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8458Y1 - 숯층을 갖는 유골함 - Google Patents

숯층을 갖는 유골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8458Y1
KR200348458Y1 KR20-2003-0039442U KR20030039442U KR200348458Y1 KR 200348458 Y1 KR200348458 Y1 KR 200348458Y1 KR 20030039442 U KR20030039442 U KR 20030039442U KR 200348458 Y1 KR200348458 Y1 KR 2003484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coal layer
charcoal
layer
enclosure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94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은숙
Original Assignee
신은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은숙 filed Critical 신은숙
Priority to KR20-2003-00394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84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84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84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07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material used, e.g. biodegradable material; Use of several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8Ur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골함에 있어서, 특히 외측 몸통과 내측몸통 사이에 숯층을 형성하고, 아울러 상기 숯층에 외부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공기관통 구조를 더 형성함으로써 유골을 장시간 보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층을 갖는 유골함에 관한 것으로,
외측몸통과 뚜껑으로 이루어진 외함과; 상기 외함과 일정한 이격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삽입되며 내측 몸통과 뚜껑으로 이루어진 내함과; 상기 외함과 내함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되는 원통형 형상의 숯층과; 상기 숯층을 구성하는 숯가루가 상부쪽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숯층 상부에 결합되는 실링재와; 상기 숯층이 외부와 통공될 수 있도록 숯층과 하부면 사이에 관통형성되는 숯층 공기통과용 홀과; 상기 숯층을 구성하는 숯가루가 하부면의 숯층 공기통과용 홀을 통해 이탈되지 않도록 외함의 저면에 부착되는 통공형 마감재로 이루어지며;
본 고안은 납골함에 숯층을 형성하고, 아울러 상기 숯층에 공기가 통하도록 구성하여, 숯층이 제습작용을 효과적으로 수행토록 함으로써, 유골함에 내장된 유골을 장시간 보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숯층을 갖는 유골함{The Remains of the Dead Case Having Charcoal Powder}
본 고안은 숯층을 갖는 유골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측 몸통과 내측몸통 사이에 숯층을 형성하고, 아울러 상기 숯층에 외부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공기관통 구조를 더 형성함으로써 유골을 장시간 보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숯층을 갖는 유골함에 관한 것이다.
옛부터 우리 나라에서는 유교사상이 뿌리 깊게 박혀 있어 어버이와 자식간에 지켜야될 마땅한 도리와, 어른과 아이들 사이에 마땅히 지켜야할 질서와 차례들을 행하여 왔다.
따라서, 장묘문화가 발달하여 왔으며 고인이 되신 선조들의 시신을 풍수 지리적으로 명당자리를 찾아 묘와 비석을 최대한 근사하고 우아하게 하여 모시는 것이 고인이 되신 선조들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라고 여기어 왔다.
그러나, 현재에는 우리 나라 국토 면적에 비례하여 많은 사람들이 살고 있기 때문에 명당자리를 찾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많은 비용이 들기 때문에 고인이 되신 선조들의 시신을 화장하여 유골을 모시는 납골당의 문화가 점차 발전되어 오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납골당의 문화가 발전해 오면서 시신의 유골을 담아두는 유골함도 함께 발전해 오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일반적으로 유골함은 내측에 고인이 된 사람의 유골을 담아 보관하는 함이기 때문에 기능적으로 유골의 장기보존이 가능해야 하나 유골함은 외부용기가 딱딱한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통풍이 잘 되지 않아 습기, 벌레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유골의 부패, 변질, 훼손 등의 문제에 취약한 상태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유골함에 숯층을 형성하여 유골함 내부에 저장되는 유골의 장기보존이 가능토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외측몸통과 뚜껑으로 이루어진 외함과; 상기 외함과 일정한 이격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내측에 삽입되며 내측 몸통과 뚜껑으로 이루어진 내함과; 상기 외함과 내함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되는 원통형 형상의 숯층과; 상기 숯층을 구성하는 숯가루가 상부쪽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숯층 상부에 결합되는 실링재와; 상기 숯층이 외부와 통공될 수 있도록 숯층과 하부면 사이에 관통형성되는 숯층 공기통과용 홀과; 상기 숯층을 구성하는 숯가루가 하부면의 숯층 공기통과용 홀을 통해 이탈되지 않도록 외함의 저면에 부착되는 통공형 마감재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내측 뚜껑과 외측 뚜껑 사이에는 공기 유동용 공간부를 더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외함뚜껑에는 숯층과 공기통과용 홀을 더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외관도.
