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0149Y1 - 원료 상부주입형 입식 금형틀 및 상기 금형틀로 구성된다중 금형틀 장치 - Google Patents

원료 상부주입형 입식 금형틀 및 상기 금형틀로 구성된다중 금형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0149Y1
KR200350149Y1 KR20-2004-0004714U KR20040004714U KR200350149Y1 KR 200350149 Y1 KR200350149 Y1 KR 200350149Y1 KR 20040004714 U KR20040004714 U KR 20040004714U KR 200350149 Y1 KR200350149 Y1 KR 2003501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raw material
stand
injection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47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청훼이쥔
Original Assignee
쥐강 지셰 구펀 유셴 공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쥐강 지셰 구펀 유셴 공쓰 filed Critical 쥐강 지셰 구펀 유셴 공쓰
Priority to KR20-2004-00047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01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01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01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3Injection moulding apparatus
    • B29C45/07Injection moulding apparatus using movable injection units
    • B29C45/08Injection moulding apparatus using movable injection units moving with the mould during the injection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3Injection moulding apparatus
    • B29C45/04Injection moulding apparatus using movable moulds or mould halves
    • B29C45/0408Injection moulding apparatus using movable moulds or mould halves involving at least a linear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위에서 원료를 주입하기에 적합한 입식 금형틀은 하나의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직립 설치되고, 서로 일정한 소정의 간격을 두는 두 개의 제1 장방형 스탠드부와, 서로 떨어져 있으며 가로로 병렬되어 각각 상기 스탠드부의 상단부에 가교식으로 결합되는 두개의 고정 형판과, 상기 두개의 형판의 맞은편 형판 단부 사이의 개방공간에 위치하며, 각 고정 형판의 상하 양측이 연결되어 통하도록 하는 하나의 장형(長形) 슬라이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원료 상부주입형 입식 금형틀 및 상기 금형틀로 구성된 다중 금형틀 장치{Upward injecting type upright mold die and multiple die apparatus constituted by the same}
본 고안은 고분자 가공 기술과 관련이 있으며, 특히 원료 상부주입형 입식 금형틀 및 상기 금형틀로 구성된 다중 금형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입식 금형틀 장치는 금형틀(1)의 구성이 대체로 도 1에도시된 바와 같으며, 네 개의 기둥재(2)가 기본틀 위에 층층이 설치되고, 아울러 각각의 기둥재(2)의 상단부에 하나의 고정 형판(3)이 가로로 설치되며, 하나의 이동 형판(4)이 각 기둥재(2) 위에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된다. 아울러 동력 구동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며, 이로써 상기 이동 형판(4)과 상기 고정 형판(3) 사이에 설치되는 금형이 그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움직이며 금형개방(mold opening)의 위치 및 금형폐쇄(mold closing)의 위치 사이에서 위치 이동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만, 상기 종래의 기술이 제공하는, 위에서 원료를 주입하는 기술에는, 에너지 낭비와 제조 효율이 지연되는 결점이 존재한다. 그 주요 원인은 종래 기술이 고정 형판(2)에 하나의 관통공을 뚫어 사출 헤드 혹은 원료주입구 등 종래의 주입구 단부가 관통공 내부로 뻗어 들어가며 위치가 이동되도록 한 행정(route)이 너무 길거나 혹은 직접 활주부를 형성하여 상기 원료주입구와 동축으로 일렬 연결되도록 한 활주부가 너무 길기 때문이다. 이는 모두 개선해야 할 점이며 이상적이라고는 할 수 없는 종래 설계상의 문제점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주요 목적은 원료 상부주입형 입식 금형틀을 제공함으로써 원료주입의 행정을 대폭 감소시키고, 에너지 낭비를 없애며, 제조 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복수개의 원료 상부주입형 입식 금형틀로 구성된 다중 금형틀 장치를 제공하여, 단일한 원료 주입 장치로 다수개의 금형틀을 통합시켜원료 주입 작업을 실시하기 편리하게 함으로써, 설비 원가를 절감하고 유지 보수의 필요성을 감소시키고자 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금형틀의 입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입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측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구성된 다중 금형틀 장치의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입체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 구성된 다중 금형틀 장치의 평면도.
