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8222B1 - 회전 및 전후좌우 이동이 가능한 상판을 구비한 책상 - Google Patents

회전 및 전후좌우 이동이 가능한 상판을 구비한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8222B1
KR102598222B1 KR1020210155368A KR20210155368A KR102598222B1 KR 102598222 B1 KR102598222 B1 KR 102598222B1 KR 1020210155368 A KR1020210155368 A KR 1020210155368A KR 20210155368 A KR20210155368 A KR 20210155368A KR 102598222 B1 KR102598222 B1 KR 102598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esk
flange
unit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5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69389A (ko
Inventor
서동민
Original Assignee
서동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동민 filed Critical 서동민
Priority to KR1020210155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8222B1/ko
Publication of KR20230069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93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8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82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47B83/04Tables combined with other pieces of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1Movable, extending, sliding table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1/00School desks or tables
    • A47B41/02Adjustable, inclinable, sliding or foldable desks top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판을 쉽고 자유롭게 회전 및 전후좌후로 이동시킬 수 있어 사용공간이나 사용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맞게 다양하게 배치를 바꿔 활용할 수 있는 회전 및 전후좌우 이동이 가능한 상판을 구비한 책상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본 발명은 한 쌍의 측판과 후판이 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측판 사이에 상부판, 중간판, 하부판이 구비되어 선반을 이루며, 상기 상부판의 폭방향 양단에는 한 쌍의 고정레일이 결합된 책상본체; 및 상기 상부판에 결합유닛에 의해 회전 및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책상상판;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유닛은, 상부플랜지, 하부플랜지, 베이스판, 및 상기 베이스판의 하부에 결합되는 베이스보강판이 일체로 결합된 플랜지유닛과, 상기 상부플랜지가 삽입되는 상부회전블록, 및 상기 하부플랜지가 삽입되는 하부회전블록이 일체로 결합된 회전블록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책상상판의 하부에는 상기 회전블록유닛의 측면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될 수 있는 상판레일이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보강판의 하부에는 상기 고정레일 중 하나를 지지 및 가이드하기 위한 고정레일가이드가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홈 및 고정레일가이드에는 상기 고정레일이 각각 삽입됨으로써 상기 플랜지유닛이 상기 상부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및 전후좌우 이동이 가능한 상판을 구비한 책상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회전 및 전후좌우 이동이 가능한 상판을 구비한 책상{A DESK EQUIPPED WITH A TOP PLATE CAPABLE OF SLIDING AND ROTATING FRONT, REAR, LEFT, AND RIGHT}
본 발명은 책상본체 상에서 책상 상판만을 자유롭게 회전시키거나 전후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어 사용공간이나 사용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맞게 다양하게 레이아웃을 바꿔 활용할 수 있는 회전 및 전후좌우 이동이 가능한 상판을 구비한 책상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책상은 고정된 형태의 상판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용도나 사용공간은 물론 설치방향 등에 제약이 있어 다양하게 활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종래 선행기술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94806호(2005.09.07. 공고)에는 책상의 상판만을 절첩시키거나 회전시켜 책상의 상판형태를 가변시키도록 하고, 상기 상판의 길이를 필요에 따라 가변시키도록 함으로써 책상의 활용도를 높인 가변식 책상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080659호(2006.07.11. 공개)에는 책상의 일측으로부터 360도 회전 가능한 보조테이블을 설치함과 동시에 그 하부에는 보조테이블의 회전방향에 따라 보조테이블의 전후 방향으로 키보드 서랍을 여닫을 수 있도록 형성된 보조테이블이 구비된 책상이 개시되어 있으며, 한국공개특허 제10-2021-0028529호(2021.03.12. 공개)에는 수납장을 선택적으로 승하강시킴으로써 책상 위의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킨 기능성 책상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1인 가구가 꾸준히 늘어나고 있고 원룸 등의 협소한 주거 환경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는데, 이러한 경우 주거지 내에 별도의 여유 공간이 없어 침대에서 휴식은 물론 독서나 공부, 취식, 컴퓨터 사용 등을 하는 경향이 있다.
