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1574Y1 - 지압 양말 - Google Patents

지압 양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1574Y1
KR200341574Y1 KR20-2003-0027461U KR20030027461U KR200341574Y1 KR 200341574 Y1 KR200341574 Y1 KR 200341574Y1 KR 20030027461 U KR20030027461 U KR 20030027461U KR 200341574 Y1 KR200341574 Y1 KR 2003415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or
socks
acupressure
reflectors
f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74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재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개그몰
홍재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개그몰, 홍재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개그몰
Priority to KR20-2003-00274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15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15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1574Y1/ko
Priority to CNA2004800243281A priority patent/CN1842280A/zh
Priority to PCT/KR2004/002147 priority patent/WO2005018350A1/en
Priority to JP2006524577A priority patent/JP2007503531A/ja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12Means at the upper end to keep the stockings up
    • A41B11/126Means at the upper end to keep the stockings up having friction increasing means
    • A41B11/128Means at the upper end to keep the stockings up having friction increasing means in discontinuous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32Therapeutic use
    • A41B2400/324Acupun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2Feet
    • A61H2205/125Foot reflex z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체의 발 반사구(Foot Reflex Zone)들을 선택적으로 자극하기 위한 지압 양말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열을 가해 만든 액상의 세라믹이 함유된 실리콘을 지압봉 형상의 홈을 가진 틀에 삽입 후 실크인쇄판을 통하여 인쇄한 후 열건조기에 통과시켜서 지압봉(10)이 양말 내측 원단(11)에 부착되거나 또는 접착제에 의해 지압봉(10)이 양말 내측의 양말원단(11)에 부착되며, 상기 부착된 지압봉(10)은 양말 내측으로 돌출하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 지압봉은 복수의 발 반사구(Foot Reflex Zone)들을 선택적으로 자극할 수 있도록 양말의 내측에 다수의 작은 반원형들을 반사구 형상으로 배열하여 선택적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특정 효능에 따라 특정 부위만을 집중적으로 자극함으로써 지압 효능을 극대화하고, 지압봉을 양말에 적용함으로써 발바닥의 반사구 뿐만 아니라 발의 측면이나 발의 안쪽 및 바깥쪽 복사뼈 주위의 반사구들도 자극하여 사용 시 보다 넓은 범위를 집중적으로 지압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지압 양말{A Socks For Pressing the Foot Reflex Zone}
본 고안은 지압 양말, 보다 상세하게는 목적별로 특정 부위의 발 반사구만지압봉이 자극할 수 있도록 배열하여 지압 효과를 극대화한 지압 양말에 관한 것이다.
발에는 인체의 장부가 축소되어 있는데 이 장부의 각 부분, 즉 신장, 심장, 소뇌, 대뇌 등과 연관된 경락과 지압점 들이 분포되어 있다. 이들 경락과 지압점을 서양에서는 발 반사구(Foot Reflex Zone)라 칭하며, 이들 발 반사구에 자극을 가하면 그에 대응하는 인체 즉, 장기의 기능을 조절할 수 있고, 기혈을 조절하여 줌으로 인해 체내의 정기를 증강시켜 면역력을 길러준다. 이로 인해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을 유지시킬 수 있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현대 사회는 대부분 걷기보다는 자동차나 전철 등을 이용함으로써 사람들이 발바닥의 발 반사구를 자극하는 작용도 줄어들고 있는 점에 착안하여 신발의 깔창 등에 지압봉을 설치한 지압신발이 개발되어 왔다.
도 1은 일반적인 지압신발의 형태를 나타낸 도로서, 발바닥의 전면에 걸쳐 지압봉을 배열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도 2는 한국 특허공개번호 2000-0063905호(2000. 11. 06)에 개시된 종래의 지압 신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로서, 부분 지압봉 신발 깔창 및 그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도 2의 (a), (b)에 나타낸 구조는 발바닥 전체에 대해 부분적으로는 지압봉을 설치하고 나머지 부분은 지압봉을 배치하지 않는 형태를 취함으로써 지압봉이 설치된 부분에서의 충격을 설치되지 않은 부분에서 흡수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그러나 도 1 및 도 2의 (a), (b)에 나타낸 종래의 지압 신발은 지압봉의 위치를 무작위로 선택하여 규칙적인 형태로 다수를 배열함으로서 동시에 많은 부분의 발 반사구를 자극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그 효과가 반감하는 문제가 있다. 즉, 인체가 어떤 자극을 받았을 때 인체의 다수 부분에서 그 자극을 나누어 받기 때문에 자극의 효과가 분산되는 문제를 갖는다.
