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1287Y1 - 길이 조절이 가능한 신발창 - Google Patents

길이 조절이 가능한 신발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1287Y1
KR200351287Y1 KR20-2004-0004217U KR20040004217U KR200351287Y1 KR 200351287 Y1 KR200351287 Y1 KR 200351287Y1 KR 20040004217 U KR20040004217 U KR 20040004217U KR 200351287 Y1 KR200351287 Y1 KR 2003512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
length
shoe
foo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42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기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경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경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경화학
Priority to KR20-2004-00042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12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12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12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1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with a part of the sole being flexible, e.g. permitting articulation or torsion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길이 조절이 가능하면서도 외부의 물이 신발창을 통하여 유입되는 것이 배제되도록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진 길이 조절이 가능한 신발창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신발창은, 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방부(11)와, 발의 길이 방향 중앙 아치부에 해당하며 다수의 주름이 형성된 주름부(12)와, 후방부(13)로 구획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전방부와 주름부 및 후방부가 일체로 성형된 연속체 구조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신발창은 전·후방부와 그 사이의 주름부가 일체로 성형된 연속체이기 때문에 전·후방부와 주름부의 경계부를 통한 방수성 저하 문제가 근원적으로 해결되며, 상기 각 부분을 접착 등의 방법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공정이 필요 없기 때문에 신발창의 제조 생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길이 조절이 가능한 신발창{The outsole of being adjustable in length}
본 고안은 길이 조절이 가능한 신발창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신발창을 전방부와 중앙부 및 후방부의 세부분으로 구분하고, 전·후방부와 달리 주름이 형성된 상기 중앙부를 전·후방부와 단일 연속체로 형성시켜 전방부와 중앙부 및 중앙부와 후방부 사이의 경계부를 통하여 신발창 외부의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신발창의 제조 생산성이 현저히 향상되도록 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신발창에 관한 것이다.
사람이 걷게 되면서 발달되어 온 신발은 초기에 발을 다치지 않도록 단순히 보호하는 역할만을 수행하였으나, 생활 수준의 향상과 함께 각종 새로운 소재가 개발되면서 비약적으로 발전되어 오늘날에는 보행용, 산악용, 신체 교정용, 특정 운동용 등 다양한 활동에 각각 적합하도록 각종 용도의 신발들이 만들어지고 있다.
신발은 발을 보호하면서 활동할 수 있도록 하는 기본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만들어졌기 때문에, 신발을 신고 벗을 수 있는 상부의 일정 부위를 제외하고 발을 감싸게 되는 신발은 그 내부 공간이 밀폐된 형태를 취하며, 발에 맞도록 그 크기가 고정되는 바, 발이 자라게 되면 신발을 바꿔 주어야만 한다.
즉, 일반적인 신발은 특정한 길이의 최소 사이즈에서부터 5∼10mm 정도씩 그 길이를 늘려 연속적이 아닌 단계적으로 신발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예를 들어, 신발의 각 사이즈간 길이 차이가 10mm이고, 240mm 사이즈의 신발을 선택한다고 하면, 상기 사이즈를 선택하여야 하는 발의 길이는 240mm 이상 250mm 미만이 되어야 하는 바, 발의 길이가 대략 240∼245mm인 경우에는 다소 넉넉하게, 246∼249mm인 경우에는 딱 맞게 신발을 착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신발의 사이즈가 연속되지 못하고 일정 간격씩 제조되기 때문에 발에 딱 맞는 신발을 고르기가 어려우며, 특히 여름과 겨울철에는 발에 신는 양말의 두께에 차이가 나는 바, 여름철을 기준으로 발에 맞는 신발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겨울철에는 다소 작게 느껴질 수 있고, 겨울철을 기준으로 신발을 선택하게 되면 여름철에는 다소 크게 느껴지게 될 수가 있다.
또한, 오전에서 오후로 갈 수록 활동량이 증가함에 따라 발의 길이가 일정 범위 내에서 길어지기 때문에 오전과 오후에 느끼는 신발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변화된 것처럼 느끼게 된다.
더욱이, 성장기를 지난 어른과 달리 어린이와 청소년들과 같은 경우에는 발의 성장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특정 사이즈의 신발을 오래 신을 수 없어 새로운 신발을 자주 구입하여야 하는 바, 경제적인 부담으로 작용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일정 간격씩 그 크기가 고정된 상태로 제조되고 있는 신발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신발이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51111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신발은 전방바닥창과 후방바닥창의 결합부가 서로 대칭되는 계단식 형상을 하며, 서로 분리 가능한 결합 구조로서 상기 전방바닥창에 대하여 후방바닥창을 전·후 방향으로 유동시켜 신발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으나, 전·방바닥창이 서로 분리 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바닥창의 저면이 접촉하게 되는 바닥의 물이 전·후방바닥창 사이의 경계부를 따라 신발의 내부로 스며들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즉, 물과 같은 액체는 미세한 틈새만 있어도 서서히 스며들게 되는 바,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전·후방바닥창 사이의 결합부가 극히 정밀한 구조를 갖던지 신발 내부에서 바닥창의 상면에 깔리게 되는 중창을 밀폐 구조로 하여야만 하는 바, 전자의 경우 신발의 제조 원가가 상승하게 될 뿐 아니라 신발의 특성상 정밀한 구조가 쉽게 손상될 수 있으며, 후자의 경우 바닥창의 길이 조절 범위 내에서 중창도 신축 가능하면서 방수성을 가져야 할 뿐 아니라 중창의 테두리부와 신발 갑피 내면이 밀착 접착되어야만 하는 등 신발의 방수 기능을 만족시키기가 어렵다.
