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1716Y1 - 통신소간 메시지 송수신 인터페이스장치 - Google Patents

통신소간 메시지 송수신 인터페이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1716Y1
KR200351716Y1 KR2019980025047U KR19980025047U KR200351716Y1 KR 200351716 Y1 KR200351716 Y1 KR 200351716Y1 KR 2019980025047 U KR2019980025047 U KR 2019980025047U KR 19980025047 U KR19980025047 U KR 19980025047U KR 200351716 Y1 KR200351716 Y1 KR 2003517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station
terminal
external terminal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50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2156U (ko
Inventor
윤정수
Original Assignee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800250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1716Y1/ko
Publication of KR200000121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21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17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17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4Transmit/receive switching
    • H04B1/48Transmit/receive switching in circuits for connecting transmitter and receiver to a common transmission path, e.g. by energy of transmit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두 통신소 간에 통신경로의 설정을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프방식 또는 풀방식으로 동작하는 상대방 통신소와 일측 통신소와의 메시지 송수신을 할 수 있도록 통신라인을 설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장치에 있어서, 상대방 통신소의 통신방식이 하프방식인지 풀방식인지를 판단하는 통신방식 판단수단; 상기 일측 통신소에서 메시지를 송신하는 통신선로에 연결된 송신단자 및 상기 일측 통신소가 메시지를 수신하는 통신선로에 연결된 수신단자, 그리고 제1외부단자 및 제2외부단자를 구비하고,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외부단자 및 제2외부단자가 상기 송신단자 및 수신단자 중 어느 하나와 각각 연결되는 스위칭수단; 및 상기 통신방식 판단수단의 판단에 따라, 상대방 통신소의 통신방식이 풀방식이면 상기 제1외부단자를 상기 송신단자와, 그리고 제2외부단자를 수신단자와 연결하도록 상기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상대방 통신소의 통신방식이 하프방식이면 송수신모드에 따라 상기 제1외부단자를 상기 송신단자 또는 수신단자중 하나와 연결하도록 상기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하프방식 또는 풀방식으로 동작하는 상대방 통신소와 일측 통신소와의 메시지 송수신을 할 수 있는 통신라인을 간단하게 설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신소간 메시지 송수신 인터페이스장치
본 고안은 두 통신소 간에 통신경로의 설정을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프(HALF)방식과 풀(FULL)방식을 모두 지원할 수 있는 통신경로 설정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두 통신소 사이에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통신라인을 이용하는 방법으로는 크게 하프(HALF)방식과 풀(FULL)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도 1a, b는 이러한 통신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a는 하프방식을, 도 1b는 풀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프방식은 통신소 1(11)과 통신소 2(12) 사이에 한개의 송수신용 통신라인을 사용하여 양자 간에 하나의 통신선로를 통하여 송신 및 수신을 병행하여 사용하는 방식으로, 통신소 1(11)에서 송수신라인을 통하여 메시지를 요구하면 통신소 2(12)에서는 그 메시지를 수신하여 분석한 후 통신소 1(11)로 응답 또는 요구사항을 송신하고, 그러면 통신소 1(11)은 그 메시지를 수신하게 된다. 이와 같이 통신소 간의 메시지 송수신이 하나의 송수신라인을 통하여 이루어지므로 송신 및 수신과정이 단계적으로 이루어진다. 즉, 각 통신소 측은 필요한 메시지를 상대방 통신소에 송신한 후 수신모드가 되어야 상대방 통신소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풀방식에 비하여 통신라인을 적게할 수 있는 이점은 있으나 단위 시간당 통신량은 더 적게 된다.
