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3368Y1 - 파이프라인형 링크 컨베이어 - Google Patents

파이프라인형 링크 컨베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3368Y1
KR200343368Y1 KR20-2003-0036003U KR20030036003U KR200343368Y1 KR 200343368 Y1 KR200343368 Y1 KR 200343368Y1 KR 20030036003 U KR20030036003 U KR 20030036003U KR 200343368 Y1 KR200343368 Y1 KR 2003433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pipeline
rod
sprocket
link 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60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희
한재영
Original Assignee
중앙종합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종합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중앙종합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360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33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33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33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12Cleaning devices comprising scrapers
    • B65G45/14Moving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6Rigid blades, e.g. scrapers; Flexible blades, e.g. wipers
    • B08B1/165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20Cleaning of moving articles, e.g. of moving webs or of objects on a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08B1/32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using rotary clean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2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more than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2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more than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a plurality of driving or driven shafts; with arrangements for dividing torque between two or more intermediate shaf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sher Or Impeller Convey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이프라인을 이용하여 이송물을 운반하는 파이프라인형 링크 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이프라인의 내부로 링크체인의 이동 중에 로드가 자유로이 회전되어 자체 풀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파이프라인형 링크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이송원판을 갖는 장로드에 단로드가 체인으로 다수 연결되는 링크체인과, 상기 링크체인이 이동되는 파이프라인과,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링크체인을 이동시키고 회전축을 갖는 링크스프로킷과, 상기 링크스프로킷과 연동되는 스크레이퍼로 구성되는 파이프라인형 링크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단로드가 분할되어 구비되는 제1회전로드 및 제2회전로드와, 상기 제1회전로드의 일단에 돌출 형성되고 둘레로 걸림턱을 갖는 내삽돌기와, 상기 내삽돌기가 회전 가능하게 내삽되도록 상기 제2회전로드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이 맞닿도록 선단 둘레로 돌턱을 갖는 내삽홈으로 구성되는 회전부가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컨베이어를 제공함으로써, 파이프라인의 곡관부 및 유턴부에서 링크체인의 로드가 꼬이는 것이 적절히 방지되고 이 꼬임으로 인해 로드의 꺾임이 적절히 방지되며 로드의 꺾임으로 인해 이송원판이 파이프라인의 내부 벽면에 과도하게 밀착되어 변형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되고 링크체인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의 부하발생이 최소화되고 링크체인의 보다 안정적인 이동이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파이프라인형 링크 컨베이어{Pipeline type link conveyor}
