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7103Y1 - 전자력을 이용한 권사기용 이송안내장치 - Google Patents

전자력을 이용한 권사기용 이송안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7103Y1
KR200347103Y1 KR20-2003-0040548U KR20030040548U KR200347103Y1 KR 200347103 Y1 KR200347103 Y1 KR 200347103Y1 KR 20030040548 U KR20030040548 U KR 20030040548U KR 200347103 Y1 KR200347103 Y1 KR 2003471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coil bobbin
pole coil
mover
electromagnetic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405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형용
Original Assignee
송형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형용 filed Critical 송형용
Priority to KR20-2003-00405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71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71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71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28Traversing devices; Package-shaping arrangements
    • B65H54/2833Traversing devices driven by electromagnetic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ing in alternate directions by alternate energisation of two coil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5/00Actuating means
    • B65H2555/10Actuating means linear
    • B65H2555/13Actuating means linear magnetic, e.g. induction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601/00Problem to be solved or advantage achieved
    • B65H2601/40Increasing or maximizing
    • B65H2601/42Increasing or maximizing entities relating to the handling machine
    • B65H2601/423Life spa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601/00Problem to be solved or advantage achieved
    • B65H2601/50Diminishing, minimizing or reducing
    • B65H2601/52Diminishing, minimizing or reducing entities relating to handling machine
    • B65H2601/521Noi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601/00Problem to be solved or advantage achieved
    • B65H2601/50Diminishing, minimizing or reducing
    • B65H2601/52Diminishing, minimizing or reducing entities relating to handling machine
    • B65H2601/525Cost of application or use, e.g. energy, consumab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3/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windings
    • H02K2203/12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bobbins for supporting the wind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near Mo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력을 이용한 권사기용 이송안내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구현의 목적은 전압과 주파수에 의해 제어되는 자력작용에 의해 이동자의 이송작용을 안정적으로 통제,유도 되도록하여, 캠축과 모터의 설치를 배제되도록 하고, 이와같은 캠축과 모터구성의 배제로써, 불필요한 에너지 손실과 함께 권사기 의 설비비용을 절감되도록 한 전자력을 이용한 권사기용 이송안내장치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며;
또 다른 목적으로는 전자력에 의한 자기부상 원리에 따라, 이동자의 구동마찰을 배제되도록 하여, 불필요한 마찰소음과 함께 부품마모 현상을 예방되도록하고, 또한 이와같은 마찰소음과 부품마모 현상의 예방으로써, 제품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키고, 고장 수리에 따른 유지,보수 관계를 편리화 되도록 한 전자력을 이용한 권사기용 이송안내장치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자력공간부내에 마그네틱 이동자를 내설한 지지보빈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보빈을 중심으로, 그 좌,우 양측면에 대칭설치되는 N극코일보빈과, S극코일보빈을 형성하며;
상기, N극코일보빈과, S극코일보빈 내측면에 고정,설치되는 축삽입공을 구비한 마그네틱 고정자를 형성하고;
상기 마그네틱 이동자를 마그네틱 고정자와 상호 이격된 수평구조로 연결되게하여, 상기 마그네틱 이동자를 자력작용에 의해 이송안내되게 하는 체결구를 갖는 이송안내축을 형성하며;
상기, 이송안내축의 체결구에 탈,부착 되는 사각 막대구조로써, 다수개의 권취안내핀이 장착된 작동안내축을 형성되게 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전자력을 이용한 권사기용 이송안내장치{Textile machinery for transfer equipment}
본 고안은 전자력을 이용한 이송안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섬유생산 설비의 일종으로써, 전압과 주파수에 의해 제어되는 마그네틱 이동자에 의해 원사(실)를 용이하게 이송 안내되도록하여, 이를 보빈에 안정적으로 권취시킬수 있도록 한 전자력을 이용한 권사기용 이송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권사기라 함은 원료로 입고된 원사다발 또는 팩키지를 직기(직물을 짜는 기계)의 북침운동에 알맞도록 권취하는 생산설비로써, 이는 원사를 좌,우 반복적으로 교차시켜 타래상태로 감기도록 하여 마찰에 의한 상호엉킴을 방지되도록 하고, 또한 제직(직물을 짜는)중 실이 흐트러지거나 빠져 나오지 않도록 원사를 견고히게 권취 유도되게 하는 기기를 말하는 것이다.