풀방식은 메시지 송수신을 위하여 송신라인 및 수신라인을 별도로 구비하고 있다. 통신소 1(13)에서 송신라인을 통하여 통신소 2(14)로 메시지를 송신한 다음, 그 메시지에 대하여 통신소 2(14)에서 통신소 1(13)로 메시지를 수신라인을 통하여 전송하는 도중에도 통신소 1(13)은 계속하여 송신라인을 통하여 통신소 2(14)로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풀방식은 하프방식처럼 통신소 측이 통신라인을 점유하기 위한 송신/수신모드를 별도로 설정할 필요가 없고 단위 시간당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양이 많은 장점이 있으나 하프방식보다 통신선로가 더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통신소 간에 통신함에 있어서, 양쪽 통신소가 서로 통신방식을 달리 하는 경우, 즉 한쪽 통신소는 하프방식을 다른 쪽 통신소는 풀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들 양자간 메시지 송수신을 할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양 통신소 측에 모두 하프방식 및 풀방식으로 동작되는 장비를 구비하여 어떠한 통신방식으로 메시지가 송수신되더라도 그 방식에 맞게 처리할 수 있으나, 그에 따라 장비가 추가로 소요되어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그들 통신소 간의 메시지 송수신을 위하여 인터페이스를 설계하는 경우에는 송수신측 통신장비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모두 수정하여야 가능하므로, 그 작업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통신소 간에 메시지를 송수신함에 있어서, 상대방 통신소가 하프방식 또는 풀방식의 어느 방식으로 동작되더라도 메시지 송수신할 수 있도록 통신라인을 설정할 수 있는 통신소간 메시지 송수신 인터페이스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a는 하프방식을, 도 1b는 풀방식의 통신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통신소간 메시지 송수신 인터페이스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의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통신소간 메시지 송수신 인터페이스장치는,
하프방식 또는 풀방식으로 동작하는 상대방 통신소와 일측 통신소와의 메시지 송수신을 할 수 있도록 통신라인을 설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장치에 있어서,
상대방 통신소의 통신방식이 하프방식인지 풀방식인지를 판단하는 통신방식 판단수단; 상기 일측 통신소에서 메시지를 송신하는 통신선로에 연결된 송신단자 및 상기 일측 통신소가 메시지를 수신하는 통신선로에 연결된 수신단자, 그리고 제1외부단자 및 제2외부단자를 구비하고,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외부단자 및 제2외부단자가 상기 송신단자 및 수신단자 중 어느 하나와 각각 연결되는 스위칭수단; 및 상기 통신방식 판단수단의 판단에 따라, 상대방 통신소의 통신방식이 풀방식이면 상기 제1외부단자를 상기 송신단자와, 그리고 제2외부단자를 수신단자와 연결하도록 상기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상대방 통신소의 통신방식이 하프방식이면 송수신모드에 따라 상기 제1외부단자를 상기 송신단자 또는 수신단자중 하나와 연결하도록 상기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통신소간 메시지 송수신 인터페이스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인터페이스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소 1(20)은 상대방 통신소가 하프방식의 통신소 2(30a)이든 또는 풀방식의 통신소 2(30b)이든 관계없이 접속하여 통신할 수 있다.
통신소 1(20)에 포함된 인터페이스 장치는 게이트회로 1,2(21,22), 스위칭블록(23), 릴레이소자(25), 논리AND 게이트(24)를 포함한다. 게이트회로 1(21)는 통신소 1(20) 측의 송신단에 연결되어 제어신호 GATE 1에 따라 게이팅되며, 게이트회로 2(22)는 통신소 1(20) 측의 수신단에 연결되어 제어신호 GATE 2에 따라 게이팅된다. 스위칭블록(23)은 릴레이소자(25)의 제어에 따라 스위치 접점이 제어된다. 릴레이소자(25)는 입력신호에 따라 스위칭블록(23)의 스위치 접점을 제어하며, 논리AND 게이트(24)는 제어신호 IOPORT 및 RTS를 논리AND하여 릴레이(25)로 출력한다.
여기서, 스위칭블록(23)은 통신소 1(20) 측에서 메시지를 송신하는 통신선로에 연결된 송신단자(Tx) 및 통신소 1(20)이 메시지를 수신하는 통신선로에 연결된 수신단자(Rx), 그리고 제1외부단자(TxO) 및 제2외부단자(RxO)를 구비하고, 릴레이소자(25)로부터 출력된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1외부단자(TxO) 및 제2외부단자(RxO)가 송신단자(Tx) 및 수신단자(Rx) 중 어느 하나와 각각 연결되어, 통신소 1(20)과 통신소 2(30a 또는 30b) 간의 메시지 전송을 연결한다.
이하에서는, 상대방 통신소의 통신방식에 따라 스위치의 접점이 서로 어떻게 연결되어야 하는지와 그러한 연결을 어떻게 수행하는지를 설명한다.
상대방 통신소의 통신방식에 따른 스위치의 연결은 다음과 같아야 한다. 첫째로, 풀방식의 통신소 2(30b)가 연결된 경우, 통신소 1(20)의 송신단(TxO)은 통신소 2(30b)의 수신단(Rx)에, 그리고 통신소 1(20)의 수신단(RxO)은 통신소 2(30b)의 송신단(Tx)에 연결되어야 한다 (도 2에 도시된 스위치의 접점상태와 같음). 둘째로, 하프방식의 통신소 2(30a)가 연결된 경우, 통신소 1(20)의 송신단(TxO)은 통신소 2(30a)의 송수신단(Tx/Rx)에 연결되며, 송수신모드에 따라 통신소 1(20)의 송신단(TxO)에 연결된 스위치 접점 A는 접점 1 또는 2와 연결되어야 한다. 즉, 통신소 1(20)에서 통신소 2(30a)로 메시지를 송신하는 모드인 경우에는 접점 A는 접점 1(Tx)과 연결되어야 하고, 통신소 1(20)이 통신소 2(30a)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모드인 경우에는 접점 A는 접점 2(Rx)와 연결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스위치 점점 제어를 위하여 릴레이소자(25) 및 논리AND 게이트(24)를 구비하며, 논리AND 게이트(24)로는 제어신호 IOPORT 및 RTS가 입력된다.
