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2434A - 공기순환 신발 - Google Patents

공기순환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2434A
KR20070042434A KR1020050121743A KR20050121743A KR20070042434A KR 20070042434 A KR20070042434 A KR 20070042434A KR 1020050121743 A KR1020050121743 A KR 1020050121743A KR 20050121743 A KR20050121743 A KR 20050121743A KR 20070042434 A KR20070042434 A KR 200700424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chamber
suction pipe
way valve
sho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1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동 현 이
Original Assignee
동 현 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 현 이 filed Critical 동 현 이
Publication of KR20070042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24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2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 A43B17/03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filled with a gas, e.g. air
    • A43B17/035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filled with a gas, e.g. air provided with a pump or valv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 A43B7/08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 A43B7/08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holes
    • A43B7/087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holes in the bottom of the so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행 시 족압에 의하여 신발 내부의 오염된 공기는 외부로 배출하고 신선한 공기가 자연 유입되도록 하는 공기 순환 신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에어 펌프는 발 뒤쪽에 설치되는 에어챔버와 앞쪽의 공기를 흡입하게 되는 흡입관과 상기 흡입관 중간의 내측에 설치된 일방향 밸브와 밑창의 뒷굽에 설치된 별도의 체크밸브로 삽입되어지는 배출구를 포함한다.
상기 흡입관은 에어챔버의 외피를 이루는 동질의 얇은 막이 연장되어 에어챔버와 일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일방향 밸브도 동질의 얇은 막으로써 흡입관과 일체로 이루어져 신발 바닥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 신발이다.
또 하나의 밸브에서 흡입과 배출이 일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된 흡배기 일방향 밸브에 상기의 에어펌프에서 흡입관이 없는 단순한 에어챔버만으로 똑같은 작용이 가능하도록 된 공기순환 신발이다.
공기순환 신발, 일방향 밸브, 에어펌프, 구두

Description

공기순환 신발{Air Flowing Shoes}
도 1은 에어펌프의 사시도 및 정면도
도 2는 공기 배출구를 포함한 연결부의 사시도
도 3은 에어펌프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준 평면도 및 측면도
도 4는 공기 흡입관과 차단막으로 된 일방향 밸브 제작 설명도
도 5는 일방향 밸브의 원리 설명도
도 6은 깔창과 에어펌프의 결합도
도 7은 체크 밸브
도 8은 흡배기 일방향 밸브
도 9는 흡배기 일방향 밸브의 다른 실시 예
도 10은 흡배기 일방향 밸브에 흡입관이 없는 에어챔버의 결합도
도 11은 밑창과 중창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12는 밑창, 중창, 깔창의 결합도
************ 도면의 주요 부분의 자세한 설명 ***********
10 : 에어펌프 20 : 에어챔버
21 : 연결부 22 : 공기 배출구
23 : 리브 24 : 공기 배출부
25 : 공기 배출 유도심
30 : 흡입관 31 : 밑판
32 : 윗판 40 : 일방향 밸브의 차단막
41 : 직선부 42 : 측부 용착부
43 : 곡선부 44, 45 : 흡입관 및 차단막 성형 핀
50 : 밑창 51 : 일방향 밸브 설치 홈
52 : 공기 유통 공간 53 : 중간 기둥
54 : 공기 흡입 호스 55 : 중창
56 : 연결부 관통 홀 57 : 공기 흡입구
60 : 깔창 61 : 앞부리 소재
62 : 에어펌프 고정용 덮개 70 : 체크밸브
71 : 연결부 삽입부 72 : 배출 측
73 : 흡입 측 74 : 배출 측 고무 패킹
75 : 흡입 측 고무 패킹 76 : 고무 패킹 고정 돌기
77 : 고정 홀 78 : 외부 삽입 커버
본 발명은 신발 내의 정체된 공기를 보행 시 강제로 배출하고 새로운 공기가 자연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공기순환 신발에 관한 것이다.
신발 내의 습하고 오염된 공기를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면 발 냄새 제거는 물론이고 발의 건강에 도움이 된다는 것은 분명하므로 효과적인 공기순환 신발을 만들고자 다양한 의견들이 제시되어 있지만 실제로 그 효과는 미미해 보인다.