본 고안은 파이프라인을 이용하여 이송물을 운반하는 파이프라인형 링크 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이프라인의 내부로 링크체인의 이동 중에 로드가 자유로이 회전되어 자체 풀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파이프라인형 링크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이프라인형 링크 컨베이어는 파이프라인의 내부로 투입되는 이송물을 파이프라인을 따라 이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본 출원인이 기출원하여 등록은 받은 파이프라인형 링크 컨베이어(실용신안등록 제20-0299726호 2002. 12. 17)를 도 7과 도 8 및 도 9 그리고 도 10에 도시하여 그 구성과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링크 컨베이어는 체인(101)에 의해 장로드(102)와 단로드(103)가 연결되고 상기 장로드(102)에 수직의 이송원판(104)이 장착된 링크체인(100)이 파이프라인(200) 내부에서 구동모터(300)에 의해 작동되는 링크스프로킷(400)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링크스프로킷(400)은 회전축(401)상에 축설되며, 상기 링크스프로킷(400)의 하부측에는 브러시 형태를 갖는 스크레이퍼(500)가 상기 회전축(401)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연동되도록 구동축(501)상에 축설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링크 컨베이어는 구동모터(300)의 구동과 더불어 링크스프로킷(400)이 회전되면서 파이프라인(200)의 내부로 링크체인(100)이 이동되고, 상기 링크체인(100)이 상기 파이프라인(200)의 유턴부를 지나 무한궤도로 이동되면서 이송원판(104)을 통해 상기 파이프라인(200)의 내부로 투입된 이송물을 운반하여 상기 링크스프로킷(400)의 하부로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이송원판(104)에 의해 이송물의 이송 및 배출과 함께 브러시 형태의 스크레이퍼(500)가 회전축(401)과 연동되면서 상기 이송원판(104)의 전면을 털어 내어 상기 이송원판(104)의 전면에 점착된 이송물이 완전히 탈리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링크체인이 파이프라인의 내부에서 무한궤도로 이동을 함으로써, 링크스프로킷에 의해 구동력을 받을 때 이 링크체인이 파이프라인의 유턴부 즉 곡관부에서 체인으로 연결된 장로드 및 단로드가 뒤틀려 꼬이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도 10에 도시한 것처럼 파이프라인이 3차원으로 곡관부를 형성한 경우에는 체인으로 연결된 장로드 및 단로드에 심한 꼬임이 발생하여 이 곡관부에서 링크체인의 이동이 정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로드가 꼬여 링크체인이 이동되지 않고 정지한 순간에도 링크스프로킷에 의해 로드가 당겨져 링크체인에 이송력이 부가됨으로써, 이송원판이 파이프라인의 내벽에 눌리게 되어 변형되거나 체인이 끊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상기한 링크체인의 꼬임과 이송원판의 과도한 눌림은 링크체인을 이동시키는 링크스프로킷의 회전을 방해하고, 그에 따라 링크스프로킷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에 과도한 부하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브러시 형태의 스크레이퍼가 링크스프로킷에 의한 링크체인의 진행방향과 역방향으로 스크레이퍼가 회전되면서 이송원판을 긁어냄으로써, 스크레이퍼가 이송원판의 진행을 방해하게 되고, 그에 따라 전체적으로 링크체인의 회전이 방해를 받게 되면서 구동모터의 부하를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본 출원인이 기출원하여 등록을 받은 파이프라인형 링크 컨베이어(실용신안등록 제20-0299726호 2002. 12. 17)를 개량한 것으로,
그 목적은 파이프라인의 내부로 링크체인의 이동 중에 로드가 자유로이 회전되어 자체 풀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파이프라인형 링크 컨베이어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링크체인의 회전에 방해를 주지 않으면서 이송원판에 점착된 이송물을 적절히 긁어 올려 탈리되도록 하는 파이프라인형 링크 컨베이어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이송물을 스크래핑하는 중에 발생하는 이송원판의 손상이 적절히 방지되도록 하는 파이프라인형 링크 컨베이어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링크스프로킷과 스크레이퍼의 동력전달이 보다 정밀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파이프라인형 링크 컨베이어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이송원판에 점착된 이송물이 보다 많이 탈리되도록 하는 파이프라인형 링크 컨베이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이송원판을 갖는 장로드에 단로드가 체인으로 다수 연결되는 링크체인과, 상기 링크체인이 이동되는 파이프라인과,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링크체인을 이동시키고 회전축을 갖는 링크스프로킷과, 상기 링크스프로킷과 연동되는 스크레이퍼로 구성되는 파이프라인형 링크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단로드가 분할되어 구비되는 제1회전로드 및 제2회전로드와, 상기 제1회전로드의 일단에 돌출 형성되고 둘레로 걸림턱을 갖는 내삽돌기와, 상기 내삽돌기가 회전 가능하게 내삽되도록 상기 제2회전로드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이 맞닿도록 선단 둘레로 돌턱을 갖는 내삽홈으로 구성되는 회전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라인형 링크 컨베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크레이퍼는, 상기 링크스프로킷의 하부로 설치되는 구동축과, 상기 링크스프로킷과 연동되어 상기 구동축을 상기 링크스프로킷과 동일 진행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이송원판의 전면을 회전 중에 긁어 올리도록 상기 구동축의 둘레에 상기 링크스프로킷과 동일한 원주 및 잇수 그리고 회전수를 갖는 스크레핑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라인형 링크 