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3496Y1 - 셋탑 박스를 이용한 긴급 상황 통지 장치 - Google Patents

셋탑 박스를 이용한 긴급 상황 통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3496Y1
KR200343496Y1 KR20-2003-0039031U KR20030039031U KR200343496Y1 KR 200343496 Y1 KR200343496 Y1 KR 200343496Y1 KR 20030039031 U KR20030039031 U KR 20030039031U KR 200343496 Y1 KR200343496 Y1 KR 2003434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signal
unit
top box
not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90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길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Priority to KR20-2003-00390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34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34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3496Y1/ko
Priority to PCT/KR2004/003300 priority patent/WO2005057915A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2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messages, e.g. warnings, remind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2Manually actuated calamity alarm transmitting arrangements emergency non-personal manually actuated alarm, activators, e.g. details of alarm push buttons mounted on an infra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4Transmission by server directed to the client
    • H04N21/6543Transmission by server directed to the client for forcing some client operations, e.g.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 H04N21/814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comprising emergency warn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4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graphical data, e.g. 3D object, 2D graph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셋탑 박스를 이용한 긴급 상황 통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미리 설정된 단축 버튼의 조작에 상응하여 긴급상황 발생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긴급상황 발생신호 생성장치; 긴급상황 발생신호 생성장치에 결합되어 있으며, 긴급상황 발생신호의 수신에 상응하여, 셋탑박스 식별자를 포함하는 긴급상황 통지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셋탑 박스부; 셋탑 박스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셋탑박스 식별자에 상응하는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구조 요청신호를 생성하여, 긴급 헤드엔드부에 결합한 구조 센터부로 송신하기 위한 긴급 헤드엔드부; 및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긴급상황 통지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셋탑 박스를 이용한 긴급 상황 통지 장치{Apparatus for notifying an emergency with a set-top box}
본 고안은 셋탑 박스를 이용한 긴급상황 통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셋탑 박스에 결합된 긴급상황 발생신호 생성장치를 이용하여 구조센터에 구조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긴급상황 통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긴급 구조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긴급 상황이 발생하면 사용자는 휴대폰(100)을 이용하여, 경찰서(110)와 같은 구조센터에 통화를 시도하면, 기지국(105), 기지국 제어기(110) 및 교환기(115)를 거쳐, 경찰서(110)의 구조센터와 통화가 연결되며, 경찰서(100) 구조센터의 상담자가 통화 요청에 응답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방법은 사용자가 범죄 상황에 처해있거나, 사고로 인하여 의식을 잃은 상태 등과 같이, 통화를 수행할 수 없을 정도의 긴급 상황에서는 긴급 상황의 통지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도 1b는 종래 기술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긴급 구조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종래의 긴급 구조 시스템은 휴대폰(100), 기지국(105), 기지국 제어기(110), 교환기(115), 긴급 구조 서버(120) 및 경찰서와 같은 구조센터(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휴대폰(100)을 조작하여, 긴급 구조서버(100)에 접속하면, 상기 긴급 구조 서버(100)가 복수개의 구조 센터 중 하나의 구조 센터에 긴급 상황을 통지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과 같이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시스템은 휴대폰을 이용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식별하는 절차를 필수적으로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위치 추적 방법은 인공위성을 