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3158Y1 - 양식장용 부구 - Google Patents

양식장용 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3158Y1
KR200343158Y1 KR20-2003-0034622U KR20030034622U KR200343158Y1 KR 200343158 Y1 KR200343158 Y1 KR 200343158Y1 KR 20030034622 U KR20030034622 U KR 20030034622U KR 200343158 Y1 KR200343158 Y1 KR 2003431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loat
sub
frame assembl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46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환수
Original Assignee
김환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환수 filed Critical 김환수
Priority to KR20-2003-00346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31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31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31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A01K61/65Connecting or mooring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01K75/04Flo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Abstract

본 고안은 어류를 양식하기 위해 연안에 설치되는 가두리망을 부상, 지지시켜 주는 양식장용 부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높은 파도나 풍랑에도 파손되지 않고 장기간 사용될 수 있는 양식장용 부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양식장용 부구는 다수의 부구프레임으로 조립된 부구프레임 조립체와; 부구프레임 조립체에 삽입되는 내장부구와; 상기 부구프레임 조립체와 내장부구 사이에 삽입한 체결봉과; 상기 체결봉과 체결되어 부구프레임 조립체의 상·하부를 커버하는 캡으로 구성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의 부구는 높은 파도나 풍랑에 의해서도 파손되지 않고, 태양광선 등에 의한 부식 및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티로폼의 사용으로 인한 해양오염을 근본적으로 방지하고, 장기간의 사용에 따른 파손이 발생되더라도 파손된 부분만 부분적으로 교체하므로 부구의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양식장용 부구{A buoy}
본 고안은 어류를 양식하기 위해 연안에 설치되는 가두리망을 부상, 지지시켜 주도록 하는 양식장용 부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높은 파도나 풍랑에도 파손되지 않고, 장기간 부상되어 사용될 수 있는 양식장용 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두리 양식과 같은 인공양식은 인근해에서 일정범위에 그물을 설치하고 특정의 어류를 양식하는 것으로서, 안정적으로 수산물을 양식 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점차 증가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양식장의 구조를 도 1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수의 부구(1)는 파이프(2)나 목재에 의해 연결되고, 파이프(2) 위에는 발판(3)이 설치되어 통로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부구(1)는 부력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통상 스티로폼으로 생산된 것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스티로폼 재질의 부구(1)는 태양광에 노출된 상태로 일정 시간 경과될 경우, 쉽게 부식되므로 부력이 약해지고, 또한 높은 파도 등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파손된 스티로폼 부구(1)는 해변에 쌓이거나 해안에 부유하게 되는 등 해양환경을 저해하고, 분해되지 않는 특성으로 인하여 재활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한편, 스티로폼 부구(1) 이외에 폴리에틸렌(Polyethylene)으로 성형된 부구(미도시)가 있으나, 이러한 폴리에틸렌으로 성형된 부구(1)는 내부에 스티로폼이나 우레탄 발포수지가 충진되므로 기온변화와 태양광선에 의해 내부가 쉽게 팽창 및 수축되고, 이로 인하여 내구성이 약화되어 외관이 터지거나 손상되어 부력을 상실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었다.
또한 폴리에틸렌으로 성형 생산된 부구는 스티로폼이나 우레탄 발포수지를 내장하므로 생산원가를 상승시키고, 내장된 스티로폼과 우레탄 발포수지로 인하여 해양환경 오염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되지 않는 등 보다 견고하고 해양오염이 없는 부구를 갈망하는 양식어민들의 숙원을 해소할 수 없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높은 파도나 풍랑에 의해서도 파손되지 않고, 태양광선 등에 의한 부식 및 노화를 방지한 견고한 양식장용 부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재활용이 불가능한 스티로폼의 사용으로 인한 해양오염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양식장용 부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장기간 사용에 따른 파손이 발생되더라도 파손된 부분만 부분적으로 교체하므로 부구의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양식장용 부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양식장용 부구를 나타낸 사용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양식장용 부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양식장용 부구의 구조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양식장용 부구의 구조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양식장용 부구의 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부구 200 : 부구프레임 조립체
210 : 제1부구프레임 211,221 : 결합리브
212,222 : 결합홈 213,223 : 보강리브
220 : 제2부구프레임 224 : 보스
225 : 통공 300 : 내장부구
310 : 보강홈 400 : 체결봉
410 : 인서트 420 : 플랜지
430 : 구멍 500 : 캡
510 : 체결구멍 600 : 체결부재
700 : 밴드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양식장용 부구는 다수의 부구프레임으로 조립된 부구프레임 조립체와; 부구프레임 조립체에 삽입되는 내장부구와;상기 부구프레임 조립체와 내장부구 사이에 삽입한 체결봉과; 상기 체결봉과 체결되어 부구프레임 조립체의 상·하부를 커버하는 캡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양식장용 부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과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양식장용 부구의 구조를 나타낸 정단면도와 평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양식장용 부구(100)는 크게 부구프레임 조립체(200), 내장부구(300), 체결봉(400), 캡(500)으로 구성된다.
