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3473Y1 - 순대 증숙기 - Google Patents

순대 증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3473Y1
KR200343473Y1 KR20-2003-0038198U KR20030038198U KR200343473Y1 KR 200343473 Y1 KR200343473 Y1 KR 200343473Y1 KR 20030038198 U KR20030038198 U KR 20030038198U KR 200343473 Y1 KR200343473 Y1 KR 2003434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dae
pot
hood
steam
stea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81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혁
Original Assignee
김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혁 filed Critical 김혁
Priority to KR20-2003-00381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34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34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34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47J27/16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heated by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for withdrawing or condensing cooking vapors from cooking utens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순대가 담겨진 솥을 중숙기에 장입시키고 익혀진 순대를 중숙기로부터 인출하는 일련의 동작을 자동으로 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순대를 삶는 과정에서 순대 익히는 냄새가 외부로 발산되지 않게 하는 순대 증숙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작업대(1)의 일측에 증숙부(2)가 설치되고, 작업대(1)의 또 다른 일 측에는 삶아진 순대로부터 물을 배출시킬 수 있게 하는 물받이통(10)이 설치되어 구성되고, 상기 증숙부(2)가 하부에 배수구(21)를 구비하고 그 내부에 히터(22)가 설치되는 솥(20)과, 순대가 담겨지고 상기 솥(20)에 장입되는 중간솥(30)과, 상기 중간솥(30)을 솥(20)으로 장입시키고 인출시키는 승하강장치(3)와, 상기 솥(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증숙시 증기가 방출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후드(hood)(25)와, 상기 후드(25)의 내부에 채워지는 증기를 응축시켜 냄새의 발산을 차단시키는 응축장치(4)로 구성함으로써, 순대를 삶아 익히는 과정에서 특위의 냄새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삶아진 뜨거운 순대를 솥으로부터 용이하게 인출시킬 수 있는 효과와 아울러 순대를 직접 제조하지는 아니하더라도 최소한 순대를 삶아 익히는 것만은 음식점에서 직접 할 수 있어 손님에게 보다 맛좋은 순대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임.

Description

순대 증숙기 {Sausage cooker}
본 고안은 순대를 삶아 익히는 순대 증숙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순대가 담겨진 솥을 중숙기에 장입시키고 익혀진 순대를 중숙기로부터 인출하는 일련의 동작을 자동으로 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순대를 삶는 과정에서 순대 익히는 냄새가 외부로 발산되지 않게 하는 순대 증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순대는 깨끗이 씻은 돼지 창자의 내부에 삶은 찹쌀과 선지 및 잡채와 갖은 채소로 버무려진 소를 채우고 이를 삶아 익혀 먹는 우리의 전통 음식이다.
최근에는 순대를 공장에서 대량으로 제조하고 이를 삶아 익힌 상태에서 음식점에 공급하는 실정으로 순대를 공급받은 음식점에서는 이미 삶아진 순대를 데워 손님에게 제공한다.
모든 음식이 그러하지만 특히 순대는 삶은 즉시 먹어야만 그 맛이 좋다. 삶은지 오래된 순대는 창자의 내부에 채워진 소가 굳어 본래의 맛을 느낄 수 없는 것이다.