이용한 지피에스(GPS) 또는 사용자 단말기의 신호를 수신하는 세 개의 기지국의 위치를 참조하여 얻어지는 삼각측량방법 등을 이용하여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 위치 추적 프로세스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종래 기술은 위치 추적을 위하여 별도의 모듈 및 프로세스를 포함하므로, 제조 원가가 증가함은 물론, 사용자 위치 추적에 별도의 로드가 부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의할 때, 단말기의 전원이 커져있는 상태에서만 전원이 구동하므로, 전원이 오프상태이거나, 배터리가 충분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긴급 구조를 요청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가정, 영업점 등에 구비된 셋탑 박스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긴급 상황을 통지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셋탑 박스의 설치 장소에 상응하여 미리 저장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별도의 위치 추적 절차없이 긴급 상황이 발생한 장소를 식별할 수 있다. 가정, 영업점 등 일상 생활에서도 많은 긴급 상황이 발생할 수 있음을 고려할 때, 별도의 경보 시스템, 응급 구조 시스템을 갖추지 아니하고도, 미리 구비된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긴급 상황을 통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리모콘 등과 같은 긴급상황 발생신호 생성 장치에 구비된 단축 버튼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긴급 상황을 통지할 수 있는 긴급 상황 통지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특히, 본 고안은 텔레비전이 오프상태고, 셋탑 박스가 스탠바이 상태이더라도, 긴급 상황 통지 신호를 송신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화면상에 아무런 디스플레이없이 긴급 상황을 통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긴급 상황이 발생시에 긴급 상황 통지를 단순히 구조 센터에만 송신하는 것이 아니라, 미리 설정된 다른 셋탑 박스로 송신하여 통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가족, 친지. 또는 회사의 비상팀과 같은 미리 그룹을 설정하고, 긴급 상황이 발생시 상기 그룹에 해당하는 셋탑 박스에도 긴급 상황을 통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단축 버튼의 일회 조작으로 긴급 상황이 신속히 통지할 수 있는 구성과 함께, 셋탑 박스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메뉴를 통하여 긴급 상황에 상응하는 메시지 및 구조 센터를 선택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진 긴급상황 통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는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긴급 구조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도 1b는 종래 기술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긴급 구조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도 2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셋탑 박스를 이용한 긴급상황 통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긴급상황 통지 절차를 나타낸 순서도.
도 3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긴급 버튼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셋탑 박스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긴급 헤드엔드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미리 설정된 단축 버튼의 조작에 상응하여 긴급상황 발생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긴급상황 발생신호 생성장치; 상기 긴급상황 발생신호 생성장치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긴급상황 발생신호의 수신에 상응하여, 셋탑박스 식별자를 포함하는 긴급 상황 통지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셋탑박스부; 상기 셋탑박스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셋탑박스 식별자에 상응하는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구조 요청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긴급 헤드엔드부에 결합한 구조센터부로 송신하기 위한 긴급 헤드엔드부; 및 상기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긴급 상황 통지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긴급상황 발생신호 생성장치는 미리 설정된 단축 버튼을 포함하며, 버튼의 온/오프를 스위칭하여 버튼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키입력부; 상기 단축 버튼에 상응하여 상기 긴급상황 발생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긴급상황 발생신호 생성부; 상기 생성된 긴급 상황 발생 신호를 상기 긴급 헤드엔드부로 송신하기 위한 긴급상황 발생신호 송신부; 및 상기 단축 버튼의 조작을 감지에 상응하여, 상기 긴급 상황 발생 신호 생성부 및 긴급 상황 발생 신호 송신부를 유기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긴급상황 발생신호 생성장치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키입력부는 긴급상황 발생신호 생성장치의 빈번한 사용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단축버튼의 상부는 둘러싸는 덥게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단축 버튼은 미리 설정된 긴급 상황에 상응하여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셋탑 