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8053Y1 - 철도 분기기용 포인트상판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철도 분기기용 포인트상판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8053Y1
KR200348053Y1 KR20-2003-0040960U KR20030040960U KR200348053Y1 KR 200348053 Y1 KR200348053 Y1 KR 200348053Y1 KR 20030040960 U KR20030040960 U KR 20030040960U KR 200348053 Y1 KR200348053 Y1 KR 2003480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 plate
fastening device
point top
sliding surface
elastic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409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광하
백인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강원레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강원레일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강원레일테크
Priority to KR20-2003-00409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80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80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80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5/00Rails; Guard rails; Distance-keeping means for them
    • E01B5/16Distance keep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7/00Switches; Crossings
    • E01B7/02Tongues; Associated constructions
    • E01B7/08Other constructions of tongues, e.g. tilting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rail, movable tongue blocks or 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7/00Switches; Crossings
    • E01B7/20Safety means for switches, e.g. switch point protectors, auxiliary or guiding rail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2/00Characteristics of moving parts of rail systems, e.g. switches, special frogs, tongues
    • E01B2202/04Nature of the support or bearing
    • E01B2202/042Sli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2/00Characteristics of moving parts of rail systems, e.g. switches, special frogs, tongues
    • E01B2202/08Locking devices or mechanisms for inhibiting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ailway Track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도 분기기의 포인트부에서 텅레일과 기본레일을 지지하며, 텅레일의 좌, 우 이동을 원활하게 함과 동시에 무도유에 의한 환경 친화적이며, 분기기내의 포인트부의 선로 안정성, 부품단순화, 유지보수비의 절감과 열차속도의 향상에 따른 분기기내 통과 속도향상과 소음, 진동을 감소시켜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철도 분기기용 포인트상판 체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상판과, 상기 상판의 일측부에 일정한 높이로 직상향으로 돌출 형성된 슬라이딩면과, 상기 상판의 전후 좌우측에 각각 천공 형성된 나사스파이크공으로 이루어지는 포인트상판과; 상기 포인트상판의 슬라이딩면 내측으로 삽입됨과 동시에 전체적으로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탄성클립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철도 분기기용 포인트상판 체결장치{Point upper plate coupling device for railroad turnout}
본 고안은 철도 분기기용 포인트상판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포인트부 및 가드부의 기본레일의 저부에 체결력을 확보하여 선로의 안정은 물론, 승차감 향상 및 운행상의 안정을 기여할 수 있도록 한 철도 분기기용 포인트상판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속으로 주행하는 열차가 선로의 분기기를 통과할 때는 심한 요동과 함께 충격 및 소음이 발생되며, 이는 기본레일의 체결력이 불충분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분기기내의 포인트부나 가드부의 기본레일 내측에도 외측과 동일한 체결력이 확보될 수 있는 체결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의 출원인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특허출원 제1991-0022710호 U자 레일탄성 체결구를 제안하였다.
상기한 종래의 U자 레일탄성 체결구는 슬라이딩면(10)이 일체로 형성된 횡방향 양측으로 U자 탄성클립(20)이 압입 고정토록 눌림턱(3a, 3b)이 돌출 설치되며, 후부에는 클립받침대(4)가 마련되고, 전부에는 용접숄더(9)가 설치되어 레일(6)의 저부(7) 타측면이 탄성클립(8)으로 지지 고정되며, 상기 슬라이딩면(10) 일측의 경사져 일단이 돌설된 걸림턱에 레일(6)의 저부(7) 일단이 고정토록 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1)와;
