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7698Y1 - 개폐용 줄체결고리를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 Google Patents

개폐용 줄체결고리를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7698Y1
KR200347698Y1 KR20-2004-0000777U KR20040000777U KR200347698Y1 KR 200347698 Y1 KR200347698 Y1 KR 200347698Y1 KR 20040000777 U KR20040000777 U KR 20040000777U KR 200347698 Y1 KR200347698 Y1 KR 2003476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opening
closing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07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낙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007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76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76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76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04M1/0283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for providing a decorative aspect, e.g. customization of casings, exchangeable facepl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줄체결공에 줄을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단말기의 고정된 줄체결공에 가느다란 줄을 장착하는 종래의 방식과는 달리, 체결공 대신 개폐 스위치로서 체결용 고리를 열고 닫음으로서 줄을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은 줄을 장착할 수 있도록 한 고리와, 고리가 이동되는 궤적을 한정하는 홈이 형성된 단말기 케이스와, 줄을 걸때는 고리를 열림 위치로 이동시키고, 줄을 고리에 건 다음에는 고리를 닫힘 위치로 이동시키는 개폐장치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이다.

Description

개폐용 줄체결고리를 가진 이동통신단말기{a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openable string holding hook}
본 고안은 줄체결고리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1에 도시된 것처럼, 액세서리 줄이나 휴대하기 위한 줄을 끼워서 단말기가 줄에 매달릴 수 있도록 줄체결공(2)이 케이스(410)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단말기에서는 줄체결공(2)에 줄(3)을 체결할 때에는줄체결공(2)에 줄(3)을 삽입한 다음 그 줄(3)을 매듭 짓고, 줄(3)을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매듭을 풀고 줄(3)을 줄체결공(2)에서 빼낸다.
이러한 종래의 줄체결공을 가진 단말기에서는, 고정된 줄체결공(2)에 줄(3)을 끼우기가 쉽지 않고, 끼운 줄을 매듭짓는 것도 불편하며, 줄을 교체하려고 하면 일일이 이러한 일을 반복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줄체결공에 줄을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단말기의 고정된 줄체결공에 가느다란 줄을 장착하는 종래의 방식과는 달리, 체결공 대신 개폐 스위치로서 체결용 고리를 열고 닫음으로서 줄을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줄을 장착할 수 있도록 한 고리와, 고리가 이동되는 궤적을 한정하는 홈이 형성된 단말기 케이스와, 줄을 걸때는 고리를 열림 위치로 이동시키고, 줄을 고리에 건 다음에는 고리를 닫힘 위치로 이동시키는 개폐장치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액세서리 줄이 체결고리에 체결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2는 본 고안의 개폐용 줄체결고리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3은 본 고안의 개폐용 줄체결고리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4는 본 고안의 개폐용 줄체결고리를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가느다란 줄을 걸 수 있는 고리(100)와, 고리(100)가 이동되는 궤적을 한정하는 홈이 형성된 단말기 케이스(410)와, 줄을 걸때는 고리(100)를 열림 위치로 이동시키고 줄을 고리(100)에 건 다음에는 고리를 닫침 위치로 이동시키는 개폐장치를 포함한다.
고리(100)는 여러 가지 형태의 것을 사용할 수가 있지만 본 실시 예에서는 원형 링의 1/2 정도 되는 것을 케이스(410) 외부로 일부분이 돌출 되도록 하고, 케이스에 형성된 가이드 홈(500)을 따라 이동이 자유롭도록 설치된다. 고리(100)는 작동자(200)와 핀(205)으로 결합되어서 자유로이 회동될 수 있게 결합되어 있다.
단말기 케이스(410)는 고리(100)가 이동되는 궤적을 한정하는 홈(500)이 형성되어 있고, 고리와 결합된 개폐장치를 수용하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개페장치는, 고리(100)의 일단에 핀(205)으로 일단이 결합된 작동자(200)와, 동자(200)의 타단에 핀(206)으로 결합되어 작동자(200)가 고리(100)를 열림위치 또는 닫침 위치에 고정되도록 작동자(200)를 이동시키는 개페스위치를 포함한다.
개폐스위치는, 작동자(200)의 타단에 핀(206)으로 결합된 손잡이(310)와, 손잡이(310)를 항상 밀어주고 있는 스프링(320)과, 손잡이(310)와 스프링(320)을 수용하는 홈(300)으로 되어 있다. 손잡이와 스프링(320) 사이에는 동작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전달부재(315)를 끼워 놓는 것이 좋다.
이 홈(300)은 케이스(410)에 형성되고 손잡이(310)가 고리열림위치 및 고리닫힘위치로 조작자에 의하여 이동되고, 고리열림위치 및 고리닫힘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고정되게 하는 궤적이 한정되도록 되어 있다. 스프링(320)은 코일스프링을 사용하면 된다. 또한 스프링은 손잡이(310)를 계속적으로 밀어서 손잡이로 하여금 열림위치 또는 닫힘 위치에 고정되게 하고 있다.
본 고안의 고리와 개폐스위치는 케이스(410)의 적당한 곳에 형성하면 되지만, 이동 통신 단말기 배터리 장착부(400)에 설치하여서 배터리(405)가 장착된 다음에는 변경조작을 할 수 없도록 하여 고리가 사용자의 실수로 열려서 단말기가 떨어지는 위험이 없도록 하는 것이 좋다.
작동자(200)는 손잡이(310)와 핀(205)을 통하여 회동되도록 결합하되 손잡이(310)의 이동시에 작동자를 밀고 당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작동자(200)는 힘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강성의 재질이고 그 좌우 양측에 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렇게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줄을 체결 시에는 도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배터리(405)를 탈착한 후 잠김 위치에 고정된 손잡이를 스프링 힘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밀고 아래로 내려서 열림 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작동자를 당겨서 고리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 때 고리는 원형 굴곡을 가진 홈(500)을 따라 미끄러지듯 움직이어 이동되어 고리가 개방된다.
이때 사용자는 개방된 고리에 단순히 줄을 끼워 넣은 후, 손잡이(310)를 닫힘 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작동자(200)는 고리를 밀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고리(100)를 회전시켜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를 닫히게 한다.
그리고 손잡이가 닫힘 위치의 홈에 있을 때 압축되어 있는 스프링(320)에 의한 복원력으로 인하여 전달부재(315)가 스위치를 홈(300) 안으로 밀어서 스위치가 움직이지 못하게 한다. 손잡이(310)를 직접 움직이지 않는 한 닫힌 상태로 고정되어 있게 되고, 줄을 장착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줄을 분리할 때에도 조작자는 역시, 도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405)를 탈착한 후 잠김 위치에 고정된 손잡이를 스프링 힘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밀고 아래로 내려서 열림 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작동자를 당겨서 고리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고리가 열리게 되고, 줄을 빼어 낸 후에는 손잡이를 움직여서 고리를 닫은 후 배터리를 장착한다.
개폐스위치는 배터리(405) 결합 후에는 도4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310)를 건드릴 수 없게 되어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휴대 및 사용 시에 임의로 줄(3)이 고리에서 분리되는 위험이 방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에 개폐 스위치를 두어 줄을 고리와 체결, 분리하는 작업을 수월하게 하여 시간을 절감하며, 매듭을 풀고 묶고 하는 번거로운 작업이 생략됨으로 종래의 단말기보다 훨씬 간편해 진다.
또한 조작자는 손쉽게 줄을 고리에 체결 ,분리 할 수 있게 되어 다양한 개인 취향을 쉽게 누릴 수 있다.

