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2926Y1 - 응축수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응축수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2926Y1
KR200342926Y1 KR20-2003-0037962U KR20030037962U KR200342926Y1 KR 200342926 Y1 KR200342926 Y1 KR 200342926Y1 KR 20030037962 U KR20030037962 U KR 20030037962U KR 200342926 Y1 KR200342926 Y1 KR 2003429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ate
case
condensed water
pump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79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일콘트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일콘트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일콘트롤
Priority to KR20-2003-00379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29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29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29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5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by evaporating the condensate in the cooling medium, e.g. in air flow from the conden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4Heater, e.g. gas burner, electric air he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공기조화기기에서 배출되는 응축수를 효과적으로 배출하는 응축수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측에 응축수 탱크를 구비한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 내부에는 응축수 탱크에 모아진 응축수를 배출구를 향해 분무하는 노즐을 구성하되, 상기 배출구에 근접하도록 히터를 형성하여 분무된 응축수가 증발되어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므로서, 공기조화기기에서 배출된 응축수를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응축수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응축수 제거장치{Condensed water removal device}
본 고안은 각종 공기조화기기에서 배출되는 응축수를 효과적으로 배출하는 응축수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기조화기기에서 배출된 응축수를 증발시켜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응축수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공기조화기기가 작동하게되면 열교환 과정에서 일정양의 응축수가 발생하기 마련이며, 이러한 응축수는 공기조화기기의 외부로 배출되고 있다.
응축수 제거장치는 상기 공기조화기기에서 배출되는 응축수를 자동적으로 배출시켜 응축수가 실내로 넘쳐 주변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그러나, 종래의 응축수 제거장치는 대부분이 일정양의 응축수가 모였을때 그 응축수를 외부로 강제배출하는 것이기 때문에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일정길이의 배출용 호스를 구비해야만 하고, 또한 응축수가 건물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경우 배출되는 응축수에 의해 도로를 왕래하는 사람들이 피해를 입게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하측에 응축수 탱크를 구비한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 내부에는 응축수 탱크에 모아진 응축수를 배출구를 향해 분무하는 노즐을 구성하되, 상기 배출구에 근접하도록 히터를 형성하여 분무된 응축수가 증발되어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므로서, 공기조화기기에서 배출된 응축수를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응축수 제거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하부에 응축수탱크가 형성되고, 상단 일측에는 증발된 응축수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증발된 응축수의 원활한 배출을 위한 송풍팬이 장착되어 있는 케이스와;
공기조화기기로부터 배출된 응축수를 응축수탱크로 안내하는 응축수 공급관과;
상기 배출구에 근접하도록 케이스의 내부 상단에 설치되고, 입력전원으로 발열하는 히터와;
응축수 탱크의 응축수 수위가 고수위일때 구동하여 응축수 탱크와 연결된 응축수 흡입호스를 통해 응축수를 펌핑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에 의해 펌핑된 응축수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걸러주는 펌프필터와;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에 설치된 노즐가이드에 취부되고, 펌프에 의해 펌핑된 응축수를 히터를 향해 분무하여 분무된 응축수가 히터의 열에 의해 증발되어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노즐;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응축수 탱크의 상부에는 응축수 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응축수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응축수 필터가 수평방향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일측 하단에 일정각도 상향 경사지게 차단판을 형성하여 증발하지 못한 응축수가 차단판을 따라 케이스 바닥면으로 흘러내리도록 하고, 상기 케이스 바닥에는 흘러내린 응축수를 응축수탱크로 재공급하는 리턴관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응축수 제거장치를 보인 도면.
도 2 는 본 고안의 응축수 제거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구동을 위한 회로도.
도 4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5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구동을 위한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케이스, 2: 응축수,
3: 배출구, 4: 송풍팬,
5: 응축수 공급관, 6: 응축수 필터,
7: 응축수 흡입호스, 8: 펌프필터,
9: 펌프, 10: 노즐,
11: 노즐가이드, 12: 히터,
13: 리턴관, 14: 차단판,
15: 고수위스위치, 16: 저수위스위치,
17: 과열방지스위치, 18: 오버플로우 파이프,
이하,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 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부호 1 은 응축수 제거장치의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를 나타내며, 이 케이스(1)의 하단에는 일정양의 응축수가 저장되는 응축수 탱크(2)가 형성된다.