그러나 순대의 제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순대를 익히는 데에는 특위의 냄새가 나기 마련이어서 많은 음식점들이 순대를 직접 제조하지 않고 공장에서 제조된 순대를 공급받아 판매하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순대를 직접 제조하지는 아니하더라도 최소한 순대를 삶아 익히는 것만은 음식점에서 할 수 있게 하여 손님에게 보다 맛좋은 순대를 제공할 수 있게 하는 순대 증숙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순대를 삶아 익히는 데에는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특위의 냄새가 나기 마련이고, 삶아진 뜨거운 순대를 솥으로부터 건져내는 일 또한 용이한 것이 아니다. 본 고안은 순대를 삶아 익히는 과정에서 특위의 냄새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삶아진 뜨거운 순대를 솥으로부터 용이하게 인출시킬 수 있게 하는 순대 증숙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본 고안은 히터가 설치되는 솥과, 순대가 담겨지고 상기 솥에 장입되는 중간솥과, 상기 중간솥을 솥으로 장입시키고 인출시키는 승하강장치와, 상기 솥의 상부에 설치되어 증숙시 증기가 방출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후드와, 상기 후드의 내부에 채워지는 증기를 응축시키는 응축장치로 구성되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순대 증숙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증숙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3 는 본 고안의 응축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를 발췌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작업대 2. 증숙부
3. 승하강장치 4. 응축장치
20. 솥 25. 후드
31. 틀체 32. 체인
41. 흡입부 45. 냉각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순대 증숙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의 증숙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 은 본 고안의 응축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를 발췌 도시한 분리사시도 이다.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순대 증숙기는 작업대(1)의 일측에 증숙부(2)가 설치되고, 작업대(1)의 또 다른 일 측에는 삶아진 순대를 담고 순대로부터 흘러내리는 물을 배출시킬 수 있게 하는 통(10)이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증숙부(2)는 하부에 배수구(21)를 구비하고 그 내부에 히터(22)가 설치되는 솥(20)과, 순대가 담겨지고 상기 솥(20)에 장입되는 중간솥(30)과, 상기 중간솥(30)을 솥(20)으로 장입시키고 인출시키는 승하강장치(3)와, 상기 솥(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증숙시 증기가 방출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후드(hood)(25)와, 상기 후드(25)의 내부에 채워지는 증기를 응축시켜 냄새의 발산을 차단시키는 응축장치(4)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승하강장치(3)는 중간솥(30)이 얹혀지는 틀체(31)와, 상기 틀체(31)에 결합되는 체인(32)과 상기 체인(32)을 권회시키는 스프라켓(33)과, 상기 스프라켓(33)을 회전시키는 모터(34)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스프라켓(33)에는 돌기(330)를 형성시키고, 상기 돌기(330)의 회전반경 전후에 모터(34)와 연결되는 리미트스위치(331)(332)를 설치시켜 스프라켓(33)의 회전정도를 제어할 수 있게 하여 중간솥(30)이 솥(20)의 내부에 장입되는 정도와 솥으로부터 인출되어 상승되는 정도를 제어할 수 있게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틀체(31)의 바닥에는 중간솥(30)의 인출입이 용이하게 하는 구름바퀴(35)가 설치되며, 틀체(31)의 상부에는 중간솥(30)의 상부를 덮어주어 순대가부풀어오르는 것을 방지하는 망체 형상의 덮개(36)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응축장치(4)는 후드(25)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어 후드(25)의 내부에 채워지는 증기를 펌프(42)의 힘으로 흡입하는 흡입부(41)와, 상기 흡입부로 흡입된 증기를 이송시키는 이송관(43)과, 이송관(43)으로부터 공급되는 뜨거운 증기를 냉각시켜 증기를 응축수로 변환시키는 냉각기(45)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냉각기(45)을 출측에 회수관(46)을 설치시키고 상기 회수관(46)의 일단을 후드(25)의 내부로 연결시켜 냉각기(45)를 거치면서 응축된 응축수와 미쳐 응축되지 못한 증기를 솥(20)의 내부로 재 공급시킬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후드(25)는 일측을 경첩(250)으로 작업대(1)에 결합시켜 필요에 따라 솥(20)의 상부를 개방시킬 수 있게 하며, 후드(25)에 여닫이문(251)을 설치시켜 중간솥(30)을 후드의 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여닫이문(251)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시켜 순대가 삶겨지는 과정을 육안으로 확인 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설명부호 15 는 히터의 온도와 작동시간 등을 조정하는 설정노브와 냉각장치를 제어하는 스위치 및 본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 등이 설치되는 조작반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솥(20)의 내부에 육수를 채우고 중간솥(30)에 삶을 순대를 담은 후에 중간솥(30)을 틀채(31)의 내부로 삽입시킨다.