또한, 지압봉은 대부분 작은 원형 구조로서, 지압봉의 위치를 규칙적인 형태로 다수를 배열한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 반사구의 형태는 대부분 그 형상이 다르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작은 원형으로 된 지압봉의 위치를 규칙적인 형태로 다수 배치하여서는 발바닥의 발 반사구를 자극하여 장기의 기능 및 기혈 등을 강하게 조절할 수 없다. 따라서 체내의 정기를 증강시키거나 면역력을 길러 줌으로서 질병의 예방 및 개선에 그 효과를 다 얻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즉,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바닥에는 인체의 장부가 축소되어 있는데 이 장부는 35개의 반사구로 구성되어 있다. 종래의 지압봉은 다수의 반사구들(①신장 반사구, ③수뇨관 반사구, ④방광 반사구, ②부신 반사구,복강신경총 반사구, ⑤전두동 반사구, ⑪목과 근육 반사구, ⑭갑상선 반사구,승모근 반사구,귀 반사구, ⑨코 반사구,위 반사구,담낭 반사구,맹장 반사구 등)을 모두 지압하거나, 또는 반사구 1개만을 지압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목적에 따라 반사구들을 집중적으로 자극할 수 없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 규칙적으로 지압봉을 배치함으로써 자극의 효과가 분산되던 것을 특정 반사구만을 집중적으로 자극하여 비만 억제, 정력 증강 또는 키가 커지는 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지압봉을 양말에 적용함으로써, 종래 지압 신발을 사용할 때 보다 자극 기간 및 자극 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지압 신발의 지압봉 배열 구조를 나타낸 도,
도 2의 (a), (b)는 종래의 지압 신발의 다른 구조를 나타낸 도,
도 3은 발의 반사구 구조를 나타낸 도,
도 4의 (a), (b)는 각각 본 고안의 따라 지압 양말에 적용된 지압봉 구조를 나타낸 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지압봉이 배열되는 반사구를 나타낸 도,
도 6 및 7의 (a),(b),(c),(d),(e),(f),(g)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지압봉이 배열되는 반사구들을 나타낸 도, 및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지압봉이 배열되는 반사구를 나타낸 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지압봉 11: 원단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지압 양말은, 열을 가해 만든 액상의 세라믹 성분을 함유한 실리콘을 지압봉 형상의 홈을 가진 틀에 삽입 후 실크인쇄판을 통하여 인쇄한 후 열건조기에 통과시켜서 지압봉(10)이 양말 내측 원단(11)에 부착되거나 접착제에 의해 지압봉(10)이 양말 내측의 양말원단(11)에 부착되며, 상기 부착된 지압봉(10)은 양말 내측으로 돌출하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 지압봉은 복수의 발 반사구(Foot Reflex Zone)들을 선택적으로 자극할 수 있도록 양말의 내측에 다수의 작은 반원형들을 반사구 형상으로 배열하여 선택적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착제는 실리콘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지압봉(10)은 양말의 내외측에서 적어도 어느 일측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바닥의 발가락 최선단에서 뒷꿈치 최후단 까지의 거리를 25등분하여 순서대로 각 등분별 식별번호를 A∼Y로 명명하고, 발바닥 인사이드 최선단에서 아웃사이드 최후단까지의 거리를 10등분하여 순서대로 각 등분별 식별번호를 1∼10으로 명명할 때,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본반사구 [①신장 반사구 (J5, J6, K5, K6, L5, L6), ③수뇨관 반사구(M4, N4, O3, O4, P3, P4) 및 ④방광 반사구(Q2, Q3, R2, R3, S2, S3)] 에 관련있는 인체 내에서의 기능을 살펴보면, 신장은 심장에서 펌프질하여 나온 혈액이 발끝에 이르면 다시 심장을 향해 올라가는데, 이것은 신장에서 걸러진다. 