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5837Y1 - 책상 연장판 구조 - Google Patents

책상 연장판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5837Y1
KR200345837Y1 KR20-2004-0000073U KR20040000073U KR200345837Y1 KR 200345837 Y1 KR200345837 Y1 KR 200345837Y1 KR 20040000073 U KR20040000073 U KR 20040000073U KR 200345837 Y1 KR200345837 Y1 KR 2003458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esk
keyboard
extension
extens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00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종일
Original Assignee
오종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종일 filed Critical 오종일
Priority to KR20-2004-00000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58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58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583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3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ly extensible or adjustable parts other than drawers, e.g. leaves
    • A47B21/0314Platforms for supporting office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B2097/005Monitor mounted supports or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4Accessories for tables or des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15Keyboard drawers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장판을 책상위에 설치하여 책상의 전후폭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하고, 책상의 상판과 연장판 사이에 키보드받침판, 서랍 등을 설치하여 책상 위의 사무공간을 더 넓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책상 연장판 구조에 관한 것으로, 책상(10) 상판(12)의 후단부(12a)보다 더 뒤쪽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는 연장판(20)과, 상판(12) 위에서 연장판(20)을 지지하고 그 연장판(20)의 전후폭(W)보다 더 짧은 길이(L)를 갖으며 연장판(20)의 저면 중앙에서 좌우방향으로 소정간격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그 사이에 키보드수납공간(S)을 형성하는 복수의 지지판(22)(24)과, 이 지지판(22)(24)과의 사이에 선인출구(26)를 남기고 그 지지판(22)(24)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키보드(14)의 진입깊이를 제한하는 후판(28)으로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책상 위의 사무공간을 넓힐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서랍과 책꽂이에 의해 연장판 상하부의 공간활용율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책상 연장판 구조{Desk Top Extension Plate Structure}
본 고안은 책상의 전후 폭을 연장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책상 연장판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장판을 책상위에 설치하여 책상의 전후폭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하고, 책상의 상판과 연장판 사이에 키보드받침판, 서랍 등을 설치하여 책상 위의 사무공간을 더 넓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책상 연장판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책상은 한정된 치수로 일괄 생산되기 때문에 그 폭이 제한되어 있는데, 이러한 책상 위에 컴퓨터 모니터, 컴퓨터 본체, 키보드 등을 올려놓게 되면, 책상 위의 전후공간이 이들 모니터와 키보드에 의해 대부분 점유되어 사무공간이 협소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책상 위에 컴퓨터 모니터를 놓고, 다시 그 정면에 키보드를 두고 사용하는 것이 보편적인데, 이때 일반적인 책상은 전후방향의 폭이 좁기 때문에 키보드로부터 책상 앞단까지의 남는 공간이 대단히 좁게 되어 글씨를 쓰거나 책을 볼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남지 않게 되어 사용이 불편하게 된다.
또, 간혹 책상 위의 작업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키보드를 다른 곳으로 치우는 경우가 있으나 이 경우 컴퓨터를 사용할 수 없게 될 뿐만 아니라 키보드를 옮기는 일이 매우 번거롭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책상의 전후폭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책상 위의 사무공간을 더 넓힐 수 있는 책상 연장판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책상 상판의 후단부보다 더 뒤쪽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는 연장판과, 상판 위에서 연장판을 지지하고, 그 연장판의 전후폭보다 더 짧은 길이를 갖으며, 연장판의 저면 중앙에서 좌우방향으로 소정간격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그 사이에 키보드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지지판과, 지지판과의 사이에 선인출구를 남기고 그 지지판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키보드의 진입깊이를 제한하는 후판으로 구성하여 책상 연장판 구조가 제공된다.
도 1는 본 고안에 따른 제 1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제 1실시예를 보인 저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 1실시예를 보인 책상 위 설치상태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 2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제 2실시예를 보인 저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제 2실시예를 보인 책상 위 설치상태 측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제 3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제 4실시예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9a는 본 고안에 따른 제 5실시예를 보인 저면도
도 9b는 본 고안에 따른 제 5실시예를 보인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 책상 12 : 상판
12a : 후단부 14 : 키보드
20 : 연장판 W : 전후폭
L : 길이 S : 키보드수납공간
22,24 : 지지판 25a,25b : 삽입구멍
26 : 선인출구 27 : 책꽂이
28 : 후판 29 : 측판
30 : 키보드받침판 30a : 저면
32 : 레일 34 : 연질손목받침대
40,42 : 서랍 50,52 : 미끄럼방지패드
60a,60b : 마찰패드 62a,62b : 윤활패드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1 내지 도3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책상(10) 상판(12)의 후단부(12a)보다 더 뒤쪽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는 연장판(20)과, 책상(10) 상판(12) 위에서 연장판(20)을 지지하고, 그연장판(20)의 전후폭(W)보다 짧은 길이(L)를 갖고 중앙에서 좌우방향으로 소정간격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그 사이에 키보드수납공간(S)을 형성하는 지지판(22)(24)과, 지지판(22)(24)과의 사이에 키보드선이나 마우스선, 스피커선 등을 인출할 수 있는 선인출구(26)를 남기고 그 지지판(22)(24)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키보드(14)의 진입깊이를 제한하는 후판(28)으로 구성하였다.
