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6186Y1 - 필통 - Google Patents

필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6186Y1
KR200346186Y1 KR20-2003-0034170U KR20030034170U KR200346186Y1 KR 200346186 Y1 KR200346186 Y1 KR 200346186Y1 KR 20030034170 U KR20030034170 U KR 20030034170U KR 200346186 Y1 KR200346186 Y1 KR 2003461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cil case
case body
sheet member
contents
g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41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용규
Original Assignee
한용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용규 filed Critical 한용규
Priority to KR20-2003-00341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61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61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61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34Pencil boxes; Pencil etui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45C15/02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with memorandum tablet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필통에 관한 것으로, 학습에 필요한 필기구를 보관하는 수납홈(110)이 형성되고, 양측에는 몸체 내측으로 보관함(150)이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작동실(140)이 구비된 필통몸체(100)와, 상기 수납홈(110)을 개폐하기 위하여 필통몸체(100)에 결합된 커버부재(200)와, 상기 작동실(1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롤러부재(300)와, 상기 롤러부재(300)에 일단이 감겨진 상태로 타단은 필통몸체(100)의 외부로 노출된 시트부재(400)와, 이 시트부재(410)를 통한 게임의 실시 내지는 교육내용을 기입할 수 있도록 보관함(150)에 수용된 보조도구(410)로 구성된다.
따라서, 여가시간에 활용할 수 있는 보조도구(410) 및 게임실시내용이 인쇄되는 시트부재(400) 또는 교육내용을 간편하게 기입할 수 있는 펜과 화이트보드를 소비자 취향에 따라 제작, 판매하여 지적호기심의 유발을 통한 집중력 향상 및 지능개발을 도모할 수 있게 되며, 아울러, 교육내용의 간편한 기입을 통한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타제품과의 차별화를 통한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켜 생산자의 이익창출에 기여할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필통 {pencil case}
본 고안은 필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문구가 수납되는 필통에 여가시간을 활용할 수 있는 게임수단을 구비하여 이를 별도로 구매 및 보관하기 위한 불편함을 해소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구의 한 품목인 필통은 학습에 필요한 연필이나 볼펜 등의 요소로 이루어진 필기구를 휴대가 간편하도록 한곳에 수납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각종 필기구들이 각각 놓여졌을 경우에 따른 분실의 위험을 줄이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용도로 사용되는 필통은 사각함체 형상의 몸체 내부에 수납부를 형성하여 학습에 필요한 필기구를 보관하여 휴대하도록 하고 있다.
이때, 상기 수납부에는 수납된 필기구가 필통의 이동 중에 몸체와 부딪쳐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필기구를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선반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선반을 통해서는 필기구의 개별적인 수납도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의 상부에는 수납부에 보관 중인 필기구가 휴대 중 외부로 이탈되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폐뚜껑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개폐뚜껑은 몸체와 힌지 결합되거나,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납부를 개방 또는 밀폐시키게 된다.
한편, 최근에는 상기 수납부를 일정한 크기로 구획하여 필기구 외에 지우개 등과 같은 소형의 물품을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제품도 제안되고 사용되고 있으며, 이 외에도 간단한 메모용지 등을 수납시킬 수 있도록 개폐뚜껑의 내측면에 포켓 등이 구비된 필통도 제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필통을 통하여 학습에 필요한 다양한 종류의 필기구를 간편하게 보관 및 휴대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필통은 학습에 필요한 필기구의 보관 및 휴대는 가능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어 있어 여가시간에 다양한 게임 등을 즐기고 싶어하는 사용자의 기호를 충족시키지는 못하였다.