본 고안은 단계식으로 그 길이가 고정된 종래 신발이 가지고 있는 종래 신발과, 길이 조절은 가능하나 방수성에 있어서 단점을 가지고 있는 종래의 길이 조절용 신발이 가지고 있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일정 범위 내에서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면서도 방수 기능이 확실히 수행될 수 있으며 제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길이 조절용 신발창을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 일실시예 신발창을 보인 것으로,
(가)는 상면측 사시도이고,
(나)는 저면측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 일실시예 신발창과 갑피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일실시예 신발창을 보인 것으로,
(가)는 신축되지 않을 상태의 단면도이고,
(나)는 신장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신발창 2. 갑피
11. 신발창 전방부 12. 신발창 주름부
12'. 갑피 후방부 13. 신발창 후방부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하나의 연속체로 형성되는 주름 구조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고안의 신발창은 길이 조절이 가능한 신발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신발창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 주름부를 형성시켜 하나의 신발창을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전방부와 중앙의 주름부 및 후방부의 세 부분으로 구성하되, 전·후방부와 주름부를 분리 가능 또는 개별 제조 후 결합시키는 구조가 아닌 1회의 사출에 의해 함께 형성시켜 연속된 일체화 구조를 갖도록 함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즉, 본 고안의 신발창은, 신발창의 상면에 신발창을 신장 또는 수축 시킬 수 있는 길이 조절 기구에 의해, 신발창 중앙부의 주름부가 신발의 길이 방향으로 신축됨으로써 신발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면서도, 전방부와 주름부 및 후방부가 일체로 형성된 연속체 구조이기 때문에 완벽한 방수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신발창을 이루는 상기 주름부는 필요에 따라 그 형성 위치를 변경시킬 수도 있으나, 바닥에 닿지 않는 발바닥 중앙의 아치부(또는 만곡부)에 일치하는 신발창 부위에 형성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바, 상기 발의 아치부에 일치하는 신발창의 중앙 저면이 바닥과 접촉되지 않거나 접촉하여도 접촉 압력이 가장 작기 때문에 바닥과의 접촉에 의한 주름부의 마모량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주름부를 이루는 다수의 주름을 이루는 각 골과 산은 신발의 폭방향으로 형성되어 골과 산 부위가 신발의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구조가 된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에 본 고안 실발창의 상면과 저면 사시도를, 도 2에 본 고안 실발창과 갑피의 분리 사시도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신발창(1)은 테두리부를 따라 직립하여 그 내면이 갑피(2)의 하단부 외면에 접착되는 접착리브(L)가 상향 직립하여 형성되며, 전체가 하나의 연속체이고, 발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획되어 발의 앞부분을 지지하는 전방부(11)와, 발의 길이 방향 중앙 아치부를 지지하며 다수의 주름이 형성된 주름부(12)와, 발의 뒷꿈치를 포함한 뒷부분을 지지하는 후방부(13)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주름부(12)를 형성하는 주름은 다수의 골과 산으로 이루어지는 바, 각 골과 산은 서로 평행하며 신발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폭 방향으로 형성되며, 그에 따라 상기 주름부(12)는 신발의 길이 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하게 된다.
즉, 본 고안의 신발창(1)에 결합되는 갑피(2)에, 상기 신발창 주름부(12)의 위치에 대응하며 이와 연장된 주름부를 이룰 수 있는 갑피주름부(12')를 형성시킴으로써, 갑피와 신발창이 함께 길이 조절이 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신발창(1)을 구성하는 전방부(11)와 주름부(12) 및 후방부(13)는 각기 개별적으로 제조된 후 접착, 융착 등에 의해 서로 고정 결합됨으로써 최종적으로 한 몸체를 이룬 것이 아니라, 유연한 특성을 갖는 동일 재질의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사출 등의 방법에 의해 처음부터 한 몸체로 만들어진 연속체 구조이다.
이때, 주름부(13)의 신축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전·후방부(11)(13)보다 좀더 유연한 다른 재질의 재료로서 주름부를 형성시키는 경우에도 이중 사출 등의 방법을 통하여 전·후방부와 주름부를 함께 한 몸체로 만들도록 하여야만 전·후방부와 주름부를 각각 만든 후 이들을 접착 등의 방법에 의해 하나로 결합시키기 위한 공정이 단축되며, 주름부의 양 단부와 전·후방부 사이의 경계부를 통한 수분의 침입이 원천적으로 방지된다.