또한, 케이스(1)의 상단 일측에는 증발된 응축수가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3)가 형성되고, 이와 대향되는 케이스(1)의 상단 일측에는 증발된 응축수의 원활한 배출을 위해 바람을 불어주는 송풍팬(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3)에 근접하도록 'U'자 모양의 히터(12)가 케이스(1) 내부에 설치되어 후설하는 노즐(10)로 부터 분무된 응축수가 상기 히터(12)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증발되어 배출구(3)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케이스(1)에는 수직방향으로 응축수 공급관(5)을 설치하여 공기조화기기에서 배출된 응축수가 응축수 공급관(5)을 통해 유동되어 응축수 탱크(2)에 모아질 수 있도록 하는데, 이때 상기 응축수 탱크(2)의 상단에는 상기 응축수 공급관(5)을통해 공급되는 응축수로부터 이물질을 걸러주기 위한 응축수 필터(6)가수평방향으로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응축수 필터(6)는 용이한 청소를 위해 착탈식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스(1)의 내부 하단에는 노즐가이드(11)에 노즐(10)이 취부되어 있으며, 상기 노즐(10)과 응축수 탱크(2)를 연결하도록 응축수 흡입호스(7)가 형성되고, 상기 응축수 흡입호스(7)의 도중에는 응축수를 노즐(10)로 펌핑하기 위한 펌프(9)와 펌핑되는 응축수로부터 이물질을 걸러주는 펌프필터(8)가 형성된다.
응축수 탱크(2) 내부에는 응축수의 저수위 및 고수위를 감지하는 고수위스위치(15)와 저수위스위치(16)를 형성하여 상기 고수위스위치(15)에 의해 응축수가 감지될때 히터(12), 펌프(9), 송풍팬(4) 등이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케이스(1)의 일측 하단, 더욱 상세하게는 배출구(3)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차단판(14)을 일정각도 상향 경사지게 형성하여 히터(12)에 의해 증발되지 못한 응축수 입자가 상기 차단판(14)을 타고 케이스(1) 바닥면으로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케이스(1)의 바닥면에는 응축수를 응축수탱크(2)로 리턴시키기 위한 리턴관(13)을 형성한다.
그리고 미설명된 도면부호 17은 히터(12)의 과열방지를 위한 과열방지스위치이고, 도면부호 18 은 응축수탱크(2)에 과도한 양의 응축수가 유입되었을때 응축수가 배출되도록 하는 오버플로우 파이프를 나타낸다.
도 3 은 본 고안에 구성된 펌프(9), 히터(12), 송풍팬(4)의 전기적 연결관계를 도시한 것으로서, 복수개의 과열방지 스위치(17) 중 어느 하나가 오프될경우 상기 구성요소가 오프되고, 또한 저수위스위치(16)와 고수위스위치(15)가 모두 온상태일때에만 상기 구성요소가 동작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기조화기로부터 배출된 응축수가 응축수 공급관(5)을 통해 응축수 탱크(2)로 공급되는데, 이때 상기 응축수 공급관(5)으로부터 배출된 응축수는 응축수 필터(6)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걸러지게된다.
한편, 응축수 탱크(2) 내의 수위가 상승하여 고수위스위치(15)에 의해 응축수가 감지되면, 상기 고수위스위치(15)가 온동작함에 따라 송풍팬(4), 펌프(9), 히터(12) 등이 작동하기 시작한다.
상기 펌프(9)가 동작함에 따라 응축수 흡입호스(7)를 통해 응축수가 흡입되어 노즐(10)로 공급되는데, 이때 흡입되는 응축수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이 펌프필터(8)에 의해 걸러져 깨끗한 상태의 응축수만이 노즐(10)로 공급된다.
상기 노즐(10)로 공급된 응축수는 노즐(10)의 분사구를 통해 히터(12) 측으로 분무되는데, 이때 상기 히터(12)는 발열상태이므로 노즐(10)에서 분무된 응축수 입자들은 히터(12)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증발하게되고, 증발된 응축수는 송풍팬(4)에서 발생된 바람에 의해 배출구(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므로서 응축수탱크(2)에 모아진 응축수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노즐(10)에서 분무되었으나 증발되지 못한 응축수 입자는 송풍팬(4)의 바람에 날려 배출구(3)로 배출되지 못하고 하강하여 차단판(14)을 따라 케이스(1) 바닥면으로 흘러내리게되고, 케이스(1) 바닥면으로 흘러내린 응축수는 리턴관(13)을 통해 다시 응축수 탱크(2)로 재공급된다.
