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3127Y1 - 통기성 신발의 체크밸브 - Google Patents

통기성 신발의 체크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3127Y1
KR200343127Y1 KR20-2003-0036992U KR20030036992U KR200343127Y1 KR 200343127 Y1 KR200343127 Y1 KR 200343127Y1 KR 20030036992 U KR20030036992 U KR 20030036992U KR 200343127 Y1 KR200343127 Y1 KR 2003431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ck valve
cock
air
outlet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69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동 현 이
Original Assignee
동 현 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 현 이 filed Critical 동 현 이
Priority to KR20-2003-00369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31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31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31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기성 신발에 있어서 공기를 한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하는 체크밸브에 관한 것으로,
유입된 공기가 좁은 통로를 지나 역류를 방지하게 되는 고무 콕을 밀고 배출될 때 공기의 흐름 방향이 아래에서 위로 향하도록 하고 고무 콕이 자체의 하중으로 위에서 자연스럽게 놓여지는 상태로 좁은 출구를 닫히게 하여 공기가 밀고 올라가도록 한 것과, 공기가 높은 압력으로 분출될 경우 콕이 튕겨지는 것과 너무 높이 올라가므로 해서 채공시간이 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캡의 상부와 고무 콕 사이에 스프링을 더 설치하여 된 체크밸브이다. 상기의 스프링은 0.3mm의 철사로 아주 약한 것이며 스프링이 콕을 가압하지 않은 상태로 조립 된다.
상기와 같은 체크밸브는 어떠한 경우라도 항상 출구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약한 압력으로도 공기의 배출이 원활하고 배출시 소리가 나지 않으며 콕의 닫히는 속도가 빨라서 역류 또는 물의 유입이 전혀 없게 되는 체크밸브이다.