상기 주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이 제공하는 원료 상부주입형 입식 금형틀은 하나의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직립 설치되고 서로 일정한 소정의 간격을 두는 두 개의 제1 장방형 스탠드부와, 서로 떨어져 있으며 가로로 병렬되어 각각 상기 스탠드부의 상단부에 가교식으로 연결되는 두개의 고정 형판과, 상기 두개의 형판의 맞은편 형판 단부 사이의 개방공간에 위치하며, 각 고정 형판의 상하 양측이 연결되어 통하도록 하는 하나의 장형(長形) 슬라이딩부를 포함한다.
이하 두 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 중 하나에서 제시한 상부 주입에 적합한 입식 금형틀(10)은 베이스부(20), 두 개의 제1 스탠드부(30), 하나의 제2 스탠드부(40), 두 개의 고정 형판(50) 및 하나의 슬라이딩부(60)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부(20)는 바닥 시트로서, 금형을 끼우는 힘을 제공하는 동력 부품이 내부에 수용된다.
상기 두 개의 제1 스탠드부(30)는 각각 적당한 두께를 지닌 플레이트로 구성되며, 서로 평행하게 각각 상기 베이스부(20)의 양측에 직립하여 고정 연결되고, 상호간에 적당한 거리로 간격을 두어 금형이 그 사이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며, 아울러 적당한 위치이동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제2 스탠드부(40) 역시 플레이트로 구성되어 있으나, 다만 그 두께가 상기 제1 스탠드부(30)의 두께보다 비교적 두꺼우며, 또한 상기 두 개의 제1 스탠드부(30) 사이에서 베이스부(20)의 위에 직립으로 고정 설치된다. 따라서 각각의 제1 스탠드부(30) 사이의 공간이 두 개의 구역으로 나뉘어, 그 중에 금형이 각각 나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고정 형판(50)은 각각 적당한 두께를 지닌 직사각형 플레이트로서, 상호간에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스탠드부(40)의 상단부에 가로로 상호 병렬 설치됨과 아울러 각각의 상기 제1 스탠드부(30)의 상단부에 가교식으로 고정 연결됨으로써 각 스탠드부(30)(40)와 서로 가교식 결합을 이루어 그 안에 금형을 설치할 수 있는 금형틀의 기초를 구성한다.
상기 슬라이딩부(60)는 상기 두 개의 고정 형판(50)의 마주보는 형판 단부 사이의 길다란 개방 공간 사이, 다시 말해, 상기 두개의 고정 형판(50) 사이의 간격으로 구성되며, 아울러 상기 두개의 고정 형판(50)의 마주보는 형판의 단부로 상기 슬라이딩부(60)의 양측 벽면이 형성되고, 그 장축이 직선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구성을 이용하여, 본 고안의 원료 상부주입형 입식 금형틀(10)은 각 스탠드부(30)(40)에 의해 상호간에 각각 금형이 그 안에서 위치 이동을 할 수 있는 활동 공간을 제공해주고 있으며, 아울러 상기 베이스부(20) 내에 수용되어 있는 공지된 동력 부품을 이용하여 적당한 구동력을 제공하여 금형판을 위로 밀거나 혹은 아래로 당길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금형으로 하여금 예정된 금형개방 혹은 금형폐쇄 상태가 되도록 한다. 여기서 먼저 보충 설명해야 할 점은, 금형개방 상태에서, 통상의 구동 부품이 금형에 가하여 위로 밀어 올리는 외력은 각 고정 형판(50) 및 각 스탠드부(30)(40) 사이의 안정적인 결합을 이용하여 적당하고도 충분한 착력 지지 부위를 형성함으로써, 금형폐쇄 상태하의 금형 체결력이 이상적인 금형폐쇄 상태에서 충분히 금형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보장한다.
