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9892B1 - 와이형 어도블록 - Google Patents

와이형 어도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9892B1
KR100749892B1 KR1020060082631A KR20060082631A KR100749892B1 KR 100749892 B1 KR100749892 B1 KR 100749892B1 KR 1020060082631 A KR1020060082631 A KR 1020060082631A KR 20060082631 A KR20060082631 A KR 20060082631A KR 100749892 B1 KR100749892 B1 KR 100749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fish
block
downward
lower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2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상주
Original Assignee
전남과학대학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과학대학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과학대학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60082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98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9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9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8Fish passes or other means providing for migration of fish; Passages for rafts or boa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60Ecological corridors or buffer z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부의 폭이 다른 Y자 형의 제1 수로와, 상기 제1 수로와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수로를 구비하는 와이형 어도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마련되며 어족이 이동하는 종방향의 제1 수로를 제공하는 바디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수로는 상기 바디의 상단부로부터 일정길이 하측으로 인입되고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V'자 형상을 가진 상부수로와, 상기 상부수로의 하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며 하측을 따라 동일한 폭을 가지는 하부수로를 구비한다.
와이형 어도블록은 다양한 어족들이 각 크기별로 간섭받지 않고 이동할 수 있으며, 상류로 이동중 정체부에서 휴식을 취할 수 있기 때무에 어족이 하류로부터 상류로 이동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어족의 이동경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와이형 어도블록{Y type block for Fish wa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형 어도블록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형 어도블록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와이형 어도블록의 실시예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와이형 어도블록의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와이형 어도블록 11; 베이스부 12; 바디
13; 제1 수로 13a; 상부수로 13b; 하부수로
14; 제2 수로 14a; 상부교차수로 14b; 하부교차수로
16; 정체부 21; 제1 블록 22; 제2 블록 30; 고정수단
본 발명은 와이형 어도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상하부의 폭이 다른 Y자 형의 제1 수로와, 상기 제1 수로와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수로를 구비하는 와이형 어도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의 하류에서는 하천수를 농업용수 또는 공업용수로 이용하기 위해 여러 종류의 횡단구조물을 설치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수중보를 설치해서 흐르는 하천을 막아 하천수를 저장하고 이를 농업용수로 이용함으로써 농경지에 안정적인 물대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경우가 많다. 수중보는 안정적인 농업용수의 공급이 가능하게 하는 순기능도 있지만 수중보로 인해 하천에 서식하는 어류의 생태계가 파괴되는 역기능도 가진다. 즉, 수중보를 하천에 축조하는 경우 수중보를 경계로 하천의 상하류가 높은 단차와 급경사를 이루면서 단절되는 결과를 초래하여 어족들이 하천의 하류에서 상류로 이동하는 것이 곤란해지며 이는 어족의 생태환경 단절로 이어지게 된다. 이로 인해 하천에서 서식하는 각종 어족들의 생태환경이 교란되고 서식환경이 크게 제약을 받게 되며, 특히 산란을 위해 회귀하는 소하성 어류가 하류에서 상류로 거슬러 올라갈 수 없게 되어 어류의 생태계가 파괴되는 결과를 초래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근래에는 수중보의 하류측과 상류측을 연결하는 어도를 설치하여 어족의 자유로운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어도는 어도 내에서 어족이 이동할 수 있도록 일정한 수심을 유지할 수 있고, 급류를 완화시키는 구조를 갖추어야 하며 물이 흐르는 하천 환경이라는 현장의 특성상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21059호에는 상기 요구조건에 부응하는 어도블록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 어도블록은 사각형태의 바닥판부에 월류벽판부, 후방벽부, 좌우측벽부가 설치되어 담수조를 형성하는 콘크리트 블록으로서 각각의 어도 블록을 연결하여 어족이 각 블록의 담수조에 저장된 하천수를 통해 상류측으 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어도블록은 각 어도블록의 월류벽판부를 넘어 상측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으나 도약력, 유영력이 상대적으로 나쁜 어족들 또는 크기가 작은 어족들이나 개체들은 상기 어도블록을 통해 상류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크기의 어족이 이동할 수 있으며, 하천수를 거슬러 올라가는 중간에 물살을 피해 쉴 수 있는 휴식공간을 제공하는 와이형 어도블록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와이형 어도블록은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마련되며 어족이 이동하는 종방향의 제1 수로를 제공하는 바디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수로는 상기 바디의 상단부로부터 일정길이 하측으로 인입되고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V'자 형상을 가진 상부수로와, 상기 상부수로의 하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며 하측을 따라 동일한 폭을 가지는 하부수로를 구비한다.
