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884Y1 - Lifting device for working platform - Google Patents

Lifting device for working platfor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884Y1
KR200480884Y1 KR2020150008034U KR20150008034U KR200480884Y1 KR 200480884 Y1 KR200480884 Y1 KR 200480884Y1 KR 2020150008034 U KR2020150008034 U KR 2020150008034U KR 20150008034 U KR20150008034 U KR 20150008034U KR 200480884 Y1 KR200480884 Y1 KR 2004808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ixed
lifting
slide
work 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803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미경
Original Assignee
이미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미경 filed Critical 이미경
Priority to KR20201500080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884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8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884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adjustable in height
    • E04G1/22Scaffolds having a platform on an extensible substructure, e.g. of telescopic type or with lazy-tongs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7/00Paperhanging
    • B44C7/02Machines, apparatus, tools or 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adjustable in height
    • E04G1/20Scaffolds comprising upright members and provision for supporting cross-members or platforms at different positions therealo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04G2001/242Scaffolds movable on wheels or t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shop Equipment, Work Benches, Supports, Or Storag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작업대 승강장치는, 지면에 안착되는 고정프레임; 하단이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결합되도록 수직으로 세워지는 셋 이상의 슬라이드기둥; 상기 셋 이상의 슬라이드기둥이 관통되어 상기 슬라이드기둥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상면에 작업대의 다리가 안착 및 고정되는 승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과 상기 승강프레임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승강프레임에 상향 외력을 인가하는 승강유닛;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 의한 작업대 승강장치는, 작업공간의 높이에 맞춰 작업대를 승강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고, 한 번의 조작으로 작업대의 높이를 전체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며, 파손 및 추락으로 인한 상해발생 우려를 현저히 낮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 work platform lif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xed frame that is seated on the ground; Three or more slide columns vertically erected so that a lower end thereof is fixedly coupled to the fixed frame; A lifting and lowering frame coupled to the at least three slides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ide column, And an elevating unit mounted between the fixed frame and the elevating frame to apply an upward external force to the elevating frame. The work platform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aise / lower the work platform in accordance with the height of the work space, thereby enhancing the work efficiency. The height of the work platform can be raised and lowered by one opera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ossibility of injury can be significantly lowered.

Description

작업대 승강장치 {Lifting device for working platform}[0001] Lifting device for working platform [0002]

본 고안은 높은 지점의 작업을 위해 작업자가 밟고 올라가는 작업대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적은 힘으로도 작업대를 안정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는 작업대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ing apparatus for elevating and lowering a work table on which a worker steps up for work at a high poi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work table elevating apparatus capable of stably elevating and lowering a work table with a small force.

일반적으로 작업대는 높은 곳에서의 작업이 가능하도록 디딤공간을 제공해주는 기구로서, 안정감이 있고 사용이 편리하며 높이 조절도 가능하여 가정이나 사무실 또는 산업현장 등의 다양한 장소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벽이나 천장과 같은 높은 위치에 벽지 도배, 커튼 설치, 페인트 도장, 매장 디스플레이 등의 작업을 하거나 자동차 세차와 같은 여러 가지 작업을 할 때 요긴하게 사용될 수 있는 기구이다.In general, the worktable is a mechanism that provides a stand space to enable work in a high place, and is widely used in a variety of places such as a home, an office, or an industrial field because it is stable, easy to use, and adjustable in height. For example, it is a device that can be used in a lot of places such as wall coverings, curtains, paint paintings, store displays, etc. in high places such as walls and ceilings, and various works such as car washing.

일반적으로 작업대는 다수 개의 강봉으로 구성되어 지면상에 세워지는 주틀과, 강판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주틀의 중단에 수평으로 장착되는 발판을 기본 구성요소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종래의 작업대는 발판의 높이가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으므로, 다양한 높이에서 작업을 하는 작업자는 작업공간의 높이에 따라 여러 종류의 작업대를 비치해 두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In general, a workbench is composed of a main frame constituted of a plurality of steel rods and mounted on a ground surface, and a base plate constituted of a steel plate structure and horizontally mounted on the end of the main frame. At this time, since the height of the scaffold is fixed to the conventional workbench, workers who work at various heights have to dispose of various kinds of workbenches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work space.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한 작업대가 제안된바 있으나, 이와 같은 종래의 높이 조절 작업대는 구조가 복잡하고 종래의 일반 작업대(높이 조절이 불가한 작업대)를 활용할 수 없으므로, 제조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높이 조절 작업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종래의 일반 작업대가 필요 없어지므로 자원낭비가 야기된다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height controllable workbench has been proposed.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height control workbench has a complicated structure and can not utilize a conventional workbench (a workbench whose height can not be adjust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takes a lot of time. That is, when the height adjusting workbench is used, there is a problem that a conventional workbench is unnecessary, which causes waste of resources.

또한, 종래의 높이 조절 작업대는, 작업대의 다리 길이를 각각 증감시킴으로써 발판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한 번의 조작으로 발판 높이를 승강시킬 수 없어 사용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물론, 별도의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작업대의 다리 길이를 증강시키면 발판 높이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지만, 이와 같은 경우 내부 구조가 복잡해지고 제조비용이 현저히 높아질 뿐만 아니라, 전력공급이 불가한 장소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height-adjusting workbench is generally configured to adjust the footboard height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leg length of the workbench, the footboard height can not be raised and lowered by one operation. Of course, if the leg length of the work table is increased by using a separate driving motor, the height of the footrest can be easily adjusted. However, in such a case, the internal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remarkably increase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can not.