도 2는 본 고안의 내부를 보인 수직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외측 몸체 11: 외측 뚜껑
12, 12a: 공기통과용 홀 20: 내측 몸체
21: 내측 뚜껑 30: 숯층 공간부
40, 40a: 숯층 50: 실링재
60: 마감재 70: 공기 유동용 공간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외부 구성도로써,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납골함(100)은 외부에서 봤을 때 상부가 개구된 외측 몸체(10)과 뚜껑(11)으로 이루어진 형태이다.
상기 외측 뚜껑(11)은 개폐식으로 구성되어 있어 외측 몸체(10)에 수직하강에 의하여 슬라이딩 결합된다.
도 2는 본 고안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로써,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부가 개구된 외측 몸체(10)에 원통형의 내측몸체(20)가 결합되어 있으며, 내측 몸체(20)의 상부면은 내측 뚜껑(21)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내측 몸체(20)와 외측 몸체의 사이에는 일정한 길이의 공간부(3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간부(30)에 숯가루가 삽입되는 숯층(40)이 형성된다.
상기 숯가루는 미세한 분말 내지는 일정한 알갱이 크기의 과립 상태로 제작되어지며, 따라서 이동중에 납골함의 상부나 하부로 숯가루가 빠져나갈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이를 방지하고자 실링재(50)를 숯층(40)이 형성된 공간부(30) 상부측에 설치하여 숯가루가 유골함의 상부면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아울러 납골함(100)의 하부에는 통공성 마감재(60)를 부착하여 숯가루가 저면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상기 숯가루에는 외부공기가 통해야 하는바, 이는 숯가루에 공기가 통하지 않을 경우에는 습기때문에 뭉쳐져서 재대로 재습작용을 할 수 없게 되어 유골함(100) 내측에 보관되는 유골에 습기기 차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숯층(40) 하부에 공기통과용 홀(12)을 다수개 형성하여 외부공기가 상기 공기통과용 홀(12)을 통해 숯층(40)으로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숯가루가 장시간 건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공기통과용 홀(12)을 통해 숯가루가 저면으로 흘러내릴 수 있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통공성 마감재(60)로 저면을 밀봉하도록 한다.
또한, 이와 더불어 외측 뚜껑(11)에도 숯층(40a)을 형성하고 아울러 공기통과용 홀(12a)을 형성하는바, 외측 뚜껑(11)에도 숯층(40a)을 형성함으로써 제습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내측 뚜껑(21)과 외측 뚜껑(11) 사이에 공기가 통과하는 공간부(70)를 더 형성토록 하여 내측 몸체(20)와 외측 몸체(10) 사이에 더 많은 공기가 유동되도록 함으로써 제습효과를 더 높일 수 있다.
결국, 본 고안은 숯층(40)을 유골함(100) 내부와 뚜껑에 형성하여 제습작용을 일으키도록 하여 유골함 내함에 담겨지는 유골에 습기가 차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며, 따라서 유골을 장시간 보존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참고로, 본 고안의 제작순서를 살펴보면, 상부가 개구된 원통형 대리석으로 외측 몸체(10)를 가공하고, 상기 외측 몸체(10)의 저면에 공기통과용 홀(12)을 다수개 형성한다.
그리고, 외측 몸체(10)의 뚜껑(11)에 숯층(40a)을 형성할 공간부 및 공기통과용 홀(12a)을 형성하여 완성한다.
그리고, 원통형의 내측 몸체(20)와 내측 뚜껑(21)을 각각 완성한다.