Claims (6)

  1. 케이스에 가느다란 줄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줄을 걸 수 있는 고리와,
    상기 고리가 이동되는 궤적을 한정하는 홈이 형성된 단말기 케이스와,
    줄을 걸때는 상기 고리를 열림 위치로 이동시키고, 줄을 상기 고리에 건 다음에는 상기 고리를 닫침 위치로 이동시키는 개폐장치를 포함하는 개폐용 줄체결고리를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페장치는,
    상기 고리의 일단에 핀으로 일단이 결합된 작동자와,
    상기 작동자의 타단에 핀으로 결합되어 상기 작동자가 상기 고리를 열림 위치 또는 닫침 위치에 고정되도록 상기 작동자를 이동시키는 개페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개폐용 줄체결고리를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개폐스위치는,
    상기 작동자의 타단에 핀으로 결합된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를 항상 밀어주고 있는 스프링과,
    상기 손잡이와 스프링을 수용하는 홈이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고, 상기 홈은 상기 손잡이가 고리 열림 위치 및 고리닫힘위치로 조작자에 의하여 이동되고, 고리열림위치 및 고리닫힘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고정되게 하는 궤적이 한정되도록 한 것이 특징인 개폐용 줄체결고리를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이 코일스프링인 것이 특징인 개폐용 줄체결고리를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5. 청구항 2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스위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배터리 장착부에 설치되어서,
    배터리가 장착된 다음에는 변경조작을 할 수 없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용 줄체결고리를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리는 원형 링의 1/2 정도 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특징인 개폐용 줄체결고리를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KR20-2004-0000777U 2004-01-12 2004-01-12 개폐용 줄체결고리를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KR2003476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0777U KR200347698Y1 (ko) 2004-01-12 2004-01-12 개폐용 줄체결고리를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0777U KR200347698Y1 (ko) 2004-01-12 2004-01-12 개폐용 줄체결고리를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7698Y1 true KR200347698Y1 (ko) 2004-04-13

Family

ID=49428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0777U KR200347698Y1 (ko) 2004-01-12 2004-01-12 개폐용 줄체결고리를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769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88538B2 (en) 2005-04-07 2016-03-1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veying a delivery schedule to mobile terminal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88538B2 (en) 2005-04-07 2016-03-1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veying a delivery schedule to mobile terminal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30131B1 (en) Tool leash device
US20050115999A1 (en) Personal device fastening system
US20120037673A1 (en) Clip-on portable case for carry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635750B1 (en) Self-aligning handling or storing device
KR200347698Y1 (ko) 개폐용 줄체결고리를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JP2009285129A (ja) ハンガー、及びハンガーが備えた脱落防止具
KR200366790Y1 (ko) 휴대기기용 목걸이
KR100477183B1 (ko) 링체의 걸이수단이 형성된 핸드폰 줄
JP3118852U (ja) 靴ベラ付携帯式小物入れ
WO2021261430A1 (ja) ホルダー
KR100690716B1 (ko) 행거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EP1516556B1 (fr) Dosseret avec une ceinture abdominale et un dispositif de fixation rapide
KR200235822Y1 (ko) 이어폰이 구비된 휴대폰 걸이용 목걸이
JP2008135997A (ja) 携帯電話の携帯補助具および携帯電話
KR200367092Y1 (ko) 걸이용 스트랩
JP2956683B2 (ja) 携帯機器用ハンドストラップ
KR20060110960A (ko)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커버 록킹장치
KR200367910Y1 (ko) 걸고리
KR200341436Y1 (ko) 착탈식 열쇠
KR20060033178A (ko) 출몰이 가능한 줄 고정구조를 가지는 이동통신단말기
JPS5986129U (ja) カメラ等の携行品の吊具
KR200210705Y1 (ko) 휴대폰 줄
KR200177538Y1 (ko) 오프너가 구비된 열쇠고리
KR200433383Y1 (ko) 도난 방지기구
JP2004056686A (ja) 携帯器具用ホルダ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3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