컨베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크레핑판의 상부에 합성수지 재질의 밀착판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라인형 링크 컨베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설치되는 스프로킷기어와, 상기 스프로킷기어에 맞물리는 제1전달기어와, 상기 제1전달기어에 맞물리는 제2전달기어와, 상기 제2전달기어에 맞물리도록 상기 구동축의 일단에 설치되는 구동축기어와, 상기 제1전달기어와 제2전달기어가 자유로이 회전되도록 지지하는 기어커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라인형 링크 컨베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크레핑판과 밀착판의 상부로 상기 장로드 및 단로드가 자유로이 삽입되도록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라인형 링크 컨베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개략적인 요부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A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개략적인 부분 절개 요부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인 요부 종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개략적인 요부 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작동상태도,
도 6a는 이송원판을 긁어 올리기 전의 상태를 보인 요부 단면도,
도 6b는 이송원판을 긁어 올리는 상태를 보인 요부 단면도,
도 7은 종래의 개략적인 전체 사시도,
도 8은 종래의 개략적인 요부 종단면도,
도 9는 종래의 개략적인 요부 단면도,
도 10은 종래의 개략적인 부분 절개 요부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링크체인
11 : 이송원판 12 : 장로드 13 : 단로드
14 : 체인 15 : 회전부
20 : 파이프라인 30 : 구동모터 40 : 링크스프로킷
50 : 스크레이퍼
51 : 구동축 52 : 동력전달부 53 : 스크레핑판
54 : 밀착판 55 : 삽입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개략적인 요부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A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상기 도 1과 도 2로 본 고안의 요부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링크 컨베이어는 이송원판(11)이 장착된 장로드(12)와 이에 체인(14)으로 연결된 단로드(13)가 다수개로 연결 구성되는 링크체인(10)에 회전부(15)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한 구성으로, 상기 회전부(15)는 단로드(13)가 분할되어 구비되는 제1회전로드(151) 및 제2회전로드(152)와, 상기 제1회전로드(151)의 일단에 돌출 형성되고 둘레로 걸림턱(154)을 갖는 내삽돌기(153)와, 상기 돌기가 회전 가능하게 내삽되도록 상기 제2회전로드(152)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154)이 맞닿도록 선단 둘레로 돌턱(156)을 갖는 내삽홈(155)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회전부(15)는 단로드(13)가 제1회전로드(151)와 제2회전로드(152)로 분할된 상태에서 내삽돌기(153)와 내삽홈(15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링크체인(10)이 원주방향으로 자유로이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부(15)에 의해 링크체인(10)이 원주방향으로 자유로이 회전됨으로써, 파이프라인(20)을 통해 무한궤도로 이동할 때 뒤틀림 및 꼬임이 적절히 방지되고, 그에 따라 상기 파이프라인(20)의 내주면과 이송원판(11)의 강한 마찰이 적절히 감소되어 상기 파이프라인(20)을 따라 상기 링크체인(10)이 부드럽게 이동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파이프라인(20)의 3차원 곡관부나 유턴부에서 링크체인(10)이 이동될 때 발생하는 뒤틀림 및 꼬임이 회전부(15)에 의해 상쇄되어, 이송원판(11)이 상기 파이프라인의 내주면에 강하게 밀착되지 않고 부드럽고자연스럽게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링크 컨베이어는 링크체인(10)이 파이프라인(20)을 따라 마찰이 저하되고 꼬임이 방지된 상태로 부드럽게 이동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링크체인(10)을 이동시키는 구동모터(미도시)의 과도한 부하가 적절히 방지되어 안정적인 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개략적인 부분 절개 요부 사시도로 본 고안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3차원으로 휘어진 곡관부를 갖는 파이프라인(20)으로 링크체인(10)이 이동할 때 제1회전로드(151)와 제2회전로드(152)가 회전부(15)에 의해 이동 중에 자유로이 회전됨으로써, 상기 파이프라인(20)의 곡관부에서 형성되는 꼬임이나 뒤틀림이 자연스럽게 풀리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장로드(12)와 체인(14)으로 연결된 제1회전로드(151)와 제2회전로드(152)가 회전부(15)에 의해 자유로이 회전됨으로써, 3차원으로 휘어진 파이프라인(20)을 지나갈 때 링크체인(10)의 뒤틀림이나 꼬임이 자연스럽게 풀리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링크체인(10)이 상기 파이프라인(20)의 내부로 부드럽게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인 요부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개략적인 요부 측단면도이다.