즉, 집중력이 부족한 어린 유아들의 경우 다양한 게임 등을 즐기면서 집중력 향상 및 지능개발을 도모해야 하나, 종래의 필통에는 이러한 게임 등을 수행할 수 있는 부재가 미비하여 안전사고가 쉽게 발생할 수 있는 놀이를 하면서 여가시간을 소모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학습에 필요한 내용을 기입하도록 필통에 구비되는 메모용지는 일회성 소모품으로 추가구매에 따른 불필요한 비용의 부담이 생길 수 있으며, 무분별하게 사용이 이루어질 경우 학습환경을 해칠 수 있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여 다양한 필기구를 보관하여 휴대할 수 있는 기본적인 기능의 제공뿐 아니라 여가시간의 적절한 활용을 통한학습능률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여가시간의 적절한 활용을 통한 집중력 향상 및 지능개발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필통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교육내용을 간편하게 기입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필통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타제품과의 경쟁력 향상을 통한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켜 생산자의 이익창출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한 필통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필통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필통의 내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인 필통의 내부 구성 및 상부덮개의 개폐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하부커버부재의 개폐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시트부재의 인출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작동실에 롤러부재가 구비된 상태를 일부 절개하여 나타낸 단면도.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필통몸체 110 - 수납홈
140 - 작동실 150 - 보관함
200 - 커버부재 210 - 힌지부
300 - 롤러부재 400 - 시트부재
410 - 보조도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학습에 필요한 필기구를 보관하는 수납홈이 형성되고, 양측에는 몸체 내측으로 보관함이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작동실이 구비된 필통몸체와;
상기 수납홈을 개폐하기 위하여 필통몸체에 결합된 커버부재와;
상기 작동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롤러부재와;
상기 롤러부재에 일단이 감겨진 상태로 타단은 필통몸체의 외부로 노출된 시트부재와;
이 시트부재를 통한 게임의 실시 내지는 교육내용을 기입할 수 있도록 보관함에 수용된 보조도구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여가시간에는 보관함에 수용된 보조도구 및 시트부재에 인쇄되어 있는 게임실시내용을 이용해 각종 게임을 즐길 수 있어 여가시간의 적절한 활용을 통한 지능개발 및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학업시간에는 보조도구와 시트부재로서 펜과 이 펜의 판서가 가능한 화이트보드를 이용케 하여 수업 중 교육내용의 기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학습능률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인 필통의 형상을 사시도로 나타낸 것으로, 필기구의 수납 및 보관 뿐 아니라 여가시간 및 학습시간에도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필통의 전체적인 형상을 보이고 있다.
도 2는 본 고안인 필통의 구성을 평면도로 나타낸 것으로, 여가시간에 활용할 수 있는 게임도구를 수납할 수 있도록 좌, 우 양측에 보관함이 형성되고, 상부 중앙에는 필기구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홈이 형성된 필통몸체의 구성을 보이고 있다.
도 3은 본 고안인 필통의 내부 구성 및 상부덮개의 개폐상태를 단면도로 나타낸 것으로, 상부에 파여진 수납홈 및 이 수납홈의 일측에 형성된 수용홈을 개폐하는 상부덮개의 동작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4는 하부덮개의 개폐상태를 단면도로 나타낸 것으로, 학습에 필요한 문구로 비교적 부피가 큰 지우개 등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필통몸체의 하부에 형성된 지우개 수납함을 개폐하는 하부덮개의 동작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5는 시트부재의 인출상태를 단면도로 나타낸 것으로, 게임의 실시 내지는화이트보드로 사용할 수 있는 시트부재를 필통몸체의 외부로 인출시키는 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6은 작동실에 롤러부재가 구비된 상태를 일부 절개하여 단면도로 나타낸 것으로, 필통몸체의 일측부에 형성된 작동실에 시트부재를 감거나 인출시키기 위한 롤러부재가 구비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즉, 도 1 내지 도 4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고안인 필통(1)은 여가시간의 적절한 활용을 통하여 학습능률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필통몸체(100)의 상부에는 학습에 필요한 필기구를 보관하는 수납홈(110)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교육내용을 지우는 지우개가 수납될 수 있도록 지우개수납함(12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홈(110)의 일측으로는 학습에 필요한 문구 중 접착요소 인 풀(131) 등의 문구용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용홈(130)이 파여지게 형성되고, 이 수용홈(130)이 파여진 필통몸체(100)의 일측면으로는 작동실(140)이 구비되어 후술될 롤러부재(300)를 수용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필통몸체(100)의 좌, 우 양측에는 보관함(150)이 몸체 내측으로 파여져 보조도구(410)를 수용하게 되며, 상기 보관함(150)의 상부에는 수납된 보조도구(410)가 휴대 중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뚜껑부재(151)가 일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 뚜껑부재(151)의 일단에는 이를 용이하게 회동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152)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이러한 구성의 필통몸체(100)는 하나의 몸체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나, 본 고안에서는 제작 및 생산이 용이할 수 있도록 상부몸체(101) 및 하부몸체(102)로 각각 별도로 구성되어 결합되게 된다.
