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
외부 서버(200)는 센서 데이터가 임계 데이터를 초과하는 경우, 미리 저장된 보호자의 이동 단말로 알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서버(200)는 소정 기간 내에 센서 데이터가 임계 데이터 이하로 떨어지지 않는 경우, 이동 단말로 알람 메시지를 전송하고, 공기 주입부(150)로부터 공기가 배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공기 주입부(150)는 외부 제어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공기 주입구가 개방 제어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본체부(110)가 수축됨에 따라 내부 공간이 확보되어 공기가 순환됨으로써 신체 온도가 낮춰지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정 헬멧은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교정 헬멧(100)의 구성에 더하여 소리를 감지하는 소리 센서, 가속도 센서 및 습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소리 센서는 소리의 크기를 판별하여 소리 센서 데이터 SS를 생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소리의 크기가 기준치를 초과하면 SS=1이고, 소리의 크기가 정상 범위 안에 있을 경우, SS=0으로 산출될 수 있다.
가속도 센서는 움직임의 변화 정도를 산출하여 움직임 센서 데이터 SG를 생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움직임의 변화 정도가 기준치를 초과하면 SG=1이고, 움직임의 변화 정도가 정상 범위 안에 있을 경우 SG=0으로 산출될 수 있다.
습도 센서는 습도를 측정하여 습도 센서 데이터 P1을 생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습도가 기준치를 초과하면 P1=1이고, 습도가 정상 범위 안에 있을 경우 P1=0으로 산출될 수 있다.
온도 센서(180)는 온도를 측정하여 온도 센서 데이터 P2를 생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온도가 기준치를 초과하면 P2=1이고, 온도가 정상 범위 안에 있을 경우 P2=0으로 산출될 수 있다.
소리 센서, 가속도 센서, 습도 센서 및 온도 센서(180)는 생성한 센서 데이터를 소정 주기로 외부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서버(200)는 소리 센서, 가속도 센서, 습도 센서 및 온도 센서(180)로부터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아래 수학식 1에 따라 위험도를 산출하고 알람 메시지 전송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23024980350-pat00001
수학식 1에서 ST는 ST=SSXSG로 산출될 수 있으며, P1은 습도 센서 데이터, P2는 온도 센서 데이터, SS는 소리 센서 데이터, SG는 움직임 센서 데이터로 정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학식 1에 따르면 위험도는 각 상황에 따라서 0 내지 3점으로 산출될 수 있으며, 점수가 높아질수록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외부 서버(200)는 위험도 점수가 1점으로 산출되는 경우, 제1 시간 동안 위험도 점수의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제1 시간 동안 위험도 점수가 유지 또는 증가하는 경우, 알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서버(200)는 위험도 점수가 2점으로 산출되는 경우, 제1 시간 보다 짧은 제2 시간 동안 위험도 점수의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제2 시간 동안 위험도 점수가 유지 또는 증가하는 경우, 알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서버(200)는 제2 시간 동안 위험도 점수가 1로 감소하는 경우, 제1 시간 동안 위험도 점수의 변화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외부 서버(200)는 위험도 점수가 3점으로 산출되는 경우, 알람 메시지를 전송하고, 공기 주입부(150)로부터 공기가 배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소리 발생 여부, 진동 발생 여부, 습도, 온도 등의 다양한 주변 환경 요소를 반영하여 위험도를 산출함으로써 위험도 산출의 정확도를 높여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으며, 원격으로 적절한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헬멧 사용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주입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공기 주입부(150)는 적어도 일측에 공기 주입구(151)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기 주입구(151)는 본체부(110)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측에 주입공(151a)을 형성할 수 있다.
공기 주입부(150)는 공기 주입구(151)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홈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덮개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덮개부(153)는 공기 주입구(151)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홈에 삽입되는 결합 돌기가 내주면에 마련된 링 부재(153a) 및 링 부재(153a)의 개방된 면을 차단하도록 마련되는 원판 부재(153b)를 포함할 수 있다. 덮개부(153)는 외부 서버(2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인가 받는 경우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원판 부재(153a)는 주입공(151a)을 개폐시키는 돌기(154) 및 주입공(151a)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배출되는 원주공(155)을 포함할 수 있다. 돌기(154) 및 원주공(155)은 회전 운동되는 링 부재(153a)에 의해 주입공(151a)과 대응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돌기(154)는 공기 주입구(151)에서 주입공(151a)이 형성된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원주공(155)은 돌기(154)로부터 원판 부재(153b)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덮개부(153)는 돌기(154)가 주입공(151a)을 차단하도록 공기 주입구(151)에 체결될 수 있으며, 외부 서버(2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인가받는 경우, 주입공(151a)이 원주공(155)과 대응되도록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공기 주입부(150)로부터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교정 헬멧
120: 절단부
130: 체결부

Claims (3)

