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1620Y1 - Height adjusting type worktable - Google Patents

Height adjusting type worktab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1620Y1
KR200351620Y1 KR20-2004-0006149U KR20040006149U KR200351620Y1 KR 200351620 Y1 KR200351620 Y1 KR 200351620Y1 KR 20040006149 U KR20040006149 U KR 20040006149U KR 200351620 Y1 KR200351620 Y1 KR 2003516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rame
frame
jockey
lift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614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흥순
Original Assignee
한보일렉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보일렉트(주) filed Critical 한보일렉트(주)
Priority to KR20-2004-00061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1620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16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1620Y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14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with provision for adjusting the bench top
    • B25H1/16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with provision for adjusting the bench top in he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rkshop Equipment, Work Benches, Supports, Or Storag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작업에 따라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낮이 조절식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베이스 프레임과, 베이스 프레임에 승강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면에 발판이 구비된 마운트 프레임과, 베이스 프레임과 마운트 프레임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어, 신장시 마운트 프레임을 상승시키고 축소시 마운트 프레임을 하강시키는 리프트 자키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높낮이 조절을 위해 리프트 자키를 채용하는 때문에 높낮이 조절을 위하여 복잡한 링크구조가 필요 없고, 작업자 및 적재된 물품이 고하중인 경우에도 안정된 지지력을 발휘하면서 높낮이 조절이 정밀하게 이루어지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ight-adjustable worktable that can adjust the height according to the work,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base frame, and the base frame and the mounting frame having a footrest on the upper surface, between the base frame and the mount frame It is installed to expand and contract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includes a lift jockey that raises the mount frame when it is extended and lowers the mount frame when it is reduced. It is not necessary, the height adjustment is made precisely while exhibiting a stable support even when the worker and the loaded goods are under heavy load.

Description

높낮이 조절식 작업대{Height adjusting type worktable}Height adjusting type worktable

본 고안은 높낮이 조절식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높낮이 조절을 위해 복잡한 링크구조가 불필요하고, 고하중이 가해져도 안정된 지지력을 발휘하면서 높낮이 조절이 정밀하게 이루어지는 데 적당하도록 한 높낮이 조절식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ight-adjustable workbench,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ight-adjustable workbench that does not require a complicated link structure for height adjustment, and is suitable for precisely adjusting the height while showing stable support even under high loads. .

일반적으로, 높낮이 조절식 작업대는 작업의 필요에 따라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작업대를 일컫는다.In general, a height adjustable work bench refers to a work bench that is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according to the work needs.

이러한 높낮이 조절식 작업대는 수평 링크바와 수직 링크바가 다양한 조인트에 의해 연결되는 링크구조에 의해 가볍고 견고해서 이동이 용이하고 다양한 공구들을 자체에 걸어둘 수 있음은 물론 얼마의 물품들을 적재하여 운반할 수 있는 등 많은 장점들로 인해 물류창고 등지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This height adjustable work bench is light and sturdy due to the link structure where the horizontal link bar and the vertical link bar are connected by various joints, which is easy to move and hang various tools on its own. It is widely used in warehouses due to many advantages.

이에, 도 1은 종래의 높낮이 조절식 작업대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Thus, Figure 1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height adjustable worktable.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높낮이 조절식 작업대는 베이스 프레임(101)과, 발판이 마련된 마운트 프레임(103)이 포함되고, 상기 마운트 프레임(103)을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용 링크구조(105)를 갖도록 구성되었다.As shown, the conventional height-adjustable worktable includes a base frame 101 and a mount frame 103 provided with a footrest, and have a lifting link structure 105 for elevating the mount frame 103. Configured.

이로써, 종래에는 상기 승강용 링크구조(105)의 상하방향 신축에 의해 상기 마운트 프레임(103)의 승강, 즉 상승 및 하강이 이루어졌다.Thus, in the related art, the mounting frame 103 is lifted, that is, raised and lowered by vertical stretching of the lifting link structure 105.

그러나, 종래의 높낮이 조절식 작업대는 상기 승강용 링크구조(105)로 인해 전체적으로 상당히 복잡한 링크구조를 가져야만 했고, 상기 승강용 링크구조(105)로는 작업자의 몸무게와 때때로 적재되는 소정 물품의 하중을 안정되게 지지하기가 어려웠으며, 정밀하게 높낮이를 조절하기도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height-adjustable work platform had to have a fairly complicated link structure as a whole due to the lifting link structure 105, and the lifting link structure 105 was used to load the weight of an operator and the load of a certain article sometimes loaded. It was difficult to support stably, there w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adjust the height precisely.

