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6536Y1 - 자동차용 암레스트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암레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6536Y1
KR200346536Y1 KR20-2003-0039419U KR20030039419U KR200346536Y1 KR 200346536 Y1 KR200346536 Y1 KR 200346536Y1 KR 20030039419 U KR20030039419 U KR 20030039419U KR 200346536 Y1 KR200346536 Y1 KR 2003465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gear part
rest bar
hol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94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해일
Original Assignee
정해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해일 filed Critical 정해일
Priority to KR20-2003-00394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65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65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65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63Arm-rests adjustable
    • B60N2/767Angle 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암레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고 중앙부에 각각 관통공(10a)이 형성된 한 쌍의 기어부커버(10)와, 이 기어부커버(10) 사이에 배치되고 그 중앙에 상기 기어부커버(10)의 관통공(10a)과 동일축상에 놓이는 형합공(12a)이 형성된 제1기어부(12)와, 상기 기어부커버(1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기어부(12)와 치합되는 제2기어부(14)와, 상기 기어부커버(10)와 제2기어부(14) 사이에 배치되어 제1기어부(12)와 제2기어부(14)의 기어치(12c)(14a)가 서로 치합되고 분리되게 상기 제2기어부(14)를 소정각도 탄력적으로 축 회전시키는 스프링(16)과, 상기 기어부커버(10)의 외측면에 축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일측부에 상기 제1기어부(12)의 형합공(12a)과 동일축상에 놓이는 형합공(18a)이 형성된 레스트바(18)와, 상기 레스트바(18)에서 반대편의 기어부커버(10)까지 관통하여 이 레스트바(18) 및 제1기어부(12)의 형합공(12a)과 그 외주면이 형합되는 회전축(20) 및 상기 레스트바(18)의 반대편으로 돌출된 회전축(20)이 축 회전 가능하게 이 회전축(20)의 외주부를 지지하는 회전축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암레스트{Armrest for cars}
본 고안은 자동차용 암레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레스트바가회전방향을 따라 소정각도씩 틸팅되면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자동차용 암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암레스트는 탑승자의 팔을 얹혀 놓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종래의 자동차용 암레스트는 자동차의 실내 바닥면과 수평인 상태에서 팔을 얹혀 놓았다가 미사용시에는 축 회전시켜 시트 등받이와 평행인 상태가 되도록 하는 정도로 기능을 갖는 것이 전부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자동차용 암레스트는 자동차의 실내 바닥면과 수평인 상태에서만 사용이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탑승자가 독서 등을 위해 팔의 각도를 조절해야 할 경우에는 아무런 쓸모가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자동차용 암레스트가 축 회전방향을 따라 소정각도씩 틸팅되면서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되도록 하여 탑승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 하는 자동차용 암레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도 1의 제2흔들림방지구가 슬라이딩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e는 도 1의 제1기어부가 축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도 5의 제1기어부가 축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암레스트가 자동차의 시트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어부커버 10a : 관통공