상기 바디에는 제1 수로와 수직한 횡방향으로 형성된 제2 수로가 더 마련되며, 제2 수로는 상기 바디의 상단부로부터 일정길이 하측으로 인입되고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V'자 형상을 가진 상부교차수로와, 상기 상부교차수로의 하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며 하측을 따라 동일한 폭을 갖는 하부교차수로를 구비하고 제2 수로의 상기 제1 수로와의 교차부 사이에 정체부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와이형 어도블록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와이형 어도블록(10)은 베이스부(11)와, 베이스부(11)의 상부에 형성된 바디(12)를 구비한다.
베이스부(11)는 어도를 설치하기 위해 수중보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에 안착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와이형 어도블록(10)이 콘크리트로 형성되기 때문에 자중에 의해 경사면에 안착 및 고정되므로 별도의 고정수단을 적용하지 않았지만, 본 실시예와는 다르게 베이스부(11)는 베이스부(11)를 경사면에 고정시키는 별도의 고정수단을 구비할 수도 있다.
바디(12)는 어족이 이동할 수 있는 종방향의 제1 수로(13)와, 제1 수로(13)와 함께 어족이 이동 중 쉴 수 있는 정체부(16)를 제공하는 제2 수로(14)를 구비한다. 바디(12)의 종방향 양측단부는 하천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제1 수로(13)가 형성된 측이 개방되어 있으나 횡방향 양측 단면은 하천수가 유실되지 않도록 측벽(15)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제1 수로(13)는 바디(12)의 상단부로부터 일정길이 하측으로 인입되고 하측으로 진행할수록 점점 폭이 좁아지는 'V'자 형상을 가진 상부수로(13a)와, 상부수로(13a)의 하단부에서 하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되고 하측을 따라 동일한 폭을 갖는 하부수로(13b)를 구비한다. 상부수로(13a)는 하부수로(13b)보다 상대적으로 폭이 길며 상부수로(13a)를 통해서는 비교적 크기가 큰 어족이 이동하게 된다. 하부수로(13b)는 상부수로(13a)에 비해 폭이 좁기 때문에 비교적 크기가 작은 어족이 이 동할 수 있는 이동통로를 제공하게 된다.
제2 수로(14)는 제1 수로(13)와 수직한 횡방향으로 형성된다. 제2 수로(14) 역시 바디(12)의 상단부로부터 일정길이 하측으로 인입되고 하측으로 진행할수록 점점 폭이 좁아지는 'V'자 형상을 가진 상부교차수로(14a)와, 상부교차수로(14a)의 하단부에서 하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되고 하측을 따라 동일한 폭을 갖는 하부교차수로(14b)를 구비한다. 제2 수로(14)는 제1 수로(13)가 바디(12)의 종방향 양측단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것과는 달리 바디(12)의 내부에만 형성되고, 제2 수로(14)상에는 제1 수로(13)와 제2 수로(14)의 교차지점 사이 및 상기 제1 수로(13)와 제2 수로(14)의 교차지점과 양 측벽(15) 사이에 어족이 이동 중 쉴 수 있는 정체부(16)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바디(12)에 2개의 제1 수로(13), 4개의 제2 수로(14)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제1 수로(13) 및 제2 수로(14)의 갯수는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형성되는 어도의 폭과 길이에 따라 적절하게 정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와이형 어도블록(10)의 제2 실시예를 참조하면, 와이형 어도블록(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제1 및 제2 블록(22)이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블록(21)은 어도의 내부에 설치되고 제2 블록(22)은 어도의 가장자리에 결합되며, 각각의 블록에는 상기 제1 실시예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Y자 형상을 갖는 제1 수로(13)와 제2 수로(14)가 상호 교차되게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블록(22)의 베이스부(11)와 바디(12) 및 바디(12)에 형성된 제1, 제2 수로(14)는 모 두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부호를 사용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블록(21)은 베이스부(11)와, 베이스부(11)의 상부에 설치되는 바디(12)를 구비하는데, 제1 블록(21)은 어도의 내부를 구성하기 때문에 횡방향 양측면으로 제1 또는 제2 블록(22)이 결합되므로 제2 수로(14)가 형성된 바디(12)의 횡방향 양측단면이 개방되어 있다.