또한, 복잡한 링크구조에 수반되는 오작동 및 고장도 문제점이었다.In addition, malfunctions and failures associated with complex link structures were also a problem.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높낮이 조절을 위해 복잡한 링크구조가 불필요하고, 고하중이 가해져도 안정된 지지력을 발휘하는 가운데 높낮이 조절이 정밀하게 이루어지는 높낮이 조절식 작업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In this regard, the present invention is propos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liminate the need for a complicated link structure for height adjustment, and precisely adjust the height while exerting a stable supporting force even under high loads. To provide a height adjustable workbench.

도 1은 종래의 높낮이 조절식 작업대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1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height adjustable worktable.

도 2a는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입면도.Figure 2a is an elevation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는 도 2a의 높아진 상태를 보여주는 입면도.2B is an elevation view showing the elevated state of FIG. 2A.

도 3은 본 고안의 분해도.3 is an exploded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2a의 "A"를 상세히 도시한 참조도.4 is a reference view showing "A" in FIG. 2A in detail.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스크루형 리프트 자키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5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screw lift jock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 : 베이스 프레임 2 : 마운트 프레임1: base frame 2: mount frame

3 : 리프트 자키 4 : 공구걸이대3: lift jockey 4: tool rack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높낮이 조절식 작업대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승강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부에 발판이 구비된 마운트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마운트 프레임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어, 신장시 상기 마운트 프레임을 상승시키고 축소시 상기 마운트 프레임을 하강시키는 리프트 자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adjustable height worktable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frame, a mount frame coupled to the base frame so as to be liftable, and having a scaffold provided thereon, the base frame and the mount fram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echnical configura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lift jockey which is installed to be stretch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lift frame to raise the mount frame during stretching and to lower the mount frame during contraction.

또한, 상기 마운트 프레임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승강 가능하도록 결합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중공의 가이드 포스트가 복수개 포함되고, 상기 마운트 프레임에는 상기 가이드 포스트에 상하방향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측으로부터 삽입되는 복수개의 수직 링크바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base frame includes a plurality of hollow guide posts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order to be coupled to the base frame to be lifted and lowered, and the mount frame is inserted from the upper side so as to slide up and down in the guide post Preferably, a plurality of vertical link bars are included.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후측 상부에 소정높이로 세워져 설치되는 공구걸이대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하부에 복수개의 설치되는 캐스터가 더욱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tool rack is installed on the rear upper portion of the base frame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nd a plurality of casters are provided below the base frame.

또한, 상기 리프트 자키는 마름모꼴로 연결된 4개의 링크와, 회전시 마주보고 있는 링크의 연결절의 간격을 조절하는 스크루가 포함된 스크루형 리프트 자키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lift jockey is a screw type lift jockey including four links connected in a rhombic shape and a screw for adjusting the spacing of the connection section of the link facing each other when rotating.

이하,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은 수평 링크바(link bar)와 수직 링크바가 다양한 조인트에 의해 엮어져 연결되는 링크구조물로서 가볍고 견고하기 때문에 자체 이동 및 물품을 운반하는 데 용이하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link structure in which the horizontal link bar and the vertical link bar are woven and connected by various joints, so that they are easy to move and carry items because they are light and rigid.

특히, 본 고안은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복잡한 링크구조를 사용하는 대신 통상의 리프트 자키를 채용하도록 구성되어, 링크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작업자와 소정 물품을 포함하는 하중이 가해져도 안정된 지지력을 발휘하는 가운데 높낮이 조절은 매우 정밀하게 이루어지게 된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employ a conventional lift jockey instead of using a complicated link structure to adjust the height, so that the link structure is very simple and shows a stable supporting force even under a load including a worker and a predetermined article. Height adjustment is very precise.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높낮이 조절식 작업대의 구성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height-adjustable work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는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입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높아진 상태를 보여주는 입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분해도이며, 도 4는 도 2a의 "A"를 상세히 도시한 참조도이다.Figure 2a is an elevation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ubject innovation, Figure 2b is an elevation view showing the elevated state of Figure 2a, Figure 3 is an exploded view of the subject innovation, Figure 4 is a reference to detail "A" of Figure 2a It is also.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베이스 프레임(1), 마운트 프레임(2), 리프트 자키(3) 및 공구걸이대(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ase frame 1, a mount frame 2, a lift jockey 3 and a tool rest 4.