본인의 선 출원된 출원번호 10-2003-0044479, 10-2004-0008458의 경우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원가가 많이 들뿐만 아니라 신발의 바닥 전반에 스프링이나 스폰지 등 탄성체가 깔려 있어 항상 발바닥에 달라붙게 되어 착화감이 좋지 않고 보행 시 헐떡이는 문제점이 있었다.
기존의 신발용 에어펌프에 사용된 일방향 밸브는 공기를 불었을 때 차단은 되는데 흡입이 안 되거나 흡입은 되는데 차단이 잘 안 되는 문제점과 공기 배출시 소리가 나는 문제점이 있어 신발에 적용하기에 적합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또 신발 바닥에 호스가 설치된 경우 그 호스의 두께로 인하여 발바닥에 마치는 느낌이 있어 착화감이 좋지 않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신발 내측 바닥에 설치되며 에어챔버의 앞쪽에 위치하는 공기 흡입관을 얇은 막으로 하여 신발을 신어도 이질감이 없도록 가능한 얇게 하면서 신발 내부의 공기를 효과적으로 흡입 및 차단이 용이한 흡입관과 일방향 밸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또 흡입된 공기는 배출만 되면서 외부의 공기나 물 등 이물질은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체크밸브를 신발 밑창의 뒷굽 부분에 삽입 설치하여 신선한 공기는 신발의 윗부분 즉 발등으로 유입되어 공기 순환이 되도록 하는 신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 상기와 같은 구조의 에어펌프를 제작함에 있어 그 제작 공정을 단순화 하여 비용이 저렴한 공기 순환 신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신발에 적용하기 용이하고 오래 착용하여도 고장이 나지 않는 개선된 체크 밸브와 흡입과 배출을 하나의 밸브에서 이루어지도록 흡배기 일방향 밸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도면을 이용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에어펌프의 사시도와 정면도이고 도 2는 공기 배출구를 포함한 연결부의 사시도이다.
공기를 흡입하여 수용하게 되는 에어챔버(20)는 발 뒤쪽에 위치하게 되며 신발 안쪽의 공기를 흡입하게 되는 흡입관(30)은 에어챔버의 앞으로 길게 연결되어 있고 에어챔버의 뒤쪽 하부에는 아래로 돌출되어 신발 밑창의 체크밸브(70)에 삽입하도록 된 연결부(21)가 마련된다.
상기 흡입관과 에어챔버를 포함한 에어펌프의 외피는 얇은 막의 우레탄, 연질의 PVC, 비닐 등으로 이루어지며 에어챔버의 내부 공간에는 스폰지, 스프링 등으로 충진되어 수축 팽창이 용이하게 된다.
보행 시 가압하였다가 발을 올리면 에어챔버가 팽창하면서 신발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게 되고 다시 가압하게 되면 수축하면서 흡입된 공기를 밖으로 밀어내게 되는데 이와 같은 작용은 흡입관(30) 중간의 얇은 차단막으로 된 일방향 밸브(40)와 신발 밑창 뒷굽에 설치된 체크밸브(70)에 에어펌프의 배출구(21)를 연결함으로서 가능하게 된 것이다.
즉 에어챔버의 양쪽에 체크밸브가 설치되어 앞쪽 흡입관에서는 흡입만 되고 뒤쪽 밑창에서는 배출만 되므로 보행 시 에어챔버가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는 동안 계속하여 신발 내측의 공기를 뽑아내고 발등으로 신선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이다.
이제 상기 에어챔버의 양쪽에 위치한 체크밸브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4 ,5는 흡입관(30)과 흡입관 중간에 차단막을 이용하여 일방향 밸브를 제작하는 순서와 방법 및 일방향 밸브의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는 흡입관이 에어챔버의 외피를 이루는 두 겹의 얇은 막이 연장되어 일체로 이루어지며 신발 바닥에 설치되어 신발을 착용하는 동안 수없이 압착이 가해져도 얇은 이중막이 서로 달라붙지 않아 계속 일정한 형태의 공간이 유지되어 얇은 막 사이로 공기가 잘 통할 수 있고 또 중간에 설치된 차단막(40)이 일방향 밸브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는 최적의 방안으로 흡입관의 단면도 모양을 반달 형태로 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a는 얇은 막의 조각으로 후술하는 방법에 따라 접착하여 완성하면 일방향 밸브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기서는 "차단막"이라 칭한다.