박스부는 상기 긴급상황 발생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긴급상황 발생신호 수신부; 상기 긴급상황 발생신호 수신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셋탑 박스부에 상응하는 셋탑박스 식별자를 포함하는 긴급상황 통지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긴급상황 통지신호 생성부; 상기 긴급상황 통지신호 생성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생성한 긴급상황 통지신호를 상기 긴급 헤드엔드부로 송신하기 위한 긴급상황 통지신호 송신부: 및 상기 긴급상황 발생신호의 수신에 상응하여, 상기 긴급상황 발생신호 수신부, 긴급상황 통지신호 생성부 및 긴급상황 통지신호 송신부를 유기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셋탑 박스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셋탑박스는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 또는 선택될 수 있는 구조 센터 지정 메뉴, 메시지 입력 메뉴 중 적어도 하나의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긴급 상황 메뉴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긴급 헤드엔드부는 상기 긴급상황 통지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긴급상황 통지신호 수신부; 상기 긴급상황 통지신호 수신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긴급상황 통지 신호에 상응하는 셋탑박스부를 식별하기 위한 긴급상황 통지신호 식별부; 상기 긴급상황 통지신호 식별부의 식별 결과에 따라, 상기 셋탑박스부에 상응하는 주소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추출하고, 상기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구조 요청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긴급상황 구조요청 생성부; 상기 생성한 구조 요청신호를 상기 구조 센터부로 송신하기 위한 구조 요청신호 송신부; 및 상기 긴급상황 통지신호의 수신에 상응하여, 상기 긴급상황 통지신호 수신부, 긴급상황 구조요청 생성부 및 구조 요청신호 송신부를 유기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헤드엔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셋탑박스부에 상응하여 미리 지정된 그룹 정보가 지정된 경우,상기 긴급상황 구조요청 생성부는 상기 그룹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상기 구조 요청신호에 포함시키고, 상기 긴급상황 통지신호 송신부는 상기 그룹 정보에 상응하는 셋탑박스로 상기 구조 요청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상황 통지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긴급 상황 통지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긴급 상황 통지 장치는 미리 설정된 단축 버튼(202)이 구비된 긴급상황 발생신호 생성장치(200), 셋탑 박스부(230), 긴급 헤드엔드부(250) 및 구조센터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긴급 상황 통지 장치는 긴급 상황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다른 셋탑 박스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긴급 헤드엔드부(250)와 결합된 긴급 상황 데이터베이스(26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구조센터부(270)는 미리 설정된 경찰서, 소방서 및 응급 센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긴급상황 발생신호 생성장치(200)는 리모콘, 키보드 등과 같이 셋탑 박스에 유/무선으로 결합 가능한 단말기를 지칭한다. 긴급 상황이 발생한 사용자가 단축 버튼(202)이 구비된 긴급상황 발생신호 생성장치(200)의 단축 버튼(202)을 누르면,상기 긴급 상황에 대응하는 신호가 셋탑 박스부(230), 긴급 헤드엔드부(250)를 거쳐서, 구조센터부(270) 또는 다른 셋탑 박스부(280)로 송신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신호는 긴급상황 발생신호(700), 긴급상황 통지신호(710) 및 구조 요청신호(7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기 표 1을 참조하면, 각 신호에 대하여 명확히 정리되어 있다.
신호의 종류 송신 수신 포함 가능한 정보
긴급 상황 발생 신호 긴급상황 발생신호생성장치 셋탑 박스부 긴급 상황 식별자
긴급 상황 통지 신호 셋탑 박스부 긴급 헤드엔드부 셋탑박스 식별자구조 센터 식별자그룹 식별자메시지
구조 요청 신호 긴급 헤드엔드부 구조센터부 또는 다른 셋탑 박스부 사용자 정보주소 정보메시지
긴급 상황 발생 신호(700)는 긴급상황 발생신호 생성장치에서 셋탑 박스부(230)로 송신되는 신호이며, 단축 버튼이 복수개로 구성된 경우, 상기 단축 버튼에 상응하는 긴급 상황 식별자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긴급상황 통지신호(710)는 셋탑 박스부(230)에서 긴급 헤드엔드부(250)로 송신되는 신호이며, 기본적으로 셋탑 박스 식별자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복수개의 구조센터 중 하나의 구조 센터를 지정하는 구조 센터 식별자, 미리 지정된 그룹에 긴급상황 통지신호(710)를 보내기 위한 그룹 식별자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긴급 상황을 구체적으로 알릴 수 있는 메시지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물론이다. 구조 요청 신호(720)는 긴급 헤드엔드부(250)에서 구조 센터부 또는 다른 셋탑박스부(230)도 송신되는 신호이며, 사용자의 병력, 성별, 나이 등에 대한 사용자 정보, 셋탑 박스부(230)의 설치 위치에 상응하는 주소 정보 및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구조 센터 및 다른 셋탑 박스부(230)는 상기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한 사용자 정보. 주소 정보 및 메시지뿐만 아니라, 경보 신호 등을 출력하여 긴급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통지하도록 구성된다.