KR 20-0429498 Y1KR 20-0429498 Y1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높이조절이 불가한 작업대를 승강시킴으로써 다양한 높이에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고, 한 번의 조작으로 작업대의 높이를 전체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며, 파손 및 추락 우려가 현저히 감소되어 높은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작업대 승강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t is possible to work at various heights by raising and lowering the work table which can not be adjusted in height, and the height of the work table can be elevated as a whole by a single operation,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edestrian platform capable of providing high stability 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risk of breakage and falling.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작업대 승강장치는, 지면에 안착되는 고정프레임; 하단이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결합되도록 수직으로 세워지는 셋 이상의 슬라이드기둥; 상기 셋 이상의 슬라이드기둥이 관통되어 상기 슬라이드기둥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상면에 작업대의 다리가 안착 및 고정되는 승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과 상기 승강프레임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승강프레임에 상향 외력을 인가하는 승강유닛;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ork platform lift device including: a fixed frame that is seated on a ground; Three or more slide columns vertically erected so that a lower end thereof is fixedly coupled to the fixed frame; A lifting and lowering frame coupled to the at least three slides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ide column, And an elevating unit mounted between the fixed frame and the elevating frame to apply an upward external force to the elevating frame.

상기 작업대의 다리는 상기 슬라이드기둥과 길이방향이 나란한 중공형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기둥은 상측이 상기 작업대의 다리 내부에 삽입된다.The legs of the work table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hollow pipe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ide pillars, and the upper side of the slide pillars is inserted into the legs of the work table.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면에 안착되는 베이스블록과, 상기 승강프레임의 저면에 안착되는 지지블록과, 일단이 상기 베이스블록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상향 연장되는 한 쌍의 하부링크와, 일단이 상기 지지블록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하향 연장되는 한 쌍의 상부링크와, 상호 대응되는 하부링크 타단과 상부링크 타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한 쌍의 체결블록과, 상기 한 쌍의 체결블록을 관통하도록 체결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체결블록 간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나사부와, 상기 나사부의 일측 끝단에 마련되는 손잡이를 구비한다.The elevating unit includes a base block that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frame, a support block that is se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vating frame, and a frame that is connected at one end to the base block in a rotatable manner, A pair of upper links each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support block so as to be rotatable in a rotatable manner and whose other ends are inclined downward in a direction of moving away from each other, A pair of fastening blocks connected to the pair of fastening blocks so as to penetrate through the pair of fastening blocks and adjusting the spacing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fastening blocks in the rotating direction, Respectively.

상기 고정프레임은, 다각형 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기둥 하단에 결합되는 고정외측프레임과, 상기 고정외측프레임의 모서리로부터 상기 고정외측프레임의 중심부를 향해 연장되는 다수 개의 고정연결프레임과, 상기 다수 개의 고정연결프레임 끝단이 결합되는 고정센터블록으로 구성되고,The fixed frame includes a fixed outer frame formed in a polygonal frame shape and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slide column, a plurality of fixed connection frames extending from corners of the fixed outer frame toward a central portion of the fixed outer frame, And a fixed center block to which an end of the fixed connection frame is coupled,

상기 승강프레임은, 다각형 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기둥 상단이 관통하는 승강외측프레임과, 상기 승강외측프레임의 모서리로부터 상기 승강외측프레임의 중심부를 향해 연장되는 다수 개의 승강연결프레임과, 상기 다수 개의 승강연결프레임 끝단이 결합되는 승강센터블록으로 구성되며,The elevating frame includes a lift frame formed in a polygonal frame shape and passing through an upper end of the slide column, a plurality of lift connection frames extending from a corner of the lift frame toward the center of the lift frame, And a lift center block to which the end of the lift connection frame is coupled,

상기 베이스블록과 상기 지지블록은 각각 상기 고정센터블록과 상기 승강센터블록에 결합되고,Wherein the base block and the support block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fixed center block and the elevation center block,

상기 고정센터블록은 상기 고정외측프레임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하고, 상기 승강센터블록은 상기 승강외측프레임보다 낮은 지점에 위치하도록 설정된다.The fixed center block is located higher than the fixed outer frame, and the elevator center block is locat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elevated outer frame.

각각의 슬라이드기둥 하측 외주면에는, 아래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플레이트 형상의 경사편이 구비된다.On the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slide column, a plate-shaped inclined piece having a wider width is provided.

본 고안에 의한 작업대 승강장치는, 작업공간의 높이에 맞춰 작업대를 승강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고, 한 번의 조작으로 작업대의 높이를 전체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며, 파손 및 추락으로 인한 상해발생 우려를 현저히 낮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 work platform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aise / lower the work platform in accordance with the height of the work space, thereby enhancing the work efficiency. The height of the work platform can be raised and lowered by one opera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ossibility of injury can be significantly lowered.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작업대 승강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작업대가 안착된 본 고안에 의한 작업대 승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작업대 승강장치에 작업대가 안착되는 구조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작업대 승강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작업대 승강장치에 포함되는 고정프레임 및 승강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작업대 승강장치 제2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고안에 의한 작업대 승강장치 제2 실시예에 포함되는 슬라이드기둥의 부분사시도 및 사용상태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ork platform landing ge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ork platform lif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work platform is seated.
3 and 4 are side views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the workbench is seated on the workben lif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side views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work platform lif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xed frame and a lift frame included in the work platform elev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id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a work platform elev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0 are a partial perspective view and a use state view of the slide column included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work table elev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작업대 승강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a work platform landing ge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작업대 승강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작업대가 안착된 본 고안에 의한 작업대 승강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작업대 승강장치에 작업대가 안착되는 구조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work platform lif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which a work platform is seated, and Figs. 3 and 4 are views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work platform is seated on the work platform lif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벽의 상부나 천장 등과 같이 지면에 서 있는 사람의 손이 닿지 아니하는 높은 영역을 시공이나 수리 등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발로 밟고 올라설 수 있는 구조물(이하 '작업대(10)'라 약칭한다)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작업대(10)는, 수직으로 세워지는 복수 개의 다리(12)와, 상기 다리(12) 상부에 결합되는 상판(14)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다리(12)의 길이가 변경되지 아니하는바 상판(14)의 높이 역시 조절이 불가하다는 단점이 있다.In the case where a construction such as an upper part of a wall, a ceiling or the like is to be constructed or repaired in a high area not reaching by the hand of a person standing on the ground, a structu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 Is required. In general, the work table 10 includes a plurality of legs 12 vertically erected and an upper plate 14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eg 12. The length of the leg 12 is not changed, The height of the upper plate 14 can not be adjusted.