이에, 권사기로 적용되는 종래 이송안내장치의 기본적인 설비구조를 살펴보면, 이는 도 1로 도시된 바와같은 구성으로써;
절곡홈(H)내에 권취안내구(10)를 장착한 캠축(20) 형성토록 하여, 그 전방에, 상기 권취안내구(10)를 좌,우 이송 안내되도록하는 유도레일(30)을 설치하고, 재차 상기 캠축(20)과 유도레일(30) 설치부위 하단에 보빈구동축(40)을 형성토록하여, 상기 캠축(20)과 보빈구동축(40)을 각각 별도의 모터(M)에 의해 구동되게 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었다.
하지만, 상기 권사기용 이송안내장치에 적용되는 종래의 캠축은 원통축에 다수개의 절곡홈을 형성하고, 이와같은 절곡홈에 권치안내구를 결합되도록 하여, 캠축의 회전운동에 따라 권치안내구를 이송왕복되도록 한 구성으로써, 이는 매우 복잡한 구조적 폐단과 함께 고가의 설치비용을 필요로 하게 되는 등, 매우 비경제적인 설비상의 문제점을 갖게 하는 것이었으며, 또한 절곡홈에 결합된 권치안내구의 이송마찰작용에 의해 심각한 마찰소음과 부품의 마모현상을 유발되게 하는 등 상당힌 사용상의 폐단을 갖게 하는 것이었다.
한편, 또 다르게 전술한 바와같은 종래의 권사기용 이송안내장치는 캠축의 회전동력과, 보빈구동축의 회전동력을 각각 별도의 모터를 이용하여 제어되도록 한 것으로써, 이는 상당한 에너지 손실의 문제점을 주는 것이었으며, 또한 상기 각각의 모터 설치를 위한 공간의 확보로써, 권사기의 부피를 상대적으로 크게 구성할수 밖에 없는 설치구조상의 문제점등을 항상 상존되게 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 권사기 이송장치의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전압과 주파수에 의해 제어되는 자력작용에 의해 이동자의이송작용을 안정적으로 통제,유도 되도록하여, 캠축과 모터의 설치를 배제되도록 하고, 이와같은 캠축과 모터구성의 배제로써, 불필요한 에너지 손실과 함께 권사기 의 설비비용을 절감되도록 한 전자력을 이용한 권사기용 이송안내장치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전자력에 의한 자기부상 원리에 따라, 이동자의 구동마찰을 배제되도록 하여, 불필요한 마찰소음과 함께 부품마모 현상을 예방되도록하고, 또한 이와같은 마찰소음과 부품마모 현상의 예방으로써, 제품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키고, 고장 수리에 따른 유지,보수 관계를 편리화 되도록 한 전자력을 이용한 권사기용 이송안내장치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이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자력공간부내에 마그네틱 이동자를 내설한 지지보빈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보빈을 중심으로, 그 좌,우 양측면에 대칭설치되는 N극코일보빈과, S극코일보빈을 형성하며;
상기, N극코일보빈과, S극코일보빈 내측면에 고정,설치되는 축삽입공을 구비한 마그네틱 고정자를 형성하고;
상기 마그네틱 이동자를 마그네틱 고정자와 상호 이격된 수평구조로 연결되게하여, 상기 마그네틱 이동자를 자력작용에 의해 이송안내되게 하는 체결구를 갖는 이송안내축을 형성하며;
상기, 이송안내축의 체결구에 탈,부착 되는 사각 막대구조로써, 다수개의 권취안내핀이 장착된 작동안내축을 형성되게 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권사기용 이송안내장치의 개략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력을 이용한 권사기용 이송안내장치의 내부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자력을 이용한 권사기용 이송안내장치의 단면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력을 이용한 권사기용 이송안내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력을 이용한 권사기용 이송안내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도.