이밖에도, 상기 원료 상부주입형 입식 금형틀(10)은 종래 기술의 결점을 극복하여 원료주입 행정을 대폭 감소시켰다. 그 효과는 즉, 종래 기술의 원료주입 장치의 주입구를 상기 슬라이딩부(60)에 끼우고, 상기 슬라이딩 레일(60)이 연장됨에 따라 상기 원료주입부가 상기 슬라이딩 레일(60) 내부에서 위치를 유지한 상태로 다른 금형틀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한 점에 있다. 다시 말해, 원료주입부가 전방의 금형틀에 끼워진 금형에 대해 원료주입 작업을 완료한 후, 그 주입 금형의 특정 위치를 약간 밀어주기만 하면 상기 슬라이딩 레일(60)이 제공하는 이동 공간을 따라 상기 금형틀(10)을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일한 고도를 유지하며 다른 금형틀로 진입하는 슬라이딩 레일에서 다시 적당한 주입 금형 위치로 약간 아래로 이동시키면 바로 원료를 대응되는 금형에 주입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런 식으로, 상기 원료 상부주입형 입식 금형틀(10)은 원료 주입 행정을 대폭으로 단축시킬 수 있게 되었으며, 또한 에너지의 소모를 피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같이 상부에서 원료를 주입하는 입식 금형틀 기술로 말하자면, 신규성 및 진보성을 지닌 고안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원료 상부주입형 입식 금형틀(10)을 산업상으로 이용할 경우, 소정방식에 따라 특정한 공장 공간에서 적절히 다수대를 결합하여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서는 다수개의 입식 금형틀(10)을 직선으로 배열하여, 각각 구비되어 있는 슬라이딩 레일(60)이 장축으로 동축 대응되면서 서로 이웃하도록 하였다. 이런 식으로, 단일한 종래의 원료 주입 장치로 각 입식 금형틀(10)을 통합하여 구성되는 다중 금형틀 장치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원료 주입부가 각 동축으로 대응하는 슬라이딩 레일(60)에서 각기 다른 금형틀(10)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원을 절약하며 신속하게 각기 다른 금형틀(10)에 끼워진 금형에 대해 원료 주입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므로, 산업의 경제성에도 유리하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 중에 제공되는 상부 원료주입형 입식 금형틀(10)은 상기 슬라이딩부(60')의 형상이 앞에서 기술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것과 차이가 있다는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 부분은 모두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상기 슬라이딩부(60')는 상기 두 고정 형판(50')의 마주보는 단부 사이에서, 각 형판(50')의 마주보는 단부를 상호 대응하는 호형(arch) 단부로 설계하여 상기 호형 단부에 끼워져 구성되는 슬라이딩부(60')가 이에 따라 호형의 긴 줄 모양을 띠도록 한다. 다시 말해, 상기 슬라이딩부(60')는 장축을 따라 굴곡지게 연장되며 이루어지며, 이를 이용하여 외부의 원료 주입부가 그 안에서 이동하는 경로 역시 곡선에 대응하는 호형 궤적을 형성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딩부(60')의 이러한 변경은 상기 입식 금형틀(10')이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달성하는 데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사실상 본 실시예에서 의도한 것은 상기 슬라이딩부(60')와 동일한 굴곡을지닌 연장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입식 금형틀(10')을 부채꼴로 배열하기 적합하도록 한 것으로(도 8 참조), 이로써 부채꼴 작업 공간에 배치하여 사용하기 적합하도록 하고, 아울러 피봇 회전으로 위치를 바꾸는 원료 주입 장치와 결합하여 산업상 경제적으로 이상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두 가지의 실시예 이외에,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기술 내용 중, 형성된 슬라이딩 이동 경로 중에서 상기 슬라이딩부(60), (60')는 각각의 고정 형판의 상단부와 서로 밀접하게 이웃해 있기 때문에, 산업 현장에서 실시할 경우 원료주입 헤드 말단으로부터 고정 형판의 상단부에 넘쳐 흐르는 원료를 긁어내는 스크레이퍼(scraper) 부품을 별도로 설치하여, 원료 주입부 단부가 상기 슬라이딩부에서 이동되는 동시에 말단부가 상기 별도로 구비된 스크레이퍼 부품과 서로 긴밀히 연결되도록 해야만, 넘치는 원료를 긁어내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다음 순서의 원료주입 절차가 순조롭게 진행된다. 다만, 상기 스크레이퍼 등과 같은 상세한 구조는 본 고안의 기술 특징이 아니며 본 항목의 기술을 숙지하고 있는 자라면 기존의 스크레이핑 기술을 통하여 본 고안에서 공개한 구성에 간단히 추가할 수 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스크레이퍼를 설치하기 적당한 공간 위치에 관한 정보만 제공할 뿐, 이를 권리청구의 대상으로 하지 않는다.