Description

통기성 신발의 체크밸브{Check Valve for the Air Flowing Shoes}
본 고안은 통기성 신발에 이용된 체크밸브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체크밸브로는 두 개의 얇은 막을 겹쳐서 양 측부는 열융착하고 일측에 호스를 끼워서 된 것 등이 있는데 상기의 체크밸브는 공기를 센 압력으로 일시에 밀어낼 경우에는 얇은 막의 진동으로 인하여 소리가 날 수 있으며 또 흡입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 즉 내 외부의 압력이 동일하여 느슨한 상태일 경우에는 공기 배출구가 벌어지는 경향이 있어 물이 유입되어 신발이 젖는 단점이 있었다.
통기성 신발의 체크밸브는 약한 압력으로도 자연스럽게 공기의 배출이 가능하고 공기 배출시 소리가 나지 않으면서 특히 물은 유입되지 않아야 되는 것인데 기존 체크밸브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여 어떠한 경우에도 물이 신발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전혀 소리가 나지 않으며, 약한 압력으로도 공기가 자연스럽게 배출 가능하도록 하여 완전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체크밸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체크밸브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체크밸브의 분해 단면도
도 3은 체크밸브의 결합 단면도
도 4는 체크밸브의 윗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체크밸브가 적용될 통기성 신발의 실시 예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자세한 설명******
10 : 체크밸브의 몸체 11 : 출구
12 : 고무 콕 13 : 스프링
20 : 체크밸브의 캡 21 : 토출구
30 : 공기 유입부(에어챔버의 배출부 삽입부)
31 : 공기 유입구 40 : 몸체와 유입부의 연결부
50 : 외피 51 : 중창
52 : 중창의 관통구 53 : 밑창
54 : 체크밸브 장착 홀 55 : 토출 호스 삽입구
60 : 에어챔버 61 : 에어챔버 배출부
밑창과 중창과 외피로 이루어진 신발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에어펌프 또는 에어챔버와 체크밸브의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통기성 신발이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서는 밑창의 뒤꿈치 부분에 홈(54)을 마련하여 체크밸브를 삽입 설치하고 중창에 마련된 관통구(52)를 통하여 에어챔버의 배출부(61)와 체크밸브의 유입부(30)가 직접 연결되도록 된 통기성 신발의 체크밸브에 대하여 개시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체크밸브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2는 분해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체크밸브는 사출 성형으로 제작하게 되며 주요 부분은 공기 유입부(30)와, 밸브의 몸체(10)와, 고무 콕(12)과 스프링(13)을 상기 몸체 안에 조립하고 결합하게 되는 캡(20)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0)와 유입부(30)는 제작의 편의를 위해 분리된 것이며 연결부(40)를 결합할 때는 공기가 새지 않도록 열융착 방법을 이용하여 일체가 되도록 한다. 또 체크밸브의 몸체(10)의 좁은 출구(11) 위에 고무 콕(12)의 곡면부를 아래로 향하도록 하고 상면 중앙돌출부에 스프링(13)을 끼운 다음 캡(20)을 덮고 몸체와 캡을 조립하되 연결부분은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열융착 결합된다. 상기의 스프링은 고무 콕의 상면 중앙돌출부와 캡의 내측 상면에 아래로 돌출된 부분에 삽입되어 고무 콕을 잡아주게 된다.
본 고안의 특징은 밸브 몸체(10) 내의 좁은 출구(11)에서의 공기의 흐름 방향이 아래에서 위로 향하도록 함으로써 출구를 개폐하게 되는 고무 콕이 수직으로 위에 놓여지도록 하여 공기가 빠져 나간 다음 고무 콕의 자체 하중에 의해서 스스로 닫히게 되어 있다는 점이다. 고무 콕 위에 끼워지는 스프링(13)은 0.3∼0.4mm의 철사를 가지고 직경 5∼8mm로 하여 아주 약한 것이며 움직이지 않을 정도로 약간만 수축시킨 상태로 조립된 것이므로 고무 콕(12)을 거의 가압하지 않은 상태가 되며 고무 콕의 좌우 요동을 막아주면서 공기가 큰 압력으로 일시 분출될 경우 고무 콕이 튕겨지듯 위로 올라가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또 공기의 배출시 고무 콕이 너무 많이 열리면 체공시간이 길어지므로 닫히는 속도가 늦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또 상기 고무 콕(12)이 조립되었을 때 몸체(10) 내부의 벽과 콕 사이의 틈이 1mm이하가 되도록 하여 공기 배출과 상하운동이 원활하면서 안정감이 있도록 마련된다. 또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고무 콕을 스프링(13)이 지지해주므로 걷거나 달릴 때에도 고무 콕이 항상 출구(11)를 막아주는 위치에서 이탈하지 않고 개폐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위로 향한 출구 위에 놓여진 고무 콕과 가압하지 않은 상태로 끼워져 고무 콕의 위치를 잡아주도록 된 스프링으로 인하여 작은 압력으로도 공기의 배출이 용이하고 배출시 힘이 들지 않으므로 진동으로 인한 소리의 발생이 전혀 없으며 고무 콕이 조금만 열리고 쉽게 닫히므로 역류 또는 물의 유입이 불가능하게 된 체크밸브이다.
또 고무 콕(12)이 위에서 놓여 있는 상태로 공기의 출구(11)를 항상 밀착하고 있으므로 스프링의 수명에 영향을 받지 않고 오래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스프링 또한 수축되지 않은 상태로 조립되어 있기 때문에 수명이 길 수밖에 없다. 만약 공기의 흐름 방향이 수평이거나 위에서 아래로 흐르도록 된 경우는 고무 콕이 출구를 항상 닫히도록 상당한 외부의 힘, 예를 들어 스프링으로 가압하여야 되는데 이 경우는 공기의 배출압력이 고무 콕을 지지하고 있는 힘 이상이어야 하므로 이 때 좁은 출구를 빠져나오면서 진동으로 인하여 소리가 발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기의 배출이 쉽지 않게 되고 스프링이 약해지므로 해서 제 역할을 못하게 되어 수명이 짧아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신발 내부에 고정 장착되는 체크밸브의 수명이 일반적인 신발의 수명보다 짧다는 것은 통기성 신발에 있어서 치명적인 것이다.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체크밸브를 통기성 신발에 이용하여 된 실시 예를 보인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체크밸브는 신발 밑창(53)의 뒤꿈치에 마련된 장착홈(54)에 삽입되고 중창(51)의 뒷부분에 마련된 관통구(52)를 통하여 에어챔버(60)에서 돌출된 에어챔버의 배출부(61)를 체크밸브의 유입부(30)에 삽입 연결하여 사용되어진다. 따라서 에어챔버(60)에서 보내어진 공기는 유입구(31)로 흡입되고 좁은 통로를 지나 밸브의 몸체(10)에서 상 방향으로 흘러 출구(11)를 막고 있는 고무 콕(12)을 밀어 올리고 토출구(2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본 고안을 실시함에 있어 본 고안의 요지의 범위 안에서 토출구의 방향 또는 전체적인 모양과 크기를 필요에 따라 적절히 변경 가능함은 당연한 일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체크밸브는 기능이 완벽할 뿐만 아니라 통기성 신발에 적용할 경우 첫째 소리가 나지 않으며,
둘째 물의 유입이 없고,
셋째 작은 힘으로도 공기의 배출이 쉽고,
넷째 고무 콕(12)이 스프링의 영향을 받지 않고 출구의 위에 놓여져 마모성이 적으므로 수명이 길고,
다섯째는 신발 바닥 전반에 위치하게 되는 에어챔버의 탈착과 교환이 가능한 통기성 신발의 체크밸브이다.