또한, 전·후방부에 비하여 신축되는 주름부는 그 특성상 전·후방부에 비하여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창을 바닥에 놓은 상태에서 전·후방부 저면보다 주름부 저면의 최하점 높이가 일정 높이(d) 이상 높도록 함으로써 신발의 착용에 따른 주름부의 마모율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때, 외부 하중이 작용하지 않았을 때 상기 주름부 저면의 최하점이 바닥으로부터 떨어지는 거리인 높이(d)는 신발의 용도에 따라 자유롭게 변화 가능하나, 일반적인 신발의 경우 3∼10mm 정도가 바람직한 바, 그 높이(d)가 3mm에 미치지 못하면 주름부가 매우 약한 힘에서도 전·후방부와 같이 바닥에 닿게 되어 쉽게 마모될 수 있으며, 10mm를 초과하면 주름부의 마모 현상 억제에는 매우 효과적이나 아치부의 과도한 상승에 의해 착용감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신발창은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방부와 그 사이의 주름부로 구분되면서도 전체가 연속체의 구조를 갖기 때문에 접착부를 통한 수분의 유입이 원천적으로 배제되며, 상기 각 부분을 접착 등의 방법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공정이 필요 없기 때문에 신발창의 제조 생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길이 조절이 가능한 신발창에 있어서, 발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발의 앞부분을 지지하는 전방부(11)와, 발의 길이 방향 중앙 아치부에 해당하며 다수의 주름이 형성되어 길이 방향의 신축이 가능한 주름부(12)와, 발의 뒷꿈치를 포함한 뒷부분을 지지하는 후방부(13)로 구획되며, 상기 세 부분(11)(12)(13)이 일체로 성형된 연속체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창.
  2. 제 1항에 있어서, 외부 하중이 작용되지 않고 신발창의 전·후방부(11)(13)의 저면이 바닥에 닿은 상태에서 상기 신발창 주름부(13) 저면의 최하점은 전·후방부(11)(13) 저면보다 그 높이(d)가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창.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d)는 3∼1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창.
KR20-2004-0004217U 2004-02-18 2004-02-18 길이 조절이 가능한 신발창 KR2003512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4217U KR200351287Y1 (ko) 2004-02-18 2004-02-18 길이 조절이 가능한 신발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4217U KR200351287Y1 (ko) 2004-02-18 2004-02-18 길이 조절이 가능한 신발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1287Y1 true KR200351287Y1 (ko) 2004-05-20

Family

ID=49430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4217U KR200351287Y1 (ko) 2004-02-18 2004-02-18 길이 조절이 가능한 신발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128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9422B1 (ko) 2012-02-15 2013-10-23 윤세렬 길이조절이 가능한 슬리퍼
US11974635B2 (en) 2022-04-18 2024-05-07 Nir Daniel Collapsible footwear and method of altering a configuration of a collapsible sole to a compact for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9422B1 (ko) 2012-02-15 2013-10-23 윤세렬 길이조절이 가능한 슬리퍼
US11974635B2 (en) 2022-04-18 2024-05-07 Nir Daniel Collapsible footwear and method of altering a configuration of a collapsible sole to a compact for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11493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ribbed footbed
US11089840B2 (en)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polygon lug sole pattern
US8109012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drainage features
CN100413430C (zh) 具有一种悬置鞋垫的鞋类物品
CN104968230A (zh) 用于鞋类物品的柔性鞋底和鞋面
US20200138147A1 (en) Footwear with dynamic strap system
EP3001921B1 (en) Shoe
WO2005094622A1 (ja) 履物
US20160270476A1 (en)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polygon lug sole pattern
KR200351287Y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신발창
US6928755B2 (en) Shoe having a three-dimensional insole
US20130047463A1 (en) Shoe with elastic upper
CN203801867U (zh) 一体式塑模鞋垫及鞋面
US20200297074A1 (en) Non-slip shoes with webfoot
KR200430897Y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신발 깔창
CN107536159B (zh) 一种拖鞋
KR200438420Y1 (ko) 바닥 절단형 샌들
KR20130004906U (ko) 아치형 바닥을 가진 신발
JPH05237001A (ja) ブーツ
WO2016133994A1 (en) Slipp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slipper
ITBO20130021A1 (it) Struttura di soletta multistrato di calzatura.
ITBO20000280A1 (it) Suola per calzature e procedimento per realizzare la stessa .
JP2006034924A (ja) 足の裏が当たる面に凹凸があって、凸の上部は平面である、夏場に涼しいサンダル
ITTO930928A1 (it) Calzatura sportiva perfezionata con sistema di controllo del retropiede.
ITPD20070066U1 (it) Calzatura infradit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