차단막의 평면도는 도 4의 a와 같이 곡선부와 직선부로 되며 곡선부(43)가 에어챔버 쪽으로 향하도록 흡입관의 밑판(31) 위에 놓은 다음 반대쪽의 직선부(41)는 밑판에 용착하여 접착한다(4-b). 다음은 밑면이 평평하고 윗면은 아치형을 이루며 일단은 쇄기 모양으로 된 성형핀(44)을 도 4의 c처럼 차단막의 곡선부(43) 쪽에서 밑판(31)과 차단막(40) 사이에 밀어 넣는다. 또 밑판과 차단막 위에 쇄기 모양이 맞물리게 된 다른 성형핀(45)을 그 반대편에 올려놓는다(4-d). 마지막으로 위판을 밑판에 맞추어 성형핀(44, 45) 위에 올려놓은 다음(4-e) 횡 방향의 가장자리(42)를 용착시켜 접착하면 도 4의 f와 같은 일방향 밸브와 흡입관(30)이 완성되는 것이다.
차단막(40)은 흡입관 내부에서 직선부(41)는 흡입관의 밑판(31)에만 접착이 되고 양 측부(42)는 위 아래판에 동시에 접착되고 곡선부(43)는 윗판에 가까이 위치하되 딱 붙지 않고 근접하여 입을 벌리고 있는 형상 즉 흡입관 내에서 봉투 모양이 된다. 따라서 아무 쪽에도 접착되지 않은 곡선부는 천장에 쉽게 닿았다 떨어졌다 하도록 되어 일방향 밸브가 되는 것이다.
도 5에서 보면 상기와 같이 마련된 흡입관과 일방향 밸브는 도면의 오른쪽에서 바람을 불어 넣으면 입이 벌어진 쪽에 공기가 차서 아치형으로 이루어진 위판(천장)에 차단막의 끝부분(곡선부)이 밀착되어 공기가 왼쪽으로 나가지 못하고 공기압이 없어지면 차단막의 곡선부가 천장에서 떨어지므로 오른쪽에서 흡입하거나 왼쪽에서 바람을 불어 넣으면 공기가 통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에 따르면 차단막의 곡선부가 윗판을 완전하게 막기 위해서는 흡입관의 천장이 아치형을 이루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것과 차단막의 모양 또한 천장으로 향하는 끝부분이 둥근 형상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또 흡입관과 일방향 밸브를 상기와 같은 형태로 제작하기 위해서는 밑면은 평평하고 윗면은 아치형으로 된 길고 납작하며 끝이 아래쪽으로 가늘게 된 쇄기 모양을 하고(44) 다른 하나는 상기의 쇄기 모양과 맞물리도록 위쪽 끝으로 갈수록 얇아진 형태로 된 성형핀(45)이 필요한 것이다.
또 아치형으로 된 흡입관은 밑판과 윗판의 폭이 다르기 때문에 발로 밟아도 약간 찌그러지기는 하지만 서로 달라붙지 않고 변형이 되지 않아 공기의 흡입과 차단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흡입관과 일체로 된 일방향 밸브는 에어챔버쪽으로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가 다시 나가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얇은 막으로 이루어져 신발의 바닥에 설치하여 신발을 신어도 두께가 거의 느껴지지 않기 때문에 전혀 불편하지 않다는 점과 제작이 간단하면서도 일방향밸브의 작용을 확실하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7은 밑창의 뒷굽에 설치되며 에어펌프의 연결부(21)가 삽입되어 에어챔버에서 보내진 공기를 최종적으로 외부에 배출하고 외부의 물이나 공기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체크밸브이며 본인이 선 출원한 20-2003-0036992의 "통기성 신발의 체크밸브"를 개선한 것이다.
선 출원한 체크밸브는 에어챔버에서 보내어진 공기가 스프링으로 눌려진 고무패킹을 열고 나가는 과정에서 방향전환이 많아 벽에 부딪히는 바람소리가 클 뿐만 아니라 구조도 간단치 않아 제작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었는데 본 발명에서는 그러한 단점을 개선한 것이다.