제어신호 IOPORT는 상대방 통신소의 통신방식에 따라 결정되는 신호이다. 즉, 통신소 1(20)과 연결될 상대방 통신소의 통신방식이 무엇인지에 따라 제어신호 IOPORT의 로직레벨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상대방 통신소의 통신방식이 하프방식이면 로직 하이로, 풀방식이면 로직 로우로 설정한다. 이러한 제어신호 IOPORT의 값은 통신소 1(20)에서 실행되는 통신용 운영 소프트웨어에서 설정하거나 또는 소형 딥 스위치 등을 이용하여 설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신호 RTS(Request To Send)는 통신소 1(20) 측에서 상대방 통신소로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하여 발생되는 송신요구신호이다. 즉, RTS신호가 로직 로우이면 송신요구신호를 "ON"함을 의미한다. 이 RTS신호는 일측 통신소와 상대방 통신소간의 통신 경로 설정 모드를 송신모드 또는 수신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데 사용된다. 여기서, 상대방 통신소가 풀방식인 경우에는 통신 중에 송시모드 또는 수신모드를 별도로 설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RTS 신호의 로직레벨과는 관계없이 동작된다.
아래의 표 1은 제어신호 IOPORT 및 RTS의 논리상태에 따른 논리AND 게이트(24)의 출력상태 및 그에 대한 송수신 동작모드를 나타낸다.
IOPORT RTS AND 출력 동작 모드
0 0 0 풀방식
0 1 0 풀방식
1 0 0 하프방식 (송신모드)
1 1 1 하프방식 (수신모드)
릴레이소자(25)는 트랜지스터(Q) 및 릴레이 코일를 포함하며, 트랜지스터(Q)의 베이스단자로는 논리AND 게이트(24)의 출력신호가 입력된다. 그 동작을 살펴보면, 트랜지스터(Q)의 베이스단자로 로직 로우의 신호가 입력되면 트랜지스터(Q)가 턴-온되어 릴레이 코일에 전류가 흘러 도면에 도시된 상태 (즉, 1-A, 3-B)로 스위치점점이 이루어지게 한다. 반면, 트랜지스터(Q)의 베이스단자로 로직 하이의 신호가 입력되면 트랜지스터(Q)가 턴-오프되어 릴레이 코일에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어 도면에 도시된 상태에서 아래점점으로 스위치점점 (즉, 2-A, 4-B)이 이루어지게 한다.
따라서, 상대방 통신소의 통신방식이 풀방식인 경우 (즉 통신소 2(30b)가 연결된 경우)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위치 점접을 이룬다. 그럼으로써, 통신소 2(30b)의 Rx, Tx에는 통신소 1(20)의 TxO, RxO가 각각 연결된다. 이 경우에는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어신호 IOPORT에만 의존할 뿐 RTS신호와는 무관하게 동작한다.
한편, 상대방 통신소의 통신방식이 하프방식인 경우 (즉 통신소 2(30a)가 연결된 경우)에는 그 동작모드 (즉, RTS 신호의 로직상태)에 따라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동작모드가 송신모드인 경우 (RTS 신호가 로직 로우인 경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위치 점접을 이룬다. 그럼으로써, 통신소 2(30a)의 Tx/Rx에는 통신소 1(20)의 게이트 1(21)의 출력인 Tx가 스위치(28)(1-A 연결)를 통하여 연결된 TxO와 연결된다. 그리고, 동작모드가 수신모드인 경우 (RTS 신호가 로직 로우인 경우)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다른 스위치 점접을 이룬다. 그럼으로써, 통신소 2(30a)의 Tx/Rx에는 통신소 1(20)의 게이트 2(22)의 출력인 Rx가 스위치(28)(2-A 연결)를 통하여 연결된 TxO와 연결된다.
아래의 표 2는 제어신호 IOPORT 및 RTS의 논리상태에 따른 제어신호 GATE 1, 2의 논리상태를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은 스위치 접점에 따라 Tx, Rx 통신라인을 게이팅한다.