< 도면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설치브라켓 2 : 보호커버 3 : 지지보빈
4 : N극코일보빈 5 : S극코일보빈 6 : 이송안내축
7 : 작동안내축 11 : 밀폐판 21 : 안내홈
31 : 자력공간부 32 : 마그네틱 이동자 41,51 : 코일
42,52 : 마그네틱 고정자 61 : 체결구 71,321 : 권취안내핀
72 : 체결공 B : 베어링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전자력을 이용한 권사기용 이송안내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력을 이용한 권사기용 이송안내장치의 내부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자력을 이용한 권사기용 이송안내장치의 단면구성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력을 이용한 권사기용 이송안내장치의 작동상태로로써, 그 구성을 살펴보면;
설치브라켓(1)과 보호커버(2)내에 수용 설치되는 구조로써, 지지보빈(3)과, N극코일보빈(4)과, S극코일보빈(5)과, 이송안내축(6)과, 작동안내축(7)을 구비되도록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설치브라켓(1)은 본 고안의 외관을 이루는 원통형 구조로써, 그 내부에 소정 면적의 공간부를 형성하고, 좌, 우 양측면부에 볼트체결에 의해 탈,부착 결합되는 한쌍의 밀폐판(11)을 결합구성하게 되는 것인바, 이에 이와같은 구성에 있어 상기 한쌍의 밀폐판(11) 중앙으로는 세라믹 베어링(B)이 장착된 관통구조로써, 도 3으로 도시된 바와같은 이송안내공(111)을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호커버(2)는 전술한 설치브라켓(1)과 연계되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외관구조로써, 도 2내지 도 3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소정의 길이를 갖는 원통형 구조를 취하게 되는 것인바, 이에 이와같은 보호커버(2)는 그 전면 중앙에 수평구조로 절개,개방된 안내홈(21)을 형성하고, 측면부에 사각 세라믹 베어링(B)이 장착된 관통구조로써. 작동축 이송공(211)을 형성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보빈(3)은 후술하는 N극코일보빈(4)과, S극코일보빈(5)을 일정간격 이격시킨 상태로 고정되게하는 일종의 간격유지 수단으로써, 이에 이와같은 지지보빈(3)은 그 내측면 중앙에 좌,우 수평으로 관통되는 원통형의 자력공간부 (31)를 형성하고, 상기 자력공간부(31)내에 마그네틱 이동자(32)를 이송가능한 크기(직경)로 설계하여 내설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N극코일보빈(4)은 외부 전기에너지 공급에 따라 자력을 발생시키는 전자력 발생수단으로써, 이에 이와같은 N극코일보빈(4)은 그 외주면에 소정용량의 코일(41)을 감김설치하고, 그 내측면에 도 3으로 도시된 바와같은 마그네틱 고정자(42)를 일체로 고정설치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N극코일보빈(4)에 내설된 마그네틱 고정자(42)는 그 중앙에 도 3으로 도시된 바와같은 수평관통구조로써, 축삽입공(421)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S극코일보빈(5) 역시 외부 전기에너지 공급에 의해 자력을 발생시키는 전자력 발생수단으로써, 전술한 N극코일보빈(4)과 동일한 구조를 취하게 되는 것인바, 이에 이와같은 S극코일보빈(5)은 그 외주면에 소정용량의 코일(51)을 감김설치하고, 그 내측면에 도 3으로 도시된 바와같은 마그네틱 고정자(52)를 일체로 고정설치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S극코일보빈(5)에 내설된 마그네틱 고정자(52) 또한 그 중앙에 도 3으로 도시된 바와같은 수평관통구조로써, 축삽입공(521)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송안내축(6)은 전술한 마그네틱 이동자(32)를 좌,우 이송안내되게 안내수단으로써, 이에 이와같은 이송안내축(6)은 도 2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마그네틱 이동자(32)를 중심으로, 그 좌,우측면에 연결되는 소정의 길이의 환봉구조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이송안내축(6)의 일측면은 도 3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수나사 구조를 이루는 체결구(61)로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작동안내축(7)은 전술한 이송안내축(6)에 의해 좌,우 구동되는 원사 안내수단으로 형성되는 것인바, 이에 이와같은 작동안내축(7)은 도 3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소정의 길이를 갖는 직사각 막대구조로 하여, 그 전면에 규칙적이고 반복적인 간격배열구조로써, 다수개의 권취안내핀(71)을 장착토록하고, 그 일측면에 암사나 구조를 이루는 체결공(72)을 형성토록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일련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전자력을 이용한 권사기용 이송안내장치의 상호 결합관계를 살펴보면;
도 3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설치브라켓(1)의 내측면 공간부에 수용되는 설치 구조로써, 마그네틱 이동자(32)를 내설한 지지보빈(3)을 중심으로 그 좌,우 양측면에 N극코일보빈(4)과, S극코일보빈(5)을 상호 이격된 대칭구조로 장착시키고;
이어, 마그네틱 이동자(32)의 좌, 우 양측면으로 연결된 이송안내축(6)을 도 3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N극코일보빈(4)과, S극코일보빈(5)의 마그네틱 고정자(42) (52) 축삽입공(421)(521)에 각각 삽입 연결되게 함으로써, 마그네틱 이동자(32)와, 마그네틱 고정자(42)(52)를 상호 수평 연계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마그네틱 이동자(32)와, 마그네틱 고정자(42)(52)를 상호 수평 연계되게하는 이송안내축(6)에 있어, 상기 설치구(61)가 형성된 부위는 도 3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설치브라켓(1)의 일측면 이송안내공(111)을 통해 소정길이 노출구성되는 것이고, 상기 체결구(61)가 형성되지 않은 반대편의 이송안내축(6)은 설치브라켓(1)의 타측면 이송안내공(111)으로 삽입되어 이송유도 되는 것이다.
