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2043Y1 - 조명적용 유무선 휠 전원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조명적용 유무선 휠 전원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2043Y1
KR200342043Y1 KR20-2003-0036475U KR20030036475U KR200342043Y1 KR 200342043 Y1 KR200342043 Y1 KR 200342043Y1 KR 20030036475 U KR20030036475 U KR 20030036475U KR 200342043 Y1 KR200342043 Y1 KR 2003420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power supply
wireless
lighting
wi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64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치완
Original Assignee
오치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치완 filed Critical 오치완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20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20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900/00Purpose of invention
    • B60B2900/30Increase in
    • B60B2900/321Lifeti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900/00Purpose of invention
    • B60B2900/50Improvement of
    • B60B2900/541Servic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900/00Purpose of invention
    • B60B2900/50Improvement of
    • B60B2900/571Visibility

Landscapes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회전하는 타이어휠(2)에 전원을 공급하여 조명을 사용할 수 있는 조명적용 유무선 휠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자동차의 구동장치에서 회전하는 디스크허브(12)에 2차코일(8)이 내장된 코일링(16)을 구비하고, 차체에서 공급된 전선(44)이 연결된 1차코일(6)이 내장된 전원뭉치(10)을 코일링(16)과 무접점방식으로 근접시켜 휠(2)의 회전하에서도 전자기유도원리를 통해 전기를 공급하여 조명을 부여하고, 경우에 따라 카본(14)을 통한 접점방식과 팬(30)을 통한 자가발전과 무선컨트롤로도 동일하게 작동을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적용 유무선 휠 전원공급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조명적용 유무선 휠 전원공급장치{Illumination Applicable Wire/Wireless Wheel Electric Power Supply}
본 고안은 회전하는 자동차 타이어휠(2)에 전원을 공급하여 조명을 구여하는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크허브(12)에 2차코일(8)이 내장된 코일링(16)을 구비하고, 차체에서 공급된 전선(44)이 연결된 1차코일(6)이 내장된 전원뭉치(10)를 코일링(16)과 무접점방식으로 근접시켜 휠(2)의 회전하에서도 전자기유도원리를 통해 전기를 공급하여 조명을 부여하고, 카본(14)을 통한 접점방식과 팬(30)을 통한 자가발전과 무선컨트롤로도 동일한 효과를 줄 수 있는 조명적용 유무선 휠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부착된 타이어휠(2)은 차에 기본적으로 구성되는 필수부품으로, 엔진에서 발생한 동력이 차체를 이동시키는데, 직접적인 역할을 한다. 이러한 기능과 성능 이외에 미적인 측면에서도 차의 미관과 품위를 살릴 수 있고 전체적인 자동차디자인의 완성도를 높힐 수 있다.
그런데, 근래에 들어 순정상태의 차량에 만족하지 않고 별도로 제품을 구매하여 자동차의 성능과 외관을 업그레이드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 휠(2)의 디자인적인 면에서도 보다 세련되고 뛰어난 재질의 휠을 별도 장착하는 튜닝시장이 활성화되고 있다.