이에 따라 침대 주변에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책상(침대 테이블)의 수요가 증대하고 있는데, 종래의 제품들은 철제프레임의 고정된 형태로 제작되어 공간 활용도가 떨어지고 개인의 라이프스타일에 맞게 배치를 바꿔 활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94806호(2005.09.07.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80659호(2006.07.11.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1-0028529호(2021.03.12.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 공간이나 사용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맞춰 다양하게 배치를 바꿔 활용할 수 있으며, 특히 침대의 주변에 배치하여 상판의 위치나 방향을 바꿈으로써 침대에서의 휴식이나 취식, 독서나 공부, 컴퓨터 사용 등 사용자의 필요 및 행동에 맞게 편리하고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책상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한 쌍의 측판과 후판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내부의 공간에 책이나 물품의 수납이 가능한 선반을 형성하도록 상기 측판 사이에 상부판, 중간판, 하부판이 상하로 서로 이격되어 차례로 구비되며, 상기 상부판의 폭방향 양단에는 길이방향 단면이 ‘ㄷ’자 형태로 절곡된 한 쌍의 금속제 고정레일이 결합된 책상본체; 및 상기 상부판에 결합유닛에 의해 회전 및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책상상판;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유닛은, 플랜지유닛과 상기 플랜지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블록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유닛은, 원판 형상의 상부플랜지, 상기 상부플랜지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원판 형상의 하부플랜지, 일단이 하부로 ‘ㄷ’자 형태로 절곡되어 가이드홈을 형성한 금속제 베이스판, 및 상기 베이스판의 하부에 결합되는 베이스보강판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일체로 고정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블록유닛은, 상기 상부플랜지가 삽입되는 원형의 결합공이 중앙에 형성된 판상의 상부회전블록, 및 상기 하부플랜지가 삽입되는 원형의 결합공이 중앙에 형성된 판상의 하부회전블록이 적층하여 일체로 고정 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책상상판의 하부에는 상기 회전블록유닛의 측면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될 수 있는 한 쌍의 상판레일이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하여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보강판의 하부에는 상기 고정레일 중 하나를 지지 및 가이드하기 위한 고정레일가이드가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홈 및 고정레일가이드에는 상기 고정레일이 각각 삽입됨으로써 상기 플랜지유닛이 상기 상부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및 전후좌우 이동이 가능한 상판을 구비한 책상을 제공한다.
상기 베이스판 및 베이스보강판에는 각각 상하로 관통된 노브삽입공이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노브삽입공에는 상기 회전블록유닛의 회전을 방지하여 고정할 수 있는 회전방지노브가 상기 베이스보강판의 하부로부터 삽입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블록유닛이 상기 상판레일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될 때 정교한 직선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블록유닛과 상판레일 사이의 갭을 미세하게 조절하기 위한 제1 갭조절볼트가 상기 상부회전블록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랜지유닛이 상기 상부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될 때 정교한 직선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레일과 가이드홈 및 고정레일가이드 사이의 갭을 미세하게 조절하기 위한 제2 갭조절볼트가 각각 상기 가이드홈 및 고정레일가이드를 관통하여 하부로부터 상기 상부판 쪽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책상상판의 하부 일측에는 상기 회전블록유닛이 슬라이딩 될 때 상기 상판레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톱퍼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상기 책상상판을 지지하기 위한 상판다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블록유닛이 상기 상판레일에서 슬라이딩 될 때 상기 상판레일과 회전블록유닛 간의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회전블록유닛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상기 회전블록유닛 상면에 구비되는 제1 마찰저감부재 및 상기 상판레일에 접하는 상기 회전블록유닛의 측면에 구비되는 제2 마찰저감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블록유닛이 회전할 때 상기 하부회전블록과 베이스판의 간의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한 제3 마찰저감부재가 상기 하부회전블록의 저면과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랜지유닛이 상기 상부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될 때 상기 고정레일과 가이드홈 및 고정레일가이드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한 제4 마찰저감부재가 상기 가이드홈 및 고정레일가이드에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보강판 저면과 상기 