도 2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긴급 상황 통지 절차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도 2b를 참조하여, 긴급 상황 통지 장치의 처리 절차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단계 S200에서, 긴급 상황이 발생하면 사용자는 긴급상황 발생신호 생성장치(200)에 구비된 단축 버튼(202)을 조작하면, 단계 S205에서, 긴급상황 발생신호 생성장치(200)는 이를 인식하고, 상기 단축 버튼(202)의 조작에 상응하여 미리 설정된 긴급상황 발생신호(700)를 생성하여 셋탑 박스부(230)로 송신한다. 여기서, 복수개의 단축 버튼을 구비하고, 각 단축 버튼에 상응하는 긴급 상황 식별자를 포함하는 긴급상황 발생신호(700)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210에서, 셋탑 박스부(230)는 상기 긴급상황 발생신호(700)에 상응하는 긴급상황 통지신호(710)를 생성하고, 단계 S215에서 생성한 긴급상황 통지신호(710)를 긴급 헤드엔드부(250)로 송신한다. 일반적으로 셋탑 박스부(230)에는 전원을 계속 공급하고 있으므로, 상기 셋탑 박스부(230)는 스탠바이 상태에서도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긴급상황 통지신호(710)는 셋탑 박스 식별자를 포함하며, 긴급상황 발생신호 생성장치에서 수신한 긴급 상황 식별자 또는 셋탑 박스부(230)에서 지정된 긴급 상황에 상응하는 구조 센터 식별자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 또는 미리 저장된 별도의 메시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단계 S217에서, 긴급 헤드엔드부(250)는 상기 긴급상황 통지신호(710)에 포함된 셋탑 박스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셋탑 박스부(230)를 식별하고, 단계 S219에서, 상기 셋탑 박스부(230)에 상응하는 주소 정보를 추출한다. 여기서, 구조 요청 생성시 상기 긴급 헤드엔드부(250)에 결합한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셋탑 박스 식별자에 상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더 추출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란 상기 셋탑 박스부(230)에 대응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사용자의 성별, 나이 , 병력,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단계 S220에서 긴급 헤드엔드부(250)는 그룹 지정이 되어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룹 지정이 된 경우, 단계 S225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그룹 정보를 더 추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계 S230에서 상기 긴급 헤드엔드부(250)는 상기 추출한 정보를 포함하는 구조 요청신호(720)를 생성한다. 그리고 단계 S225에서, 긴급 헤드엔드부(250)는 생성한 구조 요청신호(720)를 구조 센터부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구조 요청신호(720)는 미리 설정된 다른 셋탑 박스부(230)로 더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머니는 A 지역에 거주하고, 아들은 B지역에 거주하고, 이들이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된 경우, A 지역의 어머니에 대한 구조 요청신호(720)는 구조 센터부뿐만 아니라, B지역의 아들의 셋탑 박스(280)에도 송신되도록 구성된다.
도 3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긴급상황 발생신호 생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긴급 버튼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긴급상황 발생신호 생성장치(200)는 키입력부(201), 긴급상황 발생신호 생성장치 제어부(203), 긴급상황 발생 신호 생성부(205) 및 송신부(207)를 포함하며,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전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키입력부(201)는 버튼의 온/오프를 스위칭하여, 버튼 입력을 감지하며, 단축 버튼(202)을 더 포함하고 있다.
긴급상황 발생신호 생성장치 제어부(203)는 상기 단축 버튼(202)의 조작을 감지하여, 긴급상황 발생 신호 생성부(205)를 제어하여 상기 단축 버튼(202)에 상응하여 긴급상황 발생신호(700)를 생성하고, 생성된 긴급상황 발생신호(700)를 긴급상황 발생신호 송신부(207)를 통하여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긴급상황 발생신호(700)는 NEC 포맷을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다.