상기 도 4와 도 5로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링크 컨베이어는 링크체인(10)이 파이프라인(20)의 내부로 구동모터(30)로 회전되는 링크스프로킷(40)에 의해 무한궤도로 회전 이동되면서 상기 파이프라인(20)의 내부에 투입되는 이송물을 운반하여 상기 링크스프로킷(40)의 하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이송원판(11)의 전면에 점착되어 탈리되지 않은 이송물은 링크스프로킷(40)과 연동되는 스크레이퍼(50)에 의해 탈리되어 하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한 구성으로, 상기 스크레이퍼(50)는 링크스프로킷(40)의 하부로 설치되는 구동축(51)과, 상기 링크스프로킷(40)과 연동되어 상기 구동축(51)을 링크체인(10)과 동일한 진행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동력전달부(52)와, 상기 구동축(51)에 상기 링크스프로킷(40)과 동일한 원주 및 잇수와 회전수를 갖도록 구비되고 상기 이송원판(11)의 전면을 회전 중에 긁어 올리는 스크레핑판(53)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링크체인(10)은 이송원판(11)이 장로드(12)에 수직으로 부착되고, 상기 장로드(12)에 단로드(13)가 체인(14)으로 다수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이송원판(11)이 구동모터(30)에 의해 회전되는 링크스프로킷(40)에 걸리어 회전되면서 파이프라인(20)의 내부로 투입되는 이송물을 운반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크레이퍼(50)는 동력전달부(52)에 의해 링크스프로킷(40)의 회전방향과 반대로 회전되면서 스크레핑판(53)이 이송원판(11)의 전면을 긁어 올려 링크체인(10)의 회전에 방해를 주지 않으면서 상기 이송원판(11)의 전면에 점착된이송물을 적절히 탈리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동력전달부(52)는 링크스프로킷(40)의 회전축(41) 일단에 설치되는 스프로킷기어(521)와, 상기 스프로킷기어(521)에 맞물리는 제1전달기어(522)와, 상기 제1전달기어(522)에 맞물리는 제2전달기어(523)와, 상기 제2전달기어(523)에 맞물리도록 구동축(51)의 일단에 설치되는 구동축기어(524)와, 상기 제1전달기어(522)와 제2전달기어(523)가 자유로이 회전되도록 지지하는 기어커버(525)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동력전달부(52)는 구동모터(30)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41)과 상기 회전축(41)에 연동되는 구동축(51)이 회전방향이 바뀐 상태로 연동되도록 하면서 동시에 기어방식으로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41)에서 상기 구동축(51)으로 보다 정밀한 동력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스프로킷기어(521)와 구동축기어(524)는 동일한 원주와 동일한 잇수 그리고 회전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스프로킷기어(521)와 구동축기어(524)에 맞물려 동력을 전달하는 제1전달기어(522)와 제2전달기어(523)도 상호 동일한 원주와 동일한 잇수 및 회전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스크레핑판(53)은 상부로 밀착판(54)이 장착되고, 상기 밀착판(54)의 상단 중앙에서 하측으로 장로드(12)가 원활히 통과되도록 삽입홈(55)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밀착판(54)은 이송원판(11)의 전면에 맞닿아 점착된 이송물을 긁어 올리는 것으로, 긁어 올리는 중에 상기 이송원판(11)의 전면이 손상되지 않도록 우레탄 등과 같이 쉽게 마모되지 않으면서 연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삽입홈(55)은 스크레핑판(53)과 밀착판(54)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밀착판(54)이 손쉽게 장로드(12)와 단로드(13)를 통과하여 이송원판(11)의 전면 상부까지 이송물을 긁어 올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링크 컨베이어는 스크레이퍼(50)가 링크스프로킷(40)에 역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이송원판(11)의 전면에 점착된 이송물을 링크체인(10)의 진행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상태로 손쉽게 탈리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작동상태도로서,
도 6a는 이송원판을 긁어 올리기 전의 상태를 보인 요부 단면도이고,
도 6b는 이송원판을 긁어 올리는 상태를 보인 요부 단면도이다.
상기 도 6으로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 6a에 도시한 것처럼, 회전축(41)이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되면서 링크스프로킷(40)이 회전되고, 상기 링크스프로킷(40)의 회전하면서 이송원판(11)을 밀어 링크체인(10)이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41)에 장착된 스프로킷기어(521)에 맞물린 제1전달기어(522)가 회전되고, 상기 제1전달기어(522)가 회전되면서 이에 맞물린 제2전달기어(523)가 회전되며, 상기 제2전달기어(523)가 회전되면서 이에 맞물린 구동축기어(524)가 회전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구동축기어(524)가 회전되면서 구동축(51)이 회전되고, 그에따라 상기 구동축(51)에 축설된 스크레이퍼(50)가 링크스프로킷(40)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스크레이퍼(50)가 링크스프로킷(40)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스크레핑판(53)의 상부에 장착된 밀착판(54)이 이동 중인 이송원판(11)의 전면 하부에서 상기 이송원판(11)의 전면에 점착된 이송물을 긁어 올리게 되는 것이다.