고정레일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한 제5 마찰저감부재가 상기 플랜지유닛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상기 베이스보강판 저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블록유닛이 회전 될 때 상기 상부플랜지와 상부회전블록의 결합공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한 제6 마찰저감부재가 상기 상부플랜지의 외주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책상본체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측은 상기 하부판의 하부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책상본체의 후면으로 돌출하여 연장된 형태로 구비되는 전도방지다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책상은 쉽고 자유롭게 상판을 회전시키거나 책상본체의 전후좌후로 이동시킬 수 있어 사용공간이나 사용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맞게 다양하게 레이아웃을 바꿔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침대의 주변에 배치하여 상판의 위치나 방향을 바꿈으로써 침대에서의 휴식이나 취식, 독서나 공부, 컴퓨터 사용 등 사용자의 필요나 행동 특성에 맞춰 편리하고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부분 측단면도,
도 4는 도 3의 ‘A’부 확대도,
도 5는 도 3의 ‘B’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플랜지 및 하부플랜지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판의 저면 및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보강판의 저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회전블록의 저면도 및 하부회전블록의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레일가이드의 평면 및 측면도,
도 11은 전도방지다리의 결합형태를 예시한 책상의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상판 위치나 방향이 변경된 형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사시도 및 분리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책상(100)은 책상본체(1)와 이에 결합되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대략 사각 형태의 책상상판(2)으로 이루어진다. 책상본체(1) 및 책상상판(2)은 원목이나 중질섬유판(MDF) 등의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책상본체(1)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일정 간격 이격된 한 쌍의 측판(10)과 후판(12)이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내부 공간에는 책이나 물품의 수납이 가능한 선반을 형성하도록, 한 쌍의 측판(10) 사이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상부판(14), 중간판(15) 및 하부판(16)이 상하로 서로 이격되어 위에서 아래로 차례로 결합된다. 상부판(14)과 중간판(15) 사이, 중간판(15)과 하부판(16) 사이에는 각각 선반을 구획 및 지지하는 선반칸막이(18)가 결합될 수 있다.
상부판(14)의 폭방향 양단에는 길이방향 단면이 대략 ‘ㄷ’자 형태로 절곡된 한 쌍의 금속제 고정레일(141)이 각각 결합 고정된다. 즉 고정레일(141)의 ‘ㄷ’자 형태 홈에 상부판(14)의 폭방향 양단이 각각 삽입되어 고정된다. 고정레일(141)과 상부판(14)은 공지의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 고정될 수 있는데, 나사 등의 체결수단이 이용될 수도 있으며 접합이나 억지끼움 등의 방법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책상상판(2)은 결합유닛(3)을 매개로 책상본체(1)의 상부판(14)에 결합된다. 결합유닛(3)에 의해 책상상판(2)은 책상본체(1) 상에서 회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책상본체(2)의 전후좌우로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결합유닛(3)은 플랜지유닛(30)과 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블록유닛(34)으로 이루어진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플랜지(301) 및 하부플랜지(302)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판(303)의 저면 및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보강판(304)의 저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회전블록(342)의 저면도 및 하부회전블록(344)의 평면도이다.
플랜지유닛(30)은 원판 형상의 상부플랜지(301)와 상부플랜지(301)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원판 형상의 하부플랜지(302), 대략 사각판 형태이며 일단이 하부로 ‘ㄷ’자 형태로 절곡되어 가이드홈(3031)을 형성한 금속제 베이스판(303) 및 베이스판(303)의 하부에 결합되는 베이스보강판(304)이 위에서 아래로 차례대로 적층되어 일체로 고정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상부플랜지(301), 하부플랜지(302), 베이스판(303) 및 베이스보강판(304)에는 각각 일체로 고정 결합하기 위한 복수의 플랜지유닛체결홀(3012, 3022, 3034, 3044)이 형성되며 나사나 볼트 및 너트 등의 공지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부플랜지(301), 하부플랜지(302) 및 베이스보강판(304)은 원목이나 중질섬유판(MDF) 등의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베이스보강판(304)은 베이스판(303)과 대략 같은 크기로 형성되며, 일단은 베이스판(303)의 가이드홈(3031)에 내측에 삽입된다. 가이드홈(3031)의 절곡된 단부 턱에는, 후술할 제2 갭조절볼트(38)가 결합될 때 암나사(너트) 역할을 하는 복수의 제2 갭조절탭홀(3036)이 탭 작업을 통해 관통하여 형성된다.