레일(6)의 저부(7) 일측면을 지지토록 단부에 일정한 각도로 경사부(21)가 각각 형성되며, U자형으로 중앙에 절곡부가 형성되어 슬라이드 플레이트(1)의 클립받침대(4)와 양측 눌림턱(3a, 3b)에 압입 고정토록 되는 U자 탄성클립(2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U자 레일탄성 체결구는 분기기내의 포인트부와 가드부의 완전탄성 체결화로 인한 선로의 안정성과, 부품의 단순화로 설치 및 보수가 편리함은 물론, 보수주기를 연장시킬 수 있으며, 열차의 속도향상에 따른 열차의 안정성증대 및 열차통과시 소음과 상하좌우 요동을 대폭 개선시켜 승차감을 향상시키는데 우수한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U자 레일탄성 체결구는 주조되는 과정에서 형상이 변형되며, U자 탄성클립 체결시 외부에서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U자 탄성클립이 밀리거나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철도 분기기의 포인트부에서 텅레일과 기본레일을 지지하며, 텅레일의 좌,우 이동을 원활하게 함과 동시에 무도유에 의한 환경 친화적인이며, 분기기내의 포인트부의 선로 안정성, 부품단순화, 유지보수비의 절감과 열차속도의 향상에 따른 분기기내 통과 속도향상과 소음, 진동을 감소시켜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철도 분기기용 포인트상판 체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레일탄성 체결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포인트부 레일탄성 체결구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3은 종래의 가드부의 레일탄성 체결구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포인트상판 체결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포인트상판 체결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포인트상판 체결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포인트상판 체결장치의 포인트상판을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도 7의 A-A선 단면도,
도 9는 도 7의 B-B선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포인트상판 체결장치의 탄성클립을 도시한 평면도,
도 11은 도 10의 A-A선 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B-B선 단면도,
도 13은 도 10의 C-C선 단면도,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포인트상판 체결장치가 기본레일과 텅레일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플레이트 3a : 눌림턱
3b : 눌림턱 4 : 클립받침대
6 : 레일 7 : 저부
8 : 팬드롤클립 9 : 용접숄더
10 : 슬라이딩면 20 : U자 탄성클립
21 : 절곡부 30 : H형 가드
31 : 가드지지대 32 : 조절판
33 : 볼트 34 : 너트
35 : 가드레일 36 : 레일
37 : 저부
100 : 포인트상판 110 : 상판
111 : 숄더 112 : 돌출턱
114 : 사각홈 120 : 슬라이딩면
122 : 경사면 124 : 결합부
126 : 요입부 128 : 이탈방지턱
130 : 1차돌기 132 : 2차돌기
134 : 안착홈 140 : 나사스파이크공
200 : 탄성클립 210 : 레일눌림부
220 : 사각체 230 : 클립안착부
300 : 기본레일 310 : 텅레일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포인트상판 체결장치는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상판과, 상기 상판의 일측부에 일정한 높이로 직상향으로 돌출 형성된 슬라이딩면과, 상기 상판의 전후 좌우측에 각각 천공 형성된 나사스파이크공으로 이루어지는 포인트상판과; 상기 포인트상판의 슬라이딩면 내측으로 삽입됨과 동시에 전체적으로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탄성클립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포인트상판 체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 내지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포인트상판 체결장치의 포인트상판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 내지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포인트상판 체결장치의 탄성클립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포인트상판 체결장치가 기본레일과 텅레일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포인트상판체결장치는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상판(110)과, 상기 상판(110)의 일측부에 일정한 높이로 직상향으로 돌출 형성된 슬라이딩면(120)과, 상기 상판(110)의 전후 좌우측에 각각 천공 형성된 나사스파이크공(140)으로 이루어지는 포인트상판(100)과; 상기 포인트상판(100)의 슬라이딩면(120) 내측으로 삽입됨과 동시에 전체적으로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탄성클립(20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판(110)에는 일측단 나사스파이크공(140)으로부터 일정한 간격 떨어진 부분에 폭방향으로 상향 돌출되는 돌출턱(112)이 형성되고, 이 돌출턱(112)에 숄더(111)가 설치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상판(110)에는 슬라이딩면(120)의 인접부에 사각형상으로 일정한 깊이로 절개 형성된 사각홈(114)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사각홈(114)은 포인트상판(100)이 일체로 주조되는 과정에서 형상이 변형되거나, 경사도(평탄도)의 이상이 생기는 원인을 잡아주도록 하기 위한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면(120)은 전후좌우가 트여지되, 그 일측이 하향으로 일정한 기울기를 가지는 경사면(122)과; 상기 경사면(122)으로부터 일정한 폭 및 깊이로 절개 형성된 결합부(124)와; 타측은 내측으로 일정한 기울기를 갖도록 절개 형성된 요입부(126)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면(120)에는 요입부(126)의 내측으로 삽입된 탄성클립(200)의 밀림이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이탈방지턱(128)이 형성된다.