상기와 같이 개별부품이 완료되면 상기 외측 몸체(10)의 내부에 원통형의 내측 몸체(20)를 부착 고정시키고, 저면에 통공성 마감재(60)를 부착하여 납골함(100) 제작을 완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납골함에 숯층을 형성하고, 아울러 상기 숯층에 공기가 통하도록 구성하여, 숯층이 제습작용을 효과적으로 수행토록 함으로써, 유골함에 내장된 유골을 장시간 보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설명과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즉, 상기 실시예에서는 납골함을 원통형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사각형이나기타 다각형으로 제작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실링제 역시 통공성 재질로써 다양한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납골함의 재질로써 대리석을 예시하고 있으나, 대리석 종류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석종에 다 해당하며, 그밖에 합성수지재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고안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은 포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Claims (4)

  1. 외측 몸체와 뚜껑으로 이루어진 외함과;
    상기 외함과 일정한 이격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내측에 삽입되며 내측 몸통과 뚜껑으로 이루어진 내함과;
    상기 외함과 내함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되는 원통형 형상의 숯층과;
    상기 숯층을 구성하는 숯가루가 상부쪽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숯층 상부에 결합되는 실링재와;
    상기 숯층이 외부와 통공될 수 있도록 숯층과 하부면 사이에 관통형성되는 숯층 공기통과용 홀과;
    상기 숯층을 구성하는 숯가루가 하부면의 숯층 공기통과용 홀을 통해 이탈되지 않도록 외함의 저면에 부착되는 통공형 마감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층을 갖는 유골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함뚜껑에는 숯층과 공기통과용 홀을 더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층을 갖는 유골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뚜껑과 외측 뚜껑 사이에는 공기 유동용 공간부를 더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층을 갖는 유골함.
  4. 삭제
KR20-2003-0039442U 2003-12-18 2003-12-18 숯층을 갖는 유골함 KR2003484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442U KR200348458Y1 (ko) 2003-12-18 2003-12-18 숯층을 갖는 유골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442U KR200348458Y1 (ko) 2003-12-18 2003-12-18 숯층을 갖는 유골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8458Y1 true KR200348458Y1 (ko) 2004-04-28

Family

ID=49428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9442U KR200348458Y1 (ko) 2003-12-18 2003-12-18 숯층을 갖는 유골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845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0348B1 (ko) 2008-06-25 2010-02-04 한재익 황토삼베층이 표면코팅된 종이재 납골함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0348B1 (ko) 2008-06-25 2010-02-04 한재익 황토삼베층이 표면코팅된 종이재 납골함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20321857U1 (de) Deckel für eine feuchtigkeitsdichte Behälter-Deckel-Baugruppe
KR200348458Y1 (ko) 숯층을 갖는 유골함
KR200348459Y1 (ko) 단열층 및 숯층을 갖는 유골함
KR200389651Y1 (ko) 납골함
KR200418291Y1 (ko) 납골함
KR101844504B1 (ko) 납골함
KR101825556B1 (ko) 참숯과 한지를 이용한 봉안함과 그 제조방법
CN206701048U (zh) 一种可重复使用的干燥装置
KR200277152Y1 (ko) 이중 숯층을 가지는 유골함
KR100946254B1 (ko) 항균, 항습 봉안함
KR200360028Y1 (ko) 유골함
KR200198733Y1 (ko) 유골함
KR200346840Y1 (ko) 유골함
KR200427581Y1 (ko) 숨 쉬는 두 겹 덮개 납골함
KR200240508Y1 (ko) 황토 유골함
KR200406232Y1 (ko) 납골단지
KR200406235Y1 (ko) 납골단지
KR200211374Y1 (ko) 제오라이트 납골함
KR200312500Y1 (ko) 납골함
KR200359908Y1 (ko) 맥반석과 게르마늄을 이용한 납골함
JPH0238758Y2 (ko)
KR20080000626U (ko) 황토석을 이용한 유골함
JP2001137302A (ja) 骨 壺
JP2004267775A (ja) 空気循環及び湿度調節機能を備えた納骨壷
KR20120103061A (ko) 유골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