일반휠의 경우 안전의 측면에서도, 야간운전시 자동차의 옆부분은 측면방향지시등 외에 별다른 조명이 없어 시인성이 좋지 않아 운전자들 서로간 차량을 식별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의 타이어휠(2)에 적용되어 조명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야간에도 휠(2)의 디자인과 재질감을 표현할 수 있으며, 야간운전시 타운전자에게 자신의 위치를 잘 알릴 수 있고 미등, 방향지시등, 비상등과 연결되어 야간안전운전에 도움이 되는 조명적용 유무선 휠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명적용 유무선 휠 전원공급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접점방식을 달리한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4은 본 고안의 자가발전방식의 실시예의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상기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타이어휠 4.디스크로터 6. 1차코일
8. 2차코일 10. 전원뭉치 12. 디스크허브
14. 카본 16. 코일링 16a 전도체홈
18. 비전도체 20. 스프링 22. 콘센트
24. 플러그 26. 전구 28. 반사판
30. 팬 32. 휠캡 34. 발전기
36. 충전지 38. 에어홀 40. 무선송신부
42. 무선수신부 44. 전선 46. 회전축
48. 캘리퍼
본 고안에 따르면, 회전하는 자동차 타이어휠(2)에 전원을 공급하여 조명을 구여하는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크허브(12)에 2차코일(8)이 내장된 코일링(16)을 구비하고, 차체에서 공급된 전선(44)이 연결된 1차코일(6)이 내장된 전원뭉치(10)을 코일링(16)과 무접점방식으로 근접시켜 휠(2)의 회전하에서도 전자기유도원리를 통해 전기를 공급하여 조명을 부여하고, 카본(14)을 통한 접점방식과 팬(30)을 통한 자가발전과 무선컨트롤로도 동일한 효과를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적용 유무선 휠 전원공급장치가 제동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명적용 유무선 휠 전원공급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타이어휠(2)과 차체를 연결하는 디스크허브(12) 외경을 일정부분 단차가공한 후 가공된 단차와 동일한 치수의 링형태의 코일링(16)을 구비하여 가공된 디스크허브(12)에 끼우고, 코일링(16) 내부에 2차코일(8)을 내장한 다음, 2차코일(8)에 연결된 전선(44)을 코일링(16) 옆면에 구비된 콘센트(22)와 결선한다. 이와같이 회전하는 디스크허브(12) 부분에 전기를 공급받을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고, 회전하는 디스크허브(12)와 차체사이를 고정하고 있는 행가축 부분에 차체의 전원과 연결된 1차코일(6)이 내장된 전원뭉치(10)를 부착하고 이를 디스크허브(12)에 구비된 코일링(16)과 무접점식으로 근접시켜 디스크허브(12)가 회전할 때도 1차코일(6)과 2차코일(8)간의 유도기전류 원리를 통해 무접점방식으로 전원이 공급된다.
공급된 전기로 휠캡(32)에 구비된 전구(26)를 작동시킬 수 있으며, 이 때 휠캡(32) 안쪽에 구비된 반사판(28)재질로 적절한 조명연출이 가능하다. ON/OFF 등의 제어는 전선(44)을 차량의 미등과 방향지시등에 연결시켜 이와 연동하게끔 한다. 각각의 코일(6, 8)들은 플라스틱이나 기타 비전도체성질인 전원뭉치(10)와 코일링(16)에 감싸여 있어 물기에 영향을 받지 않아 안정적이다.
도 2는 상기 조명적용 유무선 휠 전원공급장치를 예시한 것으로, 디스크허브(12)에 전원뭉치(10)를 위치시킬 때 디스크로터(4)와 캘리퍼(48)에 간섭을 받지 않는 적당한 위치에 선정한다. 타이어휠(2)의 형태는 휠캡(32)이 너무 튀어나오지 않게끔 약간은 마이너스휠의 형태로 성형되고, 장착과 분해가 쉽도록 디스크허브(12)와 타이어휠(2) 사이의 전선(44) 연결을 콘센트(22)와 플러그(24)로 간편하게 처리하고 휠캡(32)의 장착/분리도 스크류방식이나 일자나사처럼 손으로 일반수공구로도 정비가 가능토록 하여 전구(26) 교환이 쉽도록 한다.