또한, 이와같은 상태에서, 상기 설치브라켓(1)의 일측면 이송안내공(111)을 통해 노출된 이송안내축(6)의 체결구(61)에 체결공(72)에 의한 나사체결 관계로써, 작동안내축(7)을 결합하고, 이와같이 결합된 작동안내축(7)이 이송작동중 회전되거나 흔들리지 않도록 그 일측 단부를 사각 세라믹 베어링(B)을 장착한 작동축 이송공(211)에 의해 지지 유도되게 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전자력을 이용한 권사기용 이송안내장치를 구현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은 결합관계를 이룰 경우, 상기 작동안내축(7)은 도 3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보호커버 내측면에 수용된 형태를 취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상기와 같이 결합된 본 고안에 따른 전자력을 이용한 권사기용 이송안내장치의 사용관계 및 그에 따른 상호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이송안내장치는 원사를 보빈에 권취시키기 위한 안내수단으로써, 도 4로 도시된 바와같이 이송안내장치의 상부로 부터 원사(L)가 공급되고, 이송안내장치의 하부로는 공급되는 원사(L)가 권취되는 보빈 연결축(100)이 설치되는 것인바, 이때 상기 원사(L)는 본 고안에 있어 작동안내축(7)으로 장착된 권취안내핀(71)에 걸림 유도되는 형태를 취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설치상태에서 외부로 연결된 별도의 전기적 컨트롤 박스(도시생략)를 이용, 본 고안에 따른 이송안내장치의 N극코일보빈(4)과 S극코일보빈(5)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면, 통상의 자기부상 원리와 같은 전류의 방향변화로써, N극코일보빈(4)과 S극코일보빈(5)으로 구성된 각 마그네틱 고정자(42)(52)는 그 극성이 N극과 S극으로 반복 교차되며 전자력을 발생되게 하는 것이다.
이에, 상기 N극과 S극으로 반복 교차되는 마그네틱 고정자(42)(52)의 전자력, 다시말해 반복교차되는 흡입력과 반발력에 의해 마그네틱 이동자(32)는 도 4로 도시된 바와같이 좌,우 이송작용을 행하게 되는 것이며, 이와같은 마그네틱 이동자(32)의 이송작용에 따라 이송안내축(6)으로 연결된 작동안내축(7) 또한 좌, 우 반복적인 이송작용을 행하며 권취를 위해 공급되는 원사(L)를 도 4로 도시된 바와같이 지그재그 형태로 권취 유도되게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은 사용관계를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력을 이용한 권사기용 이송안내장치는 전기적 제어에 의해 전자력의 크기를 변화시킬수 있는 특징을 갖는 것으로, 이에 외부로 연결된 별도의 전기적 컨트롤 박스를 통한 주파수 제어에 의해 마그네틱 고정자의 이송속도를 조절할수 있고, 또 다르게 상기 컨트롤 박스에 의한 전압조절로써 이송폭(이송거리)과 이송동력의 크기 또한 조절할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력을 이용한 권사기용 이송안내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로써, 이와같은 또 다른 실시예로써의 전자력을 이용한 권사기용 이송안내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이는, 상기 일실시예의 지지보빈(3)을 배제시킨 형태로써, 마그네틱 이동자 (32)만을 중심으로 그 좌, 우 양측면에 소정길이 이격된 N극코일보빈(4)과, S극코일보빈(5)을 일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도록 한 후, 상기 마그네틱 이동자 (32)의 좌,우 양측면에 상호 대칭되는 직사각 막대구조의 이송안내축(6)을 구비되도록 하고;
연속하여 상기 직사각체의 이송안내축(6)을 N극코일보빈(4)과, S극코일보빈 (5) 내측면으로 설치된 마그네틱 고정자(42)(52)의 축 삽입공(421) (521) 에 삽입연결되도록 하여, 도 5로 도시된 바와같이 상호 대칭된 수평 연계구조를 이루도록 한다.