즉, 상기 필통몸체(100)는 수납홈(110)을 갖는 상부몸체(101)와, 지우개수납함(120)을 갖는 하부몸체(102)로 구성되어 결합되게 되며, 상기 상부몸체(101)에 형성된 수납홈(110)에는 수납된 필기구의 유동 및 이탈이 발생되지 않도록 필기구고정용 선반부재(111)가 결합되게 된다.
한편,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필통몸체(100)에는 수납홈(110) 및 지우개수납함(120)을 개별적으로 개폐하기 위하여 상부덮개(201) 및 하부덮개(202)로 구성된 커버부재(200)가 개폐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커버부재(200)는 필통몸체(100)에 형성된 수납홈(110) 및 지우개수납함(120)을 필요에 따라 개방 또는 밀폐시키기 결합되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상기 커버부재(200)의 일측부에는 필통몸체(100)에 구비된 작동실(14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부(210)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200)에는 휴대 시에는 덮어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후크부(220)가 형성되고, 필통몸체(100)에는 이 후크부(220)를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홈(103)이 각각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후크부(220)를 통하여 평상시에는 커버부재(200)를 필통몸체(100)에 덮어지게 하여 수납홈(110) 및 선반부재(111)에 수납되어 있는 각종 문구들이 외부로 이탈되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후크부(220)를 체결홈(103)으로부터 이탈시켜 커버부재(200)를 필통몸체(100)의 일측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내부의 수납홈(110) 및 선반부재(111)를외부로 노출시켜 수납되어 있던 필기구들을 간편하게 꺼내어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이러한 커버부재(200)의 상면 일측에는 학업시간에 사용할 수 있는 학업보조도구인 나침반(230)이 설치되고, 상기 커버부재(200)에는 이 나침반(230)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240)가 결합된다.
즉, 상기 커버부재(200)의 상면 일측에 설치된 나침반(230)은 물리, 과학과 같은 학업시간에 보조도구로 용이하게 사용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나침반(230)을 통하여 사용자는 필요한 좌표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별도의 나침반(230)을 구매하기 위한 비용의 지출을 억제할 수 있으며, 개별 보관 중인 나침반(230)을 찾기 위한 수고도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필통몸체(100)의 일측면에 구비된 작동실(140)의 내부에는 도 5 내지 도 6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롤러부재(300)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이 롤러부재(300)에는 여가시간에 활용할 수 있는 게임실시내용이 인쇄되거나 이러한 게임실시내용이 인쇄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화이트보드로 사용할 수 있는 시트부재(400)가 감겨진 상태로 구비되게 된다.
상기 시트부재(400)에 게임실시내용으로 인쇄되는 경우 이러한 게임실시내용의 일 예로는 기입된 숫자에 사칙연산을 적용하여 최종 숫자로 먼저 도착하여 승자를 가리는 숫자게임이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야구, 축구 등과 같은 각종 스포츠를 도시되어 있는 것을 사용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시트부재(400)의 단부에는 롤러부재(300)에 감겨진시트부재(400)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잡아당겨 필통몸체(100)의 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도록 파지부(421)를 갖는 인출부재(420)가 결합된다.
또한, 이러한 시트부재(400)가 감겨진 롤러부재(300)의 좌, 우 양측에는 상기 파지부(421)를 통하여 외부로 인출된 시트부재(400)를 롤러부재(300)에 다시 감기 위한 회전손잡이(310)가 결합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이러한 회전손잡이(310)의 작동을 통하여 시트부재(400)가 롤러부재(300)에 감겨지는 과정에서 인출부재(420)가 필통몸체(100)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어 인출에 따른 곤란함이 발생되는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인출부재(420)와 접하는 하부몸체(102)의 내부에는 이를 단속하기 위한 스토퍼(160)가 돌출 형성된다.
한편, 필통몸체(100)의 좌, 우 양측에 형성된 보관함(150)에는 시트부재(400)를 활용할 수 있는 보조도구(410)가 수용되게 된다.
상기 보조도구(410)는 시트부재(400)에 게임실시내용이 인쇄될 경우 게임의 진행에 필요한 주사위, 게임말 등의 요소로 이루어진 게임용 도구로 구성되며, 상기 시트부재(400)가 화이트보드용 시트일 경우에는 이에 기입이 가능한 펜(411)으로 구성되게 된다.