회전블록유닛(34)은 상부플랜지(301)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원형의 결합공(3421)이 중앙에 형성된 판상의 상부회전블록(342)과, 하부플랜지(302)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원형의 결합공(3441)이 중앙에 형성된 판상의 하부회전블록(344)이 상하로 적층하여 일체로 고정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상부회전블록(342)과 하부회전블록(344)에는 일체로 고정 결합하기 위한 복수의 블록결합홀(3423, 3443)이 형성되며 나사나 볼트 및 너트 등의 공지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부회전블록(342)과 하부회전블록(344)은 각각 원목이나 중질섬유판(MDF) 등의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상부회전블록(342)의 결합공(3421)과 하부회전블록(344)의 결합공(3441)의 직경은 각각 상부플랜지(301) 및 하부플랜지(302)의 직경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상부플랜지(301)의 직경은 하부회전블록(344)의 결합공(3441)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므로, 플랜지유닛(30)과 회전블록유닛(34)이 결합하여 결합유닛(3)을 이룰 경우, 회전블록유닛(34)은 플랜지유닛(30)의 상측으로 이탈되지 않는 구조를 갖게 된다.
책상상판(2)의 하부에는 회전블록유닛(34)의 측면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될 수 있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상판레일(21)이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하여 구비된다. 상판레일(21)은 길이방향 단면이 대략 ‘ㄷ’자 형태를 이루며, 나사 등의 공지의 체결수단으로 책상상판(2)의 하부에 결합 고정된다.
또한, 책상상판(2)의 길이방향 일측 하부에는 회전블록유닛(34)이 슬라이딩 될 때 상판레일(2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톱퍼(22)가 구비된다. 책상상판(2)의 길이방향 타측 하부에는 책상상판(2)의 회전이나 전후좌우 이동 시에 책상상판(2)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상판다리(23)가 결합하여 구비된다. 상판다리(23)가 지면과 닿는 부분에는 회전이나 이동의 편리를 위해 바퀴(233)가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상판다리(23)의 형태는 도면에 예시된 형태로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형 형태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베이스보강판(304)의 하부에는 한 쌍의 고정레일(141) 중 어느 하나를 지지 및 가이드하기 위한 고정레일가이드(310)가 결합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레일가이드(310)의 일 형태를 예시한다. 도 10의 예시와 같이 고정레일가이드(310)는 평평한 금속판의 일측에는 베이스보강판(304)의 하부에 체결하기 위한 고정홀(3102)을 형성하며, 타측은 하부로 절곡한 후 절곡된 부위의 단부를 다시 반대방향으로 절곡하여 턱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고정레일지지부(3104)를 형성한다. 고정레일지지부(3104)의 절곡된 단부 턱에는, 후술할 제2 갭조절볼트(38)가 결합될 때 암나사(너트) 역할을 하는 복수의 제2 갭조절탭홀(3106)이 탭 작업을 통해 관통하여 형성된다.
베이스판(303)의 가이드홈(3031) 및 고정레일가이드(310)에는 고정레일(141)이 각각 삽입된다. 가이드홈(3031)의 ‘ㄷ’자 구조 및 고정레일가이드(310)의 고정레일지지부(3104) 구조에 의해 플랜지유닛(30)이 상부판(14)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될 때 고정레일(141)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100)의 부분 측단면도, 도 4는 도 3의 ‘A’부 확대도, 도 5는 도 3의 ‘B’부 확대도이다.