이어 승하강장치(3)를 동작시켜 모터(34)를 정회전시키게 되면 모터(34)의 회전축에 설치된 스프라켓(33)이 정회전되면서 체인(32)을 풀어주게 되고,체인(32)의 일단이 결합된 틀체(31)가 솥(20)의 내부로 하강되어 순대가 담겨진 중간솥(30)을 육수가 채워진 솥에 잠기게 한다.
하강되는 중간솥(20)이 솥(20)에 완전하게 장입되는 시점에서 스프라켓(33)에 설치된 돌기(330)가 리미트스위치(331)와 접촉되면서 모터(34)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시키는 것에 의해 중간솥(30)의 하강동작이 정지된다.
이어 조작반(15)을 통해 히터(22)의 온도와 시간 등을 셋팅하고 장치를 동작시키게 되면 솥(20)의 내부에 설치된 히터(22)가 발열되면서 육수를 끓여 순대를 익히게 된다.
순대를 익히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증기는 후드(25)의 내부를 채우게 되나 후드의 내측 상부에 설치된 흡이부(41)가 펌프(42)의 힘으로 증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증기를 이송관(43)을 통해 냉각기(45)에 공급시켜 증기를 응축시킴에 따라 증기가 후드(25)의 외부로 방출되어 순대를 익히는 냄새가 외부로 방출되는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냉각기(45)에서 응축된 응축수와 미쳐 응축이 되지 못한 증기는 회수관(46)을 통하여 솥(20)으로 재 공급시킴에 따라 솥 육수가 줄어드는 것을 방지하고, 순대 삶는 냄새가 장치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설정된 시간동안 히터(22)가 동작되어 순대가 완전하게 익으면 히터(22)가 오프되고, 승하강장치(3)의 모터(34)가 역회전되면서 스프라켓(33)에 체인(32)이 권회됨에 따라 중간솥(30)이 설치된 틀체(31)가 솥(20)으로부터 인출된다. 틀체(31)가 솥(20)으로부터 완전하게 인출되는 시점에서 스프라켓(33)의 돌기(330)가 리미트스위치(332)와 접촉되면서 모터(34)로의 전원을 차단시켜 상승동작이 정지된다.
이때 상기 틀체(31)에 설치된 중간솥(30)의 저면은 작업대(1)의 상면 높이와 동일한 높이에서 정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후드(25)에 설치된 여닫이문(251)을 개방시키고 중간솥(30)을 당기게 되면 중간솥(30)이 틀체(31)의 하부에 설치된 구름바퀴(35)의 도움을 받아 작업대(1)상으로 쉽게 인출된다.
인출된 중간솥(30)으로부터 건져내어진 순대는 작업대 일측에 형성된 통(10)에 삽입되어 순대에 묻어있는 물기를 제거한 후 적당한 크기로 전달시켜 손님에게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순대를 삶아 익히는 과정에서 특위의 냄새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삶아진 뜨거운 순대를 솥으로부터 용이하게 인출시킬 수 있는 효과와 아울러 순대를 직접 제조하지는 아니하더라도 최소한 순대를 삶아 익히는 것만은 음식점에서 직접 할 수 있어 손님에게 보다 맛좋은 순대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6)

  1. 작업대(1)의 일측에 증숙부(2)가 설치되고, 작업대(1)의 또 다른 일 측에는 삶아진 순대를 담고 순대로부터 흘러내리는 물을 배출시킬 수 있게 하는 통(10)이 설치되어 구성되며, 상기 증숙부(2)는 하부에 배수구(21)를 구비하고 그 내부에 히터(22)가 설치되는 솥(20)과, 상기 솥(20)에 장입되는 중간솥(30)과, 상기 중간솥(30)을 솥(20)의 내부로 장입시키고 인출시키는 승하강장치(3)와, 상기 솥(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증숙시 증기가 방출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후드(hood)(25)와, 상기 후드(25)의 내부에 채워지는 증기를 응축시켜 냄새의 발산을 차단시키는 응축장치(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대 증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장치(3)는 중간솥(30)이 얹혀지는 틀체(31)와, 상기 틀체(31)에 결합되는 체인(32)과 상기 체인(32)을 권회시키는 스프라켓(33)과, 상기 스프라켓(33)을 회전시키는 모터(3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대 증숙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틀체(31)는 그 바닥에 중간솥(30)의 인출입이 용이하게 하는 구름바퀴(35)를 설치시키고, 상부에 중간솥(30)의 상부를 덮어주어 순대가 부풀어오르는 것을 방지하는 망체 형상의 덮개(36)를 설치시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대 증숙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장치(4)는 