먼저 부구프레임 조립체(200)는 다수의 부구프레임, 즉 제1,2부구프레임(210)(220)으로 조립 구성된 것으로, 제1부구프레임(210)은 일단에 결합리브(211)를 형성하고, 타단에는 다른 제1,2부구프레임(210)(220)의 결합리브(211)와 결합되도록 결합홈(212)을 형성하며, 결합리브(211)와 결합홈(212) 사이의 내측면에는 다수의 보강리브(223)(213)를 형성한다.
반면, 제2부구프레임(220)은 제1부구프레임(210)과 그 형상이 거의 동일한 것으로, 다만 결합리브(221)와 결합홈(222) 사이에 보스(224)를 추가로 더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제2부구프레임(220) 중 좌우양측에 위치하는 제2부구프레임(220)의 중앙부분에는 2개의 통공(225)을 각각 형성한다.
내장부구(300)는 부구프레임 조립체(200)의 내측에 삽입되는 것으로, 외형은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는 부력의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중공형상으로형성하였다. 그리고 내장부구(300)는 외부에 6개의 보강홈(310)을 형성하므로 내장부구(300)의 견고성을 향상시키고, 체결봉(400)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체결봉(400)은 상기한 부구프레임 조립체(200)와 내장부구(300) 사이, 즉 각각의 보강홈(310)에 삽입되어 부구프레임 조립체(200)와 캡(500)을 견고하게 체결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본 고안에서는 6개의 체결봉(400) 중 2개의 체결봉(400) 상·하단 내부에 나사홈을 갖는 인서트(410)를 삽입 설치하였다. 그리고 인서트(410)가 설치된 체결봉(400)은 구멍(430)을 갖는 2개의 플랜지(420)를 중앙 부분에 일체로 성형하여 제2부구프레임(220)의 통공(225) 외부로 각각 돌출될 수 있도록 하였다.
캡(500)은 대략 볼록렌즈 형상으로 성형된 것으로, 외측면 둘레에 체결봉(400)의 수 만큼 6개의 체결구멍(510)을 등간격으로 형성하였다. 따라서 캡(500)은 스크류나 볼트 등의 체결부재(600)에 의해 체결봉(400)과 체결하므로 부구프레임 조립체(200)의 상·하부를 견고하게 커버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부구프레임 조립체(200)의 둘레면 중앙 부분에는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의 밴드(700)를 밴딩 결합하므로 다수의 제1,2부구프레임(210)(220)의 조립 상태를 부식없이 보다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제1,2부구프레임(210)(220)과 내장부구(300) 및 캡(500)은 폴리에틸렌 수지로 성형하므로 뛰어난 내염성(耐鹽性)과 내구성(耐久性)을 갖도록 하였다.
그리고 제1,2부구프레임(210)(220)과 캡(500)의 표면은 백색을 갖도록 성형 생산되므로 태양광선에 의한 노화 및 손상을 방지하고, 제1,2부구프레임(210)(220)과 캡(500)의 후면은 발포되게 성형하므로 부력효과를 높이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양식장용 부구(100)는 부구프레임 조립체(200)의 내부에 내장부구(300)가 삽입 보호되는 구조이므로 높은 파도나 태풍에 따른 거친 파도에도 내장부구(300)에 직접적인 충격이 가해지지 않는다. 따라서 본 고안의 내장부구(300)는 종래기술과는 달리 파도와 직접적인 접촉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파도에 의한 파손이나 손상이 발생되지 않으며, 이로 인하여 부력 효과를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특히, 제1,2부구프레임(210)(220)은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내측면에 다수의 보강리브(213)(223)와 보스(224)가 일체로 성형된 구조이므로 보강리브(213)(223)와 보스(224)의 형상 및 기능적 특성상 제1,2부구프레임(210)(220)의 변형을 방지하여 견고성과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키게 된다. 따라서 강한 파도에도 제1,2부구프레임(210)(220)으로 이루어진 부구프레임 조립체(200)가 파손되지 않는다.