여기서 지지판(22)(24)은 장방형의 단면모양으로 된 긴 바(bar) 형태이며, 내구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연장판(20)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재질의 판재를 길게 절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첨부도면 도4 내지 도6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판(20)과 지지판(22)(24), 후판(28)의 구성은 제 1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며, 그 지지판(22)(24) 사이의 키보드수납공간(S)에 키보드(14)를 올려놓을 수 있는 키보드받침판(30)을 설치하였다.
그리고, 키보드받침판(30)의 앞부분에 실린콘 고무나 합성고무, 고형의 라텍스 등으로 이루어진 연질손목받침대(34)를 설치하여 손목을 편안하게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연질손목받침대(34)는 완만한 곡선으로 형성하여 손목의 움직임이 좀더 자유롭도록 하였다.
또한, 키보드받침판(30)은 지지판(22)(24)의 내측면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레일(32)에 의해 책상(10) 앞을 향해 하향하면서 안내되도록 설치하여 키보드받침판(30)을 앞으로 당겨졌을 때 키보드받침판(30)의 앞단이 책상(10)의 상판(12)에 밀착하도록 하여 키보드받침판(30)의 지지력을 향상시켰다.
또, 지지판(22)(24)의 저면에 책상(10)의 상판(12)과 마찰접촉하는 미끄럼방지패드(50)(52)를 설치하여 사용 중 밀리는 것을 방지하였다.
첨부도면 도7은 본 고안의 제 3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판(20)과 지지판(22)(24), 후판(28)의 구성은 제 1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고, 키보드받침판(30)의 구성은 제 2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게 구성하였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며, 연장판(20)의 좌우측 끝에 측판(29)을 설치하고, 그 측판(29)과 지지판(22)(24)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그 공간에 각종 물건을 넣어둘 수 있는 서랍(40)(42)을 설치하였다.
또한, 서랍(40)(42)의 정면에는 손잡이(40a)(42a)를 설치하여 손으로 잡고 취급하기에 편리하도록 하였다.
첨부도면 도8은 본 고안의 제 4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판(20)과 지지판(22)(24), 후판(28)의 구성은 제 1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며, 키보드받침판(30)의 구성은 제 2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고, 서랍(40)(42)은 제 3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였으며, 상기 연장판(20)의 상면에 삽입구멍(25a)(25b)을 형성하고, 그 삽입구멍(25a)(25b)에 역(逆)"U"자 모양의 책꽂이(27)를 끼워 책(80)이나 파일 등을 수직으로 세울 수 있도록 하였다.
여기서 책꽂이(27)는 예컨대, 강선을 역(逆)"U"자 모양으로 구부려 놓은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꼭 이러한 책꽂이(27)에 한정하지 않는다.
첨부도면 도9a 및 도9b는 본 고안의 제 5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보드받침판(30)을 지지판(22)(24)이나 연장판(20)에 결합시키지 않고, 단순히 책상(10)의 상판(12)에서 미끄러지도록 구성하였다.
또, 그 키보드받침판(30)의 저면(30a) 앞부분에는 책상(10)의 상판(12)과 마찰 접촉하는 마찰패드(60a)(60b)를 설치하고, 그 저면(30a) 뒷부분에는 책상(10)의 상판(12)과 미끄럼 접촉하는 윤활패드(62a)(62b)를 설치하여 키보드받침판(30)을 키보드수납공간(S)으로 밀어 넣을 경우 도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앞부분을 상측으로 약간 들게 되면, 마찰패드(60a)(60b)는 상판(12)으로부터 떨어진 상태로 되고 뒷부분의 윤활패드(62a)(62b)만 상판(12)에 접촉되기 때문에 보다 부드럽게 미끄러지게 된다.