체크밸브의 몸체가 "ㄴ"자로 이루어져 에어챔버의 연결부(21)를 통해 아래로 내려온 공기가 수평으로 1회만 방향전환이 되어 비스듬히 닫혀있는 고무패킹(74)을 열고 바로 외부로 배출되도록 되어 구조도 간단하면서 바람소리도 현저히 줄어들게 되는 체크밸브이다.
상기의 체크밸브에서 출구측이 경사면을 이루어 고무패킹이 비스듬히 닫히도록 한 것은 스프링과 같은 다른 힘에 의하지 않고도 위에 가볍게 놓인 것과 같이 출구가 항상 닫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만약 고무패킹이 스프링으로 밀어주지 않고 수직으로 서있다면 출구측에 밀착되지 않아 걷고 움직이는 동안 수시로 열리게 되어 물이나 이물질이 들어오게 되는 것이다. 이 때 출구측의 경사도는 제작의 편의에 따라 적절하게 하면 될 것이나 적어도 30도 이상은 되어야 본 발명의 취지에 맞는 작용이 가능한 것이다.
고무패킹을 고정하는 방법으로 체크밸브의 경사면 상단에 두개의 고정 돌기(76)를 마련하고 고무패킹의 위쪽에 마련된 두개의 고정 홀(77)을 끼워서 고정하도록 하고 상기의 고정 돌기는 머리 부분이 기둥의 지름보다 약간 크게 이루어져 고무 패킹이 빠지지 않도록 해야 된다.
상기와 같이 고무패킹이 상부에 고정되어 있어 하부측은 작은 압력에도 쉽게 열려 공기가 빠져나가고 바로 닫히게 되는 것이다.
또 도7의 b는 외부와의 차단을 더욱 확실하게 하기 위한 방법으로 고무 패킹을 이중으로 한 것이다.
체크밸브의 배출 측 경사면 부분과 몸통 일부만을 별도로 더 제작하여 고무패킹을 고정한 다음 외부에서 끼워지는 커버(78) 안쪽에 미리 삽입고정한 다음 순서대로 조립하면 되는 것이다.
도 8은 하나의 밸브에서 흡입과 배출이 연속적으로 일방향으로만 이루어지도록 된 흡배기 일방향 밸브이다.
흡입이면 흡입, 배출이면 배출만 일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된 체크밸브에서 한 단계 발전된 것으로 전술한 에어펌프에서 흡입관이 필요 없이 단순한 에어튜브 형태의 에어챔버만으로도 계속적으로 일방향으로 흡입하여 배출이 가능한 것이다.
연결부 삽입부(71)를 중심으로 하여 일측은 배출만 되고 흡입이 안 되도록 고무패킹을 바깥쪽에 설치하고 타측은 흡입만 되고 배출이 안 되도록 고무패킹을 안쪽에 설치하여 에어튜브가 팽창하면 배출부 측 고무패킹(74)은 닫히고 흡입부 측 고무패킹(75)이 열려서 도면의 우측에서 공기가 흡입되고, 반대로 에어튜브가 수축되면서 흡입되었던 공기를 내보내면 흡입부 측 고무패킹(75)이 닫히고 배출부 측 고무패킹(74)이 열리면서 공기가 밖으로 나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에어튜브의 수축 팽창이 반복되는 동안 우측에서 좌측의 일방으로 공기가 흐르게 되는 흡배기 일방향 밸브이다.
또 도면에서는 흡입부와 배출부가 180도로 이루어진 것처럼 보이나 실시 단계에서는 90도 또는 270도가 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며 흡입부 측은 고무패킹을 장착하였을 경우 곡면을 이루어 배출 공기의 마찰저항을 최소화 하도록 하였다.
도 11은 상기의 흡입 배출 겸용 일방향 밸브를 공기 순환 신발에 적용하기 위한 밑창, 중창의 구조도이고 도 12는 밑창, 중창, 깔창의 결합과정을 보인 사시도이다.
먼저 밑창의 구조를 보면 전술한 체크밸브와 같이 밑창의 뒤굽에 흡배기 일방향 밸브 설치 홈(51)이 마련된다. 밑창의 앞쪽은 발의 앞부리가 닿는 부분을 깊이 3-4mm로 넓게 홈을 만들되 중간 중간에 주위와 같은 높이의 기둥(53)을 두고 중창이 함몰되지 않도록 되는 공기 유통 공간(52)을 마련하고 상기의 밸브 설치 홈과 공기 유통 공간의 사이는 호스를 설치하기 위한 골이 마련된다.