긴급상황 발생신호 송신부(640)는 생성한 긴급상황 발생신호(700)를 셋탑 박스부(230)로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할 때, 38KHz의캐리어 주파수를 이용하는 적외선(IR) 변조 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단축 버튼(202)의 외관이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단축 버튼(202)은 하나의 버튼(300)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단축 버튼(202)의 종류에 상응하여 복수개의 버튼(310)이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화재 발생, 도둑 침입, 응급 상황에 대응하여 각각의 단축 버튼(202)이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할 때, 긴급상황 발생신호 생성장치(200)의 빈번한 사용으로 오류에 의한 단축 버튼(202)의 조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단축버튼의 상부는 덥게(350)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셋탑 박스부(23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셋탑 박스부(230)는 긴급상황 발생신호 수신부(231), 셋탑 박스 제어부(233) 및 긴급상황 통지 신호 생성부(237)를 포함하며, 긴급상황 메뉴 제공부(235) 및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전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셋탑 박스 제어부(233)는, 긴급상황 발생신호 수신부(231)에서 긴급상황 발생신호(700)를 수신하면, 긴급상황 통지신호 생성부(237)에서 상기 긴급상황 발생신호(700)에 상응하는 긴급상황 통지신호(710)를 생성하도록 제어한다.
본 고안에 의할 때, 별도의 버튼 조작없이 미리 설정된 단축 버튼(202)을 누르면, 긴급상황 통지신호(710)가 생성되어, 긴급 헤드엔드부(250)로 송신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나, 상기 단축 버튼(202)의 조작에 상응하는 별도의 메뉴를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상기 단축 버튼(202)이 눌려지면, 긴급상황 메뉴 제공부(235)는 긴급 구조 센터의 종류, 소방서, 병원, 경찰서 등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가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는 발생한 긴급상황에 대응되는 구조 센터를 지정하여 긴급상황을 통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 별도의 메시지를 입력 또는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더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긴급상황 통지신호 송신부(239)는 생성된 긴급상황 통지신호(710)를 긴급 헤드엔드부(250)로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긴급 헤드엔드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헤드엔드부는 동축케이블 또는 광 케이블과 같은 선로를 이용해 영상신호를 위성이나 방송국의 송신소로부터 수신하여 시청자의 환경에 맞게 변환, 생성할 수 있는 시스템을 지칭한다. 본 고안에 따른 헤드엔드부는 긴급상황 통지 신호에 따른 구조 요청신호(720)를 생성하기 위한 긴급 헤드엔드부(27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긴급 헤드 엔드부(270)는 긴급상황 통지신호 수신부(271), 헤드엔드 제어부(273), 긴급상황 통지신호 식별부(275), 긴급상황구조요청 생성부(277) 및 구조 요청신호 송신부(279)를 포함하며,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전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긴급상황 통지신호 수신부(271)에서 긴급상황 통지신호(710)를 수신하면, 헤드엔드 제어부(273)는 긴급상황 통지신호 식별부(275)에서 상기 셋탑 박스를 식별하도록 제어하고, 이러한 식별 결과를 이용하여 구조 요청신호 생성부(277)에서 구조 요청신호를 생성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구조 요청 신호 생성부(277)는 상기 셋탑 박스부의 식별 결과에 따른 주소 정보, 미리 지정된 응급 환자에 대한 정보, 그룹 지정 여부, 메시지 포함 여부 등에 따라 상기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60) 또는 수신한 긴급상황 통지 신호에서 추출하고, 미리 지정된 포맷에 따라 이러한 정보를 포함하는 구조 요청신호(720)를 생성한다.