후드(25)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어 후드(25)의 내부에 채워지는 증기를 펌프(42)의 힘으로 흡입하는 흡입부(41)와, 상기 흡입부로 흡입된 증기를 이송시키는 이송관(43)과, 이송관(43)으로부터 공급되는 뜨거운 증기를 냉각시켜 증기를 응축수로 변환시키는 냉각기(4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대 증숙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기(45)에 회수관(46)을 설치시키고 상기 회수관(46)의 일단을 후드(25)의 내부로 연결시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대 증숙기.
  6. 제 1 내지 제 5 항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25)는 일측을 경첩(250)으로 작업대(1)에 결합시키고, 후드(25)에 여닫이문(251)을 설치시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대 증숙기.
KR20-2003-0038198U 2003-12-08 2003-12-08 순대 증숙기 KR2003434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8198U KR200343473Y1 (ko) 2003-12-08 2003-12-08 순대 증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8198U KR200343473Y1 (ko) 2003-12-08 2003-12-08 순대 증숙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8043A Division KR20050055112A (ko) 2003-12-05 2003-12-05 순대 증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3473Y1 true KR200343473Y1 (ko) 2004-02-27

Family

ID=49425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8198U KR200343473Y1 (ko) 2003-12-08 2003-12-08 순대 증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347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574B1 (ko) 2009-02-20 2010-01-19 (주)명성 증숙기
KR20180000825U (ko) * 2016-09-13 2018-03-21 강영광 회전식 촛대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574B1 (ko) 2009-02-20 2010-01-19 (주)명성 증숙기
KR20180000825U (ko) * 2016-09-13 2018-03-21 강영광 회전식 촛대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07360B2 (ja) 調理装置およびその構成要素
US7915568B2 (en) Multifunction microwave oven with superheated steam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EP1517631B1 (en) Cooking device and procedure
US20050223906A1 (en) Stir-frying Apparatus with Overhead Heating Device
KR20080034062A (ko) 커피 볶음기 및 그 제어방법
WO2005089183A2 (en) No waste cooking oven with multiple cooking functions
JP2004504902A (ja) 調節可能な換気システムを備えた調理容器
CA2434624C (en) Appliance and method for cooking food articles
EP0463657B1 (en) Appliance for the preparation of meat or similar products
CN210185391U (zh) 一种烹调器具
KR100624080B1 (ko) 가열조리장치
CN205963772U (zh) 多功能电蒸箱
KR200343473Y1 (ko) 순대 증숙기
JP2014217503A (ja) 加熱調理器
KR20050055112A (ko) 순대 증숙기
JP2023130515A (ja) 加熱調理器
JP3740130B2 (ja) 固形食材の漬け込み煮炊き方法とその装置
CN112113249A (zh) 集成厨具
CN214712134U (zh) 一种多功能空气炸锅
JP2012016422A (ja) 炊飯器
US20030132221A1 (en) Cooking appliance
JP5732427B2 (ja) 加熱調理器
CN206354863U (zh) 一种可排出米饭中糖分的电饭煲
KR20040083816A (ko) 자동압력 중탕기
JP2014224636A (ja) 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