중창은 뒷부분에 연결부가 통과하도록 관통 홀(56)을 마련하고 앞부분은 공기 흡입구(57)가 다수 마련된다.
다음에 신발의 바닥에 깔창이 놓이게 되는데 깔창(60)의 뒤쪽 하부에 에어챔버가 결합되고 에어챔버의 연결부(21)가 중창의 관통 홀(56)을 통하여 밑창에 설치된 일방향 밸브에 삽입 고정하여 완성되는 것이다.
상기의 흡입 배출 겸용 일방향 밸브를 이용할 때의 장점은 에어펌프의 흡입관(30)이 필요 없이 에어챔버만으로 공기 순환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흡입관이 있는 경우 앞부분을 밟고 있으면 흡입이 안 되는데 이 경우는 뒤꿈치만 움직여도 공기순환이 잘되는 장점이 있다. 에어챔버의 기능이 약화되어 교환할 경우에도 교환 비용이 저렴하다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발에 의해 계속적으로 짓눌려 압착이 가해지는 에어펌프의 흡입관은 비해 수명이 길다는 장점이 있다.
보통 깔창의 재질로 가죽이나 라텍스, 비닐과 같은 합성재제로 공기가 통하지 않은 것을 많이 사용하는데 그 때는 앞부분에 공기 유통 홀을 마련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공기가 잘 통하는 펠트, 식물성 재질, 망사형태로 제조된 사출물 등으로 앞부분만 별도로 설치하여 골고루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9는 흡배기 일방향 밸브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것으로 삼각기둥 형태의 밸브 몸체에 위쪽으로 세 개의 원형 개구부가 마련된다. 하나는 에어챔버의 연결부 삽입부(71)로 공기의 출입이 자유롭게 되고, 다른 하나는 공기 흡입구(73)로 고무 패킹이 입구 아래쪽에 설치되고, 또 하나는 공기 배출구(72)로 출구의 위쪽에 고무패킹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흡배기 일방향 밸브는 흡, 배기 측에 각각 "ㄱ"자 형태의 엘보우 관을 이용하여 흡입 호스와 외부 삽입 커버(78)를 연결하여 이용하게 된다. A-A', B-B', C-C'의 단면도를 보면 쉽게 알 수 있고 고무패킹을 고정하는 방법도 전술한 고정 돌기에 고무패킹을 삽입하여 고정하게 된다.
도 3은 에어펌프의 또 다른 실시 예로써 앞부분에서 흡입된 공기를 신발 밑창의 체크밸브(70)로 통하지 않고 발을 디딜 때 신발과 발뒤꿈치 사이로 나가도록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공기 순환식 에어펌프는 체크 밸브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기존의 신발 또는 운동화에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앞부분의 흡입관과 일방향 밸브는 전술한 것과 동일하고 아래로 돌출된 연결부(21)를 대신 하는 배출부(24)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에어펌프는 위판과 밑판으로 이루어지므로 탄성체를 포함하여 공기를 수용하는 에어챔버 이외의 부분은 위아래 두 면이 밀착된 것이나 다름없다. 따라서 에어챔버 뒤쪽으로 공기를 배출하고자 하는 부분을 도 3의 a 또는 c와 같이 가장자리를 용착한 다음 적당한 길이로 자르게 되면 에어챔버에서 배출은 가능하지만 흡입 시에는 두면이 붙게 되어 공기의 흡입이 안 되기 때문에 자연 체크 밸브 기능을 가지는 것이다.
도 3의 a), b)는 배출부의 길이가 비교적 짧게 이루어진 것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3의 c), d)는 배출부의 길이가 상당히 길거나 구부러진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때는 공기의 배출이 원활하지 않고 배출 시 소리가 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배출부의 길이를 길게 하고 구부러지게 할 필요가 있는 경우 공기의 배출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공기 배출 유도 심(25)을 집어넣어 배출부 끝 부분에 적당한 길이만큼 밀착이 유지되도록 남겨두고 공기가 쉽게 빠져나갈 수 있게 얇은 막의 간극을 벌려서 공간을 만들어 두는 것이다.