10b : 체결공 10c : 스프링지지공
12 : 제1기어부 12a : 형합공
12b : 제1걸림돌기 12c : 기어치
14 : 제2기어부 14a : 기어치
14b : 관통공 14c : 제2걸림돌기
16 : 스프링 18 : 레스트바
18a : 형합공 20 : 회전축
20a : 체결공 22 : 제1흔들림방지구
22a : 홈부 22b : 걸림턱
22c : 슬라이드면 24 : 제2흔들림방지구
24a : 돌부 24b : 형합공
26 : 체결구 28 : 제1스톱퍼
30 : 제2스톱퍼 32 : 가압스프링
34 : 지지판 34a : 중공
36 : 체결구 38 : 제1기어부
40 : 기어서포트 42 : 제2기어부
이와 같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자동차용 암레스트는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고 중앙부에 각각 관통공이 형성된 한 쌍의 기어부커버와, 이 기어부커버 사이에 배치되고 그 중앙에 상기 기어부커버의 관통공과 동일축상에 놓이는 형합공이 형성된 제1기어부와, 상기 기어부커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기어부와 치합되는 제2기어부와, 상기 기어부커버와 제2기어부 사이에 배치되어 제1기어부와제2기어부의 기어치가 서로 치합되고 이탈되게 상기 제2기어부를 소정각도 탄력적으로 축 회전시키는 스프링과, 상기 기어부커버의 외측면에 축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일측부에 상기 제1기어부의 형합공과 동일축상에 놓이는 형합공이 형성된 레스트바와, 이 레스트바에서 반대편의 기어부커버까지 관통하여 이 레스트바 및 제1기어부의 형합공과 그 외주면이 형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레스트바의 반대편으로 돌출된 회전축이 축 회전 가능하게 이 회전축의 외주부를 지지하는 회전축지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암 레스트에 있어서, 상기 레스트바와 일체로 축 회전되는 제1기어부에 의해 소정각도 축 회전되는 제2기어부를 정지시키기 위해 이 제2기어부 측부에 마련된 제2스톱퍼 및 상기 레스트바의 축 회전에 따라 계속하여 축 회전되는 제1기어부를 정지시키기 위해 이 제1기어부의 측부에 마련된 제1스톱퍼가 더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고안의 암 레스트는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고 중앙부에 각각 관통공이 형성된 한 쌍의 기어부커버와, 이 기어부커버 사이에 고정 배치되는 제1기어부와, 상기 기어부커버 사이에 배치되고 그 중앙에 형합공이 형성된 기어서포트와, 이 기어서포트에 축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기어부와 치합되는 제2기어부와, 상기 기어서포트와 제2기어부 사이에 배치되어 제1기어부와 제2기어부의 기어치가 서로 치합되고 이탈되게 상기 제2기어부를 소정각도 탄력적으로 축 회전시키는 스프링과, 상기 기어부커버의 외측면에 축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일측부에 상기 기어서포트의 형합공과 동일축상에 놓이는 형합공이 형성된 레스트바와, 이 레스트바에서 반대편의 기어부커버까지 관통하여 이 레스트바 및 기어서포트의 형합공과 그 외주면이 형합되는 회전축 및 상기 레스트바의 반대편으로 돌출된 회전축이 축 회전 가능하게 이 회전축의 외주부를 지지하는 회전축지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암 레스트에 있어서, 상기 레스트바의 축 회전에 따라 계속하여 축 회전되는 기어서포트를 정지시키기 위해 이 기어서포트의 측부에 마련된 제1스톱퍼가 더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암 레스트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지지부는, 레스트바의 반대편인 기어부커버의 관통공에 일측면이 고정 결합되고 그 타측면에 경사면을 갖는 홈부와 이 경사면의 상단부에서 원주를 따라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걸림턱을 갖는 슬라이드면이 형성되며 중앙에 관통공을 갖는 제1흔들림방지구와, 이 제1흔들림방지구의 홈부와 형합되며 이 홈부의 경사면 및 슬라이드면을 따라 슬라이드 되다가 걸림턱에 걸리는 돌부가 일측면에 형성되고 중앙에 상기 제1기어부의 형합공과 동일축상에 놓이는 형합공이 형성된 제2흔들림방지구와, 이 제2흔들림방지구의 타측면을 가압하여 이 제2흔들림방지구의 돌부가 제1흔들림방지구의 경사면 및 슬라이드면에 밀착되게 하는 가압스프링과, 이 가압스프링의 일측부에 배치되어 이 가압스프링을 지지하고 회전축에 고정되는 지지판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암 레스트에 있어서, 상기 제1흔들림방지구의 홈부와 걸림턱 및 제2흔들림방지구의 돌부는 원주상의 마주보는 위치에 각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e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암레스트는 중앙부에 관통공(10a)이 형성된 한 쌍의 기어부커버(10)와, 이 기어부커버(10) 사이에 배치되고 형합공(12a)이 형성된 제1기어부(12)와, 이 제1기어부(12)와 치합되는 제2기어부(14)와, 