신장은 노폐물을 걸러내고, 영양분을 심장으로 올려 보내는 기능을 하는 중요한 기관이다. 또한, 수뇨관은 체내에서 만들어진 오줌을 방광까지 운반하거나 체외로 배출하는 관이다. 또한, 방광은 신장에서 보내는 노폐물(오줌 등)을 저장했다가 일정량이 되면 배출시키는 장기이다. ①신장 반사구(J5, J6, K5, K6, L5, L6)는 두 번째와 세 번째 벌가락 아래에 八자 모양으로 교차하는 지점 아래에 오목하게 들어간 곳에 위치해 있다. ④방광 반사구(Q2, Q3, R2, R3, S2, S3)는 양쪽 발 안쪽 복숭아 뼈 아래에 약간 볼록 올라온 곳에 위치해 있다. ③수뇨관 반사구(M4, N4, O3, O4, P3, P4)는 ①신장 반사구 (J5, J6, K5, K6, L5, L6)와 ④방광 반사구(Q2, Q3, R2, R3, S2, S3)를 연결하는 부위에 위치해 있다. 이러한 기본반사구 [①신장 반사구 (J5, J6, K5, K6, L5, L6), ③수뇨관 반사구(M4, N4, O3, O4, P3, P4) 및 ④방광 반사구(Q2, Q3, R2, R3, S2, S3)] 를 자극하면, 신장에서 보내지는 노폐물 (오줌 등)이 수뇨관을 통하여 이동해서 방광을 통하여 배출되게 된다. 즉, 원활하고 빠른 혈액순환으로 노폐물의 이동 및 배출을 활성화하는데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발바닥을 불규칙적이고 임의적으로 자극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반사구들만을 전체적이고 집중적으로 자극함으로써 목적에 따라 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 좌우측 발바닥의 ②부신 반사구(H5, H6), ⑭갑상선 반사구(E3, F3, F4, G4, H4, I3, I4, J2, J3), ⑬부갑상선 반사구(E1, F1 부분에 접하는 발의 인사이드측면 부위를 부분적으로 포함) 및 ⑥뇌하수체 반사구(B2, B3, C2)에 상응하는 부위들과 및 좌측 발바닥에만 있는심장 반사구(I8, I9)를 더 배치하여 이용하면 비만방지 및 다이어트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좌우측 발바닥의 ①신장 반사구 (J5, J6, K5, K6, L5, L6), ③수뇨관 반사구(M4, N4, O3, O4, P3, P4) 및 ④방광 반사구(Q2, Q3, R2, R3, S2, S3)에 상응하는 부위에 배치된 작은 지압돌기들의 지압효과로서 얻어지는 원활하고 빠른 혈액순환으로서 노폐물의 이동 및 배출을 돕는 효과를 기초로 하여, 좌우측 발바닥의 ⑭갑상선 반사구(E3, F3, F4, G4, H4, I3, I4, J2, J3), ⑬부갑상선 반사구(E1, F1) 및 ⑥뇌하수체 반사구(B2, B3, C2) 및생식선 반사구(W4, W5, W6, W7, X4, X5, X6, X7, Y4, Y5, Y6, Y7)와 양발의 외측면쪽 복사뼈 아래 후방에 위치한 ㉮ 생식선 반사구, 양발의 내측면쪽 복사뼈 아래 후방에 위치한 ㉯ 전립선 반사구, 양발의 내측면쪽 전립선 옆에서 아래 방향으로 사선으로 위치한 ㉰ 요도 반사구, 및 양발의 내측면쪽 전립선 아래에 위치한 ㉱ 미골 반사구, 미골 반사구에서 앞쪽으로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 요추 반사구 ㉳ 흉추 반사구 ㉴ 경추 반사구를 집중적으로 자극하면 정력증강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좌우측 발바닥의 ①신장 반사구 (J5, J6, K5, K6, L5, L6), ③수뇨관 반사구(M4, N4, O3, O4, P3, P4) 및 ④방광 반사구(Q2, Q3, R2, R3, S2, S3)에 상응하는 부위에 배치된 작은 지압돌기들의 지압효과로서 얻어지는 원활하고 빠른 혈액순환으로서 노폐물의 이동 및 배출을 돕는 효과를 기초로 하여, 좌우측 발바닥의 ⑥뇌하수체 반사구(B2, B3, C2) 및 ⑩대뇌 반사구(D2, D3)에 상응하는 부위에 지압봉을 더 배치하여 집중적으로 자극하면 아이들이 키가 커지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지압양말의 구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설명의 편의상 발바닥의 발가락 최선단에서 뒷꿈치 최후단 까지의 거리를 25등분하여 순서대로 각 등분별 식별번호를 A∼Y로 명명하고, 발바닥 인사이드 최선단에서 아웃사이드 최후단까지의 거리를 10등분하여 순서대로 각 등분별 식별번호를 1∼10으로 명명하여 각 발 반사구의 위치를 표시한 것이다.