도 2는 에어챔버의 배출구(22)와 연결부(21)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연결부는 별도로 제작되어 에어챔버의 얇은 밑판에 구멍을 내고 그 구멍에 연결부를 삽입한 다음 스펀지와 윗판을 대고 용착하여 에어챔버가 만들어진 것이다. 아래로 돌출된 관은 체크밸브에 삽입되어지고 윗부분은 발뒤꿈치로 구멍을 막아도 공기가 쉽게 빠져나갈 수 있게 넓이 2-3mm, 높이 1mm정도의 리브(23) 살을 배출구(22)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마련하여 공기 흐름이 원활하도록 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에어펌프를 신발의 안창(깔창)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일례를 보여주는 것이다.
안창의 발 끝부분이 닿는 곳은 공기가 통하도록 작은 구멍을 다수 타공하여 본 발명의 에어펌프를 적당한 위치에 놓은 다음 고정용 덮개(62)를 대고 본드 접착하되 앞부분의 타공된 부분은 제외하고 가장자리만 붙여서 발바닥의 공기가 흡입되도록 해야 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기 순환 신발의 핵심은 흡입관과 일체로 된 일방향 밸브와 밑창의 체크밸브와 흡배기 일방향 밸브가 제공됨으로서 완전한 기능을 발휘하는 것이며 본 출원에서는 신발에만 적용하여 설명하였지만 필요하다면 다른 제품에도 유용하게 사용되어질 수 있고 넓은 범위로 응용가능하다 할 것인바 본 발명의 일방향 밸브 또는 체크밸브의 사용처를 신발에만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공기 순환용 에어펌프는 에어챔버의 크기를 조절하여 충분한 양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고 공기 흡입관과 차단막이 얇아서 신발 바닥에 설치할 경우 이질감이 없으며 에어챔버의 위치가 발뒤꿈치 부분에 위치하기 때문에 쿠션 작용을 하여 착화감이 더 좋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 제작 공정 및 방법이 간단하여 제작비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구두, 스포츠화, 캐주얼화, 등산화, 군화 등에도 적용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 도 3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배출용 체크밸브가 설치되지 않은 기존의 신발에 적용한다면 신발 앞부분의 탁한 공기를 발 뒷부분을 통하여 밖으로 배출함으로써 상당 효과를 볼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7)

  1. 겉은 얇은 막으로 이루어지고 내부는 탄력소재로 충진되며 흡입부와 배출부에 각각 일방향 밸브가 설치된 신발의 공기 순환용 에어펌프에 있어서,
    에어챔버의 외피를 이루는 부드럽고 얇은 막이 연장되어 에어챔버와 일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에어챔버의 앞쪽으로 길고 납작한 흡입관(30)이 마련된 것과,
    상기 흡입관 중간 부분의 내측에 흡입관과 동일한 재질의 얇은 차단막(40)이 설치된 것과,
    발뒤꿈치 부분의 에어챔버 하부로 돌출되어 밑창에 설치된 별도의 체크밸브에 삽입할 수 있도록 연결부(21)가 마련된 에어펌프를 이용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 신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의 밑판은 평면을 이루고 위판은 아치형으로 된 것과,
    상기 차단막은 평면이 도4의 a와 같이 직선부와 곡선부로 이루어지며 곡선 부분(43)과 마주보는 직선부(41)는 흡입관의 밑판(31)에 용착하고 양 측면 직선부(42)는 위아래 판(31, 32)에 동시에 용착하고 곡선부(43)는 에어챔버를 향하여 아치형의 위판에 근접하되 달라붙지 않은 상태가 되도록 이루어져 일방향 밸브 작용을 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 신발.
  3. 제1항에 있어서,
    별도의 체크밸브에 삽입하기 위한 연결부(21)가 없고 에어챔버를 중심으로 흡입관의 반대쪽 후반부에 수평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에어챔버의 외피를 이루는 박막의 연장부를 상하면이 밀착된 상태로 측부는 용착되고 끝부분은 터져서 작은 압력으로도 공기가 쉽게 나갈 수 있으나 공기의 유입은 되지 않아 일방향 밸브 역할을 하게 되는 배출부(24)가 마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순환 신발.