이때, 상기 보조도구(410)가 펜(411)으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보관함(150)에 수용시켜도 무방하나, 수납홈(110)의 일측에 파여지는 수용홈(130)에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수용홈(130)에 펜(411)이 수용될 경우 기 수용되어 있는 접착부재(131)와의 직접적인 마찰에 따른 불필요한 마찰음의 발생을 차단하기 위하여상기 수용홈(130)에는 이를 구획할 수 있는 칸막이(132)가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필통몸체(100)에 형성된 보관함(150)에 게임용 도구가 구비되고, 게임실시용 인쇄내용이 기재된 시트부재(400)를 소비자가 선택하게 되면, 사칙연산의 법칙 및 수 개념 등을 숙지할 수 있어 지능개발 및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학우들 간의 친밀감도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필통몸체(100)에 파여진 수용홈(130)에 펜(411)이 구비되고, 화이트보드용 시트부재(400)를 선택할 경우에는 학업시간에 화이트보드를 이용하여 학습에 필요한 교육내용을 간편하게 기입하여 사용할 수 있어 불필요한 메모용지의 사용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필통을 통하여 여가시간의 적절한 활용을 통한 집중력을 향상시켜 학습능률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여가시간에 활용할 수 있는 게임용 도구 및 게임실시내용이 인쇄되는 시트부재 또는 교육내용을 간편하게 기입할 수 있는 펜과 화이트보드를 소비자 취향에 따라 제작, 판매하여 지적호기심의 유발을 통한 집중력 향상 및 지능개발을 도모할 수 있게 되며, 아울러, 교육내용의 간편한 기입을 통한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타제품과의 차별화를 통한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켜 생산자의 이익창출에 기여할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학습에 필요한 필기구를 보관하는 수납홈(110)이 형성되고, 양측에는 몸체 내측으로 보관함(150)이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작동실(140)이 구비된 필통몸체(100)와;
    상기 수납홈(110)을 개폐하기 위하여 필통몸체(100)에 결합된 커버부재(200)와;
    상기 작동실(1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롤러부재(300)와;
    상기 롤러부재(300)에 일단이 감겨진 상태로 타단은 필통몸체(100)의 외부로 노출된 시트부재(400)와;
    이 시트부재(400)를 통한 게임의 실시 내지는 교육내용을 기입할 수 있도록 보관함(150)에 수용된 보조도구(41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필통.
  2.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재(400)의 일단에는 롤러부재(300)에 감겨진 시트부재(400)를 필통몸체(100)의 외부로 인출시키거나 감겨진 상태를 유지토록 하는 인출부재(420)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필통.
  3.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200)에는 학업보조도구인 나침반(230)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필통.
KR20-2003-0034170U 2003-10-31 2003-10-31 필통 KR2003461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4170U KR200346186Y1 (ko) 2003-10-31 2003-10-31 필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4170U KR200346186Y1 (ko) 2003-10-31 2003-10-31 필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6186Y1 true KR200346186Y1 (ko) 2004-03-30

Family

ID=49427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4170U KR200346186Y1 (ko) 2003-10-31 2003-10-31 필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618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00324A (en) Pre-school stencil kit
US6026960A (en) Animal art case
KR200346186Y1 (ko) 필통
US6494759B1 (en) Book and pages having mechanical means for activating pop-up figure
KR200387206Y1 (ko) 필통
KR200326965Y1 (ko) 필통
KR200442704Y1 (ko) 메모용 흑판이 구비된 필통
KR200319667Y1 (ko) 필통
KR200362345Y1 (ko) 필통
JP3132100U (ja) 遊べるぬり絵
KR200362362Y1 (ko) 필통
KR200330306Y1 (ko) 게임수단이 구비된 필통
KR200309538Y1 (ko) 필통
KR200375066Y1 (ko) 입체 북 구조를 구비하는 필통
KR200411044Y1 (ko) 필통
KR200377390Y1 (ko) 완구타입의 필통
KR200362278Y1 (ko) 필통
KR200324188Y1 (ko) 필통
KR200151473Y1 (ko) 완구용 바구니
JPH0633961Y2 (ja) 多色筆記具を収容する容器を兼ねたゲーム盤
KR200342669Y1 (ko) 필통
KR200194704Y1 (ko) 필통
KR200229162Y1 (ko) 필통
KR200375429Y1 (ko) 필통
KR200356562Y1 (ko) 양 방향 회동절첩식 2단 필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1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