본 고안에 의한 작업대(10) 승강장치는 작업자가 보다 높은 공간에서도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작업대(10)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장치로서, 지면에 안착되는 고정프레임(100)과, 하단이 상기 고정프레임(100)에 고정결합되도록 수직으로 세워지는 네 개의 슬라이드기둥(200)과, 상기 네 개의 슬라이드기둥(200)이 관통되어 상기 슬라이드기둥(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상면에 작업대(10)의 다리(12)가 안착 및 고정되는 승강프레임(300)과, 상기 고정프레임(100)과 상기 승강프레임(300)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승강프레임(300)에 상향 외력을 인가하는 승강유닛(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elev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elevating device for elevating and lowering the work table 10 so that an operator can work even in a higher space. The elevating device includes a fixed frame 100 seated on the ground, (100), and four slide pillars (200) vertically installed to be fixedly coupled to the slide pillars (100). The slide pillars (200) A lifting frame 300 on which the leg 12 of the lifting frame 10 is seated and fixed and a lifting frame 300 mounted between the lifting frame 300 and the lifting frame 300, Unit 400 as shown in FIG.

상기 승강유닛(400) 조작에 의해 승강프레임(300)이 승강되면, 상기 승강프레임(300)에 거치된 작업대(10) 역시 승강되는바, 작업대(10)의 상판(14)에 올라서서 작업을 하는 작업자는 하나의 작업대(10)로 다양한 높이의 작업이 가능해지고, 이에 따라 작업효율이 높아진다는 장점이 있다.When the lifting and lowering frame 300 is lifted and lowered by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and lowering unit 400, the work station 10 mounted on the lifting frame 300 is lifted and lowered. The worker can work at various heights with one workbench 10, and the work efficiency is improved accordingly.

이때, 종래에도 높이조절이 가능한 작업대(10)가 제안된바 있으나, 종래의 높이조절 작업대(10)(는 자체적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할 뿐, 높이조절이 불가한 일반 작업대(10)를 승강시키지는 못하므로, 기존의 일반 작업대(10)는 필요 없게 된다. 그러나 본 고안에 의한 작업대(10) 승강장치는 자체적으로 작업대(10) 기능을 하는 것이 아니라 종래의 작업대(10)를 승강시킴으로써 작업대(10) 위에 올라선 작업자가 다양한 높이에서의 작업이 가능해지도록 한다는 점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In this case, although a height adjustable work table 10 has been proposed in the related art, a conventional height adjustable work table 10 has a height adjustable nail (not shown) The conventional platform 10 is not required to be mounted on the worktable 10 by moving up and down the conventional worktable 10 instead of the worktable 10 itself, The most important feature is that the worker can work at various heights.

한편, 상기 작업대(10)의 다리(12)가 단순히 승강프레임(300) 상에 안착되어 있으면 상기 적업대가 승강프레임(300)으로부터 떨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작업대(10)는 승강프레임(300) 상에 고정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작업대(10)의 다리(12)가 슬라이드기둥(200)과 길이방향이 나란한 중공형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슬라이드기둥(200)은 상측이 작업대(10)의 다리(12) 내부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슬라이드기둥(200) 상부가 작업대(10)의 다리(12) 내측으로 삽입되면, 상기 슬라이드기둥(200)이 파단되지 아니하는 한 작업대(10) 다리(12)는 하단이 승강프레임(300) 상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는바, 상기 작업대(10)가 승강프레임(300)으로부터 추락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아니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기둥(200)의 상부가 작업대(10)의 다리(12)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결합되면, 별도의 클램프나 후크 등과 같은 체결유닛 없이도 작업대(10)를 승강프레임(300) 상에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If the leg 12 of the work table 10 is simply placed on the lift frame 300, the work table may be separated from the lift frame 300, so that the work table 10 is placed on the lift frame 300 It should be fixed. For example, when the leg 12 of the work table 1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hollow pipe parallel to the slide column 2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 manner to be inserted in a fitting manner. When the upper part of the slide pillar 200 is inserted into the leg 12 of the work table 10 as long as the slide pillar 200 is not broken, So that the problem of the work table 10 falling from the lift frame 300 is not generated. When the upper part of the slide pillar 200 is coupled to be inserted into the leg 12 of the work table 10 as shown in this embodiment, the work table 10 can be lifted and lowered without a clamping unit such as a separate clamp, It can be fixed on the frame 300, which is advantageous in that it is very convenient to use.

승강프레임(300)을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유닛(400)은, 별도의 전력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작업자의 수동 조작만으로도 승강프레임(300)을 쉽게 승강시킬 수 있도록, 자동차 자키 구조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The elevator unit 400 for elevating and lowering the elevator frame 300 is preferably constructed by an automobile jockey structure so that the elevator frame 300 can be easily raised and lowered only by manual operation of the operator without using any additional power.

