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8409Y1 - 어도블록 - Google Patents

어도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8409Y1
KR200348409Y1 KR20-2004-0001415U KR20040001415U KR200348409Y1 KR 200348409 Y1 KR200348409 Y1 KR 200348409Y1 KR 20040001415 U KR20040001415 U KR 20040001415U KR 200348409 Y1 KR200348409 Y1 KR 2003484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space
block body
fish
wal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14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선
Original Assignee
대한이.이엔.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이.이엔.씨(주) filed Critical 대한이.이엔.씨(주)
Priority to KR20-2004-00014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84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84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84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8Fish passes or other means providing for migration of fish; Passages for rafts or boa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6Artificial ree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어도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하천을 따라 하류로부터 상류를 향해 거슬러 올라가는 어류의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어도블록에 있어서, 상측연부가 상기 하천의 상류를 향하도록 상기 하천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장방형상단면의 블록몸체와; 상기 블록몸체의 좌측연부과 우측연부에 상호 대향하도록 상기 블록몸체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일자로 형성된 한 쌍의 휴식공간형성벽부와; 상기 한 쌍의 휴식공간형성벽부를 연결하도록 상기 블록몸체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휴식공간형성벽부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 휴식공간분할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보다 넓은 어류의 휴식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휴식공간의 수심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어도블록의 구조는 보다 간단해 진다.