본 고안에 따르면, 원료 상부주입형 입식 금형틀에 의한 고분자 재료의 성형시에 원료주입의 행정을 대폭 감소시키고, 에너지 낭비를 없애며, 제조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원료 상부주입형 입식 금형틀로 구성된 다중 금형틀장치에 의하여, 다수개의 금형틀을 통합시켜 원료 주입 작업이 편리해지며, 설비 원가를 절감하고 유지 보수의 필요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6)

  1. 상부로부터 원료를 주입하기에 적합한 입식 금형틀에 있어서,
    하나의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직립 설치되고, 서로 일정한 소정의 간격을 두는 두 개의 제1 장방형 스탠드부와,
    서로 떨어져 있으며 가로로 병렬되어 각각 상기 스탠드부의 상단부에 가교 설치되는 두 개의 고정 형판과,
    상기 두 개의 고정 형판의 맞은편 형판 단부 사이의 개방공간에 위치하며, 각 고정 형판의 상하 양측이 연결되어 통하도록 하는 장축을 갖는 장형(長形) 슬라이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 상부주입형 입식 금형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의 장축은 직선 형태를 띠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 상부주입형 입식 금형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장축을 따라 구부러지며 소정의 굴곡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 상부주입형 입식 금형틀.
  4. 제 1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 1스탠드부 사이에서 장축의 양단을 이용하여 각 고정 형판과 베이스부 사이에서 가교식으로 결합되는 하나의 제2 장형 스탠드부를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 상부주입형 입식 금형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스탠드부는 각각 소정의 두께를 지닌 플레이트로 되어있으며, 아울러 상기 제2 스탠드부의 두께가 제1 스탠드부의 두께보다 두껍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 상부주입형 입식 금형틀.
  6. 다중 금형틀 장치에 있어서,
    제 1항의 원료 상부주입형 입식 금형틀의 다수개를 소정의 방식에 따라 특정한 공간에 배열하고, 아울러 두개의 서로 이웃한 금형틀이 구비하는 슬라이딩부가 서로 장축이 동축으로 대응하도록 이웃하게 함으로써, 각 슬라이딩부 사이에 동일한 수직 고도로 적당한 연속 통로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금형틀 장치.
KR20-2004-0004714U 2004-02-23 2004-02-23 원료 상부주입형 입식 금형틀 및 상기 금형틀로 구성된다중 금형틀 장치 KR2003501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4714U KR200350149Y1 (ko) 2004-02-23 2004-02-23 원료 상부주입형 입식 금형틀 및 상기 금형틀로 구성된다중 금형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4714U KR200350149Y1 (ko) 2004-02-23 2004-02-23 원료 상부주입형 입식 금형틀 및 상기 금형틀로 구성된다중 금형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0149Y1 true KR200350149Y1 (ko) 2004-05-12

Family

ID=49346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4714U KR200350149Y1 (ko) 2004-02-23 2004-02-23 원료 상부주입형 입식 금형틀 및 상기 금형틀로 구성된다중 금형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014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32658B (zh) 一种需侧抽芯的塑件的热流道注射方法及其成形模具
KR200350149Y1 (ko) 원료 상부주입형 입식 금형틀 및 상기 금형틀로 구성된다중 금형틀 장치
CN103057053A (zh) 二通连接头塑料模具
CN204367321U (zh) 继电器防尘罩模具
CN207172649U (zh) 一种开关面板注塑模具
CN202507525U (zh) 一种用于吹塑成型机的新型开合模装置
CN211440987U (zh) 一种组合抽芯机构以及注塑模具
DE60302471D1 (de) Ausrichtungsmittel für eine spritzgiessvorrichtung
CN205871053U (zh) 一种耳机注塑模具
CN209365284U (zh) 一种基于注塑模的二次顶出结构
CN202895432U (zh) 水泥装饰墙砖造型模具
CN211105389U (zh) 一种二次行位模具
CN211763190U (zh) 一种倒扣塑件注塑滑块
CN102990770A (zh) 一种水泥装饰墙砖造型模具
CN201989294U (zh) 一种浮动缩芯复合斜顶抽芯模具结构
CN208615236U (zh) 一种柱状零件的摆块脱模结构
CN202781728U (zh) 顶出距离可连续变化的注塑模具顶出装置
CN102529043B (zh) 一种简易二次定距顶出装置
CN110948799A (zh) 一种组合抽芯机构以及注塑模具
CN109352904B (zh) 一种具有防定模下坠结构的三板模具
CN111216322A (zh) 一种注塑模具
CN113334705B (zh) 一种用于模具的滑块驱动机构
CN215095367U (zh) 一种便于脱模把手注塑模具
CN205148793U (zh) 一模多腔的三通模具
CN202412626U (zh) 一种简易二次定距顶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2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