베이스판(303) 및 베이스보강판(304)에는 각각 상하로 관통된 노브삽입공(3032, 3042)이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다. 노브삽입공(3032, 3042)에는 회전블록유닛(34)의 회전을 방지하여 고정할 수 있는 회전방지노브(32)가 베이스보강판(304)의 하부로부터 삽입 결합된다. 사용자는 책상상판(2)을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회전방지노브(32)를 조여 회전블록유닛(34)이 더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함으로써 책상상판(2)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책상상판(2)을 다시 회전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역으로 회전방지노브(32)를 풀어 회전블록유닛(34)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회전블록유닛(34)이 상판레일(21)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될 때 정교한 직선운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회전블록유닛(34)과 상판레일(21) 사이의 갭을 미세하게 조절하기 위한 제1 갭조절볼트(36)가 상부회전블록(342)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부회전블록(342)의 하부 모서리 부분에는 각각 제1 갭조절볼트(36)가 결합될 수 있는 제1 갭조절탭홀(3422)이 형성된다(도 9 참조).
또한, 플랜지유닛(30)이 상부판(14)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될 때 정교한 직선운동이 가능하도록 고정레일(141)과 가이드홈(3031) 및 고정레일가이드(310) 사이의 갭을 미세하게 조절하기 위한 제2 갭조절볼트(38)가 각각 가이드홈(3031) 및 고정레일가이드(310)에 형성된 제2 갭조절탭홀(3036, 3106)을 통하여 하부로부터 상부판(14) 쪽으로 결합될 수 있다.
회전블록유닛(34)이 상판레일(21)에서 슬라이딩 될 때 상판레일(21)과 회전블록유닛(34) 간의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한 제1 마찰저감부재(40) 및 제2 마찰저감부재(45)가 각각 회전블록유닛(34)의 상면 및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마찰저감부재(40)는, 도 2의 예시와 같이, 얇은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회전블록유닛(34)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회전블록유닛(34) 상면에 한 쌍이 고정될 수 있다. 다만, 그 형태가 도면의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마찰저감부재(45)는 상판레일(21)에 접하는 회전블록유닛(34)의 측면에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마찰저감부재(45)는 회전블록유닛(34)의 측단과 하부에 접하도록 대략 90도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그 형태가 도면의 예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에서 ‘마찰저감부재’라는 용어로 표현되는 구성은 접촉 시 마찰력을 낮추기 위한 고체윤활 기능을 갖는 합성수지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테프론이나 폴리옥시메틸렌(POM) 등 내충격성이 강하고 마찰계수가 낮은 여러 종류의 합성수지가 포함될 수 있다.
회전블록유닛(34)이 회전할 때 하부회전블록(344)과 베이스판(303) 간의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한 제3 마찰저감부재(50)가 하부회전블록(344)의 저면과 베이스판(303)의 상면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제3 마찰저감부재(50)는 도 2에서 하부플랜지(302)와 간섭되지 않으면서 하부회전블록(344)의 저면 하부 모서리 부분을 커버할 수 있도록 대략 삼각 형태를 이루는 4개로 예시되었으나 그 형태 및 개수가 도면의 예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플랜지유닛(30)이 상부판(14)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될 때 고정레일(141)과 가이드홈(3031) 및 고정레일가이드(310)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한 복수의 제4 마찰저감부재(55)가 가이드홈(3031) 및 고정레일가이드(310)에 구비될 수 있다. 