상기 기어부커버(10)와 제2기어부(14)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16)과, 상기 기어부커버(10)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레스트바(18)와, 이 레스트바(18) 및 제1기어부(14)의 형합공(12a)과 그 외주면이 형합되는 회전축(20)과, 이 회전축(20)의 외주부를 지지하는 회전축지지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기어부커버(10)는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고 중앙에 회전축(20)이 관통되도록 하는 관통공(10a)이 형성된 한 쌍의 판재 형상으로, 이들 기어부커버(10) 사이에는 제1, 2기어부(12)(14)가 치합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이들 제1, 2기어부(12)(14)가 축 회전 가능하게 되는 범위에서 다수개의 체결구(리벳 등)(26)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게 상기 제1, 2기어부(12)(14)와 인접하는 상, 하단부에 다수개의 체결공(10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기어부커버(10) 중 어느 하나에는 제2기어부(14)를 소정각도 탄력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스프링(16)이 지지되도록 하는 스프링지지공(10c)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기어부(12)와 인접하는 기어부커버(10)의 하단부에 형성된 체결공(10b)으로 체결되는 체결구는 상기 제1기어부(12)의 축 회전을 저지하는 제1스톱퍼(28) 기능을 수행하고, 또한, 상기 제2기어부(14)와 인접하는 기어부커버(10)의 상단부에 형성된 체결공(10b)으로 체결되는 체결구는 상기 제2기어부(14)가 제1기어부(12)의 제1걸림돌기(12b)에 의해 젖혀지면서 소정각도 축 회전된 후 정지되도록 하는 제2스톱퍼(30)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1기어부(12)는 상기 한 쌍의 기어부커버(10)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그 중앙부에는 상기 기어부커버(10)의 관통공(10a)과 동일축상에 놓이는 타원 형상의 형합공(12a)이 형성되고 그 상단부에는 제2기어부(14)의 기어치(14a)와 치합되는 기어치(12c) 및 제2기어부(14)의 기어치(14a)에 걸리는 동시에 밀어내어 이 제2기어부(14)가 스프링(16)에 의해 소정각도 탄성적으로 축 회전되도록 하는 제1걸림돌기(12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기어부(14)는 한 쌍의 기어부커버(10)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그 중앙부에는 기어부커버(10) 사이에 축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체결구(26)가 관통되는 관통공(14b)이 형성되고 그 하단부 일측에는 상기 제1기어부(12)의 기어치(12c)와 치합되는 기어치(14a)가 형성되며 그 타측에는 상기 제2기어부(14)가 제1기어부(12)에 의해 소정각도 축 회전된 상태에서 이 제1기어부(12)의 제1걸림돌기(12b)가 걸리면서 원상태로 젖혀지도록 하는 제2걸림돌기(14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16)은 상기 제1기어부(12) 및 제2기어부(14)의 기어치(12c)(14a)가 서로 치합되고 이탈되게 상기 제2기어부(14)를 소정각도 탄력적으로 축 회전시키는 개방링 형상으로, 상기 기어부커버(10)와 제2기어부(14) 사이에 배치되고 그 양단부가 이들의 스프링지지공(10c)에 삽입 지지되어 있다.
상기 레스트바(18)는 기어부커버(10)의 외측면에 축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막대 형상으로, 이 기어부커버(10)와 면접하는 일측부에는 상기 제1기어부(12)의 형합공(12a)과 동일축상에 놓이는 타원형상의 형합공(18a)이 형성되고 그 타측부는 손잡이 기능을 한다.
그리고, 상기 레스트바(18)는 회전축(20)의 일단부가 형합공(18a)으로 삽입되고 상기 회전축(20)의 일단부에 형성된 체결공(20a)으로 볼트 등의 체결구가 체결되어 상기 레스트바(18)가 회전축(20) 상에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회전축(20)은 레스트바(18)에서 반대편의 기어부커버(10)까지 관통하여 이 레스트바(18) 및 제1기어부(12)의 형합공(18a)(12a)과 그 외주면이 형합되는 막대 형상으로 그 양단부에는 각각 체결공(20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지지부는 회전축(20)이 레스트바(18) 및 제1기어부(12)와 형합된 상태에서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축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축(20)을 기어부커버(10) 상에 지지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레스트바(18)의 축 회전 상태를 제어하여 이 레스트바(18)의 