즉, 상기 승강유닛(400)은, 상기 고정프레임(100)의 상면에 안착되는 베이스블록(410)과, 상기 승강프레임(300)의 저면에 안착되는 지지블록(420)과, 일단이 상기 베이스블록(410)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상향 연장되는 한 쌍의 하부링크(430)와, 일단이 상기 지지블록(420)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하향 연장되는 한 쌍의 상부링크(440)와, 상호 대응되는 하부링크(430) 타단과 상부링크(440) 타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한 쌍의 체결블록(450)과, 상기 한 쌍의 체결블록(450)을 관통하도록 체결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체결블록(450) 간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나사부(460)와, 상기 나사부(460)의 일측 끝단에 마련되는 손잡이(4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나사부(460)는 손잡이(470)와 먼 지점에 위치하는 체결블록(450)에는 자전만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손잡이(470)와 가까운 지점에 위치하는 체결블록(450)에는 나사결합 구조로 결합되는바, 상기 나사부(460)가 회전함에 따라 한 쌍의 체결블록(450)은 상호 간의 거리가 변경된다.That is, the elevating unit 400 includes a base block 410 that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frame 100, a supporting block 420 that is se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vating frame 300, A pair of lower links 430 connected to the block 410 in a rotatable structure and extending upward in an inclined direction in a direction in which the other ends are mutually separated, A pair of coupling blocks 450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lower link 430 and the other end of the upper link 440 so as to be rotatable, A screw portion 460 coupled to the pair of fastening blocks 450 so as to penetrate through the pair of fastening blocks 450 and adjusting the spacing between the pair of fastening blocks 450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470). The threaded portion 460 is coupled to the fastening block 450 located at a remote position from the handle 470 so as to rotate only and to the fastening block 450 located near the handle 470 in a threaded engagement structure As the threaded portion 460 rotates,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coupling blocks 450 is changed.

나사부(460)가 일측으로 회전되어 두 개의 체결블록(450) 간격이 좁아지면 하부링크(430) 및 상부링크(440)는 기울기가 커지도록 세워지는바, 베이스블록(410)과 지지블록(420) 간의 이격거리가 증가되고, 베이스블록(410)과 지지블록(420) 간의 이격거리가 증가된만큼 승강프레임(300)이 상승하게 된다. 반대로 나사부(460)가 타측으로 회전되어 두 개의 체결블록(450) 간격이 넓어지면 하부링크(430) 및 상부링크(440)는 기울기가 작아지도록 눕혀지므로, 베이스블록(410)과 지지블록(420) 간의 이격거리가 줄어들고, 베이스블록(410)과 지지블록(420) 간의 이격거리가 줄어든만큼 승강프레임(300)이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승강유닛(400)은 자동차 리프트용 자키와 실질적으로 구성이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lower link 430 and the upper link 440 are inclined so that the inclination of the lower link 430 and the upper link 440 is increased. When the screw block 460 is rotated to one sid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engaging blocks 450 is narrowed,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base block 410 and the support block 420 is increased, so that the lift frame 300 is raised. The lower link 430 and the upper link 440 are laid down so that the inclination of the lower link 430 and the upper link 440 is reduced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base block 410 and the support block 420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base block 410 and the support block 420 is reduced, so that the lifting frame 300 is lowered. Since the lift unit 400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lift lift joystick,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본 고안에 의한 작업대(10) 승강장치는 작업자가 직접 손으로 밀어 이동시킬 수 있도록, 고정프레임(100) 저면에 바퀴(101)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작업대(10)에 올라서 있을 때 본 고안에 의한 작업대(10) 승강장치가 임의로 움직이면 작업자가 중심을 잃고 추락할 수 있는바, 상기 바퀴(101)에는 별도의 스토퍼(102)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구름이 차단 및 해제되는 바퀴(101)는 유모차나 보행기 등 여러 분야에서 상용화되어 있는바, 상기 바퀴(101)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Meanwhile, the wheel 101 can b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xed frame 100 so that the operator can directly push and move the work platfor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when the worker moves on the work table 10, if the work platform 10 moves arbitrari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orker can lose his / her head and fall, and the wheel 101 is provided with a separate stopper 102 . As described above, the wheel 101, in which the clouds are blocked and releas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is commercialized in various fields such as a baby carriage and a walker,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wheel 101 will be omitted.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작업대(10) 승강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5 and 6 are side views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lift table of the work tabl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나사부(460)의 손잡이(470)를 손으로 잡고 일측으로 회전시켜 한 쌍의 체결블록(450) 간격이 멀어지고 이에 따라 베이스블록(410)과 지지블록(420) 간의 이격거리가 좁아지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블록(420)에 결합된 승강프레임(300)은 자중에 의해 하강하게 되고, 상기 승강프레임(300) 상에 안착되어 있는 작업대(10) 역시 승강프레임(300)을 따라 하강하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대(10) 높이가 낮아지면, 상기 작업대(10)에 올라선 작업자는 비교적 낮은 작업공간에서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4, when the user grips the handle 470 of the screw portion 460 by hand and rotates to one side, the gap between the pair of coupling blocks 450 is distanced, and the base block 410 and the support block 420 The lift frame 300 coupled to the support block 420 is lowered due to its own weight as shown in FIG. 5, and a work table (not shown) mounted on the lift frame 300 10 also descend along the lifting frame 300. As shown in FIG. 5, when the worktable 10 is lowered in height, the worker climbing the worktable 10 can easily work in a relatively low work space.