Claims (2)

  1. 통기성 신발의 체크밸브에 있어서,
    에어챔버의 배출부(61)를 삽입하여 연결 가능하도록 된 유입부(30)와,
    출구(11)가 수직 상향으로 된 밸브의 몸체(10)와,
    상기 출구 위에 수직으로 놓여져 자체 하중으로 출구를 개폐하도록 된 고무 콕(12)과,
    상기 고무 콕을 지지해주는 스프링(13)과,
    토출구(21)를 갖고 고무 콕과 스프링을 조립 후 결합하게 되는 캡(20)으로 이루어져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 신발의 체크밸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 콕(12)은 출구(11)를 막게 되는 부분이 둥근 형상을 갖는 것과,
    상기의 스프링(13)이 고무 콕의 상면과 캡의 내측 하면에 접하여 고무 콕(12)을 가압하지 않은 상태로 조립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 신발의 체크밸브.
KR20-2003-0036992U 2003-11-27 2003-11-27 통기성 신발의 체크밸브 KR2003431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6992U KR200343127Y1 (ko) 2003-11-27 2003-11-27 통기성 신발의 체크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6992U KR200343127Y1 (ko) 2003-11-27 2003-11-27 통기성 신발의 체크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3127Y1 true KR200343127Y1 (ko) 2004-02-25

Family

ID=49425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6992U KR200343127Y1 (ko) 2003-11-27 2003-11-27 통기성 신발의 체크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312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94923A1 (en) Footwear
US20110167679A1 (en) Shoe with ventilation system obtained by direct injection method on upper and mould therefor
US7328525B2 (en) Shoe with ventilating opening
JPS6331601A (ja) スポ−ツシユ−ズ
US6305099B1 (en) Shoe with air valve for air refreshing system
JP5646742B2 (ja) 空気循環機能を有する靴
KR100664398B1 (ko) 쿠션 및 통풍장치가 내설된 신발
US20110107618A1 (en) Shoe with elastic means
MX2012004898A (es) Zapato con sistema de ventilacion.
US8146268B2 (en) Shoe having an air cushioning system
KR200343127Y1 (ko) 통기성 신발의 체크밸브
KR100695616B1 (ko) 공기순환장치가 설치된 신발
KR200356249Y1 (ko) 통풍용 신발의 체크밸브 구조
KR200352306Y1 (ko) 신발용 에어펌프
FR2769182A3 (fr) Chaussure a bulle d'air
JPH0932943A (ja) アンブレラバルブ
JP3125082U (ja) 履物
JP2008110081A (ja) 履物
KR100367214B1 (ko) 에어쿠션형신발중창
KR20070042434A (ko) 공기순환 신발
JP2918836B2 (ja) 歩くと換気できる靴
KR200261025Y1 (ko) 공기순환깔창
KR20100059148A (ko) 통기 신발 창
KR20020008464A (ko) 신발 구조체
KR200367023Y1 (ko) 공기순환장치가 설치된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1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