본 고안에 의할 때, 상기 긴급상황 통지신호가 복수개의 종류로 구성할 경우, 헤드엔드 제어부(273)는 먼저, 긴급상황 통지신호 식별부(275)에서 상기 긴급상황 통지신호의 종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 결과에 따른 구조 요청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조 요청신호 생성부(277)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구조 요청신호 송신부(279)는 이와 같이 생성된 구조 요청신호를 구조 센터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긴급상황 통지장치는 가정, 영업점 등에 구비된 셋탑 박스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긴급 상황을 통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고안은 셋탑 박스의 설치 장소에 상응하여 미리 저장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별도의 위치 추적 절차없이 긴급 상황이 발생한 장소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긴급상황 발생신호 생성장치에 구비된 단축 버튼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긴급 상황을 통지할 수 있는 긴급 상황 통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특히, 본 고안은 셋탑 박스가 스탠바이 상태이더라도, 긴급 상황 통지 신호를 송신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화면상에 아무런 디스플레이없이 긴급 상황을 통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긴급 상황 발생시에 긴급 상황 통지를 단순히 구조 센터에만 송신하는 것이 아니라, 미리 설정된 다른 셋탑 박스로 송신하여 비상 통신 그룹을 구성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즉, 가족, 친지. 또는 회사의 비상팀과 같은 미리 그룹을 설정하고, 긴급 상황이 발생시 상기 그룹에 해당하는 셋탑 박스에도 긴급 상황을 통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단축 버튼의 일회 조작으로 긴급 상황이 신속히 통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셋탑 박스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메뉴를 통하여 긴급 상황에 상응하는 메시지 및 구조 센터를 선택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8)

  1. 긴급 상황 통지 장치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단축 버튼의 조작에 상응하여 긴급상황 발생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긴급상황 발생신호 생성장치;
    상기 긴급상황 발생신호 생성장치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긴급상황 발생신호의 수신에 상응하여, 셋탑박스 식별자를 포함하는 긴급 상황 통지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셋탑박스부;
    상기 셋탑박스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셋탑박스 식별자에 상응하는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구조 요청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긴급 헤드엔드부에 결합한 구조센터부로 송신하기 위한 긴급 헤드엔드부; 및
    상기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상황 통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상황 발생신호 생성장치는,
    미리 설정된 단축 버튼을 포함하며, 버튼의 온/오프를 스위칭하여 버튼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키입력부;
    상기 단축 버튼에 상응하여 상기 긴급상황 발생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긴급상황 발생신호 생성부;
    상기 생성된 긴급 상황 발생 신호를 상기 긴급 헤드엔드부로 송신하기 위한 긴급상황 발생신호 송신부; 및
    상기 단축 버튼의 조작을 감지에 상응하여, 상기 긴급 상황 발생 신호 생성부 및 긴급 상황 발생 신호 송신부를 유기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긴급상황 발생신호 생성장치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상황 통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부는,
    긴급상황 발생신호 생성장치의 빈번한 사용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단축버튼의 상부는 둘러싸는 덥게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상황 통지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축 버튼은,
    미리 설정된 긴급 상황에 상응하여 복수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상황 통지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셋탑 박스부는,
    상기 긴급상황 발생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긴급상황 발생신호 수신부;
    상기 긴급상황 발생신호 수신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셋탑 박스부에 상응하는 셋탑박스 식별자를 포함하는 긴급상황 통지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긴급상황 통지신호 생성부;
    상기 긴급상황 통지신호 생성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생성한 긴급상황 통지신호를 상기 긴급 헤드엔드부로 송신하기 위한 긴급상황 통지신호 송신부; 및
    상기 긴급상황 발생신호의 수신에 상응하여, 상기 긴급상황 발생신호 수신부, 긴급상황 통지신호 생성부 및 긴급상황 통지신호 송신부를 유기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셋탑 박스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상황 통지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셋탑박스부는,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 또는 선택될 수 있는 구조 센터 지정 메뉴, 메시지 입력 메뉴 중 적어도 하나의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긴급 상황 메뉴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상황 통지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 헤드엔드부는,
    상기 긴급상황 통지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긴급상황 통지신호 수신부;
    상기 긴급상황 통지신호 수신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긴급상황 통지 신호에 상응하는 셋탑박스부를 식별하기 위한 긴급상황 통지신호 식별부;
    상기 긴급상황 통지신호 식별부의 식별 결과에 따라, 상기 셋탑박스부에 상응하는 주소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추출하고, 상기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구조 요청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긴급상황 구조요청 생성부;
    상기 생성한 구조 요청신호를 상기 구조 센터부로 송신하기 위한 구조 요청신호 송신부; 및
    상기 긴급상황 통지신호의 수신에 상응하여, 상기 긴급상황 통지신호 수신부, 긴급상황 구조요청 생성부 및 구조 요청신호 송신부를 유기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헤드엔드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상황 통지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셋탑박스부에 상응하여 미리 지정된 그룹 정보가 지정된 경우,
    상기 긴급상황 구조요청 생성부는 상기 그룹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추출하여 상기 구조 요청신호에 포함시키고,
    상기 긴급상황 통지신호 송신부는 상기 그룹 정보에 상응하는 셋탑박스부로 상기 구조 요청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상황 통지장치.