도 4의 (a), (b)는 각각 본 고안의 따라 지압양말에 적용된 지압봉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압봉(10)은 열을 가해 만든 액상의 세라믹 및 실리콘을 지압봉 형상의 홈을 가진 틀에 삽입 후 실크인쇄판을 통하여 인쇄한 후 열건조기에 통과시켜서 지압봉(10)이 양말 내측 원단(11)에 부착되거나 접착제에 의해 양말 내측의 양말원단(11)에 부착되고, 상기 부착된 지압봉(10)은 양말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반원형 형태를 갖는다. 이들 지압봉(10)은 복수의 발 반사구(Foot Reflex Zone)들을 선택적으로 자극할 수 있도록 양말의 내측에 선택적으로 부착되며, 상기 접착제는 실리콘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실리콘의 탄성과 부드러움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다.
또한,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압봉(10)은 양말 외측 원단(11)에 부착되고, 상기 부착된 지압봉(10)은 양말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반원형 형태를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압봉(10)의 부착 방식은 열을 가해 만든 액상의 세라믹 및 실리콘을 지압봉 형상의 홈을 가진 틀에 삽입 후 실크인쇄판을 통하여 인쇄한 후 열건조기에 통과시켜서 지압봉(10)이 양말 내·외측 원단(11)에 부착하거나 접착제에 의해 양말 내·외측의 양말원단(11)에 부착되고, 상기 부착된 지압봉은 양말 외측으로 돌출된 반원형 형상을 갖는다.상술한 본 고안의 양말 내측 혹은 외측에 부착되는 지압봉 제조 및 양말 내,외측에 부착되는 과정을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먼저, 95 중량%인 세라믹과 5 중량%인 실리콘을 혼합한 후, 상기 세라믹과 실리콘에 약 170℃ 정도의 온도로 약 3분정도 열을 가하게 되면 하여 상기 세라믹과 실리콘은 액체 상태로 변화된다. 이때, 사용되는 세라믹은 바이오 세라믹을 거의 90 중량%이상 사용하고 나머지는 PVC을 사용한다. 이와 같이 액체상태로 변환된 세라믹과 실리콘을 지압봉 형상의 홈을 갖는 틀에 삽입하고 실크 인쇄를 통하여 인쇄한 후 열건조기를 통과시키면 상기 액상의 세라믹 및 실리콘은 일정시간이 지나 후 고화되어 양말에 소정의 형상으로 부착되게 된다.
한편, 도 4의 (a) 및 (b)에서, 인체의 발 반사구(Foot Reflex Zone)들에 상응하는 부분에 배치한 지압봉의 형태는 각 반사구의 형상과 거의 유사한 형태로 형성하거나, 다수의 작은 것들을 조합하여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지압봉은 원형 자석, 사각형 자석, 각 반사구의 형태와 유사한 형태로 제작된 자석이나 세라믹 등으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비만 예방 및 다이어트 효과의 지압봉 배치에 대한 도로서, 좌우측 발바닥의 ①신장 반사구 (J5, J6, K5, K6, L5, L6), ③수뇨관 반사구(M4, N4, O3, O4, P3, P4) 및 ④방광 반사구(Q2, Q3, R2, R3, S2, S3)를 기초로하여, 이와 함께, 좌우측 발바닥의 ②부신 반사구(H5, H6), ⑭갑상선 반사구(E3, F3, F4, G4, H4, I3, I4, J2, J3), ⑬부갑상선 반사구(E1, F1 부분에 접하는 발의 인사이드측면 부위를 부분적으로 포함) 및 ⑥뇌하수체 반사구(B2, B3, C2)에 상응하는 부위들과 및 좌측 발바닥에만 있는심장 반사구(I8, I9) 부위에 지압봉을 집중적으로 배치하였다. 특히, ⑬부갑상선 반사구(E1, F1)에 상응하는 부위는 발바닥 뿐만 아니라 E1, F1 부분의 연장선에 접하는 발의 인사이드측면 부위를 부분적으로 포함하기 때문에 이 부분에도 지압봉을 배치하였다.
