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0479Y1 - 이젤용 메인후레임 및 이를 포함한 이젤 - Google Patents

이젤용 메인후레임 및 이를 포함한 이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0479Y1
KR200350479Y1 KR20-2004-0002842U KR20040002842U KR200350479Y1 KR 200350479 Y1 KR200350479 Y1 KR 200350479Y1 KR 20040002842 U KR20040002842 U KR 20040002842U KR 200350479 Y1 KR200350479 Y1 KR 2003504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sel
support
main frame
hinged
drawing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28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기
김천섭
Original Assignee
김천섭
이창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천섭, 이창기 filed Critical 김천섭
Priority to KR20-2004-00028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04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04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0479Y1/ko
Priority to JP2005000461U priority patent/JP3111408U/ja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B97/04Easels or stands for blackboards or the like
    • A47B97/08Easels or stands for blackboards or the like foldable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이젤은 전방 2개의 받침다리가 힌지결합될 수 있도록 좌우측에 결합공을 구비하는 일자부; 및 상기 일자부에서 좌우측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후방 2개의 받침다리가 힌지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공을 구비하는 연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메인후레임을 이용하여 전방받침다리 2개와 후방받침다리 2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에 의한 이젤은,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하며 보다 안정적으로 캔버스나 화판을 지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젤용 메인후레임 및 이를 포함한 이젤{Mainframe for easel and easel comprising of the same}
본 고안은 이젤용 메인후레임 및 이를 포함한 이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판이나 캔버스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이젤용 메인후레임 및 이를 포함한 이젤에 관한 것이다.
이젤은 그림을 그릴 때 화판이나 캔버스를 안정시키기 위한 받침대이다. 이젤은 형태에 따라 크게 사다리꼴 프레임 형태의 이젤과 삼각대형 이젤로 구분된다.
사다리꼴 프레임 형태의 이젤로서 공지된 기술은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131613호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사다리꼴 프레임 형태의 이젤은 그림 그리기가 끝나고 이동하거나 정리할 때에는 배면에 설치된 보조다리를 접어 이동 및 정리하게 된다. 이 때, 사다리꼴 프레임은 접히지 않는 고정된 상태로서 부피가 커 이동이 용이하지 못하고 정리정돈할 때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사다리꼴 프레임 형태 이젤의 단점을 보완하여 상단을 중심으로 하단부로 확개되며 접철 및 신축이 가능한 세개의 받침다리를 구비하여 이동 및 정리정돈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삼각대형 이젤이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삼각대형 이젤로서는 공개실용신안 공보 공개번호 제35773호 등이 공개되어 있다.
상기 공개번호 제35773호의 이젤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와 같이, 화판(100)을 거치하여 그림을 거치하여 그림을 그리도록 구성된 삼각대형 이젤에 있어서, 상기 삼각대형 이젤을 구성하는 메인후레임(10)의 하단에 길이조정이 자유롭고 일정각도로 절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세개의 받침다리(30)를, 각각 하단에 이탈방지용캡(35)이 결합된 상측마디 내부로, 상측에 형성한 반원형요부에 반지름보다 긴 일측면을 스프링(41)로 탄설한 조임구를 편심되게 힌지결합한 하측마디를 삽설하여서, 하측마디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출몰되는 조임구의 외면이 상측마디의 내면을 압압 내지 해지하면서 받침다리의 길이를 조정토록 구성된 것이다(도 1 참조). 도 1에서 미설명부호 20은 클램퍼, 50은 받침대 걸이구이고, 60은 화판받침대이며, 61은 경첩이다.
상기와 같은 삼각대형 이젤은 다음과 같은 기본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화판은 받침다리의 첫마디와 메인후레임의 클램퍼 사이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전체적인 무게중심이 상측에 형성되므로 불안정한 상태로 작업을 하게 되며, 특히 바람이 불거나 타인 또는 본인의 부주의로 화판을 건들일 경우, 쉽게 넘어지는 등의 안정적이지 못하다. 부득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리 끝을 바닥 등에 고정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지적된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접철이 가능하도록 하여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어 이동 및 보관이 편리한 이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종래의 삼각대형 이젤에 비해 화판이나 캔버스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이젤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일 형태의 이젤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이젤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이젤을 완전히 접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이젤에서 받침다리가 결합된 메인후레임 부분의 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메인후레임 부분에 받침다리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이젤의 사시도.
도 7a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이젤의 지지구가 클램프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분 단면도.