Description

어도블록{Fish Way Block}
본 고안은 어도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천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하천을 따라 하류로부터 상류를 향해 거슬러 올라가는 어류의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어도블록에 관한 것이다.
보(洑) 등의 구조물이 하천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등의 이유로 어류가 하천의 하류로부터 상류로 이동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었는 바, 최근에 어류의 이동을 돕기위해 어도블록을 하천에 설치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어도블록은 2000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69496호(고안의 명칭 : 하천용 어도블록), 2001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390호(고안의 명칭 : 어도블록)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하천을 따라 이동하는 어류에 휴식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다.
도3은 종래의 어도블록의 사시도이다.
종래의 어도블록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길이가 종길이보다 긴 장방형상의 블록몸체(110)를 갖고 있다.
블록몸체(110)의 전면에는 상단으로부터 하향 경사진 경사면(111)이 형성되어 있고, 블록몸체(110)의 상부면(112) 중앙에는 오목형상의 대기공간부(113)가 판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어 있다. 대기공간부(113)는 상류로 이동하는 어류의 휴식공간을 제공한다.
그리고 블록몸체(110)의 상부면(112) 후단영역에는 돌출부(114)가 횡방향(폭방향)을 따라 분산 형성되어 있다.
또한 블록몸체(110)의 양 측면에는 각각 반원단면 형상의 연결홈(115)이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어도블록은 경사면(111)이 상류를 향하도록 하천의 경사면에 설치된다. 이 때 어도블록은 하천을 가로지르는 방향과 길이방향을 따라 적정수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인접하는 어도블록들은 연결홈(115)에 별도의 연결부재를 삽입하여 상호 연결된다.
종래의 어도블록이 설치된 상태에서 하천수는 경사면(111), 상부면(112), 대기공간부(113)의 상부 및 돌출부(114)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흐르게 되고, 대기공간부(113)의 내부공간에는 하천수가 담겨지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천에 설치된 종래의 어도블록을 통해 어류가 상류로 이동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어류는 하측에 있는 어도블록의 경사면(111)을 따라 상부면(112)으로 도약한 후, 대기공간부(113)를 향해 유영해 간다. 대기공간부(113)에 도달하면 어류는 약간 잠수하여 대기공간부(113)의 내부로 진입한다. 대기공간부(113)의 내부로 진입한 어류는 재도약을 위해 휴식을 취한다.
대기공간부(113)에서 휴식을 취한 어류는 다시 도약하여 돌출부(114)사이공간을 통해 상측에 있는 어도블록의 경사면(111)을 향해 유영해 간다.
상측에 있는 어도블록의 경사면(111)에 도달한 어류는 전술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측에 있는 어도블록의 대기공간부(113)를 향해 유영한다.
그런데 종래의 어도블록에 따르면, 대기공간부(113)는 중앙영역에 오목형 구조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어도블록의 크기에 비해 어류의 휴식공간이 작아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하천수는 블록몸체(110)의 상부면(112) 전 영역에 걸쳐 흐르기 때문에 휴시공간의 수심이 얕아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하천수의 양이 적어지는 갈수기에 더욱 심각해진다.
또한 대기공간부(113)라는 오목형 구조, 돌출부(114)라는 볼록형 구조 및 경사면(111)이라는 경사구조를 함께 형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보다 넓은 어류의 휴식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휴시공간의 수심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조를 갖는 어도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어도블록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어도블록의 설치평면도,
도3은 종래의 어도블록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블록몸체 10a : 절취면
10b : 담수부 11 : 휴식공간형성벽부
12 : 의지돌부 13 : 연결고리
16 : 휴식공간분할벽부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하천을 따라 하류로부터 상류를 향해 거슬러 올라가는 어류의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어도블록에 있어서, 상측연부가 상기 하천의 상류를 향하도록 상기 하천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장방형상단면의 블록몸체와; 상기 블록몸체의 좌측연부과 우측연부에 상호 대향하도록 상기 블록몸체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일자로 형성된 한 쌍의 휴식공간형성벽부와; 상기 휴식공간형성벽부보다 낮은 높이로 상기 한 쌍의 휴식공간형성벽부를 연결하도록 상기 블록몸체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휴식공간분할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블록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어류가 용이하게 휴식공간분할벽부를 넘어갈 수 있도록, 상기 휴식공간분할벽부는 반원형상단면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어도블록 상호간을 연결하고 어류의 휴식환경을 개선할 수 있도록, 상기 블록몸체의 네모서리영역에는 각각 절취면을 상면에 평행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각 절취면에 상기 블록몸체의 대각선방향을 따라 설치된 연결고리와, 상기 휴식공간분할벽부보다 낮은 높이로 상기 각 휴식공간분할벽부의 상측과 하측에 분산 형성된 다수의 의지돌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어도블록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어도블록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상 단면의 블록몸체(10)와, 블록몸체(10)의 상면 좌측 및 우측에 상호 대향하도록 블록몸체(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일자로 형성된 한 쌍의 휴식공간형성벽부(11)와, 한 쌍의 휴식공간형성벽부(11)를 연결하도록 블록몸체(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휴식공간분할벽부(16)와, 휴식공간분할벽부(16)의 상측과 하측에 분산 형성된 다수의 의지돌부(12)와, 블록몸체(10)의 네모서리영역에 하나씩 설치된 연결고리(13)를 갖고 있다.
블록몸체(10)의 네모서리영역에는 각각 절취면(14)이 상면에 평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휴식공간분할벽부(16)는 휴식공간형성벽부(11)보다 낮은 높이와 반원형상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의지돌부(12)는 휴식공간분할벽부(16)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연결고리(13)는 블록몸체(10)의 각 절취면(10a)에 블록몸체(10)의 대각선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어도블록은 휴식공간형성벽부(11)가 상류와 하류를 연결하는 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하천의바닥 경사면에 설치된다. 이 때 어도블록은 하천 경사면의 폭과 길이를 고려하여 하천을 가로지르는 방향과 길이방향을 따라 적정수로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고리(13) 상호간을 철사로 묶음으로써, 인접하는 어도블록들을 연결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어도블록이 설치된 상태에서 하측에 있는 어도블록의 휴식공간분할벽부(16)의 상부 한 쌍의 휴식공간형성벽부(11)사이공간과 상측에 있는 어도블록의 휴식공간분할벽부(16)의 하부 한 쌍의 휴식공간형성벽부(11)사이공간은 연통되어 하나의 휴식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하천수는 대부분 휴식공간분할벽부(16)를 타고 넘어 하류로 이동하게 되고 휴식공간형성벽부(11)와 휴식공간분할벽부(16)사이공간에는 하천수가 담겨지게 된다. 여기서 휴식공간형성벽부(11)사이공간을 통해 하천수가 휴식공간형성벽부(11)의 길이방향을 따라 흐르기 때문에 휴식공간인 휴식공간형성벽부(11)와 휴식공간분할벽부(16)사이공간의 수심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천에 설치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어도블록을 통해 어류가 상류로 이동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어류는 하측에 있는 어도블록의 휴식공간분할벽부(16)의 하부 한 쌍의 휴식공간형성벽부(11)사이공간으로부터 휴식공간분할벽부(16)를 넘어 휴식공간분할벽부(16)의 상부 한 쌍의 휴식공간형성벽부(11)사이 공간으로 유영해 들어간다. 이 때 휴식공간분할벽부(16)는 반원형상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어류는 용이하게 휴식공간분할벽부(16)를 넘어 갈 수 있게 된다. 하측에 있는 어도블록의 휴식공간분할벽부(16)의 상부 한 쌍의 휴식공간형성벽부(11)사이공간으로 유영해들어간 어류는 상측에 있는 어도블록의 휴식공간분할벽부(16)의 하부 한 쌍의 휴식공간형성벽부(11)사이공간에 이르는 영역에서 의지돌부(12)에 기대어 휴식을 취한다. 여기서 의지돌부(12)는 어류들이 휴식을 취하는 동안 기댈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 이외 휴식공간형성벽부(11)사이를 통과해서 흘러내려오는 하천수의 유속을 감소시키고 폭기를 유발시켜 물의 용존산소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어류의 휴식환경을 개선하는 기능도 한다.
다음에 하측에 있는 어도블록의 휴식공간분할벽부(16)의 상부 한 쌍의 휴식공간형성벽부(11)사이공간과 상측에 있는 어도블록의 휴식공간분할벽부(16)의 하부 한 쌍의 휴식공간형성벽부(11)사이공간에서 휴식을 취한 어류는 다시 상측에 있는 어도블록의 휴식공간분할벽부(16)의 하부 한 쌍의 휴식공간형성벽부(11)사이공간으로부터 휴식공간분할벽부(16)를 타고 넘어 휴식공간분할벽부(16)의 상부 한 쌍의 휴식공간형성벽부(11)사이 공간으로 유영해 들어간다.
이러한 어류의 이동과정에서 의지돌부(12)는 하천의 자갈과 비슷한 형태를 갖고 있기 때문에 어류들이 거부감을 갖지 않고 기댈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몸체(10)의 상면 좌측과 우측에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휴식공간형성벽부(11)를 블록몸체(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일자로 형성하고 한 쌍의 휴식공간형성벽부(11)를 연결하는 휴식공간분할벽부(16)를 블록몸체(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함으로써, 보다 넓은 어류의 휴식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휴식공간의 수심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어도블록은 보다 간단한 구조를 갖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블록몸체의 좌측연부과 우측연부에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휴식공간형성벽부를 블록몸체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일자로 형성하고 한 쌍의 휴식공간형성벽부를 연결하는 휴식공간분할벽부를 블록몸체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함으로써, 보다 넓은 어류의 휴식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휴식공간의 수심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어도블록의 구조는 보다 간단해 진다.