이때, 상기 이송안내축(6)이 직사각 막대구조를 이룸에 따라, 이러한 이송안내축(6)이 삽입연결되는 축 삽입공(421)(521) 또한 이에 대응할수 있는 직사각 관통구조로 형성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바와같은 구성상태하에, 재자 상기 마그네틱 이동자(32)의 전면 중앙부에 권취안내핀(321)을 장착되도록 하고, N극코일보빈(4)과 S극코일보빈 (5)은 각각 좌,우측으로 분리된 독립된 구조로써, 분할 형성된 설치브라켓(1)내에 수용 설치되게 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의 전자력을 이용한 권사기용 이송장치를 구현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상기와 같은 또 다른 실시예로써의 전자력을 이용한 권사기용 이송장치는 전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한 작동원리로 구동되는 것으로, 이는 단지 일실시예의 구성을 일부 축소시켜, 소용량의 원사 권취작업에 이용되도록 한 것으로, 단순한 형상변형 내지 설계변경에 불과할 뿐, 본 고안의 범주에서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전술한 바와같은 구성 및 작동원리로 구동되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력을 이용한 권사기용 이송장치는 마그네틱 고정자(42)(52)와 이동자(32)에 의한 자력구동 원리로써, 주파수와 전압변화에 의해 그 이송폭과 속도, 그리고 동력의 크기 또한 선택적으로 변화시킬수 있는 것으로, 이에 이와같은 이송안내장치는 권사기라고 하는 섬유 생산설비에 한정,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그 응용범위를 확대시켜 안마기등과 같은 의료장비의 진동수단 내지 각종 산업분야의 바이브레이타로 적용할수 있는 것으로,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주에서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이상, 본 고안에 따른 전자력을 이용한 권사기용 이송안내장치는 전압과 주파수에 의해 제어되는 자력작용에 의해 이동자의 이송작용을 안정적으로 통제,유도 되도록하여, 캠축과 모터의 설치를 배제되도록 하고, 이와같은 캠축과 모터구성의 배제로써, 불필요한 에너지 손실과 함께 권사기의 설비비용을 절감되도록 한 것이며;
또 다르게, 전자력를 이용한 자기부상 원리로써, 이동자의 구동마찰을 배제되도록 하고, 또한 불필요한 마찰소음과 함께 부품마모 현상을 예방되도록하여, 제품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키고, 고장 수리에 따른 유지,보수 관계를 편리화 되도록 한 것으로, 이는 매우 유용한 기대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4)

  1. 자력공간부(31)내에 마그네틱 이동자(32)를 내설한 지지보빈(3);
    상기, 지지보빈(3)을 중심으로, 그 좌,우 양측면에 대칭설치되는 N극코일보빈(4)과, S극코일보빈(5);
    상기, N극코일보빈(4)과, S극코일보빈(5) 내측면에 고정,설치되는 축삽입공 (421)(521)을 구비한 마그네틱 고정자(42)(52);
    상기 마그네틱 이동자(32)를 마그네틱 고정자(42)(52)와 상호 이격된 수평구조로 연결되게하여, 상기 마그네틱 이동자(32)를 자력작용에 의해 이송안내되게 하는 체결구(62)를 갖는 이송안내축(6);
    상기, 이송안내축(6)의 체결구(61)에 탈,부착 되는 사각 막대구조로써, 다수개의 권취안내핀(71)이 장착된 작동안내축(7)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력을 이용한 권사기용 이송안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보빈(3)과, N극코일보빈(4)과, S극코일보빈(5)은 이송안내공(111)을 구비한 설치브라켓(1)에 내설된 상태로써, 상기 설치브라켓(1)의 일측 이송안내공(111)을 통해 이송안내축(6)의 체결구(61)를 돌출형성하고;
    상기, 체결구(61)에 탈,부착되는 작동안내축(7)은 안내홈(21)과, 사각 베어링(B)을 구비한 보호커버(2)내에 수용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력을 이용한 권사기용 이송안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 이동자(32)는 외부로 부터 공급되는 전기에너지의 주파수 제어에 의해 이송속도가 조절되고, 전압조절에 의해 이송폭(거리)과, 이송동력의 크기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력을 이용한 권사기용 이송안내장치.