도 3은 상기 조명적용 유무선 휠 전원공급장치에서 접점방식을 달리한 단면도로서, 위와 동일한 조건에서 디스크허브(12) 외경을 일정부분 단차가공한 후 가공된 단차와 동일한 치수로 비전도체(18)링을 구비하여 가공된 디스크허브(12)에 끼우고, 비전도체(18) 외부에 원을 따라 구개의 홈을 가공한 다음 표면이 매끄러운 전도체(구리 등)를 홈안을 따라 구비하고, 차체에 연결된 전원뭉치(10) 내부에 전원단자가 구비되고 스프링(20)이 부착된 카본(14)을 장착하여 회전하는 디스크허브(12)에 구비된 전도체홈(16a)과 맞추어 디스크허브(12)가 회전할 때도 카본(14)과 전도체홈(16a)이 지속적으로 마찰하여 전원이 공급된다. 무접점방식에 비해 물기에 약할 수 있기 때문에 자동차의 바퀴중 구동하지 않는 -전륜구동차의 경우 뒤쪽바퀴- 쪽의 회전축은 비교적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디스크허브(12)가 아닌 차체의 중심부에 가까운 회전축(46)에 이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도 4는 상기 조명적용 유무선 휠 전원공급장치의 응용방식을 예시한 것으로서, 차체 전원과는 별도로 타이어휠(2)에 부착된 휠캡(32)내부에 팬(30)과 발전기(34)와 충전지(36)를 구비하여 차량의 이동할 시 생기는 바람의 힘으로 팬(30)을 작동시켜 이 회전에너지를 전기로 만들어 충전/사용할 수 있다. 이 팬(30)은 차의 이동속도와 휠캡(32)에 성형된 에어홀(38)을 통과한 회오리바람을 통해 충분한 회전에너지를 발생시켜 안정적으로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ON/OFF와 방향지시등 등의 제어는 차체에 구비된 무선송신부(40)와 타이어휠(2)의 무선수신부(42) 상호간에 통신을 주고받아 운전자의 조작에 실시간 반응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크허브(12)나 행가축 등에 가공을 하지 않고도 동일한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도 5은 (A)는 휠캡(32)에 부착된 전구(26)의 형태로서 기본적으로 원반형태의 외곽테두리에 일정한 간격으로 부착되고, 부가적으로 원반형태 중앙에 작은 원형의 전구(26)을 부여한다. 대부분 자동차회사나 휠제조사의 로고가 들어가는 부분이므로 제조사로고 형태 또는 그 주위를 감싸는 듯 조명을 연출할 수 있다. 휠캡(32)안쪽에 반사판(28)을 두어 간접조명의 효과를 줄수 있다.
도(B)(C)는 상기 실시예의 도시한 예시도로서, 도(B)는 본 고안의 자가발전방식에서 타이어휠(2)과 휠캡(32)의 적절한 크기와 비례를 나타낸 것으로 휠캡(32)에 성현된 에어홀(38)에 공기가 흡입되기 위해서 타이어휠(2) 중앙면보다 약간 돌출되어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C)는 타이어를 포함하여 휠(2)과 휠캡(32)의 비례, 조명의 형태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따라서, 자동차의 타이어휠(2)에 조명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야간에도 휠의 디자인과 재질감의 시인성을 높힐 수 있고, 자동차제조사나 휠제조사의 로고를 조명을 통해 부각시킬 수 있으며, 야간운전시 타운전자에게 자신의 위치를 잘 알릴 수 있고, 미등, 방향지시등, 비상등과 연동하여 야간안전운전에 도움이 되며, 은은한 조명연출로 차의 품격을 높혀주며, 부품의 분해조립이 쉬워 자가정비가 가능하며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조명적용 유무선 휠 전원공급장치는 전술한바와 같은 조명사용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전원공급장치를 이용하여 타이어공기압체크, 휠얼라이먼트 체크 등 다양한 용도에 활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자동차의 타이어휠(2)에 적용되어 조명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야간에도 휠의 디자인과 재질감의 시인성을 높힐수 있고, 휠야간운전시 타운전자에게 자신의 위치를 잘 알릴 수 있고, 미등, 방향지시등, 비상등과 연동하여 야간안전운전에 도움이 되며, 차의 품격을 높혀주며, 부품의 분해조립이 쉬워 자가정비가 가능하며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조명적용 유무선 휠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

  1. 자동차의 회전하는 타이어휠(2)에 전원을 공급하여 조명을 부여하는 장치로서,