이하 비만에 관련된 각 반사구들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비만은 섭취하는 영양분에 비하여 육체적 활동을 통한 에너지의 소비가 적은 것이 기본원인이 된다. 즉 식사를 통해 섭취되는 열량이 소비되는 열량보다 많아 여분의 열량이 피하지방 또는 지방조직으로 바뀌어져 몸 안에 정상때보다 많이 축적된 때에 비만증이 된다. 살을 빼고자 하는 사람 중에는 실제로 배나 허벅지, 팔뚝 등 특정 부위의 살이 빠지지 않아 고민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비만증의 대부분은 내분비선의 이상, 또는 내분비선 상호간의 이상에 기인한다. 내분비선이란 척추동물에서 뇌하수체(전엽, 중엽, 후엽), 갑상선, 부갑상선, 부신 등을 들 수 있고, 이러한 내분비선은 서로 간에 활동에 영향을 끼치는 상호작용도 한다. 이러한 내분비선들을 각각 살펴보면, 인체 내에서의 갑상선은 후두의 전면 갑상연골 아래에 위치하며, 심장박동수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체내의 산소량을 조절한다. 갑상선의 기능에 장애가 생기면, 산소소비량이 줄어들고 비만증이 생기며 피부가 건조해지며 동작이 무기력해진다. ⑭갑상선 반사구(E3, F3, F4, G4, H4, I3, I4, J2, J3)는 엄지발가락 밑 중간에서 엄지와 두 번째 발가락 사이에 위치한다. ⑭갑상선 반사구(E3, F3, F4, G4, H4, I3, I4, J2, J3)를 자극하면 갑상선기능 향상을 촉진하여 특히, 비만에 특효가 있다. 인체 내에서의 뇌하수체는 대뇌의 아래 쪽에 위치한 타원체로 된 내분비기관으로 단단하며 크기는 길이 9-11mm, 너비 7-9mm, 높이6-8mm, 무게0.7-0.8g 이다. 뇌하수체는 전엽, 중엽, 후엽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여기에서는 각종 호르몬이 분비되는데 이중 전엽에서 갑상선자극 호르몬이 분비되며, 이 호르몬은 갑상선의 호르몬 생성과 분비를 촉진시키는 작용을 한다. ⑥뇌하수체 반사구(B2, B3, C2)는 엄지발가락 중앙에 지문이 소용돌이치는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⑥뇌하수체 반사구(B2, B3, C2)를 자극하면, 갑상선의 호르몬 생성과 분비를 촉진하는 갑상선자극 호르몬을 분비시킴으로서 비만에 좋은 효과가 있다. 인체 내에서의 부신 및 부갑상선은 자극호르몬이 분비되는 내분비선으로서 갑상선의 활동에 영향을 주는 상호작용을 한다. ②부신 반사구(H5, H6)는 ①신장 반사구 (J5, J6, K5, K6, L5, L6) 바로 위에 위치한다. ⑬부갑상선 반사구(E1, F1)는 엄지발가락 뿌리부분 아래의 오목한 부분에 위치한다. ②부신 반사구(H5, H6)나 ⑬부갑상선 반사구(E1, F1)을 자극함으로서 갑상선의 활동을 활성화시켜 줌으로써 비만방지 및 억제에 좋은 효과가 있다. 또한 인체 내에서의 심장과 비만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비만에 의해 늘은 체중으로 심장의 반복운동이 증가되어 심장기능의 약화와 좌심실의 기능장애를 일으킨다.심장 반사구(I8, I9)는 왼쪽 네 번째 발가락과 새끼 발가락 사이의 아래 볼록한 살 아래 움푹 들어간 곳에 위치한다.심장 반사구(I8, I9)를 자극함으로서 심장기능을 향상시켜 비만에 좋은 효과가 있다.