상기 베이스 프레임(1)은 복수개의 수평 링크바와 수직 링크바가 다양한 형태를 갖는 조인트에 의해 엮어져 연결되는 링크구조를 갖는다.The base frame 1 has a link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horizontal link bars and vertical link bars are woven and connected by joints having various shapes.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1)의 하부 각 모서리 부위에는 힘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전후좌우 용이하게 이동되게 하는 다방향 캐스터(12)가 복수개 설치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multi-directional casters 12 are installed at each lower corner of the base frame 1 so as to be easily moved back, front, left, and right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orce is applied.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1)의 좌우측 수평 링크바(15)에는 중공의 가이드포스트(11)가 수직하게 세워져 복수개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포스트(11)는 상기 좌우측 수평 링크바(15)에 용접에 의해 접합되거나, 조인트에 의해 체결되어 결합된다.In addition, the left and right horizontal link bar 15 of the base frame 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ollow guide posts 11 are vertically erected. Here, the guide post 11 is joined to the left and right horizontal link bar 15 by welding, or is fastened by a joint is coupled.

상기 마운트 프레임(2)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과 마찬가지로 수평 링크바와 수직 링크바가 다양한 조인트에 의해 연결되는 링크구조를 갖고, 상부에는 작업자가 밟고 올라설 수 있는 발판(23)이 구비된다.Like the base frame 1, the mount frame 2 has a link structure in which horizontal link bars and vertical link bars are connected by various joints, and a footrest 23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which the operator can step on and climb.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발판(23)의 모서리 부근에서 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복수개의 수직 링크바(21)가 구비되며, 상기 수직 링크바(21)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에 설치된 가이드 포스트(11)에 상측으로부터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ure 4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vertical link bar 21 formed to extend in the downward direction near the edge of the scaffold 23, the vertical link bar 21 is a guide installed in the base frame (1) The post 11 is slidably inserted from the upper side.

이같이 상기 마운트 프레임(2)의 수직 링크바(21)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1)의 가이드 포스트(11)에 삽입되는 구성에 의해, 상기 마운트 프레임(2)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1)에 승강 가능하도록 결합된다.In this way, the vertical frame bar 21 of the mount frame 2 is inserted into the guide post 11 of the base frame 1, so that the mount frame 2 can be raised and lowered on the base frame 1 To be combined.

상기 리프트 자키(3)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과 마운트 프레임(2) 사이에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1)의 전후 링크바를 연결하는 한쌍의 브리지용 수평 링크바(16)가 구비되고, 상기 브리지용 수평 링크바(16)의 상측에 상기 리프트 자키(3)의 하단부가 결합되어 지지된다.The lift jockey 3 is installed between the base frame 1 and the mount frame 2. To this end, a pair of horizontal link bars 16 for bridges connecting the front and rear link bars of the base frame 1 are provided, and the lower end of the lift jockey 3 is positioned above the horizontal link bars 16 for bridges. Are coupled and supported.

마찬가지로, 상기 마운트 프레임(2)의 전후 링크바를 연결하는 한쌍의 브리지용 수평 링크바(26)가 구비되고, 상기 브리지용 수평 링크바(26)의 하측에 상기 리프트 자키(3)의 상단부가 결합된다.Similarly, a pair of horizontal link bars 26 for bridges connecting the front and rear link bars of the mount frame 2 are provided, and an upper end of the lift jockey 3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horizontal link bars 26 for bridges. do.

여기서, 상기 리트프 자키(3)와 상기 브리지용 수평 링크바(16,26)의 결합은 용접에 의한 접합 혹은 볼트에 의한 체결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가능하다.The lift jockey 3 and the bridge horizontal link bars 16 and 26 may be coupled by various methods, such as welding by welding or bolting.

이로써, 상기 리프트 자키(3)가 상하방향으로 높이가 신장되면 상기 마운트 프레임(2)이 상승되고, 축소되면 상기 마운트 프레임(2)이 하강하여 원위치로 복귀된다.Thus, when the height of the lift jockey 3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mount frame 2 is raised, and when the lift jockey 3 is reduced, the mount frame 2 is lowered and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본 고안은 이같이 리프트 자키(3)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1)과 마운트 프레임(2) 사이에 간단하게 설치되는 구성으로 복잡한 링크구조의 필요 없이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lift jockey 3 to be simply installed between the base frame 1 and the mount frame 2 so that the height can be adjusted without the need for a complicated link structure.

