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8873Y1 - 목걸이용 장식구 - Google Patents

목걸이용 장식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8873Y1
KR200348873Y1 KR20-2004-0001809U KR20040001809U KR200348873Y1 KR 200348873 Y1 KR200348873 Y1 KR 200348873Y1 KR 20040001809 U KR20040001809 U KR 20040001809U KR 200348873 Y1 KR200348873 Y1 KR 2003488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lace
ornament
piece
finger member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18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영기
Original Assignee
유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영기 filed Critical 유영기
Priority to KR20-2004-00018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88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88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88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4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 A44C15/005Necklace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목걸이용 장식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목걸이 줄에 장식구 본체의 상단에 형성된 연결고리를 끼워 걸 도록 구성된 목걸이용 장식구에 있어서, 상기 장식구 본체의 뒷면 하단에 힌지공이 형성된 힌지편을 일체로 형성하여 만곡형태를 갖는 핑거부재의 하단을 힌지핀으로 고정하고, 상기 장식구 본체의 뒷면 상단에 형성된 록킹편에 언록킹 수단으로 핑거부재가 선택적으로 언록킹 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목에 걸고 있는 목걸이 줄을 풀지 않은 상태에서 여러가지 장식구를 간단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목걸이용 장식구{ACCESSORIES FOR NECKLACE}
본 고안은 목걸이용 장식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목걸이 줄을 풀지 않은 상태에서 장소에 따라 장식구를 적절하게 교환할 수 있도록 하여 많은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신체부위 중 목 부분에는 의상을 돋보이게 하거나 심미감을 도모하기 위하여 목걸이를 걸어서 장식하게 되는데, 다양한 소비자들의 기호를충족시키기 위해 목걸이 줄의 형태로 매우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목걸이 줄은 대부분 귀금속을 이용하게 됨으로 구부러짐이 자유롭도록 체인식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천공된 구슬을 연결줄을 이용하여 꿰어서 구성하는 것, 또는 군대의 인식표에 사용하는 목걸이에서와 같이 구슬형태의 소재를 양단에 걸림턱을 갖는 연결봉을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 등 매우 다양하게 구성되고 있다.
이러한 목걸이는 그 자체로도 장식효과를 가질 수 있지만 보다 미관 및 장식 기능을 보강하기 위하여 대부분 목걸이 줄을 이용하여 별도의 다이아몬드나 진주 등의 보석으로 구성된 장식구에 형성된 연결 고리를 이용하여 연결하고 있다.
그러나 장식구의 연결고리가 목걸이 줄에 끼워짐에 있어 목걸이 줄의 양측단에 형성된 링형태의 협착 고정구를 언록킹 한상태에서 목걸이 줄을 연결고리에 삽입한 후 협착 고정구를 록킹하는 과정을 통해서만 장식구를 교환활 수 있게 됨에 따라 하나의 목걸이 줄에 다른 장식구를 교환할 경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목에 걸고 있는 목걸이 줄을 풀지 않은 상태에서 여러가지 장식구를 간단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많은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목걸이용 장식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목걸이 줄에 장식구 본체의 상단에 형성된 연결고리를 끼워 걸 도록 구성된 목걸이용 장식구에 있어서, 상기 장식구 본체의 뒷면 하단에 힌지공이 형성된 힌지편을 일체로 형성하여 만곡형태를 갖는 핑거부재의 하단을 힌지핀으로 고정하고, 상기 장식구 본체의 뒷면 상단에 형성된 록킹편에 언록킹 수단으로 핑거부재가 선택적으로 언록킹 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용 장식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목걸이용 장식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목걸이용 장식구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목걸이용 장식구를 언록킹 했을 때의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장식구 본체 11:힌지편
11a:힌지공 13:힌지핀
14:록킹편 20:언록킹 수단
30:핑거부재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목걸이용 장식구(A)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식구 본체(10), 언록킹 수단(20) 및 핑거부재(30)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장식구 본체(10)는 전면에 여러가지 형태를 갖는 무늬 및 문양이 요철형태로 결합되어 그 미관이 돋보이도록 형성된 것으로 그 상단에는 일반적인 목걸이 줄(50)에 이를 끼워 걸 수 있는 연결고리(4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그 뒷면의 하단에는 목걸이 줄(50)을 풀지 않은 상태에서 장식구 본체(10)를 목걸이 줄(50)에 걸거나 분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장식구 본체(10)의 뒷면 하단에는 힌지공(11a)이 형성된 힌지편(11)이 일체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핑거부재(30)의 하단을 힌지핀(13)으로 고정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있고, 그 뒷면 상단에는 핑거부재(30)의 상단부를 선택적으로 언록킹 하는 록킹편(14)이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돌출되는 형태를 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핑거부재(30)는 만곡형태로 볼록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그 상단은 언록킹 수단(20)에 의해 록킹편(14)에 언록킹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언록킹 수단(20)은 록킹편(14)과 핑거부재(30)를 선택적으로 록킹하거나 언록킹 시키는 것으로 록킹편(14)은 고정단이 장식구 본체(10) 뒷면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며 그 자유단부에 걸림홈(2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핑거부재(30)의 상단에는 안착홈(32)을 형성하여 걸고리편(31)이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안착홈(32)의 상단에 핑거부재(30)가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형태를 취하는 손가락 걸림돌기(3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고리편(31)은 안착홈(32)에 결합되는 안착부(31a)에서 소정 각도 및 길이를 갖도록 절곡된 연장부(31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연장부(31b)의 자유단부에 걸림부(31c)를 형성하여 록킹편(14)에 형성된 걸림홈(21)에 그 일측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걸고리편(31)은 판스프링을 절곡시켜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목걸이용 장식구(A)는 먼저, 목에 걸려 있는 목걸이 줄(50)에 이를 걸기 위해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식구 본체(10)의 뒷면 하부에 힌지핀(13)으로 고정된 핑거부재(30)를 장식구 본체(10)와 평행하게 펼친 상태에서 그 상부에 있는 록킹편(14)이 목걸이 줄(50)에 걸려지도록 한다.
다음, 젖혀져 있는 핑거부재(30)의 손가락 걸림돌기(33)를 손가락 끝으로 잡은 상태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누르게 되면 그 하단이 힌지핀(13)으로 힌지편(11)에 결합되어 있음으로써, 결국 핑거부재(30)가 회동하여 언록킹 수단(20)인 걸고리편(31)이 록킹편(14)의 단부에 맞닿아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손가락 걸림돌기(33)가 형성된 부위와 장식구 본체(10)의 상단을 엄지와 검지의 손가락 끝으로 잡고 누르게 됨과 동시에 걸림편(31)의걸림부(31c)의 하단이 록킹편(14)의 윗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걸림홈(21)에 걸림부(31c)가 끼워짐과 동시에 그 탄성력에 의해 고정된다.
장식구 본체(10)를 교체 및 교환할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역으로 해서 목걸이 줄(50)로 부터 장식구 본체(10)를 분리한 후 새로운 장식구 본체(10)를 걸어 고정시키면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목에 걸고 있는 목걸이 줄을 풀지 않은 상태에서 여러가지 장식구를 간단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많은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목걸이 줄에 장식구 본체의 상단에 형성된 연결고리를 끼워 걸 도록 구성된 목걸이용 장식구에 있어서,
    상기 장식구 본체(10)의 뒷면 하단에 힌지공(11a)이 형성된 힌지편(11)을 일체로 형성하여 만곡형태를 갖는 핑거부재(30)의 하단을 힌지핀(13)으로 고정하고, 상기 장식구 본체(10)의 뒷면 상단에 형성된 록킹편(14)에 언록킹 수단(20)으로 핑거부재(30)가 선택적으로 언록킹 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용 장식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언록킹 수단(20)은 록킹편(14)의 자유단부에 걸림홈(21)을 형성하고, 핑거부재(30)에 상단에 걸고리편(31)이 결합된 안착홈(32)을 형성하되, 상기 안착홈(32)의 상단에 핑거부재(30)가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형태를 취하는 손가락 걸림돌기(33)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용 장식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걸고리편(31)은 안착홈(32)에 결합되는 안착부(31a)에서 소정의 각도 및 길이를 갖도록 절곡된 연장부(31b)를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연장부(31b)의 자유단부에 걸림홈(21)에 일측이 걸려지도록 형성된 걸림부(31c)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용 장식구.
  4. 제 2항 또는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고리편(31)은 판스프링을 절곡시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용 장식구.
KR20-2004-0001809U 2004-01-26 2004-01-26 목걸이용 장식구 KR2003488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1809U KR200348873Y1 (ko) 2004-01-26 2004-01-26 목걸이용 장식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1809U KR200348873Y1 (ko) 2004-01-26 2004-01-26 목걸이용 장식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8873Y1 true KR200348873Y1 (ko) 2004-04-30