이때, 상기 슬라이드기둥(200)은 작업대(10)가 하강하는 만큼 다리(12) 내측으로 더 깊게 삽입된다. 한편, 승강프레임(300)이 하강하는 동안 슬라이드기둥(200)은 작업대(10)의 다리(12)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작업대(10)는 측방으로 흔들리거나 이동하지 아니하고 수직 하방으로만 이동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slide pillar 200 is inserted deeper into the leg 12 as the work table 10 is lowered. Since the slide pillar 200 is inserted into the leg 12 of the work table 10 during the descent of the lifting frame 300, the work table 10 does not sway or move sideways, .

반대로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나사부(460)의 손잡이(470)를 손으로 잡고 타측으로 회전시켜 한 쌍의 체결블록(450) 간격이 좁아지고 이에 따라 베이스블록(410)과 지지블록(420) 간의 이격거리가 넓어지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블록(420)에 결합된 승강프레임(300)은 지지블록(420)에 의해 밀려 상승하게 되고, 상기 승강프레임(300) 상에 안착되어 있는 작업대(10) 역시 승강프레임(300)을 따라 상승하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대(10) 높이가 높아지면, 상기 작업대(10)에 올라선 작업자는 비교적 높은 작업공간에서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4, the user grips the handle 470 of the threaded portion 460 by hand and rotates to the other side to narrow the gap between the pair of coupling blocks 450, The lift frame 300 coupled to the support block 420 is pushed up by the support block 420 as shown in FIG. 6, The worktable 10 mounted on the lifting frame 300 is also lifted along the lifting frame 300. As shown in FIG. 6, when the height of the work table 10 is increased, the worker climbing the work table 10 can easily work in a relatively high work space.

한편, 상기 슬라이드기둥(200)은 작업대(10)가 상승하는 만큼 다리(12) 내측으로부터 인출되지만, 승강유닛(400)이 승강프레임(300)을 최대로 상승시키도록 조작되더라도 상기 슬라이드기둥(200)은 작업대(10) 다리(12)로부터 완전히 인출되지 아니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가 작업대(10) 다리(12)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는바, 작업대(10)가 측방으로 흔들리거나 이동하는 현상은 발생되지 아니하게 된다.Although the slide pillar 200 is pulled out from the inside of the leg 12 as the work table 10 is raised, even if the lift unit 400 is operated to raise the lift frame 300 to the maximum, Is not completely drawn out of the leg 12 of the work table 10 and a part thereof is inserted into the leg 12 of the work table 10 as shown in Figure 6 so that the work table 10 is swayed sideways The phenomenon of moving does not occur.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작업대(10) 승강장치에 포함되는 고정프레임(100) 및 승강프레임(300)의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xed frame 100 and the lift frame 300 included in the elevating device of the work tabl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고정프레임(100)과 승강프레임(300)은 승강유닛(400)에 의해 상호 간 간격이 증감될 수 있고, 작업대(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으로도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고정프레임(100)과 승강프레임(300)이 하나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면 자체 중량이 과도하게 커지게 되어 작업자가 승강유닛(400)을 사용한다 하더라도 승강프레임(300)을 상승시키는데 많은 힘이 소요될 수 있다. 또한, 고정프레임(100)과 승강프레임(300)의 자체 중량이 커지면 본 고안에 의한 작업대(10) 승강장치를 옆으로 밀어 이동시키는데에도 많은 힘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고정프레임(100) 및 승강프레임(300) 제조비용 역시 매우 높아진다는 단점도 발생된다.The fixed frame 100 and the lifting frame 30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the lifting unit 400 and may be formed in any shape as long as they can stably support the work table 10. However, if the fixed frame 100 and the elevating frame 300 are formed in a single flat shape, their own weight becomes excessively large, and even if the operator uses the elevating unit 400, Can take. In addition, when the self-weight of the fixed frame 100 and the lifting frame 300 is increased, much force is also required to push the lifting and lowering device of the work platform 10 to the side by the present invention, 300) manufacturing cost is also increased.

따라서 상기 고정프레임(100)과 승강프레임(300)은 중량 대비 높은 강도를 구현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빔이 결합된 구조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xed frame 100 and the lifting frame 300 are constructed in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beams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realize a high strength in weight.

즉, 상기 고정프레임(100)은, 다각형 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기둥(200) 하단에 결합되는 고정외측프레임(110)과, 상기 고정외측프레임(110)의 모서리로부터 상기 고정외측프레임(110)의 중심부를 향해 연장되는 다수 개의 고정연결프레임(120)과, 상기 다수 개의 고정연결프레임(120) 끝단이 결합되는 고정센터블록(1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승강프레임(300) 역시, 다각형 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기둥(200) 상단이 관통하는 승강외측프레임(310)과, 상기 승강외측프레임(310)의 모서리로부터 상기 승강외측프레임(310)의 중심부를 향해 연장되는 다수 개의 승강연결프레임(320)과, 상기 다수 개의 승강연결프레임(320) 끝단이 결합되는 승강센터블록(3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블록(410)과 상기 지지블록(420)은 각각 상기 고정센터블록(130)과 상기 승강센터블록(330)에 결합된다.That is, the fixed frame 100 includes a fixed outer frame 110 formed in a polygonal frame shape and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slide column 200 and a fixed outer frame 110 extending from a corner of the fixed outer frame 110 A plurality of fixed connection frames 120 extending toward the center of the fixed connection frame 120 and a fixed center block 130 to which the ends of the plurality of fixed connection frames 120 are coupled. The lifting frame 300 also includes a lifting outer frame 310 formed in a polygonal frame shape and through which the upper ends of the slide pillars 200 pass and a lifting outer frame 310 extending from the corners of the lifting outer frame 310, And a lift center block 330 to which the ends of the plurality of lifting and connecting frames 320 are coupled. At this time, the base block 410 and the support block 420 are coupled to the fixed center block 130 and the elevation center block 330, respectively.