상기 리프트 자키(3)는 스크루형이 적당하며 이는 스크루형 리프트 자키의 경우 다양한 리프트 자키 중에서 비교적 구조가 간단하고 가격도 저렴한 편에 속하기 때문이다.The lift jockey 3 is suitable for a screw type because the screw lift jockey is relatively simple in structure and low in price among various lift jockeys.

여기서, 스크루형 리프트 자키가 들어올리는 힘은 작업자 및 적재되는 소정의 물품을 들어올리는 데 충분히 여유가 있고, 상하 높낮이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Here, the force lifted by the screw lift jockey is sufficient to lift the worker and a predetermined item to be loaded, it is possible to precisely adjust the vertical height.

이에,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스크루형 리프트 자키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Thus, Figure 5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the screw lift jock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설치되는 스크루형 리프트 자키(3)는 주변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통상적인 형태의 것이다.As shown, the screw lift jockey 3 install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of a conventional type that can be easily obtained from the periphery.

이러한, 상기 스크루형 리프트 자키(3)의 구성을 간단히 살펴보면 제 1링크(31a), 제 2링크(31b), 제 3링크(31c) 및 제 4링크(31d)인 4개의 링크가 마름모꼴로 연결되고, 그 상부와 하부에는 지지편(33) 및 받침편(32)이 구비된다.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the screw-type lift jockey 3, the four links of the first link 31a, the second link 31b, the third link 31c and the fourth link 31d are connected in a rhombus shape. The support piece 33 and the support piece 32 are provided in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또한, 상기 제 1링크(31a)와 제 2링크(31b)가 연결된 제 1연결절과 상기 제 3링크(31c)와 제 4링크(31d)가 연결된 제 2연결절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스크루(34)가 구비되며 상기 스크루(34)의 끝단부에는 스크루(34)를 용이하게 회전시키기 위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핸들(35)이 구비된다.In addition, the screw for adjusting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section is connected to the first link (31a) and the second link (31b) and the second connection section is connected to the third link (31c) and the fourth link (31d) ( 34 is provided, and the end of the screw 34 is provided with a handle 35 rotatably coupled to easily rotate the screw 34.

여기서, 상기 지지편(33)은 상기 마운트 프레임(2)의 브리지용 수평 링크바(26)에 결합되어 마운트 프레임(2)을 지지하고, 상기 받침편(33)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의 브리지용 수평 링크바(26)에 결합되어 스크루형 리프트 자키(3)의 나머지 부분과 마운트 프레임(2)을 지지하게 된다.Here, the support piece 33 is coupled to the bridge horizontal link bar 26 of the mount frame 2 to support the mount frame 2, the support piece 33 of the base frame 1 It is coupled to the horizontal link bar 26 for the bridge to support the rest of the screwed lift jockey 3 and the mount frame 2.

여기서, 상기 지지편(3) 및 받침편(32)은 전술된 바와 같이 용접을 포함하여 볼트와 너트, 조인트 등 다양한 체결수단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되는 방식으로 각각의 브리지용 수평 링크바(16,26)에 결합된다.Here, the support piece (3) and the support piece (32) is a horizontal link bar (16) for each bridge in such a way that any one of various fastening means such as bolts, nuts, joints, etc., including welding, is used as described above. 26).

이같은 구성을 갖는 상기 스크루형 리프트 자키(3)는 스크루(34)를 정방향 혹은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상기 제 1링크(31a)와 제 3링크(31c)가 연결된 제 3연결절과, 상기 제 2링크(31b)와 제 4링크(31d)가 연결된 제 연결4절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상기 마운트 프레임(2)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screw lift jockey 3 having such a configuration has a third connection section to which the first link 31a and the third link 31c are connected, when the screw 34 is rotated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and the first connection section.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interval of the fourth connection section is connected to the second link (31b) and the fourth link (31d), it is possible to raise or lower the mount frame (2).

상기 공구걸이대(4)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의 후측 상부에 소정높이로 세워져 설치된다.The tool holder 4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rear upper portion of the base frame 1.