Family

ID=49345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1809U KR200348873Y1 (ko) 2004-01-26 2004-01-26 목걸이용 장식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887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1985B1 (ko) 착탈식장신구
KR200348873Y1 (ko) 목걸이용 장식구
KR200415394Y1 (ko) 액세서리
KR200348519Y1 (ko) 목걸이용 장식구
JP4756023B2 (ja) 紐状装身具用留め具及び紐状装身具
KR200427099Y1 (ko) 악세사리 줄 체결구
KR200168567Y1 (ko) 장신구
KR200210209Y1 (ko) 장신용 줄의 연결고리
KR101402004B1 (ko) 넥타이 고정구
KR101511329B1 (ko) 장신구 연결 구조체
KR100531179B1 (ko) 장신구용 액세서리 걸이구
KR100767212B1 (ko) 다기능 장신구
KR200442587Y1 (ko) 넥타이 고정구
KR200413046Y1 (ko) 보조잠금장치를 가진 장식부재
KR101126304B1 (ko) 원터치타입 귀걸이 장식
JP3115682U (ja) 連結具機構を有する指輪
JP3115496U (ja) ピアスイヤリング
KR200224624Y1 (ko) 머리핀
KR200348517Y1 (ko) 손톱장신구
KR200343199Y1 (ko) 장신구용 길이조절장치
JP3111995U (ja) 連結金具
KR200438201Y1 (ko) 귀걸이용 걸이구
KR100845208B1 (ko) 장신구 연결장치
KR200374337Y1 (ko) 장신구의 장신체 고정구조
KR200251878Y1 (ko) 손톱 장신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