제4 마찰저감부재(55)는 고정레일(141)의 측면 및 하부와 접하도록 대략 90도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그 형태가 도면의 예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2 갭조절볼트(38)가 각각 가이드홈(3031) 및 고정레일가이드(310)를 관통하여 하부로부터 상부판(14) 쪽으로 결합될 때, 제4 마찰저감부재(55)가 상부판(14)과 제2 갭조절볼트(38) 사이에 개재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합성수지 재질의 제4 마찰저감부재(55)가 완충 작용을 할 수 있으므로 고정레일(141)과 가이드홈(3031) 및 고정레일가이드(310) 사이의 갭을 부드럽고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베이스보강판(304) 저면과 고정레일(141)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해 제5 마찰저감부재(60)가 베이스보강판(304)의 저면에 구비될 수 있다. 도면의 예시와 같이, 제5 마찰저감부재(60)는 얇은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플랜지유닛(30)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베이스보강판(304) 저면에 고정될 수 있다. 다만, 그 형태가 도면의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회전블록유닛(34)이 회전할 때 상부플랜지(301)와 상부회전블록(342)의 결합공(3421)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한 제6 마찰저감부재(65)가 상부플랜지(301)의 외주면에 구비될 수 있다. 도 2 및 도 6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부플랜지(301)의 외주면에 내측으로 절취한 제6 마찰저감부재결합홈(3014)를 형성하고, 제6 마찰저감부재결합홈(3014)에 대응하도록 원형의 띠 형태로 이루어진 제6 마찰저감부재(65)의 일부를 중심방향으로 절곡하여 상부플랜지(301)와 제6 마찰저감부재(65)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회전블록유닛(34)이 회전할 때 플랜지유닛(30)과의 마찰을 감소시켜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도 4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부플랜지(301)와 하부회전블록(344)의 접촉면에는 제7 마찰저감부재(7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책상상판(2)이 회전이나 슬라이딩하여 책상본체(1)의 외측으로 돌출될 때, 책상(100)이 무게중심을 잃고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책상본체(1)에는 전도방지다리(17)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1은 전도방지다리(17)의 결합형태를 예시한 책상(100)의 측면도이다. 예시와 같이, 전도방지다리(17)는 일측은 하부판(16)의 하부에 결합되고 타측은 책상본체(1)의 후면으로 돌출하여 길게 연장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는데. 그 형태나 결합위치가 도면의 예시에 한정되는 것으로 아니다.
한편, 책상본체(1)가 침대와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경우(예를 들어, 책상본체(1)의 후면이 침대의 측면에 접하도록 배치할 경우), 전도방지다리(17)는 침대의 하부로 삽입될 수 있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별도의 공간을 차지하거나 사용자 불편을 야기하지 않게 된다.
베이스판(303)의 가이드홈(3031) 부위 상면에는 처짐방지블록(90)이 구비될 수 있다(도 3 참조). 처짐방지블록(90)은 책상상판(2)이 책상본체(1)의 후면으로 돌출되었을 때 아래쪽으로 지나치게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처짐방지블록(90)은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재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2는 책상의 상판 위치나 방향을 다양하게 변경한 형태((a), (b), (c), (d))를 예시하고 있다. 예시와 같이,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공간이나 라이프스타일, 필요 등에 맞게 책상상판의 위치나 방향을 바꿔 편리하고 다양하게 본 발명에 따른 책상을 활용할 수 있다.