이를 위해 상기 공구걸이대(4)에는 복수개의 수직 링크바(41)이 구비되고,상기 수직 링크바(41)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 적절한 개소에 조인트에 의해 체결되어 수직하게 세워진다.To this end, the tool rack 4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vertical link bars 41, the vertical link bar 41 is fastened by a joint in a suitable place of the base frame 1 to stand vertically.

또한, 상기 공구걸이대(4)의 상부에는 복수개의 수평 링크바가 연결되며, 그 중 선단부에 위치한 수평 링크바(43)에는 공구를 걸 수 있도록 복수개의 후크(45)가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horizontal link bars are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tool rack 4, and a plurality of hooks 45 are installed to the left and right horizontal link bars 43 so as to be able to move the tool from side to side. .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높낮이 조절식 작업대의 사용동작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hen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operation of the height-adjustable workben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본 고안의 마운트 프레임(2)을 상승시키고자 하면, 스크루형 리프트 자키(3)의 핸들(35)을 잡고 정방향으로 돌린다. 그러면 스크루(34)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 1링크(31a)와 제 2링크(31b)가 연결된 제 1절과 제 3링크(31c)와 제 4링크(31d)가 연결된 제 2절 간의 간격이 l줄어들고, 제 1링크(31a)와 제 3링크(31c)가 연결된 제 3연결절과 제 2링크(31b)와 제 4링크(31d)가 연결된 제 4연결절의 간격이 늘어난다.First, to raise the mount frame 2 of the present invention, grasp the handle 35 of the screw lift jockey 3 and turn it in the forward direction. Then, as the screw 34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ection 31a and the second link 31b connected to the second section and the third section 31c and the fourth link 31d connected to each other is reduced. As a result, the distance between the third connection section connected to the first link 31a and the third link 31c and the fourth connection section connected to the second link 31b and the fourth link 31d increases.

이후, 상기 제 3절과 제 4절 간의 간격이 벌어지면서 상기 마운트 프레임(2)의 발판(23) 높이가 원하는 정도가 되면 스크루(34)의 회전을 중지시킨다.Subsequently, when the height of the footrest 23 of the mount frame 2 reaches a desired level while the gap between the third and fourth sections is widened, the rotation of the screw 34 is stopped.

이로써, 상기 리프트 자키(3)의 상부에서 지지를 받고 있는 마운트 프레임(2)이 작업자가 원하는 높이의 위치로 상승하게 되어 작업자는 마운트 프레임(2) 상부에 마련된 발판(23)을 밟고 적절한 높이에서 작업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mount frame 2 supported by the upper portion of the lift jockey 3 is raised to a position of the height desired by the operator so that the operator steps on the footrest 23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unt frame 2 and at an appropriate height. You can work.

한편, 높아진 상기 마운트 프레임(2)의 높이를 낮추고자 한다면 처음과 반대로 리프트 자키(3)의 핸들(35)을 잡고 역방향으로 돌린다. 그러면 이번에는 상기제 3연결절과 제 4연결절의 간격이 줄어들면서 마운트 프레임(2)이 하강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f you want to lower the height of the mounted mount frame (2), hold the handle (35) of the lift jockey 3 and turn in the reverse direction to the contrary. Then, the mounting frame 2 is lowered as the gap between the third connection section and the fourth connection section is reduced.

여기서, 상기 스크루식 리프트 자키(3)는 상승 및 하강이 상당히 정밀하게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 작업자가 발판(23)에 올라선 상태에서 작업자 및 적재된 물품의 하중을 충분한 지지력을 바탕으로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the screw lift jockey 3 is able to support the load of the worker and the loaded article stably based on a sufficient supporting force in the state in which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is made quite precisely, and the operator climbs on the footrest 23. Become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In the above describe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various change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It is clear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in the same manner by appropriately modifying the above embodiments. Therefore, the above description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by the limits of the following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높낮이 조절식 작업대는 스크루식 리프트 자키를 채용하는 관계로 높낮이 조절을 위하여 복잡한 링크구조가 필요하지 않게 되어, 구성이 간단해지고 복잡한 구성에 따른 오작동 및 고장 문제가 줄어든다.As described above, the height adjustable work ben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dopts a screw lift jockey, so that a complicated link structure is not required for height adjustment, so that the configuration becomes simple and malfunction and failure problems due to the complicated configuration are eliminated. Decreases.