이와 같이 고정프레임(100)과 승강프레임(300)이 제작되면, 승강유닛(400)에 의해 고정센터블록(130)과 승강센터블록(330)으로 수직방향 힘이 인가되었을 때, 상기 수직방향 힘은 고정연결프레임(120)과 승강연결프레임(320)을 통해 고정외측프레임(110)과 승강외측프레임(310)으로 전달되므로, 승강프레임(300)의 승강은 원활하게 구현될 수 있다.When vertical force is applied to the fixed center block 130 and the elevation center block 330 by the elevation unit 400 after the fixed frame 100 and the elevation frame 300 are manufactured as described above,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lifting frame 300 can be smoothly performed because the lifting and lowering frame 300 is transmitted to the fixed outer frame 110 and the lifting and lowering outer frame 310 through the fixed connection frame 120 and the lifting connection frame 320.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작업대(10) 승강장치 제2 실시예의 측면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고안에 의한 작업대(10) 승강장치 제2 실시예에 포함되는 슬라이드기둥(200)의 부분사시도 및 사용상태도이다.8 is a sid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elevat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9 and 10 are views showing a part of the slide column 200 included in the elevating device second embodiment of the work tabl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and a use state diagram.

고정프레임(100)과 승강프레임(300)의 중량대비 강도를 높이기 위해 상기 고정프레임(100)과 승강프레임(300)을 다수 개의 빔이 연결된 구조로 제작하였을 때, 작업대(10)의 자중과 작업자의 체중을 더한 하중이 네 개의 승강연결프레임(320) 인장강도나 네 개의 고정연결프레임(120) 인장강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승강연결프레임(320)이나 고정연결프레임(120)이 늘어나 승강외측프레임(310)이 아래로 처지거나 베이스블록(410)이 아래로 처지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When the fixed frame 100 and the lifting frame 300 are constructed in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beam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fixed frame 100 and the lifting frame 300, The lifting connection frame 320 or the fixed connection frame 120 is stretched so that the lifting connection frame 320 and the four fixed connection frames 120 are pulled out of the lifting / The frame 310 may be sagged down or the base block 410 may be sagged down.

이때, 빔 형상을 이루는 강재는 인장강도보다 압축강도가 더 큰 특성을 갖는바, 본 고안에 의한 작업대(10) 승강장치는 작업대(10)의 자중과 작업자의 체중을 더한 하중이 승강연결프레임(320)이나 고정연결프레임(120)에 압축응력으로 인가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since the steel material forming the beam shape has a greater compressive strength than the tensile strength, the lift height of the work tabl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weight of the work table 10 plus the weight of the worker, Or to the stationary connection frame 120 with a compressive stress.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센터블록(130)은 상기 고정외측프레임(110)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하고, 상기 승강센터블록(330)은 상기 승강외측프레임(310)보다 낮은 지점에 위치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고정센터블록(130)이 약간 높게 위치되고 승강센터블록(330)이 약간 낮게 위치되면, 작업대(10)의 자중과 작업자의 체중을 더한 하중이 인가될 때 상기 승강연결프레임(320) 및 고정연결프레임(120)에는 압축응력이 발생되는바, 상기 승강연결프레임(320)과 고정연결프레임(120)은 쉽게 변형되지 아니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승강외측프레임(310)이 아래로 처지거나 베이스블록(410)이 아래로 처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아니하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8, the fixed center block 130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fixed outer frame 110, and the elevation center block 330 is position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elevated outer frame 310 . When the fixed center block 130 is positioned slightly higher and the elevation center block 330 is slightly lowered when the weight of the work platform 10 plus the weight of the worker is applied, The lifting and connecting frame 320 and the fixed connecting frame 120 are not easily deformed so that the lifting and lowering outer frame 310 can be deformed downward The effect that the phenomenon that the block 410 is sagged down does not occur can be obtained.

즉, 도 8에 도시된 형상으로 고정프레임(100)과 승강프레임(300)을 제작하면, 고정프레임(100)과 승강프레임(300)의 중량대비 강도를 최대한 높일 수 있으므로, 제품의 경량화가 가능해지고, 이에 따라 제조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8, the weight of the fixed frame 100 and the lifting frame 300 can be increased as much as possible, so that the weight of the product can be reduced So that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한편, 승강유닛(400)의 작동불량이나 파손 등에 의해 상기 승강유닛(400)이 승강프레임(300)을 더 이상 지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되면, 상기 승강프레임(300) 및 작업대(10)는 아래로 추락하게 되는데, 이때 승강프레임(300)에 큰 충격력이 인가되면 작업대(10)에 올라서 있던 작업자는 상기 충격력에 의해 위로 퉁겨지므로 작업자가 큰 상해를 입을 수 있다.When the elevator unit 400 can not support the elevator frame 300 due to malfunction or breakage of the elevator unit 400, the elevator frame 300 and the work table 10 may be lowered If a large impact force is applied to the lifting frame 300 at this time, the worker who has climbed up on the work table 10 is tucked up by the impact force, so that the worker can suffer a serious injury.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작업대(10) 승강장치는 승강프레임(300)이 자유 낙하하는 경우가 발생되더라도 큰 충격력이 인가되지 아니하도록, 서서히 정지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승강프레임(300)과 고정프레임(100) 사이에 다수 개의 압축실린더를 설치하면 승강프레임(300)에 큰 충격력이 인가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지만, 고가의 압축실린더를 다수 개 설치하기 위해서는 많은 제조비용이 소요되는바, 본 고안에 의한 작업대(10) 승강장치는 승강프레임(300)이 서서히 정지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요소가 매우 간단한 구조로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work platfor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tructured to be able to stop slowly so that a large impact force is not applied even if the lift frame 300 is free to fall. Of course, if a plurality of compression cylinders are installed between the lifting frame 300 and the fixed frame 100, it is possible to prevent a large impact force from being applied to the lifting frame 300. However,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apply a very simple structure to the elevator frame 300 to allow the elevator frame 300 to be slowly stopped.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플레이트 형상(더 명확하게는 직각삼각형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경사편(210)이 각각의 슬라이드기둥(200) 하측 외주면에 장착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9, an inclined piece 210 having a plate shape (more specifically, a rectangular triangular plate shape) that widens in a downward direction is mounted on a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slide post 200 .