  4. 신발에 이용되는 체크밸브에 있어서,
    체크밸브의 몸체는 엘보우 형태로 되며 개구부 일측은 상향으로 하여 에어챔버의 연결부가 삽입되어져 공기 유입구가 되며 90도로 꺾인 수평방향의 개구부는 배출 측으로 출구 외부 단면에 고무패킹을 설치하되 상부는 밀착 고정되고 하부는 외향으로만 열리게 되어 일방향으로 공기가 진행되도록 된 체크밸브를 이용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 신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의 배출구 측과 90도 내지 270도 방향에 다른 개구부가 하나 더 마련되어 내측 단면에 고무패킹을 부착하되 상부는 밀착 고정되고 하부는 내향으로 열리고 닫히게 되어 흡입은 가능하고 배출은 되지 않게 되는 흡입구가 더 마련되어 이루어진 흡배기 일방향 밸브를 이용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 신발.
  6. 제4항과 5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의 배출구 측 단면이 수직에서 30도 내지 50도 기울어서 경사면을 이루는 것과,
    고무패킹 고정면의 상단에 두개의 돌기가 마련되어 고무패킹의 구멍에 끼워서 고정하게 되고 고무패킹의 하부는 부드럽게 열리고 닫히게 되는 일방향 밸브를 이용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 신발.
  7. 신발에 이용되는 체크밸브에 있어서,
    중공형상의 삼각기둥 위쪽으로 세 개의 원형 개구부가 마련되며 상기의 개구부 중 하나는 에어챔버의 연결부 삽입부(71)로 공기의 출입이 자유롭게 되고, 다른 하나는 공기 흡입구(73)로 고무패킹이 입구 하면에 설치되고, 또 하나는 공기 배출구(72)로 출구의 상면에 고무패킹이 설치된 것과,
    상기의 고무패킹은 반원의 일측 가장자리에 서로 근접하여 작은 구멍이 두개 마련되고, 상기의 출구와 입구의 상하면에 각각 마련된 돌기에 끼워서 고정하여 된 흡배기 일방향 밸브를 이용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 신발.
KR1020050121743A 2005-10-18 2005-12-12 공기순환 신발 KR200700424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98087 2005-10-18
KR1020050098087 2005-10-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2434A true KR20070042434A (ko) 2007-04-23

Family

ID=38177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1743A KR20070042434A (ko) 2005-10-18 2005-12-12 공기순환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4243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3773A (ko) * 2021-11-02 2023-05-09 김영교 에어 밸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3773A (ko) * 2021-11-02 2023-05-09 김영교 에어 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26780B2 (ja) 強制通気シューズ
US20060137216A1 (en) Insole and shoe having an insole
US11357283B2 (en) Ventilating shoe capable of being pumped by using outsole
JPH01262801A (ja) 単流空気吹き込み靴及び単流空気吹き込み中敷
KR20070042434A (ko) 공기순환 신발
KR200448371Y1 (ko) 기능성 신발창
KR101058560B1 (ko) 상하분리 결합형 신발창
KR100695616B1 (ko) 공기순환장치가 설치된 신발
KR102093320B1 (ko) 공기순환구조를 갖는 안창
KR100343789B1 (ko) 공기호스가 설치된 신발 깔창
KR200356249Y1 (ko) 통풍용 신발의 체크밸브 구조
US3315379A (en) Air circulating insole
KR200292257Y1 (ko) 깔판 교체식 공기 순환용 깔창
KR200144133Y1 (ko) 신발밑창의 공기 순환구조
KR200352306Y1 (ko) 신발용 에어펌프
KR200440638Y1 (ko) 공기순환 중창을 이용한 신발
KR200479388Y1 (ko) 지압과 통풍기능이 구비된 신발
KR20120106087A (ko) 통풍 신발창
KR200412709Y1 (ko) 통풍구를 가지는 슬리퍼
WO2023199948A1 (ja) 換気機能付き中敷きおよび靴
KR200372085Y1 (ko) 공기순환 기능을 갖는 신발용 깔창
KR20090005895U (ko) 환기구조와 경사면을 형성한 신발의 바닥 창
KR910001210Y1 (ko) 환기와 완충을 겸비한 신발창
KR200238336Y1 (ko) 다수개의 에어 튜브 깔창
CN2788605Y (zh) 换气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