도 7b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이젤의 지지구가 클램프에서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분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 이젤 210 : 메인후레임
212 : 일자부 214,216 : 연장부
218 : 지지바고정구 219 : 지지바통과공
221,222 : 전방받침다리
221a,221b,222a,222b,223a,223b,224a,224b : 고정클램프
221c,222c,223c,224c : 결합홈 223,224 : 후방받침다리
226 : 골 227 : 결합공
228 : 고정볼트 229 : 고정너트
230 : 화판받침대 232 : 걸이구
240 : 지지바 242 : 화판상부고정구
250 : 지지구 252 : 결합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접철식 받침다리를 구비하는 이젤에서 화판의 후면을 지지하는 메인후레임에 있어서, 전방 2개의 받침다리가 힌지결합될 수 있도록 좌우측에 결합공을 구비하는 일자부; 및 상기 일자부에서 좌우측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후방 2개의 받침다리가 힌지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공을 구비하는 연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구성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에 의해 화판 등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받침다리를 4개를 결합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이젤은, 화판의 후면을 지지하는 메인후레임; 상기 메인후레임 하단에 길이조정이 자유롭고 확개하여 일정각도로 절첩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어 상기 메인후레임을 지지하는 받침다리; 상기 받침다리에 구비된 받침대 걸이구에결합되는 화판받침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메인후레임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받침다리가 네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접철이 가능하여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어 이젤의 이동 및 보관시 편리하며, 후방받침다리가 2개이므로 종래의 이젤에 비해 화판 등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방 받침다리와 후방 받침다리 각각에 대향하는 일측에 반구형 결합홈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홈에 양단부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아령형 지지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이젤의 전면에서 후방으로 바람이 불거나 충격이 가해지더라고 전방의 받침다리가 후방으로 접철되어 이젤이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화판 등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받침다리는 사각통상으로 외주면에 다수개의 골이 형성되어 있고, 확개 신장된 부분이 고정클램프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받침다리의 확개 신장 후 고정클램프로 고정할 때 고정력을 보다 강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이젤의 사시도이고, 도 3는 도 2의 이젤이 완전히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이젤(200)은 화판의 후면을 지지하는 메인후레임(210), 상기 메인후레임(210) 하단에 길이조정이 자유롭고 확개하여 일정각도로 절첩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어 상기 메인후레임(210)을 지지하는 받침다리(221,222,223,224)와 전방받침다리(221,222)에 구비된 받침대 걸이구(232)에 결합되는 화판받침대(230)로 구성되며, 종래의 접철식 이젤과 달리 상기 메인후레임(210)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받침다리가 세개가 아니라 네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삼각대형 이젤의 근원적인 문제점인 불안정성을 간단한 구성에 의해 획기적으로 해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이젤에서 받침다리가 결합된 메인후레임 부분의 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메인후레임 부분에 받침다리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후레임(210)은 저면에서 관찰하면 개략적으로 "ㅠ"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종래의 메인후레임은 개략적으로 "ㅜ" 형태로서 전방에 2개의 받침다리가 힌지결합되고, 후방에 1개의 받침다리가 힌지결합되는 구성과 완전히 상이한 구성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와 같은 메인후레임(210)은 전방 좌우측으로 결합공(227)을 구비한 일자부(212)와, 상기 일자부(212)의 후방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각각 결합공(227)을 구비한 좌우 연장부(214,216)로 구성된다. 상기 일자부(212)의 결합공들(227)에 전방 받침다리(221,222)가 볼트(228) 및 너트(229)에 의해 힌지결합되고, 상기 좌우 연장부(214,216) 각각의 결합공들(227)에 후방받침다리(223,224)가 볼트(228) 및 너트(229)에 의해 힌지결합된다. 본원 고안의 상기와 같은 메인후레임(210)의 구조에 의해 화판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4개의 받침다리를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다리(221,222,223,224)는 확개 신장이 가능한 접철구조이며, 신장시 연결부분은 고정클램프(221a,221b,222a,222b,223a,223b,224a,224b)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고정클램프는 종래의 공개된 기술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나아가, 상기 메인후레임(210) 일자부 내측에 형성된 관통공(129)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지지바(240)는 화판의 후면을 지지하며, 상단부에 화판의 상부를 고정하는 화판상부고정구(24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화판받침대(230)는 전방받침다리(221,222)의 첫째마디에 형성된 걸이구(232)에 걸리는 다수개의 걸이공을 구비하여 화판의 크기에 따라 이젤의 받침다리의 확개 정도를 감안하여 걸이구(232)에 걸리도록 조절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이젤의 사시도이고, 도 7a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이젤에서 지지구(250)가 전방받침다리(221,222)와 후방받침다리(223,224)의 첫째마디의 고정클램프(221b,222b,223b,224b)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분 단면도이며, 도 7b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이젤에서 지지구(250)가 상기 고정클램프들(221b,222b,223b,224b)에서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본 고안에 의한 제2실시에서는 전방받침다리(221,222)와후방받침다리(223,224) 사이에 지지구(250)를 결합시켜 바람 등에 의해 전방받침다리와 후방받침다리가 원하지 않을 때 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후방받침다리의 첫째마디의 고정클램프(221b,222b,223b,224b)에 반구형의 결합홈(221c,222c,223c,224c)을 형성하고 아령형상의 지지구(250)의 결합부(252)를 결합시킨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받침다리들의 확개 정도에 따라 지지구(250)의 회전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이젤용 메인후레임 및 이를 포함한 이젤은 종래의 삼각대형 이젤의 근본적인 불안정성을 획기적으로 해결하여 삼각대형 이젤의 이동 및 보관의 편리성을 최대한 살리면서 실내는 물론 실외에서도 보다 안정적으로 화판 등을 지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라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술한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접철이 가능하여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어 이동 및 보관이 편리한 이젤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효과는 캔버스나 화판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이젤을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5)

  1. 접철식 받침다리를 구비하는 이젤에서 화판의 후면을 지지하는 이젤용 메인후레임에 있어서,
    전방 2개의 받침다리가 힌지결합될 수 있도록 좌우측에 결합공을 구비하는 일자부; 및
    상기 일자부에서 좌우측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후방 2개의 받침다리가 힌지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공을 구비하는 연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이젤용 메인후레임.