이러한 이탈방지턱(128)은 탄성클립(200)의 체결시 일정부분만기본레일(300)의 저부를 구속하여 외부에서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탄성클립(200)의 밀림이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안정적인 구조이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면(120)에는 그 상면의 하면에 탄성클립(20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크기가 상이한 1차돌기(130)와 2차돌기(132)가 하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1차돌기(130)는 외부의 충격요인 및 자체 진동에 의해 탄성클립(20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또한 2차돌기(132)는 탄성클립(200) 체결시 굽힘모멘트가 발생하기 때문에 체결시 힘이 적게들고, 기본레일(300) 저부쪽 구속력을 높일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함과 동시에 사각단면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124)에는 일정한 경사를 주어 탄성클립(20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안착홈(134)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탄성클립(210)은 전체적으로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그 앞부분 양측에 일정한 구배(1:40)로 형성된 레일눌림부(210)와, 상기 레일눌림부(210)로부터 양측으로 마주보면서 연장됨과 동시에 단면형상이 사각형으로 형성된 사각체(220)와, 상기 사각체(220)로부터 연장됨과 동시에 끝단에 일정한 경사가 형성된 클립안착부(230)로 구성된다.
즉, 상기 탄성클립(200)은 포인트상판(100)에 설치시 기본레일(300)의 구속력을 좋게 하기 위하여 레일눌림부(210)가 기본레일(300)의 구배(1:40)와 같게 형성되어 있으며, 클립안착부(230)는 일정한 경사를 주어 외부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체결 분리가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레일눌림부(210)는 탄성클립(200)의 앞단으로 포인트상판(100)에 체결후 기본레일(300)을 구속하기 위해서 기본레일(300)의 저부와 구배(1:40)를 같게 하여 접촉면적을 크게 하여 구속력을 높인 구조이다.
또한, 상기 사각체(220)는 탄성클립(200)의 중간부분에 해당되며 좌우 대칭구조로 방향성에 관계없는 형상으로 원형단면을 이용한 경우와 동일한 체결력이 나올 수 있도록 사각단면으로 탄성계수를 조절하여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하게 한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클립안착부(230)는 포인트상판(100)의 결합부(124)와 탄성클립(200) 끝단에 경사를 주어 외부충격이나 진동에 의한 탄성클립(200)의 이탈 및 분리현상을 막아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포인트상판 체결장치의 체결에 대해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레일 체결방법은 포인트상판(100)의 안쪽으로 탄성클립(200)을 밀어 넣고, 상기 탄성클립(200)의 레일눌림부(210)로 기본레일(300)의 저부를 구속하고, 상기 포인트상판(100)의 이탈방지턱(128)에 탄성클립(200)을 일정한 길이 이상 벗어나지 못하게 구속함과 동시에 상기 탄성클립(200)의 클립안착부(230)를 포인트상판(100)의 안착홈(134)에 올려서 체결한다.
또한, 상기 포인트상판(100)은 기본레일(300)에 안착되고, 텅레일(310)이 포인트상판(100)의 슬라이딩면(120)에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레일 체결방법은 탄성클립(200)이 기본레일(300)의 저부를 구속하며, 클립안착부(230)는 포인트상판(200)의 안착홈(134)에 설치되어 체결 및 분리를 용이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포인트상판 체결장치는 포인트상판(100)은 탄성클립(200)에 의한 구속방식으로 체결됨으로써 체결력이 우수하여 안정적이며, 승차감도 향상되고, 체결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유지보수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무도유에 의한 환경친화적인 포인트상판(100)을 공급함으로써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작용효과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포인트상판 체결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고안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포인트상판 체결장치는 포인트상판 슬라이딩면에 도유를 하지 않아 환경 친화적인 상판을 공급함과 동시에 유지보수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둘째, 본 고안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포인트상판 체결장치는 레일저부를 지지함으로 차량의 진입시 레일 체결력에서 충분히 안정하여 선로의 안정은 물론, 승차감 향상 및 운행상의 안정을 기여할 수 있다.
셋째, 본 고안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포인트상판 체결장치는 탄성클립에 의한 체결 방식으로 기존에 비해 체결, 분리가 용이하고 구조가 간단하여 유지 보수가 편리하다.