도 6 및 도 7의 (a),(b),(c),(d),(e),(f),(g)는 본 고안에 따른 정력 증강효과 지압봉의 배치에 대한 도이다. 도 6에는 좌우측 발바닥의 ①신장 반사구 (J5,J6, K5, K6, L5, L6), ③수뇨관 반사구(M4, N4, O3, O4, P3, P4) 및 ④방광 반사구(Q2, Q3, R2, R3, S2, S3)를 기초로 하여, 이와 함께 좌우측 발바닥의 ⑭갑상선 반사구(E3, F3, F4, G4, H4, I3, I4, J2, J3), ⑬부갑상선 반사구(E1, F1) 및 ⑥뇌하수체 반사구(B2, B3, C2) 및생식선 반사구(W4, W5, W6, W7, X4, X5, X6, X7, Y4, Y5, Y6, Y7)에 상응하는 부위들에 지압봉을 배치하였고, 도 7의 (a),(b),(c),(d),(e),(f),(g)에 각각 나타낸 ㉮ 생식선 반사구, ㉯ 전립선 반사구, 및 ㉰ 요도 반사구, ㉱ 미골 반사구, ㉲ 요추 반사구 ㉳ 흉추 반사구 ㉴ 경추 반사구에 상응하는 부위들에 지압봉을 배치하였다.
이하 정력에 관련된 각 반사구들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생식선 반사구(, 가)는 발바닥 뒷꿈치 중앙과 발 바깥쪽 복사뼈 아래 부위에 위치하며, 불면증, 남여 성기능 감퇴, 남여 불임증, 생리불순, 전립선 비대에 효과가 있다.
전립선 반사구(나)는 양발의 안쪽 복사뼈 아래 후방에 위치한며, 이 기관은 여성의 자궁에 해당하는 남성의 기관이다. 전립선을 자극하면, 전립선염, 소변 곤란, 혈뇨증 등에 효과가 있다.
요도 반사구(다)는 양발의 안쪽면 복사뼈 아래에 위치한다. 요도는 오줌 등의 노폐물이 체외로 배출되는 통로로서 배뇨 곤란, 요도명 등에 효과가 있다.
미골 반사구(라)는 전립선 아래에 위치하며, 골반을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요추 반사구(마) 미골 반사구에서 앞쪽으로 일직선상에 위치한다. 요추는 인체 상반신의 중량 전부가 가해지는 곳으로 이를 자극하면 허리가 뻐근할 때나 요통등에 효과가 있다.
흉추 반사구(바)는 요추 반사구에서 앞쪽으로 일직선상에 위치한다. 흉추의 역할은 인체를 지탱하는 것이므로 이를 자극하게 되면, 어깨가 결리고 아플 때, 가슴쪽의 뼈가 아플 때 효과가 있다.
경추 반사구(사)는 엄지발가락의 제1, 제2관절 부위에 위치하며, 인체의 두부 전체를 지탱하며, 머리를 움직일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경추를 자극하면 목이 저리고 아플 때나, 뻐근할 때 효과가 있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키 커지는 효과의 지압봉 배치에 대한 도로서, 좌우측 발바닥의 ①신장 반사구 (J5, J6, K5, K6, L5, L6), ③수뇨관 반사구(M4, N4, O3, O4, P3, P4) 및 ④방광 반사구(Q2, Q3, R2, R3, S2, S3)를 기초로 하여, 이와 함께, 좌우측 발바닥의 ⑥뇌하수체 반사구(B2, B3, C2), ⑩대뇌 반사구(D2, D3)에 상응하는 부위들에 지압봉을 배치하였다.