  2. 이젤에 있어서,
    화판의 후면을 지지하는 메인후레임;
    상기 메인후레임 하단에 길이조정이 자유롭고 확개하여 일정각도로 절첩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어 상기 메인후레임을 지지하는 받침다리; 및
    상기 받침다리에 구비된 받침대 걸이구에 결합되는 화판받침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메인후레임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받침다리가 네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후레임은,
    전방 2개의 받침다리가 힌지결합될 수 있도록 좌우측에 결합공을 구비하는 일자부; 및
    상기 일자부에서 좌우측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후방 2개의 받침다리가 힌지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공을 구비하는 연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받침다리와 후방 받침다리 각각에 대향하는 일측에 반구형 결합홈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홈에 양단부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아령형 지지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젤.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다리는 사각통상으로 외주면에 다수개의 골이 형성되어 있고, 확개 신장된 부분이 고정클램프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젤.
KR20-2004-0002842U 2004-02-05 2004-02-05 이젤용 메인후레임 및 이를 포함한 이젤 KR2003504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2842U KR200350479Y1 (ko) 2004-02-05 2004-02-05 이젤용 메인후레임 및 이를 포함한 이젤
JP2005000461U JP3111408U (ja) 2004-02-05 2005-02-03 イーゼル用メインフレームおよびこれを含むイーゼル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2842U KR200350479Y1 (ko) 2004-02-05 2004-02-05 이젤용 메인후레임 및 이를 포함한 이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0479Y1 true KR200350479Y1 (ko) 2004-05-13

Family

ID=43273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2842U KR200350479Y1 (ko) 2004-02-05 2004-02-05 이젤용 메인후레임 및 이를 포함한 이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111408U (ko)
KR (1) KR20035047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926B1 (ko) 2007-04-25 2008-04-08 박기원 이젤 스탠드
KR101740868B1 (ko) * 2016-11-29 2017-06-08 이종문 스텐드형 이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01410A (en) * 1995-01-27 1996-03-26 Morgan Construction Company Coil reforming chamber with auxiliary coil plat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926B1 (ko) 2007-04-25 2008-04-08 박기원 이젤 스탠드
KR101740868B1 (ko) * 2016-11-29 2017-06-08 이종문 스텐드형 이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111408U (ja) 2005-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09781U (ja) 板付きフラットウォーカーの構造
US6283314B1 (en) Foldable rack
KR200425508Y1 (ko) 세탁물 건조대의 접이식 받침대
US20060150870A1 (en) Dual U-leg table frame
KR100834064B1 (ko) 접이식 받침대를 구비한 세탁물 건조대
US8296879B2 (en) Foldable bed
KR200350479Y1 (ko) 이젤용 메인후레임 및 이를 포함한 이젤
KR101903878B1 (ko) 의자부착형 접이식 테이블
EP3445208B1 (en) Collapsible table
KR200447188Y1 (ko) 접이식 시스템선반
CN212023282U (zh) 一种用于投影仪的可折叠托盘
JP3155995U (ja) 折畳み式物載せ台
KR102556397B1 (ko) 이중으로 결합되는 다용도 접이식 a형 지지대
KR101692536B1 (ko) 접고 펼칠 수 있는 세탁물 건조대
KR200249343Y1 (ko) 낚시받침대
JP2004121679A (ja) テーブル脚の取付構造
KR19990035772U (ko) 이젤
KR102083128B1 (ko) 플로어 스탠드 멀티 행거
CN210630939U (zh) 一种可折叠床架
KR200338163Y1 (ko) 절첩식 기표대
JPH0741375Y2 (ja) 携帯折り畳みテーブル
JP2004097406A (ja) 折り畳み支持脚及びこれを用いたテーブル
KR200208954Y1 (ko) 이젤
JP3079321U (ja) 折畳み机の脚枠
CN117223689A (zh) 一种快拆连接结构及具有该结构的钓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2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