  1. 헬멧 형태로 형성되되, 착용시 정수리 부분이 보일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어 두상의 측면 둘레만을 둘러쌀 수 있도록 형성되고, 측면부에 상하 방향으로 절단된 절단부에 의해 양쪽 부분으로 구분되고, 양쪽으로 벌어지면서 개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절단부에 의해 절단된 본체부의 양쪽 부분을 연결하는 체결부;
    외부 서버; 및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형성되고, 착용자의 신체 온도를 감지한 센서 데이터를 발생시키고, 상기 센서 데이터를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착용자의 두피와 맞닿는 내피;
    상기 내피의 외부에 형성되는 외피; 및
    상기 내피 및 상기 외피 사이에 내장되고, 소정 위치에 외부 장치로부터 공기를 주입 받기 위한 공기 주입구를 형성하고, 공기 주입 여부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하는 공기 주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일측에 삽입 홈을 형성하고, 타측에 상기 삽입 홈에 삽입 체결되는 삽입 바아를 형성한 복수의 헬멧 블록 간의 조립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헬멧 블록은,
    각각 상기 공기 주입부가 내장되어 팽창 또는 수축에 의해 착용자의 두상에 맞추어 내부 현상을 변경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공기 주입구는,
    상기 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일측에 주입공을 형성하고,
    상기 공기 주입부는,
    상기 공기 주입구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홈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되고, 외부 제어 신호를 인가 받는 경우,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공기 주입구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홈에 삽입되는 결합 돌기가 내주면에 마련된 링 부재; 및
    상기 링 부재의 개방된 면을 차단하도록 마련되는 원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원판 부재는,
    회전 운동되는 링 부재에 의해 상기 주입공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공기 주입구에서 상기 주입공이 형성된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돌기; 및
    상기 돌기로부터 상기 원판 부재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링 부재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주입공과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공기 주입부로부터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원주공;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서버는,
    상기 센서 데이터와 임계 데이터를 비교하고, 상기 센서 데이터가 임계 데이터를 초과하는 경우, 미리 저장된 보호자의 이동 단말로 알람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알람 메시지를 전송한 뒤, 상기 센서 데이터가 임계 데이터 이하로 떨어지지 않는 경우, 상기 공기 주입부로부터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공기 주입부로 인가하는, 교정 헬멧.

  2. 삭제
  3. 삭제
KR1020230028794A 2023-03-03 2023-03-03 온도센서를 갖는 사용자 맞춤형 교정 헬멧 KR102546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8794A KR102546158B1 (ko) 2023-03-03 2023-03-03 온도센서를 갖는 사용자 맞춤형 교정 헬멧
KR1020230076131A KR102569753B1 (ko) 2023-03-03 2023-06-14 내측 구조의 변형이 가능한 교정 헬멧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8794A KR102546158B1 (ko) 2023-03-03 2023-03-03 온도센서를 갖는 사용자 맞춤형 교정 헬멧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6131A Division KR102569753B1 (ko) 2023-03-03 2023-06-14 내측 구조의 변형이 가능한 교정 헬멧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6158B1 true KR102546158B1 (ko) 2023-06-21

Family

ID=8698954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8794A KR102546158B1 (ko) 2023-03-03 2023-03-03 온도센서를 갖는 사용자 맞춤형 교정 헬멧
KR1020230076131A KR102569753B1 (ko) 2023-03-03 2023-06-14 내측 구조의 변형이 가능한 교정 헬멧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6131A KR102569753B1 (ko) 2023-03-03 2023-06-14 내측 구조의 변형이 가능한 교정 헬멧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4615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2473Y1 (ko) * 2004-03-12 2004-06-04 주식회사 청우메디칼 공압용 마사지기
KR20150071473A (ko) * 2013-12-18 2015-06-26 (주)힐닉스 두상 교정모
US20190015238A1 (en) * 2015-09-08 2019-01-17 Technology In Motion Ltd Cranial Remoulding Orthosis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JP2022073089A (ja) * 2020-10-30 2022-05-17 株式会社ジャパン・メディカル・カンパニー 頭蓋形状矯正ヘルメッ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2473Y1 (ko) * 2004-03-12 2004-06-04 주식회사 청우메디칼 공압용 마사지기
KR20150071473A (ko) * 2013-12-18 2015-06-26 (주)힐닉스 두상 교정모
US20190015238A1 (en) * 2015-09-08 2019-01-17 Technology In Motion Ltd Cranial Remoulding Orthosis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JP2022073089A (ja) * 2020-10-30 2022-05-17 株式会社ジャパン・メディカル・カンパニー 頭蓋形状矯正ヘルメ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9753B1 (ko) 2023-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9240B1 (ko) 맞춤형 두상 교정모 및 그 제조방법
Taylor et al. A randomized trial of very early decompressive craniectomy in children with traumatic brain injury and sustained intracranial hypertension
US4776324A (en) Therapeutic and protective infant helmets
Beighton et al. A review of the osteopetroses
Pogliani et al. Positional plagiocephaly: what the pediatrician needs to know. A review
JP5689169B2 (ja) 頭蓋整形具、頭蓋整形具を備えたシステム、および頭蓋整形具を装着している人の状態を検知する方法
EP1648356B1 (en) Cranial orthosis for preventing positional plagiocephaly in infants
Jimenez et al. Early treatment of anterior calvarial craniosynostosis using endoscopic-assisted minimally invasive techniques
Ditthakasem et al. Deformational plagiocephaly: a review
US20110221598A1 (en) device for avoiding sudden infant death
Lee et al. Three-dimensional analysis of cranial and facial asymmetry after helmet therapy for positional plagiocephaly
KR102546158B1 (ko) 온도센서를 갖는 사용자 맞춤형 교정 헬멧
WO2018195602A1 (en) Plagiocephaly helmet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plagiocephaly helmets
King Oxycephaly
Luciana et al. Management of Maxillofacial Fracture: Experience of Emergency and Trauma Acute Care Surgery Department of Sanglah General Hospital Denpasar Bali
Unnithan et al. Plagiocephaly
Carson et al. An assistive device for the treatment of positional plagiocephaly
RU2653813C2 (ru) Краниокорректор
Kumar et al. Goldenhar syndrome with rare associations
US7566313B1 (en) Corrective infant headgear
KR20150071473A (ko) 두상 교정모
Koppel et al. Modern management of craniosynostosis
KR101251444B1 (ko) 두상 교정모
Rimel et al. The neurologic examination in patients with central nervous system trauma
MacLennan Injuries involving the teeth and jaws in young childr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