이하 키 커지는 것에 관련된 각 반사구들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⑥뇌하수체 반사구(B2, B3, C2)는 엄지발가락 중앙에 지문이 소용돌이치는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인체 내에서의 뇌하수체는 대뇌의 아래쪽에 위치한 타원체로 된 내분비기관으로 단단하며 크기는 길이 9-11mm, 너비7-9mm, 높이6-8mm, 무게0.7-0.8g 이다. 뇌하수체는 전엽, 중엽, 후엽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여기에서는 각종 호르몬이 분비되는데 이중 75%를 차지하는 전엽에서 성장촉진 호르몬이 분비되며, 이 호르몬은 발육중인 어린이의 성장을 촉진한다. ⑥뇌하수체 반사구(B2, B3, C2)를 자극하면, 성장촉진 호르몬의 분비를 도와 발육중인 어린이의 성장을 촉진하게 된다. 또한, ⑩대뇌 반사구(D2, D3)는 엄지발가락 중앙에 넓게 분포되어 있는 곳으로, 인체 내에서의 대뇌는 뇌의 약90%를 차지하며 정신상의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즉, 시각, 후각, 미각, 청각과 함께 언어, 창조, 학습, 지각 등의 영역을 주관하는 기능을 형성한다. ⑩대뇌 반사구(D2, D3)를 자극하면 감각 및 운동 등 인간의 정신활동에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지압봉을 특정 목적, 예를 들면 비만, 정력, 키 커지게 하는 목적에 따라 특정 부위의 발 반사구만을 자극시킬 수 있도록 하여 그 지압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지압봉을 양말에 적용함으로써 발바닥의 발 반사구 뿐만 아니라 발등, 복사뼈 부근 등 발 전체에 걸쳐 배치된 반사구들을 효과적으로 자극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구성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8)

  1. 지압봉이 양말 내측의 양말 원단에 부착되며, 상기 부착된 지압봉은 양말 내측으로 돌출하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 지압봉들은 복수의 발 반사구(Foot Reflex Zone)들을 선택적으로 자극할 수 있도록 양말의 내측에 다수의 작은 반원형들을 반사구 형상으로 배열하여 선택적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양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압봉들이 실리콘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양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압봉들이 세라믹이 함유된 실리콘으로 만들어져 직접 양말 원단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양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압봉(10)은 양말의 내외측에서 적어도 어느 일측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하는 지압양말
  5. 발바닥의 발가락 최선단에서 뒷꿈치 최후단 까지의 거리를 25등분하여 순서대로 각 등분별 식별번호를 A∼Y로 명명하고, 발바닥 인사이드 최선단에서 아웃사이드 최후단까지의 거리를 10등분하여 순서대로 각 등분별 식별번호를 1∼10으로 명명할 때, 상기 복수의 발 반사구(Foot Reflex Zone)들이 좌우측 발바닥의 ①신장 반사구 (J5, J6, K5, K6, L5, L6), ③수뇨관 반사구(M4, N4, O3, O4, P3, P4) 및 ④방광 반사구(Q2, Q3, R2, R3, S2, S3)에 상응하는 부위에 다수의 작은 반원형들을 반사구 형상으로 배열하여 지압봉들을 배치한 지압양말.
  6. 제 5항에 있어서,
    좌우측 발바닥의 ②부신 반사구(H5, H6), ⑭갑상선 반사구(E3, F3, F4, G4, H4, I3, I4, J2, J3), ⑬부갑상선 반사구(E1, F1 부분에 접하는 발의 인사이드측면 부위를 부분적으로 포함) 및 ⑥뇌하수체 반사구(B2, B3, C2)에 상응하는 부위들과 및 좌측 발바닥에만 있는심장 반사구(I8, I9)에 상응하는 부위에 다수의 작은 반원형들을 반사구 형상으로 배열하여 지압봉들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양말.
  7. 제 5항에 있어서,
    좌우측 발바닥의 ⑭갑상선 반사구(E3, F3, F4, G4, H4, I3, I4, J2, J3), ⑬부갑상선 반사구(E1, F1) 및 ⑥뇌하수체 반사구(B2, B3, C2) 및생식선 반사구(W4, W5, W6, W7, X4, X5, X6, X7, Y4, Y5, Y6, Y7)와 양발의 외측면쪽 복사뼈 아래 후방에 위치한 ㉮ 생식선 반사구, 양발의 내측면쪽 복사뼈 아래 후방에 위치한 ㉯ 전립선 반사구, 양발의 내측면쪽 전립선 옆에서 아래 방향으로 사선으로 위치한 ㉰ 요도 반사구, 및 양발의 내측면쪽 전립선 아래에 위치한 ㉱ 미골 반사구, 미골 반사구에서 앞쪽으로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 요추 반사구 ㉳ 흉추 반사구 ㉴ 경추 반사구에 상응하는 부위에 다수의 작은 반원형들을 반사구 형상으로 배열하여 지압봉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양말.