상기 도 6b에 도시한 것처럼, 계속해서 이송원판(11)이 이동되는 중에 밀착판(54)이 구동축(51)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이송원판(11)의 전면에 점착된 이송물을 긁어 올려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밀착판(54)이 이송원판(11)의 전면을 따라 상승되면서 상기 밀착판(54)의 상부에 형성된 삽입홈(55)으로 장로드(12)가 통과됨으로써, 상기 밀착판(54)이 상기 이송원판(11)의 중앙을 지나 그 상부로 점착된 이송물을 완전히 긁어 올리게 되는 것이다.
상기 이송원판(11)의 전면에 점착된 이송물이 완전히 긁어 올려 제거한 다음에는 상기 도 6a에 도시된 것처럼, 그 다음에 회전되는 밀착판(54)이 다음으로 이동되는 이송원판(11)의 전면에 맞닿아 점착된 이송물을 긁어 올려 제거하게 되고, 이와 같은 작동이 연속적으로 반복되면서 다수의 이송원판(11)이 이동되는 중에 적절히 긁어져 이송물의 제거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밀착판(54)이 이송원판(11)의 전면을 긁어 올리면서 링크스프로킷(40)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밀착판(54)이 상기 이송원판(11)의진행을 방해하지 않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이송원판(11)에 점착된 이송물의 제거가 안정적이고 정밀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파이프라인의 내부로 링크체인의 이동 중에 로드가 자유로이 회전되어 자체 풀림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파이프라인의 곡관부 및 유턴부에서 링크체인의 로드가 꼬이는 것이 적절히 방지되고 이 꼬임으로 인해 로드의 꺾임이 적절히 방지되며 로드의 꺾임으로 인해 이송원판이 파이프라인의 내부 벽면에 과도하게 밀착되어 변형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되고 링크체인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의 부하발생이 최소화되고 링크체인의 보다 안정적인 이동이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링크체인의 회전에 방해를 주지 않으면서 이송원판에 점착된 이송물을 적절히 긁어 올려 탈리되도록 함으로써, 스크레이퍼에 의해 링크체인에 발생하는 마찰이 최소화되고 링크체인의 안정적이고 정밀한 이동이 이루어지며 구동모터에 과도한 부하 발생이 방지되고 이송물의 안정적이 제거가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이송물을 스크래핑하는 중에 발생하는 이송원판의 손상이 적절히 방지되도록 함으로써, 이송원판의 수명이 현저히 연장되고 기기의 유지관리가 손쉽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링크스프로킷과 스크레이퍼의 동력전달이 보다 정밀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스크레이퍼에 의한 이송원판의 이송물 탈리가 보다 정밀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이송원판에 점착된 이송물이 보다 많이 탈리되도록 함으로써, 이송물의 보다 많은 탈리 및 제거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5)

  1. 이송원판(11)을 갖는 장로드(12)에 단로드(13)가 체인(14)으로 다수 연결되는 링크체인(10)과, 상기 링크체인(10)이 이동되는 파이프라인(20)과, 구동모터(30)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링크체인(10)을 이동시키고 회전축(41)을 갖는 링크스프로킷(40)과, 상기 링크스프로킷(40)과 연동되는 스크레이퍼(50)로 구성되는 파이프라인형 링크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단로드(13)가 분할되어 구비되는 제1회전로드(151) 및 제2회전로드(152)와, 상기 제1회전로드(151)의 일단에 돌출 형성되고 둘레로 걸림턱(154)을 갖는 내삽돌기(153)와, 상기 내삽돌기(153)가 회전 가능하게 내삽되도록 상기 제2회전로드(152)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154)이 맞닿도록 선단 둘레로 돌턱(156)을 갖는 내삽홈(155)으로 구성되는 회전부(1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라인형 링크 컨베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이퍼(50)는, 상기 링크스프로킷(40)의 하부로 설치되는 구동축(51)과, 상기 링크스프로킷(40)과 연동되어 상기 구동축(51)을 상기 링크스프로킷(40)과 동일 진행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동력전달부(52)와, 상기 이송원판(11)의 전면을 회전 중에 긁어 올리도록 상기 구동축(51)의 둘레에 상기 링크스프로킷(40)과 동일한 원주 및 잇수 그리고 회전수를 갖는 스크레핑판(5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라인형 링크 컨베이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핑판(53)의 상부에 합성수지 재질의 밀착판(54)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라인형 링크 컨베이어.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52)는, 상기 회전축(41)의 일단에 설치되는 스프로킷기어(521)와, 상기 스프로킷기어(521)에 맞물리는 제1전달기어(522)와, 상기 제1전달기어(522)에 맞물리는 제2전달기어(523)와, 상기 제2전달기어(523)에 맞물리도록 상기 구동축(51)의 일단에 설치되는 구동축기어(524)와, 상기 제1전달기어(522)와 제2전달기어(523)가 자유로이 회전되도록 지지하는 기어커버(52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라인형 링크 컨베이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핑판(53)과 밀착판(54)의 상부로 상기 장로드(12) 및 단로드(13)가 자유로이 삽입되도록 삽입홈(5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라인형 링크 컨베이어.