    회전하는 디스크허브(12) 외경의 일정부분을 단차가공하여 2차코일(8)이 내장된 코일링(16)를 구비하고, 차체에서 공급된 전선(44)이 연결된 1차코일(6)이 내장된 전원뭉치(10)를 코일링(16)과 무접점방식으로 근접시켜 디스크허브(12)의 회전하에서도 전자기유도의 원리로 전기를 공급하여 조명을 부여하고 미등과 방향지시등, 비상등과 연동하여 작동하고, 조명기능 외에도 타이어 공기압체크, 휠얼라이먼트 체크 등의 기능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적용 유무선 휠 전원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장치에서 코일을 통한 무접점방식과 달리 전원뭉치(10)에 카본(14)을 장치하고 디스크허브(12)에 전도체홈(16a)을 성형하여 직접마찰을 통한 접점방식으로 회전하는 휠에 전원을 공급하여 조명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적용 유무선 휠 전원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차체 전원과는 별도로 타이어휠(2)에 부착된 휠캡(32)내부에 팬(30)과 발전기(34)와 충전지(36)를 구비하여 차량의 이동시 생기는 바람으로 팬(30)을 작동시켜 이 회전에너지를 전기로 만들어 충전/사용하며, 차체에 구비된 무선송신부(40)와 타이어휠(2)의 무선수신부(42) 상호간에 통신을 주고 받아 운전자의 조작에 실시간 반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적용 유무선 휠 전원공급장치.
KR20-2003-0036475U 2003-09-24 2003-11-19 조명적용 유무선 휠 전원공급장치 KR20034204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30549 2003-09-24
KR2020030030549 2003-09-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2043Y1 true KR200342043Y1 (ko) 2004-02-14

Family

ID=49424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6475U KR200342043Y1 (ko) 2003-09-24 2003-11-19 조명적용 유무선 휠 전원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204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705B1 (ko) 2014-02-06 2014-11-04 임형락 회전형 무선 전원연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705B1 (ko) 2014-02-06 2014-11-04 임형락 회전형 무선 전원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00035A (en) Wheel lighting apparatus
US20040218397A1 (en) Wheel cover with self generating light arrangement
CN205326911U (zh) 设置在车轮上的光束示廓系统
EP0982154A3 (en) Wheel cover
EP1871643A2 (en) A lighting assembly and a wheel rim including a lighting assembly
WO2005042305A3 (en) Vehicle illumination system
JP2014524862A (ja) 非接触自転車発電機、車両照明システムおよび自転車
US20040257825A1 (en) Light emitting device for use in vehicle wheel
US20060044817A1 (en) Hub light
US20140340917A1 (en) Illuminated Brake Assembly and Wheel Well Accessory
KR200342043Y1 (ko) 조명적용 유무선 휠 전원공급장치
US6923561B2 (en) Vehicle wheel illumination device
US20020172036A1 (en) Automatic power generating device in combination with illumination lamps mounted to wheels
CN103568693B (zh) 一种发光轮毂
ATE272510T1 (de) Radantriebsvorrichtung
KR20100006246U (ko) 자동차 발광휠
CN208112475U (zh) 一种应用于平衡车上的发光轮毂电机
JP3124070U (ja) 車両用発光装置
KR20090030556A (ko) 자동차용 휠 점멸장치
CN208112476U (zh) 一种应用于平衡车上的发光轮毂电机
KR200236263Y1 (ko) 자전거용 자가발전장치를 이용한 안전표시장치
KR200283978Y1 (ko) 바퀴용 발광장치
CN101143543A (zh) 轮子钢圈的闪光装置
US20070268712A1 (en) Automatic light emitting structure for an axle
CN217864519U (zh) 带发光功能的童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