더욱이 체결봉(400)을 통한 캡(500)과 부구프레임 조립체(200)의 결합, 그리고 밴드(700)를 통한 제1,2부구프레임(210)(220)의 결속은 높은 파도나 강한 파도에도 부구프레임 조립체(200)의 파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내장부구(300)를 가일층 튼튼하게 보호하고 부구(100)의 수명을 크게 연장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도 3에서 나타낸 체결봉(400)에 삽입 설치된 인서트(410)는 체결봉(400)과 캡(500)의 체결을 보다 견고하게 결합시키므로 장기간 사용에도 체결봉(400)에서 캡(50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부구(100)의 파손 및 분해를 가일층 예방하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양식장용 부구(100)는 종래의 스티로폼 부구(100)와는 달리 제1,2부구프레임(210)(220), 내장부구(300), 캡(500)이 폴레에틸렌 수지로 성형 생산되므로 뛰어난 내염성과 내구성을 갖게 되어 부구(100)의 수명을 크게 연장시키게 된다. 특히 제1,2부구프레임(210)(220)과 캡(500)은 표면에 백색의 폴리에틸렌 수지로 성형 처리되므로 태양광선을 반사시켜 제1,2부구프레임(210)(220)과 캡(500)이 태양관선에 의해 노화 및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이로 인하여 부구(100)의 수명을 가일층 연장시키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양식장용 부구(100)는 다수의 제1,2부구프레임(210)(220)과 캡(500)에 의해 조립된 구조이므로 장기간 사용에 따라 제1,2부구프레임(210)(220)이나 캡(500)이 손상 또는 파손되는 경우, 손상 또는 파손된 부품만 교체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기술과는 달리 부구(100)의 유지 관리가 매우 용이하고, 비용을 절감하며, 불필요한 부구 폐기물의 발생을 현저하게 줄이게 된다.
한편,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다수의 제1부구프레임(210)만으로 부구프레임 조립체(200)를 조립 구성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른 구성 및 작용 효과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상술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 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고안의 적용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사상의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면 부구프레임 조립체는 제2부구프레임만으로도 조립 가능한 것이고, 모든 체결봉에 인서트를 일체로 삽입 설치하는 것도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부구프레임 조립체의 내부에 내장부구가 삽입 보호되는 구조이므로 내장부구와 파도가 직접적인 접촉이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내장부구는 파도에 의한 파손이나 손상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부구의 부력 효과를 장기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다수의 보강리브와 보스를 갖는 제1,2부구프레임에 의해 조립되는 구조이므로 강한 파도에도 부구프레임 조립체의 파손을 방지하며, 또한 체결봉과 캡 및 밴드를 통해 파도에 의한 부구의 파손을 견고하게 방지한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고안은 다수의 제1,2부구프레임에 의해 조립되는 특성상 손상 또는 파손된 부분만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용이한 유지관리가 가능하고, 비용을 절감하며, 불필요한 부구 폐기물의 발생을 줄여 부구로 인한 해양환경 오염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체결봉에 인서트가 삽입 설치되므로 캡의 조립이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지고, 이로 인하여 부구의 조립이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도있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은 폴레에틸렌 수지로 성형 생산되므로 뛰어난 내염성과 내구성을 갖게 되어 부구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특히 제1,2부구프레임과 캡의 표면을 백색의 폴리에틸렌 수지로 성형 생산하므로 태양광선으로 인한 노화 및 손상을 방지하여 부구의 수명을 크게 연장시킨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다수의 부구프레임으로 조립된 부구프레임 조립체(200)와;
    부구프레임 조립체(200)에 삽입되는 내장부구(300)와;
    상기 부구프레임 조립체(200)와 내장부구(300) 사이에 삽입한 체결봉(400)과;