상기 승강프레임(300)에는 슬라이드기둥(200)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관통공은 슬라이드기둥(200)은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지만 경사편(210)은 통과하지 못하는 크기로 제작되는바, 자유 낙하하던 승강프레임(300)이 경사편(210)과 접촉되었을 때 상기 경사편(210)은 인가되는 하중에 의해 압축 변형되면서 상기 관통공을 지나게 된다. 그러나 상기 경사편(210)이 압축 변형되더라도 좁은 상측 일부는 관통공을 지날 수 있지만 폭이 넓은 하측은 관통공을 지날 수 없으므로, 승강프레임(300)은 경사편(210)의 경사면을 일정 거리 타고 내려오다가 서서히 정지하게 된다.The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lift frame 300 so that the slide column 200 can pass smoothly but the slope piece 210 can not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When the lifting frame 300 that has fallen freely falls into contact with the inclined piece 210, the inclined piece 210 is compressed and deformed by the applied load and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However, even if the inclined piece 210 is compression-deformed, the narrow upper part can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but the lower wide part can not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Thus, When it comes down, it stops slowly.

이와 같이 슬라이드기둥(200)에 경사편(210)이 형성되면, 승강프레임(300) 자유낙하시 상기 경사편(210)은 변형 및 파손되지만 상기 승강프레임(300)으로는 큰 충격력이 인가되지 아니하므로, 작업자의 상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When the slope piece 210 is formed on the slide column 200 as described above, the slope piece 210 is deformed and broken when the lift frame 300 is freely dropped, but a large impact force is not applied to the lift frame 300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injury of the operator can be minimized.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appended claim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작업대 12 : 다리
14 : 상판 100 : 고정프레임
110 : 고정외측프레임 120 : 고정연결프레임
130 : 고정센터블록 101 : 바퀴
102 : 스토퍼 200 : 슬라이드기둥
210 : 경사편 300 : 승강프레임
310 : 승강외측프레임 320 : 승강연결프레임
330 : 승강센터블록 400 : 승강유닛
410 : 베이스블록 420 : 지지블록
430 : 하부링크 440 : 상부링크
450 : 체결블록 460 : 나사부
470 : 손잡이
10: worktable 12: leg
14: top plate 100: fixed frame
110: fixed outer frame 120: fixed connection frame
130: fixed center block 101: wheel
102: Stopper 200: Slide pillar
210: slope piece 300: lift frame
310: lift-and-lift outer frame 320: lift-
330: lift center block 400: lift unit
410: Base block 420: Support block
430: lower link 440: upper link
450: fastening block 460: threaded portion
470: Handle

Claims (5)