  4. 권취안내핀(321)이 장착된 마그네틱 이동자(32)를 중심으로, 그 좌,우 양측면에 대칭설치되는 N극코일보빈(4)과, S극코일보빈(5);
    상기, N극코일보빈(4)과, S극코일보빈(5) 내측면에 고정,설치되는 축삽입공 (421)(521)을 구비한 마그네틱 고정자(42)(52);
    상기 마그네틱 이동자(32)를 마그네틱 고정자(42)(52)와 상호 이격된 수평구조로 연결되게하여, 상기 마그네틱 이동자(32)를 자력작용에 의해 이송안내되게 하는 직사각 막대구조의 이송안내축(6)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력을 이용한 권사기용 이송안내장치.
KR20-2003-0040548U 2003-12-30 2003-12-30 전자력을 이용한 권사기용 이송안내장치 KR2003471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40548U KR200347103Y1 (ko) 2003-12-30 2003-12-30 전자력을 이용한 권사기용 이송안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40548U KR200347103Y1 (ko) 2003-12-30 2003-12-30 전자력을 이용한 권사기용 이송안내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3360A Division KR20050017668A (ko) 2003-08-01 2003-08-01 전자력을 이용한 권사기용 이송안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7103Y1 true KR200347103Y1 (ko) 2004-04-09

Family

ID=49428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40548U KR200347103Y1 (ko) 2003-12-30 2003-12-30 전자력을 이용한 권사기용 이송안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710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04785B (zh) 纺纱杯轴、用于主动磁支承的轴承装置和纺纱杯驱动装置
JP2002309461A (ja) 織機におけるシャフトの駆動装置
US7332836B2 (en) Guide bar drive in a knitting machine
CZ2014399A3 (cs) Způsob eliminace smyčky příze při navíjení příze na křížem vinutou cívku na dopřádacím stroji s konstantní rychlostí vyráběné příze a zařízení k jeho provádění
TWI413718B (zh) 具電動驅動裝置之織帶紡織機
US10677289B2 (en) Method for supporting a spinning rotor and bearing system, spinning rotor and support bearings
KR200347103Y1 (ko) 전자력을 이용한 권사기용 이송안내장치
CN102308037B (zh) 用于无接触地驱动在圆型织机的筘中的梭的装置
JP5626692B2 (ja) モーターコイル巻線機のコイル整列供給装置
CN1664201B (zh) 带有电机驱动框架的织机
KR20050017668A (ko) 전자력을 이용한 권사기용 이송안내장치
KR101880680B1 (ko) 경편기
US10404145B2 (en) Stator winding gun head
CN104032455B (zh) 一种电磁捕纬收紧结构
KR20010055264A (ko) 로터리/리니어 유도 전동기
KR20160118068A (ko) 비선형 진동 조절이 가능한 전기 발생장치 및 전기 발생장치의 비선형 진동 조절 방법
CN215646394U (zh) 电机
CN109616318A (zh) 一种用于开口式工件的多轴绕线机及其使用方法
CN109402864B (zh) 一种连续回转运动编织机锭轴的电能产生装置及产生方法
CN101195946A (zh) 纬纱引出装置
KR102200620B1 (ko) 고효율 직류모터
CN210886454U (zh) 一种能够预防断纱的棕片导纱装置
CN202856586U (zh) 可变角度弧形摆动电机
KR100817294B1 (ko) 소형모터
CN206903407U (zh) 一种纺纱机开架和闭合架的连接机构及其安全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3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