    상기 체결봉(400)과 체결되어 부구프레임 조립체(200)의 상·하부를 커버하는 캡(50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용 부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구프레임 조립체(200)의 부구프레임은 일단에 결합리브(211)를 형성하고, 타단에는 결합홈(212)을 형성하며, 상기 결합리브(211)와 결합홈(212) 사이에는 보강리브(213)를 형성한 제1부구프레임(2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용 부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구프레임 조립체(200)의 부구프레임은 일단에 결합리브(221)를 형성하고, 타단에는 결합홈(222)을 형성하며, 상기 결합리브(221)와 결합홈(222) 사이에는 보강리브(223)와 보스(224)를 형성한 제2부구프레임(2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용 부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부구프레임(210)(220) 중 어느하나는 통공(225)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용 부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구프레임 조립체(200)는 조립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외부를 밴드(700)로 더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용 부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부구(300)는 부력을 위해 중공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둘레면을 따라 다수의 보강홈(310)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용 부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봉(400)은 견고한 체결이 가능하도록 상·하부에 설치한 인서트(410)와;
    상기 제2부구프레임(220)에 형성된 통공(225)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형성한 구멍(430)을 갖는 플랜지(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용 부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구프레임 조립체(200)와 캡(500)은 백색 폴리에틸렌 수지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용 부구.
KR20-2003-0034622U 2003-11-05 2003-11-05 양식장용 부구 KR2003431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4622U KR200343158Y1 (ko) 2003-11-05 2003-11-05 양식장용 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4622U KR200343158Y1 (ko) 2003-11-05 2003-11-05 양식장용 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3158Y1 true KR200343158Y1 (ko) 2004-03-04

Family

ID=49425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4622U KR200343158Y1 (ko) 2003-11-05 2003-11-05 양식장용 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315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4522A (ko) * 2018-03-30 2019-10-10 동신산업(주) 다목적 부력체
KR20210035620A (ko) * 2019-09-24 2021-04-01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패류 양식을 위한 친환경 목재 부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4522A (ko) * 2018-03-30 2019-10-10 동신산업(주) 다목적 부력체
KR102090086B1 (ko) * 2018-03-30 2020-03-17 동신산업(주) 다목적 부력체
KR20210035620A (ko) * 2019-09-24 2021-04-01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패류 양식을 위한 친환경 목재 부자
KR102334356B1 (ko) * 2019-09-24 2021-12-03 대한민국 패류 양식을 위한 친환경 목재 부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1127B1 (ko) 수상 부유체 및 수상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100971941B1 (ko) 조립형 부구
KR200343158Y1 (ko) 양식장용 부구
KR102140992B1 (ko) 조립식 부표
KR200408915Y1 (ko) 김 양식용 부구
KR200435836Y1 (ko) 양식장용 플로트의 결합구조
KR102461686B1 (ko) 레고식 결합방식의 크기 확장형 양식용 부자
KR200367519Y1 (ko) 수상 부양식 어/패류 가두리형 양식장의 프레임
KR20150052567A (ko) 2중 벽관으로 구성된 부구 및 제조방법
KR102495544B1 (ko) 친환경 김발용 부표시스템
KR102117573B1 (ko) 친환경 발포형 부표
KR101656071B1 (ko) 어소하우징이 구비된 플로팅폰툰모듈
KR20110020495A (ko) 이중 부력관을 갖는 부교
KR100388892B1 (ko) 양식장용 부구
KR200194974Y1 (ko) 양식장용 부자
KR100444883B1 (ko) 양식장용 부자
KR102541881B1 (ko) 간답대의 이탈을 방지하는 김발부표시스템
KR101988427B1 (ko) 김 양식용 부표
KR102460710B1 (ko) 선박 계류시스템
KR200179693Y1 (ko) 해태양식용 간답대
KR200179346Y1 (ko) 양식장용 부자
KR100566921B1 (ko) 부력파이프 고정 브래킷
KR20050002936A (ko) 해상 구조물의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KR20150057225A (ko) 타원형 또는 원뿔형 부구 및 그 제조방법
KR100435997B1 (ko) 가두리양식장용 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