상기 설명과같이 동작하는 본 고안의 응축수 제거장치는 응축수탱크(2)에 모아진 응축수를 증발시켜 외부로 배출함에 따라 응축수에 의해 주변이 오염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게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4 내지 도 6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하측에 응축수 저장공간을 구비하고 있는 케이스(21)를 구비하되, 상기 케이스(21)의 상단 일측에는 증발된 응축수의 외부 배출을 위한 배출구(22)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증발된 응축수의 원활한 배출을 위해 바람을 불어주는 송풍팬(23)이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21)의 내부 중앙에는 'U'자 모양의 히터(24)가 응축수에 잠기도록 설치되어 응축수를 증발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21)에는 공기조화기기로부터 배출된 응축수를 케이스(21) 내부로 안내하는 응축수공급관(25)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케이스(21) 내부에 일정수위 이상의 응축수가 저장되지 않도록 하는 수위조절용 오버플로우 파이프(26)가 케이스(21)의 일측에 형성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 27은 배출구(22)로 배출되지 못한 응축수가 다시 케이스(21) 하측으로 흘러내리도록 하는 차단판을 나타내고, 도면부호 28은 히터의 과열방지를 위한 과열방지스위치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응축수에 잠겨있는 히터(24)가 발열하여 응축수를 증발시키고, 증발된 응축수는 송풍팬(23)에서 발생되는 바람에 의해 배출구(2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응축수가 제거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응축수의 양이 적은 공기조화기기에 적용할 수 있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하측에 응축수 탱크를 구비한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 내부에는 응축수 탱크에 모아진 응축수를 배출구를 향해 분무하는 노즐을 구성하되, 상기 배출구에 근접하도록 히터를 형성하여 분무된 응축수가 증발되어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므로서, 공기조화기기에서 배출된 응축수를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응축수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3)

  1. 하부에 응축수탱크가 형성되고, 상단 일측에는 증발된 응축수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증발된 응축수의 원활한 배출을 위한 송풍팬이 장착되어 있는 케이스와;
    공기조화기기로부터 배출된 응축수를 응축수탱크로 안내하는 응축수 공급관과;
    상기 배출구에 근접하도록 케이스의 내부 상단에 설치되고, 입력전원으로 발열하는 히터와;
    응축수 탱크의 응축수 수위가 고수위일때 구동하여 응축수 탱크와 연결된 응축수 흡입호스를 통해 응축수를 펌핑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에 의해 펌핑된 응축수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걸러주는 펌프필터와;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에 설치된 노즐가이드에 취부되고, 펌프에 의해 펌핑된 응축수를 히터를 향해 분무하여 분무된 응축수가 히터의 열에 의해 증발되어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노즐;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 제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탱크의 상부에는 응축수 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응축수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응축수 필터가 수평방향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 제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일측 하단에 일정각도 상향 경사지게 차단판을 형성하여 증발하지 못한 응축수가 차단판을 따라 케이스 바닥면으로 흘러내리도록 하고, 상기 케이스 바닥에는 흘러내린 응축수를 응축수탱크로 재공급하는 리턴관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 제거장치.
KR20-2003-0037962U 2003-12-05 2003-12-05 응축수 제거장치 KR2003429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7962U KR200342926Y1 (ko) 2003-12-05 2003-12-05 응축수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7962U KR200342926Y1 (ko) 2003-12-05 2003-12-05 응축수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2926Y1 true KR200342926Y1 (ko) 2004-02-19

Family

ID=49425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7962U KR200342926Y1 (ko) 2003-12-05 2003-12-05 응축수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292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163B1 (ko) 2006-12-20 2007-04-09 홍순조 유수분리기의 응축수 펌핑장치
KR101399268B1 (ko) 2007-08-17 2014-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처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163B1 (ko) 2006-12-20 2007-04-09 홍순조 유수분리기의 응축수 펌핑장치
KR101399268B1 (ko) 2007-08-17 2014-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67277B1 (en) Evaporative cooling apparatus
US7387664B2 (en) Wet type air cleaner
KR101609512B1 (ko) 습식집진기
KR101390969B1 (ko) 실내온도 저감장치
JPH1124759A (ja) 異常検出装置、空気清浄装置、マイナスイオン発生装置及び加湿器
KR100710055B1 (ko) 에어컨의 증발기 세척 장치
JP5354752B2 (ja) 気流浄化装置
CN104357869A (zh) 具有清洗水吹干功能的带钢清洗装置
CN112842177A (zh) 清洁机器人水箱及清洁机器人
WO2013027383A1 (ja) レンジフード
KR101381450B1 (ko) 열교환기의 고온 고압 세척장치
JP2008119556A (ja) 塗装ブースろ過網の目詰まり防止装置
KR200342926Y1 (ko) 응축수 제거장치
KR101062155B1 (ko) 도로 및 터널 벽면의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JP2020008199A (ja) 空気調和機の洗浄装置
KR100794357B1 (ko) 엘리베이터 에어컨의 응축수 제거시스템
KR20060018557A (ko) 세척수를 이용한 공기조화장치 및 그 공기조화 방법
JP2005080973A (ja) クリーナ
JP2011058690A (ja) 空気調和機
JP2008155732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の洗浄装置及び洗浄方法
JPH0788313A (ja) エアコンディショナー用フィルターの洗浄装置
KR101900081B1 (ko) 온도조절이 가능한 에어 워셔를 구비한 어항
KR200432607Y1 (ko) 냉각탑용 냉각수 이물질 제거 장치
JP2010276218A (ja) 空気調和機及びそのドレンポンプのドレン水吸引部の清掃方法
JPH05118084A (ja) 汚水移送ポンプユニツ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