흔들림이 방지되도록 하는 흔들림방지구로서 사용되며 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회전축지지부는 제1흔들림방지구(22), 제2흔들림방지구(24), 가압스프링(32) 및 지지판(34)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흔들림방지구(22)는 레스트바(18)의 반대편인 기어부커버(10)의 관통공(10a)에 일측면이 고정 결합되고 그 타측면에 경사면을 갖는 홈부(22a)와 이경사면의 상단부에서 원주를 따라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걸림턱(22b)을 갖는 슬라이드면(22c)이 형성되며 중앙에 관통공(22d)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제2흔들림방지구(24)는 제1흔들림방지구(22)의 홈부(22a)와 형합되며 이 홈부(22a)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경사면 및 상기 제1흔들림방지구(22)의 슬라이드면(22c)을 따라 슬라이딩되다가 걸림턱(22b)에 걸리도록 하는 직선면을 갖는 돌부(24a)가 일측면에 형성되고 중앙에 상기 제1기어부(12)의 형합공(12a)과 동일축상에 놓이는 형합공(24b)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흔들림방지구(22)의 홈부(22a)와 걸림턱(22b) 및 제2흔들림방지구(24)의 돌부(24a)는 원주상의 마주보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압스프링(32)은 상기 제2흔들림방지구(24)의 타측면에 배치되어 이 타측면을 가압하면서 상기 제2흔들림방지구(24)의 돌부(24a)가 제1흔들림방지구(22)의 경사면 및 슬라이드면(22c)에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가압스프링(32)에 의해 제1흔들림방지구(22)를 가압하는 제2흔들림방지구(24)는 그 돌부(24a)의 경사면이 제1흔들림방지구(22)의 경사면을 가압하고, 돌부(24a)의 상단 평면부가 제1흔들림방지구(22)의 슬라이드면(22c)을 가압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지지판(34)은 가압스프링(32)의 일측부에 배치되어 이 가압스프링(32)을 지지하는 원판 형상으로, 그 중앙에 형성된 중공(34a)을 통해 볼트 등의 체결구(36)가 회전축(20)의 체결공(20a)으로 체결되어 지지판(34)이 회전축(20)에 고정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제2흔들림방지구(24)와 스프링(32)을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고안의 자동차용 암레스트는 한 쌍의 기어부커버(10) 사이에 제1, 2기어부(12)(14)가 배치되고 이 기어부커버(10)의 외측면 일측에 제1, 2흔들림방지구(22)(24), 가압스프링(32) 및 지지판(34)이 배치되며 그 타측에 레스트바(18)가 배치되도록 한 후 회전축(20)이 제2흔들림방지구(24)와 제1기어부(12) 및 레스트바(18)의 형합공(24b)(12a)(18a)에 형합되도록 하여 체결구(36)를 회전축(20)의 양단 체결공(20a)에 체결시킴으로써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조립이 완성된다.
이러한 자동차용 암레스트는 시트의 등받이 측부에 레스트바(18)만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장착된다.
이와 같은 자동차용 암레스트는 자동차의 실내 바닥면과 평행(등받이와는 대략 120°정도의 각도를 이룬다.)인 상태에서 레스트바(18)를 상방으로 잡아당기면 회전축(2)에 의해 이 레스트바(18)와 연결되어 있는 제1기어부(12)가 제2기어부(14)와 치합된 상태에서 소정 각도씩 절도있게 축 회전되면서 레스트바(18)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1기어부(12)가 제2기어부(14)와 치합에 의해 축 회전되는 동안 레스트바(18)는 대략 10°정도의 각도만큼 단계적으로 상향 축 회전되고 상기 제1, 2기어부(12)(14)의 치합에 의해 축 회전되는 레스트바(18)의 전체 각도는 10°씩 4단계 정도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치합에 의한 축 회전이 끝나면 제1, 2기어부(12)(14)의 치합이 분리되어 상방으로 자유 회전되며 상기 레스트바(18)를 따라 계속 축 회전되는 제1기어부(12)가 제1스톱퍼(28)에 다달으면 축 회전이 정지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치합을 분리되어 자유 회전되는 레스트바(18)는 시트의 등받이와 평행이 되는 정도까지 회전이 된 후 정지되고 이 레스트바(18)가 다시 원상태(레스트바가 자동차의 실내 바닥면과 평행이 되는 상태)로 복귀될 때에도 자유 회전에 의해 원상 복귀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기어부(14)는 제1기어부(12)와 치합이 분리되기 직전에 제1기어부(12)의 제1걸림돌기(12b)가 제2기어부(14)의 기어치(14a)를 밀어내게 되고, 그 결과 이 제2기어부(14)는 스프링(16)에 의해 소정각도 탄성적으로 축 회전된 상태에서 제2스톱퍼(30)에 의해 정지되는 일련의 과정을 거치면서 제1, 2기어부(12)(14)의 치합이 분리되는 것이다.