이상,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으며,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 책상본체
10: 측판 12: 후판
14: 상부판 141: 고정레일
15: 중간판 16: 하부판
17: 전도방지다리
2: 책상상판
21: 상판레일 22: 스톱퍼
23: 상판다리
3: 결합유닛
30: 플랜지유닛
301: 상부플랜지 302: 하부플랜지
303: 베이스판 3031: 가이드홈
304: 베이스보강판 3031, 3041: 노브삽입공
310: 고정레일가이드
32: 회전방지노브 34: 회전블록유닛
342: 상부회전블록 344: 하부회전블록
3421, 3441결합공
36: 제1 갭조절볼트 38: 제2 갭조절볼트
40: 제1 마찰저감부재 45: 제2 마찰저감부재
50: 제3 마찰저감부재 55: 제4 마찰저감부재
60: 제5 마찰저감부재 65: 제6 마찰저감부재
70: 제7 마찰저감부재 90: 처짐방지블록
100: 책상

Claims (10)

  1. 한 쌍의 측판과 후판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내부의 공간에 책이나 물품의 수납이 가능한 선반을 형성하도록 상기 측판 사이에 상부판, 중간판, 하부판이 상하로 서로 이격되어 차례로 구비되며, 상기 상부판의 폭방향 양단에는 길이방향 단면이 ‘ㄷ’자 형태로 절곡된 한 쌍의 금속제 고정레일이 결합된 책상본체; 및
    상기 상부판에 결합유닛에 의해 회전 및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책상상판;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유닛은, 플랜지유닛과 상기 플랜지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블록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유닛은, 원판 형상의 상부플랜지, 상기 상부플랜지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원판 형상의 하부플랜지, 일단이 하부로 ‘ㄷ’자 형태로 절곡되어 가이드홈을 형성한 금속제 베이스판, 및 상기 베이스판의 하부에 결합되는 베이스보강판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일체로 고정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블록유닛은, 상기 상부플랜지가 삽입되는 원형의 결합공이 중앙에 형성된 판상의 상부회전블록, 및 상기 하부플랜지가 삽입되는 원형의 결합공이 중앙에 형성된 판상의 하부회전블록이 적층하여 일체로 고정 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책상상판의 하부에는 상기 회전블록유닛의 측면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될 수 있는 한 쌍의 상판레일이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하여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보강판의 하부에는 상기 고정레일 중 하나를 지지 및 가이드하기 위한 고정레일가이드가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홈 및 고정레일가이드에는 상기 고정레일이 각각 삽입됨으로써 상기 플랜지유닛이 상기 상부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및 전후좌우 이동이 가능한 상판을 구비한 책상.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 및 베이스보강판에는 각각 상하로 관통된 노브삽입공이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노브삽입공에는 상기 회전블록유닛의 회전을 방지하여 고정할 수 있는 회전방지노브가 상기 베이스보강판의 하부로부터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및 전후좌우 이동이 가능한 상판을 구비한 책상.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블록유닛이 상기 상판레일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될 때 정교한 직선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블록유닛과 상판레일 사이의 갭을 미세하게 조절하기 위한 제1 갭조절볼트가 상기 상부회전블록의 하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및 전후좌우 이동이 가능한 상판을 구비한 책상.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유닛이 상기 상부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될 때 정교한 직선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레일과 가이드홈 및 고정레일가이드 사이의 갭을 미세하게 조절하기 위한 제2 갭조절볼트가 각각 상기 가이드홈 및 고정레일가이드를 관통하여 하부로부터 상기 상부판 쪽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및 전후좌우 이동이 가능한 상판을 구비한 책상.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책상상판의 하부 일측에는 상기 회전블록유닛이 슬라이딩 될 때 상기 상판레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톱퍼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상기 책상상판을 지지하기 위한 상판다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및 전후좌우 이동이 가능한 상판을 구비한 책상.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블록유닛이 상기 상판레일에서 슬라이딩 될 때 상기 상판레일과 회전블록유닛 간의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회전블록유닛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상기 회전블록유닛 상면에 구비되는 제1 마찰저감부재 및 상기 상판레일에 접하는 상기 회전블록유닛의 측면에 구비되는 제2 마찰저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및 전후좌우 이동이 가능한 상판을 구비한 책상.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블록유닛이 회전할 때 상기 하부회전블록과 베이스판의 간의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한 제3 마찰저감부재가 상기 하부회전블록의 저면과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및 전후좌우 이동이 가능한 상판을 구비한 책상.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유닛이 상기 상부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될 때 상기 고정레일과 가이드홈 및 고정레일가이드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한 제4 마찰저감부재가 상기 가이드홈 및 고정레일가이드에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보강판 저면과 상기 고정레일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한 제5 마찰저감부재가 상기 플랜지유닛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상기 베이스보강판 저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및 전후좌우 이동이 가능한 상판을 구비한 책상.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블록유닛이 회전 될 때 상기 상부플랜지와 상부회전블록의 결합공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한 제6 마찰저감부재가 상기 상부플랜지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및 전후좌우 이동이 가능한 상판을 구비한 책상.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책상본체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일측은 상기 하부판의 하부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책상본체의 후면으로 돌출하여 연장된 형태로 구비되는 전도방지다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및 전후좌우 이동이 가능한 상판을 구비한 책상.