여기서 마찰패드(60a)(60b)는 고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윤활패드(62a)(62b)는 자기 윤활성의 테프론수지나 폴리에스테르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공장에서 책상(10)을 생산할 때 연장판(20)과 지지판(22)(24)을 책상(10)의 상판(12)에 일체로 결합하여 구매자가 연장판(20)을 별도로 구매하여 조립하는 수고를 덜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70은 컴퓨터 모니터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서는 책상(10) 상판(12)의 후단부에 지지판(22)(24)의 후단부를 거의 일치시킨 상태로 상판(12) 위에 연장판(20)을 놓게 되면, 지지판(22)(24)보다 더 길게 되어 있는 연장판(20)의 후단 연장부분에 의해 상판(12)의 전후폭이 연장된 꼴로 된다.
이때 컴퓨터 모니터(70)를 연장판(20)에 올려놓게 되면, 모니터(70)가 책상(10) 뒤로 더 물러난 상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책상(10) 앞부분의 공간이 더 넓어지게 된다.
이때 키보드(14)를 지지판(22)(24) 사이에 형성된 키보드수납공간(S)으로 넣어서 보관할 수 있으며, 키보드(14)를 키보드수납공간(S)에 수납할 때 지지판(22)(24)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위치하는 후판(28)에 의해 키보드(14)가 더 이상 뒤로 들어갈 수 없게 되어 키보드(14)를 빼낼 때 편리하게 된다.
또, 키보드나 마우스로부터 컴퓨터 본체로 이어지는 선은 지지판(22)(24)과 후판(28) 사이에 형성된 선인출구(26)를 통해 자유롭게 통과시킬 수 있게 된다.
첨부도면 도4 내지 도6에 도시된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서는 키보드받침판(30)이 레일(32)에 의해 지지판(22)(24)에 설치된 것으로, 키보드받침판(30)을 레일(32)에 의해 보다 부드럽게 움직일 수 있게 되며, 레일(32)이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키보드받침판(30)을 앞으로 인출하게 되면, 이 키보드받침판(30)의 앞단이 책상(10)의 상판(12)에 점점 가까워지다가 결국에는 밀착하여 상판(12)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키보드받침판(30)의 앞단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된 연질손목받침대(34)는 키보드(14) 조작시 움직이는 손목을 완충작용에 의해 보호하게 된다.
또한, 지지판(22)(24)의 저면에 설치된 미끄럼방지패드(50)(52)는 연장판(20)이 책상(10) 위에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첨부도면 도7에 도시된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서는 지지판(22)(24)과 측판(29) 사이에 서랍(40)(42)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손잡이(40a)(42a)를 잡고 서랍(40)(42)을 앞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서랍(40)(42)이 앞으로 열리고, 그 안에 각종 물건을 넣어서 보관한 다음 다시 밀어서 안쪽의 공간으로 수납할 수 있게 된다.
첨부도면 도8에 도시된 본 고안의 제 4실시예에서는 연장판(20) 위에 책꽂이(27)가 설치된 것으로, 필요에 따라 연장판(20)에 형성된 삽입구멍(25a)(25b)에 책꽂이(27)를 꼽아서 세운 다음 책(80)이나 파일등을 세워 놓을 수 있으므로 별도로 다른 책꽂이를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된다.
첨부도면 도9a 및 도9b에 도시된 본 고안의 제 5실시예에서는 키보드받침판(30)의 밑에 마찰패드(60a)(60b)와 윤활패드(62a)(62b)를 설치한 것으로, 키보드받침판(30)을 앞으로 당겨서 키보드수납공간(S)으로부터 빼내거나 밀어서 수납할 때 키보드받침판(30)의 앞부분을 위로 약간 들게 되면, 마찰패드(60a)(60b)는 상판(12)으로부터 떨어지고 미끄러운 윤활패드(62a)(62b)만이 상판(12)에 접촉하기 때문에 키보드받침판(30)의 움직임이 보다 부드럽게 되며, 움직인 후 키보드받침판(30)를 놓게 되면, 앞에 설치된 마찰패드(60a)(60b)가 상판(12)에 마찰접촉하여 키보드받침판(30)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연장판에 의해 책상의 전후방향 폭을 연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책상 위의 사무공간을 크게 넓힐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키보드를 키보드수납공간으로 넣을 때 지지판 사이를 가로지르는 후판에 의해 키보드의 진입깊이를 제한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키보드가 더 이상 깊게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지지판과 후판 사이에 형성된 선인출구에 의해 키보드선이나 마우스선, 스피커선 등의 자유로운 통과가 가능하며, 경사지게 설치되는 레일에 의해 키보드받침판을 앞으로 빼내면 그 앞단이 상판에 밀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키보드받침판의 지지력이 향상되어 키보드 조작을 보다 안정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연장판을 지지하는 지지판의 저면에 미끄럼방지패드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사용 중 책상으로부터 연장판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좌우양측에 구비된 서랍에 각종 물건을 넣어둘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연장판과 책상 사이 형성된 공간의 활용율이 증대하고, 연장판에 책꽂이를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연장판 위의 좌우측 공간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책상 위를 미끄러지면서 키보드수납공간을 출입하도록 구성된 분리형 키보드받침판의 경우 저면 앞부분에는 마찰패드가 저면 뒷부분에는 윤활패드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키보드받침판의 슬라이딩이 보다 부드럽고 편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책상(10) 상판(12)의 후단부(12a)보다 더 뒤쪽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는 연장판(20)과;