그런 다음, 상기 소정각도 축 회전된 상태로 있는 제2기어부(14)는 레스트바(18)의 원상 복귀시 이와 동시에 축 회전되는 제1기어부(12)의 제1걸림돌기(12b)가 제2기어부(14)의 제2걸림돌기(14c)를 밀어내는 과정을 통해 원상태로 축 회전되면서 다시 이들이 기어치(12c)(14a)가 치합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레스트바(18)가 축 회전되는 동안 서로 형합되어 있는 제1, 2흔들림방지구(22)(24) 중 상기 레스트바(18)와 회전축(20)에 의해 연결된 제2흔들림방지구(24)도 같이 축 회전되는데, 이때 상기 제1, 2기어부(12)(14)에 의해 치합 이동되는 동안에 상기 제2흔들림방지구(24)는 그 돌부(24a)의 경사면이 제1흔들림방지구(22)의 홈부(22a)에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다가 상기 제1, 2기어부(12)(14)의 치합이 분리되어 레스트바(18)가 자유 회전되는 동안에 상기 제2흔들림방지구(24)는 그 돌부(24a)의 상단 평면부가 제1흔들림방지구(22)의 슬라이드면(22c)을 따라 슬라이딩되고, 최종적으로 레스트바(18)가 시트의 등받이와 평행인 상태가 되면 상기 제2흔들림방지구(24)의 돌부(24a) 직선면이 제1흔들림방지구(22)의 걸림턱(22b)에 걸려 상기 레스트바(18)가 역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걸림턱(22b)에 걸려있는 제2흔들림방지구(24)의 돌부(24a) 직선면의 걸림 상태는 레스트바(18)를 어느 정도 힘을 가해 잡아당겼을 때만 걸림이 해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레스트바(18)가 원상 복귀시에는 제2흔들림방지구(24)의 돌부(24a)가 역으로 제1흔들림방지구(22)의 슬라이드면(22c)을 따라 슬라이딩되다가 홈부(22a)로 미끄러지면서 이 돌부(24a)와 홈부(22a)가 형합되어 레스트바(18)의 복귀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2흔들림방지구(24)는 가압스프링(32)에 의해 제1흔들림방지구(22)를 가압하면서 슬라이딩되어 결과적으로 레스트바(18)의 회전방향 흔들림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도 5 내지 도 7d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다른 실시예로서, 여기서는 상기 자동차용 암레스트와 작동과정은 동일하고 다만 제1기어부(38)가 기어부커버(10) 사이에 고정 배치되며 제2기어부(42)가 기어서포트(40)에 축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정도의 차이가 있다.
그리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암레스트가 자동차의 시트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자동차용 암레스트는 축 회전방향으로 소정각도씩 틸팅되면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탑승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Claims (6)

  1.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고 중앙부에 각각 관통공이 형성된 한 쌍의 기어부커버;
    상기 기어부커버 사이에 배치되고 그 중앙에 상기 기어부커버의 관통공과 동일축상에 놓이는 형합공이 형성된 제1기어부;
    상기 기어부커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기어부와 치합되는 제2기어부;
    상기 기어부커버와 제2기어부 사이에 배치되어 제1기어부와 제2기어부의 기어치가 서로 치합되고 이탈되게 상기 제2기어부를 소정각도 탄력적으로 축 회전시키는 스프링;
    상기 기어부커버의 외측면에 축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일측부에 상기 제1기어부의 형합공과 동일축상에 놓이는 형합공이 형성된 레스트바;
    상기 레스트바에서 반대편의 기어부커버까지 관통하여 이 레스트바 및 제1기어부의 형합공과 그 외주면이 형합되는 회전축;
    상기 레스트바의 반대편으로 돌출된 회전축이 축 회전 가능하게 이 회전축의 외주부를 지지하는 회전축지지부;
    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암레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스트바와 일체로 축 회전되는 제1기어부에 의해 소정각도 축 회전되는 제2기어부를 정지시키기 위해 이 제2기어부 측부에 마련된 제2스톱퍼; 및
    상기 레스트바의 축 회전에 따라 계속하여 축 회전되는 제1기어부를 정지시키기 위해 이 제1기어부의 측부에 마련된 제1스톱퍼;
    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암레스트.