KR20-2003-0039031U 2003-12-15 2003-12-15 셋탑 박스를 이용한 긴급 상황 통지 장치 KR2003434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031U KR200343496Y1 (ko) 2003-12-15 2003-12-15 셋탑 박스를 이용한 긴급 상황 통지 장치
PCT/KR2004/003300 WO2005057915A1 (en) 2003-12-15 2004-12-15 Device and method for notifying an emergency with a set-top box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031U KR200343496Y1 (ko) 2003-12-15 2003-12-15 셋탑 박스를 이용한 긴급 상황 통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3496Y1 true KR200343496Y1 (ko) 2004-03-02

Family

ID=34675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9031U KR200343496Y1 (ko) 2003-12-15 2003-12-15 셋탑 박스를 이용한 긴급 상황 통지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343496Y1 (ko)
WO (1) WO20050579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0639B1 (ko) 2011-06-22 2012-06-12 팅크웨어(주) 세이프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5592113A (zh) * 2014-10-21 2016-05-1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救援处理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3373A (ja) * 1993-02-19 1994-09-02 Fujitsu General Ltd 通信指令システム
KR19990016314U (ko) * 1997-10-25 1999-05-25 전주범 비상시 전화제어기능을 갖는 텔레비전
JP2001127914A (ja) * 1999-10-26 2001-05-11 Saibaa Sukuule Japan:Kk 緊急通報システム
US20020005894A1 (en) * 2000-04-10 2002-01-17 Foodman Bruce A. Internet based emergency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57915A1 (en) 2005-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68266B2 (en) Multi-purpose safety management system
US6553100B1 (en) Intelligent alerting systems
US5650800A (en) Remote sensor network using distributed intelligent modules with interactive display
US5661471A (en) Emergency alert system for a protected region employing RF and non-RF signalling
JP5059659B2 (ja) ナースコールシステム
US2009018164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jecting electronic messages
CN1525686A (zh) 网络系统、服务器装置、和通信方法
US20100319021A1 (en) System and method for emergency communications through a set-top box
EP1177685A2 (en) System and method for broadcasting emergency warnings to radio and televison receivers in low power mode
US6266396B1 (en) Digital control of a security system
US20180039836A1 (en) Single call-to-connect live communication terminal, method and tool
KR101654503B1 (ko) 집합건물용 무선 비상호출 시스템
JP2020187719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遠隔地緊急速報提供システム
KR200343496Y1 (ko) 셋탑 박스를 이용한 긴급 상황 통지 장치
JP2019113930A (ja) 見守りシステム、見守りテレビ、見守りリモコン、見守り受信機及び見守り情報処理装置
US5737241A (en) User management interface for EAS system
US20030204589A1 (en) Data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transmitting device, and data transmitting/receiving method
KR100518665B1 (ko) 통신망을 이용한 경보시스템
EP1012807A1 (en) Security and emergency alarm system
JP2018195011A (ja) ロボットまたは電子回路モジュール制御システム、プログラム
JP2006279255A (ja) Catvケーブルを利用した施設内介護監視システム
CN100546372C (zh) 数字广播系统及其控制方法
KR102660444B1 (ko) 비상 호출 버튼을 사용하는 마을 방송 시스템
KR100987758B1 (ko) 티브이를 이용한 위치기반 서비스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JPH11145956A (ja) 地域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