지면에 안착되는 고정프레임(100);
하단이 상기 고정프레임(100)에 고정결합되도록 수직으로 세워지는 셋 이상의 슬라이드기둥(200);
상기 셋 이상의 슬라이드기둥(200)이 관통되어 상기 슬라이드기둥(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상면에 작업대(10)의 다리(12)가 안착 및 고정되는 승강프레임(300);
상기 고정프레임(100)과 상기 승강프레임(300)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승강프레임(300)에 상향 외력을 인가하는 승강유닛(400);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프레임(100)은, 다각형 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기둥(200) 하단에 결합되는 고정외측프레임(110)과, 상기 고정외측프레임(110)의 모서리로부터 상기 고정외측프레임(110)의 중심부를 향해 연장되는 다수 개의 고정연결프레임(120)과, 상기 다수 개의 고정연결프레임(120) 끝단이 결합되는 고정센터블록(130)으로 구성되고,
상기 승강프레임(300)은, 다각형 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기둥(200) 상단이 관통하는 승강외측프레임(310)과, 상기 승강외측프레임(310)의 모서리로부터 상기 승강외측프레임(310)의 중심부를 향해 연장되는 다수 개의 승강연결프레임(320)과, 상기 다수 개의 승강연결프레임(320) 끝단이 결합되는 승강센터블록(330)으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센터블록(130)은 상기 고정외측프레임(110)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하고, 상기 승강센터블록(330)은 상기 승강외측프레임(310)보다 낮은 지점에 위치하며,
상기 슬라이드기둥(200)의 하측 외주면에는, 상기 승강프레임(300)이 자유 낙하되면 인가되는 하중에 의해 압축 변형되어 상기 승강프레임을 서서히 정지시킬 수 있도록 아래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플레이트 형상의 경사편(21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10) 승강장치.
A stationary frame (100) which is seated on the ground;
Three or more slide columns 200 vertically erected so that the lower ends thereof are fixedly coupled to the fixed frame 100;
A lifting frame 300 coupled to the three or more slide columns 200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ide column 200 and on which the legs 12 of the work table 10 are seated and fixed;
And an elevating unit (400) mounted between the fixed frame (100) and the elevating frame (300) to apply an upward external force to the elevating frame (300)
The fixed frame 100 includes a fixed outer frame 110 formed in a polygonal frame shape and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slide column 200 and a fixed outer frame 110 extending from a corner of the fixed outer frame 110, A plurality of fixed connection frames 120 extending toward the central portion and a fixed center block 130 to which the ends of the plurality of fixed connection frames 120 are coupled,
The lifting frame 300 includes a lifting outer frame 310 formed in a polygonal frame shape and through which an upper end of the slide pillar 200 passes and a lifting outer frame 310 extending from an edge of the lifting outer frame 310 And a lifting center block 330 coupled to the ends of the plurality of lifting and lowering connecting frames 320,
The fixed center block 130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fixed outer frame 110 and the elevation center block 330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elevated outer frame 310,
The lower end of the slide pillar 200 is provided with a plate-like inclined piece (not shown) having a width gradually increasing downward so that the lifting frame 300 can be compressed and deformed by a load applied when the lifting frame 300 is freely dropped, (210) is provided on the work table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10)의 다리(12)는 상기 슬라이드기둥(200)과 길이방향이 나란한 중공형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기둥(200)은 상측이 상기 작업대(10)의 다리(12) 내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10) 승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egs 12 of the work table 10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hollow pipe parallel to the slide pillars 2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upper side of the slide pillar (200) is inserted into the leg (12) of the work table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유닛(400)은,
상기 고정프레임(100)의 상면에 안착되는 베이스블록(410)과, 상기 승강프레임(300)의 저면에 안착되는 지지블록(420)과, 일단이 상기 베이스블록(410)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상향 연장되는 한 쌍의 하부링크(430)와, 일단이 상기 지지블록(420)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하향 연장되는 한 쌍의 상부링크(440)와, 상호 대응되는 하부링크(430) 타단과 상부링크(440) 타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한 쌍의 체결블록(450)과, 상기 한 쌍의 체결블록(450)을 관통하도록 체결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체결블록(450) 간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나사부(460)와, 상기 나사부(460)의 일측 끝단에 마련되는 손잡이(4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10) 승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levating unit (400)
A base block 410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frame 100, a support block 420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ift frame 300, A pair of lower links 430 each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upport block 420 so as to be rotatable and the other ends of the lower links 430 extending downwar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other ends are mutually moved away from each other, A pair of coupling blocks 450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lower link 430 and the other end of the upper link 440 are rotatable; And a handle 470 provided at one end of the threaded portion 460. The threaded portion 460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Work bench (10) Win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2020150008034U 2015-12-08 2015-12-08 Lifting device for working platform KR20048088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034U KR200480884Y1 (en) 2015-12-08 2015-12-08 Lifting device for working platfor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034U KR200480884Y1 (en) 2015-12-08 2015-12-08 Lifting device for working platfor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884Y1 true KR200480884Y1 (en) 2016-07-18

Family

ID=56613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8034U KR200480884Y1 (en) 2015-12-08 2015-12-08 Lifting device for working platfor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884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43096A (en) * 2019-05-16 2019-08-20 湖南应用技术学院 A kind of embroidery processing equipment
KR102253110B1 (en) * 2020-11-26 2021-05-17 주식회사 주영산업 Scaffold Shift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9498Y1 (en) 2006-08-04 2006-10-23 이영학 Height adjustable work bench
KR20080057210A (en) * 2008-06-02 2008-06-24 한기채 Asbestos finish material demolition device
KR20120007673U (en) * 2011-04-29 2012-11-0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Array jig for joint hole of pipe flang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9498Y1 (en) 2006-08-04 2006-10-23 이영학 Height adjustable work bench
KR20080057210A (en) * 2008-06-02 2008-06-24 한기채 Asbestos finish material demolition device
KR20120007673U (en) * 2011-04-29 2012-11-0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Array jig for joint hole of pipe flang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43096A (en) * 2019-05-16 2019-08-20 湖南应用技术学院 A kind of embroidery processing equipment
CN110143096B (en) * 2019-05-16 2024-05-10 湖南应用技术学院 Embroidery processing equipment
KR102253110B1 (en) * 2020-11-26 2021-05-17 주식회사 주영산업 Scaffold Shif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6634B1 (en) The lift crane for sub-precise equipment and distribution
KR101884626B1 (en) Scaffold connected by the rack method
CN213979823U (en) Construction frame with protection function
CN106284956B (en) A kind of scaffold and its construction method of automatic lifting
KR200480884Y1 (en) Lifting device for working platform
CN105538237A (en) Auxiliary device for electric hammer punching
KR20210003452A (en) Height-adjustable movable work platform
KR20080102922A (en) Lift aerial workbench
KR101769041B1 (en) A going up and down worktable for work scaffold and concrete mold system comprising the same
CN204661190U (en) Group training basket jacking system
KR20120107320A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system support
KR20180122533A (en) Stepping board for architectural scaffold
KR20110043120A (en) Lowering device for dismantling slab formwork
KR102447971B1 (en) rolling tower
CN204532035U (en) Mobile foldable repairing platform
CN213868850U (en) Multifunctional scaffold for building construction
CN203917788U (en) A kind of riveting work platform
CN105000501B (en) A kind of lowering or hoisting gear of fluid pressure type
CN221119117U (en) Scaffold for high-stability assembled building construction
CN219411758U (en) Lifting type multifunctional scaffold
CN221191410U (en) Hand-operated lifting supporting device of mobile platform
CN220954510U (en) Indoor construction foot rest
CN212836584U (en) Lifting operation platform for interior decoration
CN209907887U (en) Special tool platform for assembling refrigerating box body
CN217175605U (en) Scaffold for building enginee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51208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301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29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08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60304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62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71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60713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