Claims (8)

  1.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상판(110)과,
    상기 상판(110)의 일측부에 일정한 높이로 직상향으로 돌출 형성된 슬라이딩면(120)과,
    상기 상판(110)의 전후 좌우측에 각각 천공 형성된 나사스파이크공(140)으로 이루어지는 포인트상판(100)과;
    상기 포인트상판(100)의 슬라이딩면(120) 내측으로 삽입됨과 동시에 전체적으로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탄성클립(20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분기기용 포인트상판 체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110)에는 일측단 나사스파이크공(140)으로부터 일정한 간격 떨어진 부분에 폭방향으로 상향 돌출되는 돌출턱(112)이 형성되고, 이 돌출턱(112)에 숄더(111)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분기기용 포인트상판 체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110)에는 슬라이딩면(120) 인접부에 사각형상으로 일정한 깊이로 절개 형성된 사각홈(114)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철도 분기기용 포인트상판 체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면(120)은 전후좌우가 트여지되,
    그 일측이 하향으로 일정한 기울기를 가지는 경사면(122)과;
    상기 경사면(122)으로부터 일정한 폭 및 깊이로 절개 형성된 결합부(124)와;
    타측은 내측으로 일정한 기울기를 갖도록 절개 형성된 요입부(12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분기기용 포인트상판 체결장치.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면(120)에는 요입부(126) 내측으로 삽입된 탄성클립(200)의 밀림이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이탈방지턱(128)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분기기용 포인트상판 체결장치.
  6.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면(120)에는 그 상면의 하면에 탄성클립(20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크기가 상이한 1차돌기(130)와 2차돌기(132)가 하향으로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분기기용 포인트상판 체결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124)에는 일정한 경사를 주어 탄성클립(200)이 이탈되는 것을방지하도록 안착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분기기용 포인트상판 체결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클립(200)은 전체적으로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그 앞부분 양측에 일정한 구배로 형성된 레일눌림부(210)와 상기 레일눌림부(210)로부터 양측으로 마주보면서 연장됨과 동시에 단면형상이 사각형으로 형성된 사각체(220)와 상기 사각체(220)로부터 연장됨과 동시에 끝단에 일정한 경사가 형성된 클립안착부(23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분기기용 포인트상판 체결장치.
KR20-2003-0040960U 2003-12-31 2003-12-31 철도 분기기용 포인트상판 체결장치 KR2003480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40960U KR200348053Y1 (ko) 2003-12-31 2003-12-31 철도 분기기용 포인트상판 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40960U KR200348053Y1 (ko) 2003-12-31 2003-12-31 철도 분기기용 포인트상판 체결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101561A Division KR100599519B1 (ko) 2003-12-31 2003-12-31 철도 분기기용 포인트상판 체결장치 및 체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8053Y1 true KR200348053Y1 (ko) 2004-04-28

Family

ID=49428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40960U KR200348053Y1 (ko) 2003-12-31 2003-12-31 철도 분기기용 포인트상판 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805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589B1 (ko) 2006-09-13 2007-10-29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분기기용 포인트상판 체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589B1 (ko) 2006-09-13 2007-10-29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분기기용 포인트상판 체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4889B1 (ko) 산악 철도 궤도의 랙기어 진동 감쇄구조
US8302877B2 (en) Wheel guard device
KR20160005173A (ko) 산악 철도용 궤도 구조
CN107953896B (zh) 一种抱轨型轨道列车防脱轨装置
KR100874181B1 (ko) 분기기용 무도유 롤러 일체형 포인트상판 체결장치
KR200348053Y1 (ko) 철도 분기기용 포인트상판 체결장치
KR20160127280A (ko) 산악 철도용 궤도 구조
KR100599519B1 (ko) 철도 분기기용 포인트상판 체결장치 및 체결방법
US5125603A (en) Sliding chair, sliding plate and ribbed plate, respectively, for railway switches or railway crossings
KR101273202B1 (ko) 철도 침목용 발리스 고정장치
KR200195543Y1 (ko) 가드레일 결합장치
US7467748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railroad guide rail support
JP4856449B2 (ja) タイプレート摩耗防止レール締結装置
KR200459502Y1 (ko) 철도 레일 설치구조
KR101358044B1 (ko) 열차신호제어용 발리스 고정장치
US5820021A (en) Resilient railway fastening clip resisting loosening or removal
KR101067832B1 (ko) 콘크리트 도상용 철도레일 체결장치
CN211547096U (zh) 一种用于大坡道、小半径的米轨铁路扣件系统
US7472837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railroad guide rail support
KR100593201B1 (ko) 급커브 구간의 레일 지지 장치
KR100448847B1 (ko) 콘크리트 도상 직결매립식 분기부 레일 고정장치
KR200410831Y1 (ko) 스프링 클립을 이용한 철도 레일 체결장치
KR101072861B1 (ko) 철도 분기기용 롤러 일체형 무도유 상판
KR920006424B1 (ko) 철도레일 체결용 클립 및 철도레일 체결 조립체
JP3081826B2 (ja) レールの無螺釘弾性締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