  3.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고 중앙부에 각각 관통공이 형성된 한 쌍의 기어부커버;
    상기 기어부커버 사이에 고정 배치되는 제1기어부;
    상기 기어부커버 사이에 배치되고 그 중앙에 형합공이 형성된 기어서포트;
    상기 기어서포트에 축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기어부와 치합되는 제2기어부;
    상기 기어서포트와 제2기어부 사이에 배치되어 제1기어부와 제2기어부의 기어치가 서로 치합되고 이탈되게 상기 제2기어부를 소정각도 탄력적으로 축 회전시키는 스프링;
    상기 기어부커버의 외측면에 축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일측부에 상기 기어서포트의 형합공과 동일축상에 놓이는 형합공이 형성된 레스트바;
    상기 레스트바에서 반대편의 기어부커버까지 관통하여 이 레스트바 및 기어서포트의 형합공과 그 외주면이 형합되는 회전축; 및
    상기 레스트바의 반대편으로 돌출된 회전축이 축 회전 가능하게 이 회전축의 외주부를 지지하는 회전축지지부;
    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암레스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스트바의 축 회전에 따라 계속하여 축 회전되는 기어서포트를 정지시키기 위해 이 기어서포트의 측부에 마련된 제1스톱퍼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암레스트.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지지부는, 레스트바의 반대편인 기어부커버의 관통공에 일측면이 고정 결합되고 그 타측면에 경사면을 갖는 홈부와 이 경사면의 상단부에서 원주를 따라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걸림턱을 갖는 슬라이드면이 형성되며 중앙에 관통공을 갖는 제1흔들림방지구;
    상기 제1흔들림방지구의 홈부와 형합되며 이 홈부의 경사면 및 슬라이드면을 따라 슬라이드 되다가 걸림턱에 걸리는 돌부가 일측면에 형성되고 중앙에 상기 제1기어부의 형합공과 동일축상에 놓이는 형합공이 형성된 제2흔들림방지구;
    상기 제2흔들림방지구의 타측면을 가압하여 이 제2흔들림방지구의 돌부가 제1흔들림방지구의 경사면 및 슬라이드면에 밀착되게 하는 가압스프링;
    상기 가압스프링의 일측부에 배치되어 이 가압스프링을 지지하고 회전축에 고정되는 지지판;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암레스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흔들림방지구의 홈부와 걸림턱 및 제2흔들림방지구의 돌부는 원주상의 마주보는 위치에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암레스트.
KR20-2003-0039419U 2003-12-18 2003-12-18 자동차용 암레스트 KR2003465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419U KR200346536Y1 (ko) 2003-12-18 2003-12-18 자동차용 암레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419U KR200346536Y1 (ko) 2003-12-18 2003-12-18 자동차용 암레스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8927A Division KR100554450B1 (ko) 2003-05-07 2003-05-07 자동차용 암레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6536Y1 true KR200346536Y1 (ko) 2004-04-08

Family

ID=49427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9419U KR200346536Y1 (ko) 2003-12-18 2003-12-18 자동차용 암레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653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4450B1 (ko) 자동차용 암레스트
US7520568B2 (en) Seat reclining apparatus
WO2002036983A1 (fr) Amortisseur de vibrations rotatif
US10562416B2 (en) Lifter device
JPH07329642A (ja) 車両用後写鏡装置の駆動装置
US4822965A (en) Lid locking mechanism in automobile switch panel device
KR200346536Y1 (ko) 자동차용 암레스트
JP2000102440A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2000343989A (ja) セーフロック付き無段階スライドアジャスタ
JP4126755B2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CN211468231U (zh) 安全座椅底座操控组件、安全座椅底座和安全座椅套件
JP3133271B2 (ja) 収納装置
EP0425237A2 (en) Reclining device for automotive seat
JP3607087B2 (ja) リクライニングシート
JP2645582B2 (ja) シートの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2544029Y2 (ja) シートの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101095301B1 (ko) 응답성이 개선된 자동차시트용 리클라이닝 장치
JP3607086B2 (ja) リクライニングシート
JP3607085B2 (ja) リクライニングシート
JPH0565681U (ja) 車両用格納式アウトサイドミラー
JPS6314686Y2 (ko)
JPH0224695Y2 (ko)
JPH0220143Y2 (ko)
KR200217805Y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가변장치
JPH0463738A (ja) 電動ステー格納式ミラ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01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