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3333Y1 - 벽면 마감용 화장 패널 - Google Patents

벽면 마감용 화장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3333Y1
KR200343333Y1 KR20-2003-0038663U KR20030038663U KR200343333Y1 KR 200343333 Y1 KR200343333 Y1 KR 200343333Y1 KR 20030038663 U KR20030038663 U KR 20030038663U KR 200343333 Y1 KR200343333 Y1 KR 2003433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edge
frame
wall
wal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86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욱
Original Assignee
이상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욱 filed Critical 이상욱
Priority to KR20-2003-00386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33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33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33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각형을 가지며 벽면에 격자 형상으로 배열된 프레임 상에 가장자리가 서로 이웃하도록 다수 개가 배열되어 체결구에 의해 프레임에 고정되는 벽면 마감용 화장 패널로서, 체결구가 체결되는 일측 가장자리의 단면이 중앙부 두께의 절반 이하인 두께를 가지며, 반대측 가장자리는 이웃하는 패널의 일측 가장자리를 덮도록 그 단면이 일측 가장자리와 점대칭인 형상을 가진다. 점대칭인 일측 및 타측 가장자리는 패널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각각 구비된다. 본 고안에 따른 화장 패널은 체결구에 의해 프레임에 고정되는 일측 가장자리가 이웃하는 화장 패널의 타측 가장자리에 의해 덮이게 되므로 체결 부위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다.

Description

벽면 마감용 화장 패널{Decorative Panel for Finishing Wall}
본 고안은 벽면 마감을 위한 화장 패널에 관한 것이다.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바닥을 포함하는 건축물의 벽면, 특히 실내 벽면을 마감하는 재료로서, 대리석과 같은 자연석이나 타일류 또는 필름류가 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런데, 자연석이나 타일류는 습식 시공을 이용하여 벽면을 마감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불편하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필름류의 경우 접착제 등을 이용한 건식 시공을 하므로 자연석이나 타일류에 비해 작업은 유리하지만 내수성과 내구성이 약하고 특히 가연성이기 때문에 화재시 문제가 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기존 소재들의 단점을 해소할 수 있는 새로운 소재의 개발이 경주된 결과, 예를 들어 주식회사 엘지씨아이의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41744호 및 20-026332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서로 상이한 재료층들로 이루어지며 우수한 강도와 내화성을 가지면서 다양한 패턴과 색상을 표현할 수 있는 화장 패널이 개발되어 화장실이나 주방 등의 벽면 마감용으로 사용되거나 싱크대나 가구 등의 표면 마감재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화장 패널은 평판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벽면이나 표면에 접착 테이프 또는 볼트와 같은 체결구를 이용하여 고정된다. 면적이 좁아 표면의 평면도가 비교적 균일한 가구의 경우 주로 접착 테이프를 사용하고, 면적이 넓어 전체적인 평면도가 대체로 균일하지 못한 벽면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W)을 따라 금속 재질의 프레임(1)을 설치하고 화장 패널(2) 및 프레임(1)의 접촉면들에 구멍을 뚫은 다음 이 구멍을 통해 볼트나 리벳 등과 같은 체결구(3)를 이용하여 화장패널(2)을 프레임(1)에 고정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한다. 프레임(1)은 벽면(W)에 격자형으로 배열되고, 통상적으로 도면에서와 같이 벽면(W)에 고정되는 베이스(1a) 및 화장 패널(2)을 지지하는 지지부(1b)로 나누어져 지지부(1b)가 베이스(1a)에 고정되는 깊이를 조절하여 벽면(W) 전체의 평면도를 균일하게 조정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화장 패널의 경우에도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즉, 화장 패널(2)을 벽면(W)에 고정하는 경우 볼트(3)나 리벳을 이용하여 프레임(1)에 체결하는데, 체결 부위가 외부로 드러나기 때문에 외관미가 떨어져 상품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체결 부위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벽면 마감용 화장 패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화장 패널을 이용한 벽면 마감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 패널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 패널을 이용한 벽면 마감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도 3의 벽면 마감 구조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화장 패널 12, 13 : 일측 가장자리
14, 15 : 타측 가장자리 20 : 프레임
30 : 체결구(볼트) W : 벽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사각형을 가지며 벽면에 격자 형상으로 배열된 프레임 상에 가장자리가 서로 이웃하도록 다수 개가 배열되어 체결구에 의해 프레임에 고정되는 벽면 마감용 화장 패널로서, 체결구가 체결되는 일측 가장자리의 단면이 중앙부 두께의 절반 이하인 두께를 가지며, 반대측 가장자리는 이웃하는 패널의 일측 가장자리를 덮도록 그 단면이 일측 가장자리와 점대칭인 형상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점대칭인 일측 및 타측 가장자리는 패널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각각 구비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화장 패널은 체결구에 의해 프레임에 고정되는 일측 가장자리가 이웃하는 화장 패널의 타측 가장자리에 의해 덮이게 되므로 체결 부위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 마감용 화장 패널을 도시한 사시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 패널(10)은 그의 사면 가장자리(12∼15)의 두께가 중앙부 두께보다 얇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가장자리(12∼15)의 두께는 중앙부의 두께의 절반 이하의 두께를 가진다. 또한, 패널(10)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양측 가장자리들 중 일측 가장자리(12, 13)는 패널(10)의 하측에 위치되고 타측 가장자리(14, 15) 는 상측에 위치되는 이른바 점대칭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들 중 패널(10)의 하측에 위치된 일측 가장자리(12, 13)가 볼트나 리벳과 같은 체결구(30, 도 4참조)에 의해 프레임(20, 도 4 참조)에 고정된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 패널(10)을 이용한 벽면 마감 구조를 도시한다. 벽면(W)에는 패널(10)을 고정하기 위한 프레임(20)이 격자형으로 배열된다. 이 프레임(20)은 도 4에서와 같이 목재 또는 금속재로 된 사각형 단면의 것을 사용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으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 또는 다른 임의의 구조를 사용할 수도 있다. 단, 프레임(20)과 프레임(20)의 간격은 패널(10)의 일측 가장자리(12, 13)와 타측 가장자리(14, 15) 간의 간격과 동일하게 되어, 종래보다는 약간 좁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프레임(20)에 화장 패널(10)의 일측 가장자리(12, 13)를 대고 볼트나 리벳과 같은 체결구(30)를 이용하여 화장 패널(10)을 프레임(20)에 체결한다. 그리고 나서, 이웃한 화장 패널(20)의 타측 가장자리(14, 15)가 이미 프레임(20)에 고정된 화장 패널(10)의 일측 가장자리(12, 13)를 덮도록 배치하고 이웃한 화장 패널(10)의 일측 가장자리(12, 13)를 프레임(20)에 체결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벽면(W)의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화장 패널(10)을 프레임(20)에 대해 체결함으로써 벽면(W) 전체를 다수의 화장 패널들(10)로 마감한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해, 볼트(30)나 리벳으로 프레임(20)에 체결되는 화장 패널(10)의 일측 가장자리(12, 13)가 이웃하는 화장 패널(10)의 타측 가장자리(14, 15)에 의해 덮이게 되므로 일측 가장자리(12, 13)의 체결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화장 패널(10)의 일측 및 타측 가장자리(12∼15)의 두께가 중앙부 두께의 절반 이하일 경우 볼트나 리벳의 머리가 화장 패널(10)의 타측 가장자리(14, 15)에 간섭되지 않는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화장 패널은 볼트나 리벳과 같은 체결구에 의해 프레임에 고정되는 일측 가장자리가 이웃하는 화장 패널의 타측 가장자리에 의해 덮이게 되므로 체결 부위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화장 패널을 이용하여 벽면을 마감하면 외관미가 저하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국한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명백히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