KR20-2003-0036003U 2003-11-18 2003-11-18 파이프라인형 링크 컨베이어 KR2003433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6003U KR200343368Y1 (ko) 2003-11-18 2003-11-18 파이프라인형 링크 컨베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6003U KR200343368Y1 (ko) 2003-11-18 2003-11-18 파이프라인형 링크 컨베이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1520A Division KR100489924B1 (ko) 2003-11-18 2003-11-18 파이프라인형 링크 컨베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3368Y1 true KR200343368Y1 (ko) 2004-03-02

Family

ID=49425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6003U KR200343368Y1 (ko) 2003-11-18 2003-11-18 파이프라인형 링크 컨베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336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9310A (ko) * 2017-12-27 2019-07-05 한일종합기계 주식회사 원료 이송 슈트의 고착 방지장치
KR102611194B1 (ko) 2022-11-03 2023-12-07 한일종합기계 주식회사 관형 낙탄 회수 링크 체인 컨베이어용 접이식 스크래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9310A (ko) * 2017-12-27 2019-07-05 한일종합기계 주식회사 원료 이송 슈트의 고착 방지장치
KR102023051B1 (ko) * 2017-12-27 2019-09-20 한일종합기계 주식회사 원료 이송 슈트의 고착 방지장치
KR102611194B1 (ko) 2022-11-03 2023-12-07 한일종합기계 주식회사 관형 낙탄 회수 링크 체인 컨베이어용 접이식 스크래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416398U (zh) 一种可自动清扫皮带粘料的带式运输机
JP5341979B2 (ja) 付着物除去装置
KR200343368Y1 (ko) 파이프라인형 링크 컨베이어
JP2009060832A (ja) 農産物の清浄装置
KR100489924B1 (ko) 파이프라인형 링크 컨베이어
JP2001048337A (ja) ベルトコンベア用クリーナ
KR200390604Y1 (ko) 건설폐기물 처리장치용 컨베이어벨트 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
GB2147859A (en) Vehicle wheel cleaning apparatus
JPH10230233A (ja) ワイヤロープ清掃装置
KR20190044165A (ko) 벨트 컨베이어용 크리너장치
KR102389000B1 (ko) 벨트 컨베이어용 벨트 스크래퍼
KR101223369B1 (ko) 도라지 박피기
JP3195802B2 (ja) ベルトコンベアの付着物除去装置
JP4646156B2 (ja) スクリーン除塵機
KR200379715Y1 (ko) 벨트 컨베이어의 잔류물 제거장치
JP2680464B2 (ja) ベルトコンベアの付着物除去装置
JP2004224555A (ja) スクレーパコンベア用の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搬送設備
US2948385A (en) Screw conveyor apparatus
JPWO2010097957A1 (ja) 付着物除去装置
KR200212827Y1 (ko) 벨트 컨베이어의 이물질 배출장치
KR200416450Y1 (ko) 컨베이어 벨트 클리너
CN218402287U (zh) 一种采煤输送机刮板组件
JP2597388Y2 (ja) ベルトコンベアの付着物除去装置
KR200455940Y1 (ko) 컨베이어벨트 세척장치
JP3646100B2 (ja) ロータリーフィー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402

Year of fee payment: 3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