    상기 상판(12) 위에서 연장판(20)을 지지하고, 그 연장판(20)의 전후폭(W)보다 더 짧은 길이(L)를 갖으며, 연장판(20)의 저면 중앙에서 좌우방향으로 소정간격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그 사이에 키보드수납공간(S)을 형성하는 복수의 지지판(22)(24)과;
    상기 지지판(22)(24)과의 사이에 선인출구(26)를 남기고 그 지지판(22)(24)사이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키보드(14)의 진입깊이를 제한하는 후판(28)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연장판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22)(24) 사이의 키보드수납공간(S)을 출입하는 키보드받침판(30)이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연장판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받침판(30)은 지지판(22)(24)의 내측면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레일(32)에 의해 책상(10) 앞을 향해 소정각도 하향하면서 안내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연장판 구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받침판(30)은 책상(10) 위를 직접 미끄러지도록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연장판 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받침판(30)은 그 저면(30a) 앞부분에 책상(10)의 상판(12)과 마찰 접촉하는 마찰패드(60a)(60b)가 설치되고, 그 저면(30a) 뒷부분에는 책상(10)의 상판(12)과 미끄럼 접촉하는 윤활패드(62a)(62b)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연장판 구조.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받침판(30)의 앞부분에 연질손목받침대(34)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연장판 구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판(20)의 좌우측 끝에 측판(29)을 설치하고, 그 측판(29)과 상기 지지판(22)(24)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그 공간에 서랍(40)(42)을 추가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연장판 구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22)(24)의 저면에 책상(10)의 상판(12)과 마찰접촉하는 미끄럼방지패드(50)(52)를 추가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연장판 구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판(20)의 상면에 삽입구멍(25a)(25b)을 추가로 형성하고, 그 삽입구멍(25a)(25b)에 역(逆)"U"자 모양의 책꽂이(27)를 끼운 것을특징으로 하는 책상 연장판 구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판(20)은 지지판(22)(24)을 통해 책상(10)의 상판(12)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연장판 구조.
KR20-2004-0000073U 2004-01-02 2004-01-02 책상 연장판 구조 KR2003458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0073U KR200345837Y1 (ko) 2004-01-02 2004-01-02 책상 연장판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0073U KR200345837Y1 (ko) 2004-01-02 2004-01-02 책상 연장판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5837Y1 true KR200345837Y1 (ko) 2004-03-25

Family

ID=49427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0073U KR200345837Y1 (ko) 2004-01-02 2004-01-02 책상 연장판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583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05327B1 (en) Combination foot member
US6932304B1 (en) Wrist support device
US20090102333A1 (en) Antislip drawer-chucking structure
US6799816B2 (en) Ergonomic bi-level workstation
KR200345837Y1 (ko) 책상 연장판 구조
US11341942B2 (en) Desk for music expert
US5947035A (en) Device for connecting an auxiliary desk to a main desk
KR101721010B1 (ko) 부착식 테이블
CA2653900A1 (en) Writing desk having arm support board connected with drawer
US6398177B1 (en) Bracket structure of computer desk
KR200411326Y1 (ko) 가변 책상판을 가진 책상장
KR200454550Y1 (ko) 책상
KR200399065Y1 (ko) 슬라이딩 선반
KR200442950Y1 (ko) 책상
JP4304344B2 (ja) 物品収納具および物品収納家具
JP2002328747A (ja) ノート型コンピュータの載置台
KR102598222B1 (ko) 회전 및 전후좌우 이동이 가능한 상판을 구비한 책상
JP2018067079A (ja) ディスプレイ台
JP4525279B2 (ja) 机上棚
KR102347893B1 (ko) 서랍용 가방 거치대 및 이를 구비한 이동식 서랍
KR200355569Y1 (ko) 낙하방지턱을 갖는 책상
USD494598S1 (en) Slidable mouse tray for a personal computer keyboard support tray
RU30508U1 (ru) Опора для клавиатуры компьютера
JP7326034B2 (ja) 天板付き什器
KR200349680Y1 (ko) 다용도 조합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2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