  8. 제 5항에 있어서,
    좌우측 발바닥의 ⑥뇌하수체 반사구(B2, B3, C2), ⑩대뇌 반사구(D2, C2)에 상응하는 부위에 다수의 작은 반원형들을 반사구 형상으로 배열하여 지압봉들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양말.
KR20-2003-0027461U 2003-08-26 2003-08-26 지압 양말 KR2003415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7461U KR200341574Y1 (ko) 2003-08-26 2003-08-26 지압 양말
CNA2004800243281A CN1842280A (zh) 2003-08-26 2004-08-26 指压袜子
PCT/KR2004/002147 WO2005018350A1 (en) 2003-08-26 2004-08-26 Acupressure socks
JP2006524577A JP2007503531A (ja) 2003-08-26 2004-08-26 指圧靴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7461U KR200341574Y1 (ko) 2003-08-26 2003-08-26 지압 양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1574Y1 true KR200341574Y1 (ko) 2004-02-11

Family

ID=34214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7461U KR200341574Y1 (ko) 2003-08-26 2003-08-26 지압 양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7503531A (ko)
KR (1) KR200341574Y1 (ko)
CN (1) CN1842280A (ko)
WO (1) WO200501835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9209B1 (ko) * 2011-12-12 2013-09-23 유원 생리통 양말
KR200472926Y1 (ko) 2012-03-21 2014-05-30 임창선 발바닥 지압용 양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519710D0 (en) * 2005-09-28 2005-11-02 Progressive Sports Technologies Ltd Protective lower leg garment
CN102014679A (zh) * 2008-05-02 2011-04-13 道格拉斯·詹姆斯·希尔 服装
JP5805373B2 (ja) * 2010-03-30 2015-11-04 小林製薬株式会社 身体装着具
EP2907405A1 (de) * 2014-02-17 2015-08-19 Jürg Grossenbacher Überzug für eine Extremität des menschlichen Körper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2507U (ja) * 1992-01-20 1993-08-20 臨港製鐵株式会社 健康ソックス
KR960009713U (ko) * 1994-09-29 1996-04-12 김흥국 지압 양말
KR980000204A (ko) * 1996-06-26 1998-03-30 송봉건 발바닥에 구성되어 있는 신체 각 부위별 지압포인트에 따라 한곳의 지압포인트에만 집중적으로 바이오세라믹돌기를 구성시킨 양말
JPH10292205A (ja) * 1997-04-10 1998-11-04 Kanemasu:Kk 靴 下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9209B1 (ko) * 2011-12-12 2013-09-23 유원 생리통 양말
KR200472926Y1 (ko) 2012-03-21 2014-05-30 임창선 발바닥 지압용 양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42280A (zh) 2006-10-04
JP2007503531A (ja) 2007-02-22
WO2005018350A1 (en) 2005-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41574Y1 (ko) 지압 양말
KR100652966B1 (ko) 혈액순환을 위한 지압 양말
KR100595428B1 (ko) 지압 신발
CN103948213B (zh) 一种保健鞋垫
WO2005120430A9 (en) Gold threads for injection in humans and a disposable syringe for injection of the same
WO2016144018A1 (ko) 기능성 신발 깔창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14496B1 (ko) 닥터 팬티
CN102475380A (zh) 多功能足疗装置
CN201189283Y (zh) 保健按摩鞋垫
CN201175433Y (zh) 按摩块可拆装组合的足疗鞋垫
KR100457387B1 (ko) 발맛사지기
KR20160017932A (ko) 공중위생관리법에 의한 피부관리의 미용방법
KR200346307Y1 (ko) 지압 신발
WO2016143940A1 (ko) 성장용 지압밴드
CN203913624U (zh) 一种保健鞋垫
KR200267851Y1 (ko) 발맛사지기
CN218127222U (zh) 一种中草药功能鞋垫
JP3064950U (ja) 健康中敷き及びそれを利用した履物並びに健康器具
CN2296203Y (zh) 可拆开保健脚套垫
KR200390412Y1 (ko) 기능성 신발
CN2457889Y (zh) 多功能按摩理疗鞋垫
CN2657669Y (zh) 穴位按摩鞋
KR100808326B1 (ko) 경혈 경락 소통기
CN2174201Y (zh) 多功能穴疗围腰
KR200171495Y1 (ko) 지압식의천연옥이부설된신발깔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