제2 블록(22)은 어도의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블록으로서 바디(12)의 횡방향 일측면이 폐쇄벽(23)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는점에서 제1 블록(21)과 다르다. 폐쇄벽(23이 어도의 바깥쪽을 향하도록 제2 블록(22)을 배치함으로써 어도의 전체 형상은 상기 제1 실시예의 와이형 어도블록(10)과 마찬가지로 횡방향 양측단면이 폐쇄된 상태를 갖는다.
제2 블록(22)은 고정수단(30)에 의해 종방향으로 상호 결합된다. 고정수단(30)은 제2 블록(22)의 폐쇄면 하부 양측에 각각 마련되며 나사산이 형성된 제1, 제2 결합공(31,32)과, 상기 제1, 제2 결합공(31,32)에 대응되도록 두 개의 관통홀(33a)이 형성된 연결부재(33) 및, 상기 연결부재(33)의 관통홀(33a)을 통해 제1, 제2 결합공(31,32)과 나사결합되는 고정볼트(34)를 구비한다. 상호 결합되는 상측 제2 블록(22)과 하측 제2 블록(22)은 상측 제2 블록(22)의 제1 결합공(31)과, 하측 제2 블록(22)의 제2 결합공(32)에 연결부재(33)를 각 관통홀(33a)이 상기 제1, 제2 결합공(31,32)제1, 제2 결합공(31,32)록 위치시킨 후, 고정볼트(34)를 통해 결합시킨다.
고정수단(30)에 의해 결합된 제2 블록(22)은 상호 결합된 유지하게 되며, 제 1 블록(21)은 고정된 제2 블록(22)의 내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별도의 고정수단(30)을 적용하지 않아도 초기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와이형 어도블록(10)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하천의 수중보(1)로부터 하류까지 이어지는 경사면(2)이 형성되면 경사면(2)에 베이스부(11)재가 안착되도록 와이형 어도블록(10)을 설치하고 고정수단(30)을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각 블록들의 결합으로 제1 수로(13)와 제2 수로(14)가 형성되며 제1 수로(13)를 통해 수중보(1)의 상류로부터 하천수가 하류로 이동하게 되며 어족들은 제1 수로(13)를 통해 하천수를 거슬러 올라감으로써 수중보(1)의 상류로 이동하게 된다. 제1 수로(13)의 상부수로(13a)를 통해서는 비교적 크기가 큰 어족이 이동하며, 하부수로(13b)를 통해서는 작은 어족 또는 새끼 어족이 이동하게 되는데, 각 어족별로 도약력과 유영력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이렇게 각 어족이 이동하는 이동경로를 구분해 줌으로써 상대적으로 유영력이 부족한 어족이 상류로 이동하는데 있어서 다른 어족에 의한 방해를 덜 받게 될 수 있다.
또한 상류로 이동하는 중 어족들은 제1 수로(13)와 제2 수로(14)가 교차하는 지점 사이에 형성된 정체부(16)에서 휴식을 취할 수 있다. 정체부(16)는 제1 수로(13)에 비해 하류로 이동하는 하천수의 유속이 빠르지 않기 때문에 어족들이 상류로 이동하는 중간에 휴식을 취하기가 용이하며 따라서 유영력이 부족한 어족들도 휴식을 취하면서 천천히 상류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형 어도블록은 다양한 어족들이 각 크 기별로 간섭받지 않고 이동할 수 있으며, 상류로 이동중 정체부에서 휴식을 취할 수 있기 때무에 어족이 하류로부터 상류로 이동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어족의 이동경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

  1.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마련되며 어족이 이동하는 종방향의 제1 수로를 제공하는 바디;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수로는 상기 바디의 상단부로부터 일정길이 하측으로 인입되고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V'자 형상을 가진 상부수로와,
    상기 상부수로의 하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며 하측을 따라 동일한 폭을 가지는 하부수로를 구비하며,
    상기 바디에는 상기 제1 수로와 수직한 횡방향으로 형성된 제2 수로가 더 마련되고,
    상기 제2 수로는 상기 바디의 상단부로부터 일정길이 하측으로 인입되고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V'자 형상을 가진 상부교차수로와, 상기 상부교차수로의 하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며 하측을 따라 동일한 폭을 갖는 하부교차수로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수로의 상기 제1 수로와의 교차부 사이에 정체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형 어도블록.