Claims (3)

  1. 하천을 따라 하류로부터 상류를 향해 거슬러 올라가는 어류의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어도블록에 있어서,
    상측연부가 상기 하천의 상류를 향하도록 상기 하천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장방형상단면의 블록몸체와;
    상기 블록몸체의 좌측연부과 우측연부에 상호 대향하도록 상기 블록몸체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일자로 형성된 한 쌍의 휴식공간형성벽부와;
    상기 휴식공간형성벽부보다 낮은 높이로 상기 한 쌍의 휴식공간형성벽부를 연결하도록 상기 블록몸체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휴식공간분할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식공간분할벽부는 반원형상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블록.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몸체의 네모서리영역에는 각각 절취면이 상면에 평행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각 절취면에 상기 블록몸체의 대각선방향을 따라 설치된 연결고리와,상기 휴식공간분할벽부보다 낮은 높이로 상기 각 휴식공간분할벽부의 상측과 하측에 분산 형성된 다수의 의지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블록.
KR20-2004-0001415U 2004-01-19 2004-01-19 어도블록 KR2003484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1415U KR200348409Y1 (ko) 2004-01-19 2004-01-19 어도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1415U KR200348409Y1 (ko) 2004-01-19 2004-01-19 어도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8409Y1 true KR200348409Y1 (ko) 2004-04-28

Family

ID=49428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1415U KR200348409Y1 (ko) 2004-01-19 2004-01-19 어도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840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15557A (ko) 수중생태계 보호를 위한 어도 블록
KR200348409Y1 (ko) 어도블록
JP3903391B1 (ja) 魚道用隔壁及び魚道用ブロック並びに魚道構造
KR200348407Y1 (ko) 어도블록
KR200348408Y1 (ko) 어도블록
KR200348405Y1 (ko) 어도블록
KR200348406Y1 (ko) 어도블록
JP3459873B2 (ja) 魚 道
JP2951263B2 (ja) 魚道用ブロック
JP3768719B2 (ja) 魚道ブロック
KR200228601Y1 (ko) 어도 블럭
KR100749892B1 (ko) 와이형 어도블록
KR200163468Y1 (ko) 어도블럭
JP5526210B2 (ja) 側溝ブロックの流水構造
JP4603948B2 (ja) 隅角部魚道
KR200432326Y1 (ko) 어도용 블럭
KR20110015926A (ko) 조립식 하천 보
KR200311153Y1 (ko) 물고기 이동통로가 구비된 계단식 하천 수중 구조물
JP3075121B2 (ja) 階段状魚道
KR200444819Y1 (ko) 어도 블록
KR200364508Y1 (ko) 어도 블록
KR200235671Y1 (ko) 어도 블럭
KR100473938B1 (ko) 하천용 어도
KR100493392B1 (ko) 하천의 보용 어도 겸 배수로
JPH0687425U (ja) 取水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O131 Decision on opposition [utility model]
O062 Revocation of registration by opposition: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