KR1020210155368A 2021-11-12 2021-11-12 회전 및 전후좌우 이동이 가능한 상판을 구비한 책상 KR102598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5368A KR102598222B1 (ko) 2021-11-12 2021-11-12 회전 및 전후좌우 이동이 가능한 상판을 구비한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5368A KR102598222B1 (ko) 2021-11-12 2021-11-12 회전 및 전후좌우 이동이 가능한 상판을 구비한 책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9389A KR20230069389A (ko) 2023-05-19
KR102598222B1 true KR102598222B1 (ko) 2023-11-02

Family

ID=86546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5368A KR102598222B1 (ko) 2021-11-12 2021-11-12 회전 및 전후좌우 이동이 가능한 상판을 구비한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822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8751Y1 (ko) 2001-07-12 2001-11-17 (주)유아이시스템퍼니처 보조 테이블이 결합된 책상
US20120298017A1 (en) 2011-05-25 2012-11-29 Yuchen Chen Desk assembly
KR200491235Y1 (ko) 2019-09-03 2020-03-06 조정미 가변형 보조테이블이 구비된 가구
CN210383099U (zh) 2019-07-09 2020-04-24 山东宜和宜美家居科技有限公司 一种可旋转平移的桌面结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0659A (ko) 2005-01-06 2006-07-11 안상균 보조테이블이 구비된 책상
KR200394806Y1 (ko) 2005-05-31 2005-09-07 박희수 가변식 책상
KR200492097Y1 (ko) * 2018-10-11 2020-08-05 조정미 가변형 보조테이블이 구비된 가구
KR102282241B1 (ko) 2019-09-04 2021-07-27 이동근 기능성 책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8751Y1 (ko) 2001-07-12 2001-11-17 (주)유아이시스템퍼니처 보조 테이블이 결합된 책상
US20120298017A1 (en) 2011-05-25 2012-11-29 Yuchen Chen Desk assembly
CN210383099U (zh) 2019-07-09 2020-04-24 山东宜和宜美家居科技有限公司 一种可旋转平移的桌面结构
KR200491235Y1 (ko) 2019-09-03 2020-03-06 조정미 가변형 보조테이블이 구비된 가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9389A (ko) 2023-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78707B1 (en) Knock-down bookshelf
US7418747B1 (en) Furniture
WO2005112696A3 (en) Spice rack
US10165858B1 (en) Multi-rail concealed slide rail structure
KR102598222B1 (ko) 회전 및 전후좌우 이동이 가능한 상판을 구비한 책상
US8251466B2 (en) Cabinet drawer and stationary drawer glide
US20200178684A1 (en) Adjustable Desk
AU716512B2 (en) Combined table and chair assembly
US11341942B2 (en) Desk for music expert
US7914092B2 (en) Dresser
US6230632B1 (en) Selectively variable modular space system with shelving and enclosures
KR100882948B1 (ko) 책쓰러짐 방지용 책장
JP2001070051A (ja) 家具用伸縮板体及びそれを用いた家具
TWI740796B (zh) 伸縮滑軌支撐滑輪結構
US6694895B2 (en) Tray for supporting a computer keyboard and mouse on substantially a common horizontal plane
GB2449479A (en) Collapsible shelving unit
US7568774B1 (en) Keyboard drawer with self-retracting mouse platform
US20140083958A1 (en) Shelf with integrated book/object holder
KR200411326Y1 (ko) 가변 책상판을 가진 책상장
KR20100004036U (ko) 콤비네이션 가구세트
KR102240234B1 (ko) 이중독서대
CN201070132Y (zh) 一种多功能书桌
KR200464697Y1 (ko) 가변식 책상
KR200380813Y1 (ko) 다용도 수납장
KR200349680Y1 (ko) 다용도 조합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