  1. 사각형을 가지며 벽면에 격자 형상으로 배열된 프레임 상에 가장자리가 서로 이웃하도록 다수 개가 배열되어 체결구에 의해 프레임에 고정되는 벽면 마감용 화장 패널에 있어서,
    체결구가 체결되는 일측 가장자리의 단면이 중앙부 두께의 절반 이하인 두께를 가지며, 반대측 가장자리는 이웃하는 패널의 일측 가장자리를 덮도록 그 단면이 상기 일측 가장자리와 점대칭인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마감용 화장 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대칭인 일측 및 타측 가장자리는 패널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마감용 화장 패널.
KR20-2003-0038663U 2003-12-11 2003-12-11 벽면 마감용 화장 패널 KR2003433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8663U KR200343333Y1 (ko) 2003-12-11 2003-12-11 벽면 마감용 화장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8663U KR200343333Y1 (ko) 2003-12-11 2003-12-11 벽면 마감용 화장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3333Y1 true KR200343333Y1 (ko) 2004-03-02

Family

ID=49425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8663U KR200343333Y1 (ko) 2003-12-11 2003-12-11 벽면 마감용 화장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333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353B1 (ko) * 2007-10-11 2011-01-25 홍성철 건축용 조립식 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353B1 (ko) * 2007-10-11 2011-01-25 홍성철 건축용 조립식 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97699C (en) Brick support structure
FI82748B (fi) Plattsaettningssystem.
US6647684B1 (en) Flooring system
US9464442B1 (en) Wall cladding assembly method and system
CA2746777C (en) Joint member
KR200343333Y1 (ko) 벽면 마감용 화장 패널
KR20030025795A (ko) 화장 패널과 그 제조 방법 및 화장 패널을 갖는 벽면마감용 구조물과 그 시공 방법
JPH0349001Y2 (ko)
JPH0717705Y2 (ja) 巾木材
JPH0422652Y2 (ko)
JP2011069044A (ja) 装飾面構築用タイル及びこれを用いた装飾面構成体、並びにこれを用いた装飾面の構築方法
KR102659166B1 (ko) 외면부와 단열부가 동시에 배치된 건물의 마감패널
JPH0452343Y2 (ko)
ATE210233T1 (de) Plattenförmiges element nach art einer fliese
JP3831730B2 (ja) 建物の付け柱の天端の仕舞い構造
KR200426030Y1 (ko) 금속재 화장실용 조립 패널
KR100585506B1 (ko) 조립식 건축 내장용 판재
CA2154494C (en) Method of building architectural panels
JP3727931B2 (ja) 瓦屋根における棟芯材の取付構造
JPH10238095A (ja) 室内造作材の取付構造
JP3120865U (ja) 幅木ユニット
JPH07180320A (ja) 幕板構造
KR200242341Y1 (ko) 함석지붕의 용마루 마감재
JP4294144B2 (ja) 室内造作材の取付け構造、室内造作用構成品、化粧縦材及び化粧横材
JPH10280647A (ja) 建築材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1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