IOPORT RTS GATE 1 GATE 2
0 0 ENABLE ENABLE
0 1 ENABLE ENABLE
1 0 ENABLE DISABLE
1 1 DISABLE ENABLE
표 2에서와 같이, GATE 1, 2(21, 22)는 제어신호의 논리상태에 따라 Tx 및/또는 Rx 라인을 인에이블하며, 이는 스위치블럭(23)의 동작과 직접적인 관계를 가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통신소간 메시지 송수신 인터페이스장치에 의하면, 상대방 통신소의 통신방법에 따라 상대방 통신소와 일측 통신소와의 통신선로의 연결을 소정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스위칭 제어함으로써, 하프방식 또는 풀방식으로 동작하는 상대방 통신소와 일측 통신소와의 메시지 송수신을 할 수 있는 통신라인을 간단하게 설정할 수 있다.

Claims (3)

  1. 하프방식 또는 풀방식으로 동작하는 상대방 통신소와 일측 통신소와의 메시지 송수신을 할 수 있도록 통신라인을 설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장치에 있어서,
    상대방 통신소의 통신방식이 하프방식인지 풀방식인지를 판단하는 통신방식 판단수단;
    상기 일측 통신소에서 메시지를 송신하는 통신선로에 연결된 송신단자 및 상기 일측 통신소가 메시지를 수신하는 통신선로에 연결된 수신단자, 그리고 제1외부단자 및 제2외부단자를 구비하고,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외부단자 및 제2외부단자가 상기 송신단자 및 수신단자 중 어느 하나와 각각 연결되는 스위칭수단; 및
    상기 통신방식 판단수단의 판단에 따라, 상대방 통신소의 통신방식이 풀방식이면 상기 제1외부단자를 상기 송신단자와, 그리고 제2외부단자를 수신단자와 연결하도록 상기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상대방 통신소의 통신방식이 하프방식이면 송수신모드에 따라 상기 제1외부단자를 상기 송신단자 또는 수신단자중 하나와 연결하도록 상기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소간 메시지 송수신 인터페이스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일측 통신소와 상대방 통신소간의 통신 경로 설정 모드를 송신모드 또는 수신모드인지를 판단하는 송수신모드 판단수단을 구비하며,
    상대방 통신소의 통신방식이 하프방식인 경우, 일측 통신소에서 상대방 통신소로 메시지를 송신하는 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송신단자를, 그리고 일측 통신소가 상대방 통신소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상기 수신단자를 상기 제1외부단자와 연결하도록 상기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소간 메시지 송수신 인터페이스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모드 판단수단은
    일측 통신소에서 상대방 통신소에 대하여 송신을 요구하는 제어신호인 RTS신호의 로직레벨에 따라 송수신 모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소간 메시지 송수신 인터페이스장치.
KR2019980025047U 1998-12-15 1998-12-15 통신소간 메시지 송수신 인터페이스장치 KR2003517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047U KR200351716Y1 (ko) 1998-12-15 1998-12-15 통신소간 메시지 송수신 인터페이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047U KR200351716Y1 (ko) 1998-12-15 1998-12-15 통신소간 메시지 송수신 인터페이스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156U KR20000012156U (ko) 2000-07-05
KR200351716Y1 true KR200351716Y1 (ko) 2004-09-20

Family

ID=49430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5047U KR200351716Y1 (ko) 1998-12-15 1998-12-15 통신소간 메시지 송수신 인터페이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171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156U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93348A (en) Power source control device in car telephone mobile station system
KR200351716Y1 (ko) 통신소간 메시지 송수신 인터페이스장치
EP0199338B1 (en) Repeater circuit
US6549760B1 (en) Communications device
KR0161152B1 (ko) 알에스 485 방식의 그로벌버스 중계기능을 갖는 통신장치
KR10044294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직렬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JPS6360937B2 (ko)
JP3246511B2 (ja) 機器の遠隔制御システム
JP2002209014A (ja) 情報伝送装置
JP3016457B2 (ja) 通信システム
JPS5772458A (en) Conference call device
KR0182643B1 (ko) 유니 글로발 버스 호환 장치
KR0149643B1 (ko) 아날로그 가입자 보오드의 링 릴레이 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19980020528A (ko) 무선 lan에서의 스테이션용 데이타 송수신 장치
US4248319A (en) Circuit arrangement for connecting at least two teleprinters to a common connection line
KR940008116B1 (ko) 장치 상호간 통화를 위한 오더와이어(order wire)회로
SK130399A3 (en) Method for transferring a bi-directional radio link and corresponding device
KR900004030B1 (ko) 다중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KR0117393Y1 (ko) 주파수 공용시스템
JPH05304692A (ja) 外部データ切換伝送装置
GB2134750A (en) Bilateral telephone call transfer apparatus
KR19990042274A (ko) 이더넷 이중화 정합 장치
JPS59114937A (ja) 相互接続回路
JPH04150432A (ja) データ通信システム
JPS63287132A (ja) 主局折返し試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