또한, 본 고안은 높낮이 조절이 정밀하면서 작업자를 포함한 소정 물품이 수반하는 고하중에도 상당히 안정된 지지가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highly stable support even at high loads accompanied by a predetermined article including an operator while height adjustment is precise.

Claims (4)

베이스 프레임과;A base frame;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승강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부에 발판이 구비된 마운트 프레임과;A mount frame coupled to the base frame to be elevated and provided with a scaffol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마운트 프레임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어, 신장시 상기 마운트 프레임을 상승시키고 축소시 상기 마운트 프레임을 하강시키는 리프트 자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높낮이 조절식 작업대.And a lift jockey which is installed between the base frame and the mount frame so as to be stretch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lift jockey which raises the mount frame when extended and descends the mount frame when contracted.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마운트 프레임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승강 가능하도록 결합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중공의 가이드 포스트가 복수개 포함되고, 상기 마운트 프레임에는 상기 가이드 포스트에 상하방향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측으로부터 삽입되는 복수개의 수직 링크바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식 작업대.In order for the mount frame to be coupled to the base frame to be lifted and lowered, the base frame includes a plurality of hollow guide posts install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the mount frame is inserted from the upper side to be slidable up and down in the guide post. Adjustable worktab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wo vertical link bars.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후측 상부에 소정높이로 세워져 설치되는 공구걸이대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하부에 복수개의 설치되는 캐스터가 더욱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식 작업대.Height adjustable work bench,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a tool holder is installed on the rear upper portion of the base frame to a predetermined height, and a plurality of casters are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frame.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리프트 자키는 마름모꼴로 연결된 4개의 링크와, 회전시 마주보고 있는 링크의 연결절의 간격을 조절하는 스크루가 포함된 스크루형 리프트 자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식 작업대.The lift jockey is a height adjustable worktab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crew lift jockey including four links connected in a lozenge and a screw for adjusting the spacing of the connection section of the link facing each other when rotating.
KR20-2004-0006149U 2004-03-08 2004-03-08 Height adjusting type worktable KR20035162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6149U KR200351620Y1 (en) 2004-03-08 2004-03-08 Height adjusting type workta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6149U KR200351620Y1 (en) 2004-03-08 2004-03-08 Height adjusting type worktab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1620Y1 true KR200351620Y1 (en) 2004-05-24

Family

ID=49346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6149U KR200351620Y1 (en) 2004-03-08 2004-03-08 Height adjusting type worktab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1620Y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636Y1 (en) * 2013-08-21 2014-12-22 이이표 Stand
KR101736762B1 (en) * 2015-10-20 2017-05-17 주식회사폴리피아 Removable stand which is equipped with lifting means
KR101880859B1 (en) 2017-09-18 2018-07-20 최지훈 Workable for high and low adjustment possibl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636Y1 (en) * 2013-08-21 2014-12-22 이이표 Stand
KR101736762B1 (en) * 2015-10-20 2017-05-17 주식회사폴리피아 Removable stand which is equipped with lifting means
KR101880859B1 (en) 2017-09-18 2018-07-20 최지훈 Workable for high and low adjustment possib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90558A (en) Stepladder scaffold apparatus with elevating working platform
CA2128147A1 (en) Lifting Apparatus
CN204152177U (en) Operating platform is chosen outside portable
KR200351620Y1 (en) Height adjusting type worktable
CA3159449A1 (en) Scaffold and methods
US20050224287A1 (en) I-beam mounted work ladder
US3302751A (en) Scaffolding construction
KR20080093514A (en) Variable elevation worktable
US11649677B2 (en) Movable ladder
CN107217826B (en) Assembly, workbench, slat adapter and method for standing a user above ground
US4275982A (en) Apparatus for moving merchandise gondolas
KR200480884Y1 (en) Lifting device for working platform
KR20180122533A (en) Stepping board for architectural scaffold
CN211682598U (en) Multifunctional working table
KR20130000337U (en) Inclined ladder for a controlling height
KR101552245B1 (en) High-place worktable
JP2002003149A (en) Simplified prefabricated hang-up and moving device
CN220059420U (en) Ladder is used to adjustable lift and steady building decoration
CN215484490U (en) Telescopic scaffold
KR20200075370A (en) A standing structure bench using a crane
JPH0333390A (en) Vertically movable tool
CN220116176U (en) Elevator base
CN220777703U (en) Electric lifting table
US942347A (en) Scaffold.
KR102393192B1 (en) Functionality Workt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