  2. 삭제
KR1020060082631A 2006-08-30 2006-08-30 와이형 어도블록 KR100749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2631A KR100749892B1 (ko) 2006-08-30 2006-08-30 와이형 어도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2631A KR100749892B1 (ko) 2006-08-30 2006-08-30 와이형 어도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9892B1 true KR100749892B1 (ko) 2007-08-16

Family

ID=38614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2631A KR100749892B1 (ko) 2006-08-30 2006-08-30 와이형 어도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98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3826A (ko) * 2014-03-04 2015-09-14 변찬우 산발식 어도를 갖는 자연형 어도보 겸용 습지용 유지용수 공급 시스템 및 그러한 시스템을 갖는 하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1521A (ko) * 2002-06-28 2004-01-07 농업기반공사 어도 블록
JP2006063656A (ja) * 2004-08-27 2006-03-09 Fujimura Fume Kan Kk 魚道ブロック及びこの魚道用ブロックを使用した魚道施工工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1521A (ko) * 2002-06-28 2004-01-07 농업기반공사 어도 블록
JP2006063656A (ja) * 2004-08-27 2006-03-09 Fujimura Fume Kan Kk 魚道ブロック及びこの魚道用ブロックを使用した魚道施工工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06-63656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04-1521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3826A (ko) * 2014-03-04 2015-09-14 변찬우 산발식 어도를 갖는 자연형 어도보 겸용 습지용 유지용수 공급 시스템 및 그러한 시스템을 갖는 하천
KR101632049B1 (ko) 2014-03-04 2016-06-20 변찬우 산발식 어도를 갖는 자연형 어도보 겸용 습지용 유지용수 공급 시스템 및 그러한 시스템을 갖는 하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15557A (ko) 수중생태계 보호를 위한 어도 블록
KR100749892B1 (ko) 와이형 어도블록
KR101062014B1 (ko) 어도
KR100925894B1 (ko) 생태어도 사방댐
KR101376116B1 (ko) 생물이동통로를 겸한 수변 생태습지
KR200413723Y1 (ko) 어도 구조물
JP2008025310A (ja) 魚道用隔壁及び魚道用ブロック並びに魚道構造
KR100477555B1 (ko) 어도 블록
KR200344549Y1 (ko) 전복 양식용 쉘터조립체
KR101136661B1 (ko) 어도블럭 조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2008156886A (ja) 魚道付き護岸ブロック及びこれを用いた魚道付き護岸面の構築方法
KR100762355B1 (ko) 소하천 어소블록 설치구조
KR101297419B1 (ko) 어류 및 육상동물의 은신처와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친환경 생태 블록
KR20050042091A (ko) 물고기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어도를 구성하는 방법
KR200163467Y1 (ko) 어소블럭
KR101545523B1 (ko) 징검다리
KR102224578B1 (ko) 뱀장어를 비롯한 저서성 어류와 저서생물의 통합어도시스템
KR101378526B1 (ko) 생태적 수질정화 기능을 갖는 어류 통로 생태블록들의 결합체 및 이를 채용하는 어도를 갖는 어도보
KR200364508Y1 (ko) 어도 블록
KR101106065B1 (ko) 환경친화형 어도블록 겸 어소블록
KR200228601Y1 (ko) 어도 블럭
KR200228602Y1 (ko) 어소 블럭
KR200277594Y1 (ko) 하천의 보에 형성되는 어도장치
KR200215908Y1 (ko) 생태계 보호 및 어소 겸용 수로
KR200256776Y1 (ko) 하천의 경사수로 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