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6307Y1 - 지압 신발 - Google Patents

지압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6307Y1
KR200346307Y1 KR20-2003-0039982U KR20030039982U KR200346307Y1 KR 200346307 Y1 KR200346307 Y1 KR 200346307Y1 KR 20030039982 U KR20030039982 U KR 20030039982U KR 200346307 Y1 KR200346307 Y1 KR 2003463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upressure
reflector
reflectors
shoes
ro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99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재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개그몰
홍재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개그몰, 홍재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개그몰
Priority to KR20-2003-00399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63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63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63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체의 발 반사구(Foot Reflex Zone)들을 선택적으로 자극하기 위한 지압 신발에 관한 것으로, 발바닥의 다수 반사구 중 일부의 반사구에 상응하는 부분에 지압봉을 배치하되, 적어도 2개 이상의 지압봉이 일체화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발바닥의 다수 반사구 중 적어도 2개 이상이 일체된 반사구에 상응하는 부분에 지압봉을 배치하되, 이 배치되는 지압봉은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분리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특정 효능에 따라 특정 부위만을 집중적으로 자극함으로써 지압 효능을 극대화하고, 다수의 지압봉을 일체화된 형상으로 구성하거나 적어도 2개 이상의 지압봉을 상기 일체된 반사구에 상응하는 부분에 배치하여 구성함으로써 사용 시 보다 넓은 범위를 효과적이면서도 집중적으로 지압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지압 신발{A Shoes For Pressing the Foot Reflex Zone}
본 고안은 지압 신발, 보다 상세하게는 목적별로 특정 부위의 발 반사구에만지압봉을 배치하여 지압 및 자력선에 의한 효과를 극대화한 지압신발에 관한 것이다.
발에는 인체의 장부가 축소되어 있는데 이 장부의 각 부분, 즉 신장, 심장, 소뇌, 대뇌 등과 연관된 경락과 신경반사점 들이 분포되어 있다. 이들 경락과 신경반사점들을 서양에서는 발 반사구(Foot Reflex Zone)라 칭하며, 이들 발 반사구에 자극을 가하면 그에 대응하는 인체 즉, 장기의 기능을 조절할 수 있고, 기혈을 조절하여 줌으로 인하여 체내의 정기를 증강시켜 면역력을 길러준다. 이로 인해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을 유지시킬 수 있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신발은 보행시 발을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기능 외에는 별다른 기능이 없으므로, 이러한 신발은 사람이 보행시 인체의 하중을 받쳐주는 깔창 내지 안창과, 이 깔창 및 안창을 받쳐주는 중창과 상기 중창을 바닥면으로부터 보호하여 주는 밑창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깔창 및 안창은 통상 부드러운 재질의 것으로 만들어 지는데 이러한 깔창 및 안창은 그 내부의 편안함을 제공하기 위해 소정의 쿠션을 갖도록 하는 쿠션제가 내장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신발은 가시적인 물리적인 성질을 이용하여 사람이 편안하게 보행을 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단편적인 기능만이 있으므로 발바닥의 발 반사구를 자극하는 작용으로 건강을 증진할 수 있도록 깔창 등에 지압봉을 설치한 지압신발이 개발되어 왔다.
도 1은 일반적인 지압신발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발바닥의 전면에 걸쳐 지압봉을 배열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도 2a와 도 2b는 한국 특허공개번호 2000-0063905호(2000. 11. 06)에 개시된 종래의 지압 신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부분 지압봉 신발 깔창 및 그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도 2a와 도 2b에 나타낸 구조는 발바닥 전체에 대해 부분적으로는 지압봉을 설치하고 나머지 부분은 지압봉을 배치하지 않는 형태를 취함으로써 지압봉이 설치된 부분에서의 충격을 설치되지 않은 부분에서 흡수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도 2c는 반사구를 무작위로 지정한 종래의 지압 신발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한국 실용공개번호 제91-8471로 (91. 06. 27)에 개시된 종래의 지압신발 일 예를 나타내는 도로써, 자석을 부착한 신발 중창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도 4는 한국 실용공개번호 제94-18812호로 (94. 08. 16)에 개시된 종래의 지압신발 일 예를 나타내는 도로써, 자석을 매설한 신발 중창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도 1, 도 2a, 도 2b, 도 2c,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종래의 지압 신발은 지압봉의 위치를 무작위로 선택하여 규칙 또는 불규칙적인 형태로 다수를 배열함으로서 동시에 많은 부분의 발 반사구를 자극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그 효과가 반감하는 문제가 있다. 즉, 인체가 어떤 자극을 받았을 때 인체의 다수부분에서 그 자극을 나누어 받거나 또는 무작위의 특정부분만이 자극을 받기 때문에 자극의 효과가 분산되는 문제를 갖는다.
또한, 도 1,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낸 지압봉은 작은 원형 구조로서, 지압봉의 위치를 무작위로 선택하여 규칙적인 형태로 다수를 배열한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지압봉은 대부분 원형의 구조로서 경혈점에 대응하는 각 위치에 다수를 배열한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다.
인체의 발바닥 반사구의 기능은 각각 다르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1,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낸 지압봉과 같이 작은 원형으로 된 지압봉의 위치를 무작위로 선택하여 규칙적인 형태로 다수 배치하거나, 도 2c,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경혈점에 대응하는 각 위치에 지압봉을 수개 또는 수십개를 배치하여 많은 부분의 발 반사구를 동시에 자극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그 효과가 반감하는 문제가 있다.
이렇게 무작위로 많은 부분의 발 반사구를 동시에 자극하여서는 장기의 기능 및 기혈 등을 조절할 수 없고 따라서 체내의 정기를 증강시키거나 면역력을 길러줌으로서 질병의 예방 및 개선에 그 효과를 다 얻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도 2c에서와 같이 신체의 각 기관과 교감하는 각각의 반사구를 무작위로 지정하여 그 반사점 부위에만 지압돌기를 형성하여 발 반사구를 자극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그 효과가 반감하는 문제가 있다.
즉, 인체가 어떤 자극을 받았을 때 인체의 다수 부분에서 그 자극을 나누어 받거나 또는 무작위의 특정부분만이 자극을 받기 때문에 자극의 효과가 분산되는 문제를 갖는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 반사구의 형태는 대부분 그 형상이 다르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작은 원형의 지압봉으로는 발바닥의 특정 반사구 전면을 충분하게 자극하지 못하고 부분적으로만 자극하여 그 효과를 다 얻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의 제1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압봉을 특정 목적에 따라 특정 부위의 발 반사구만을 자극시킬 수 있도록 하여 그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는 지압신발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제2 목적은 발바닥의 발 반사구 형상과 유사한 형태의 지압봉을 적어도 2개 이상이 일체화된 것으로 배치하여 특정 반사구의 자극효과를 극대화한 지압 신발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제3 목적은 발바닥의 다수의 반사구 중 단일 및 일체된 반사구에 상응하는 부분에 지압봉을 배치하되, 이 지압봉은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분리하여 상기 반사구 형상과 유사하게 배치함으로서 자극효과를 극대화한 지압신발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지압 신발의 지압봉 배열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a, 도 2b는 종래의 지압 신발의 다른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c는 반사구를 무작위로 지정한 종래의 지압 신발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종래 지압 신발의 지압봉 배열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종래 지압 신발의 지압봉 배열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발바닥에 배열된 반사구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압봉 배열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압봉 배열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압봉 배열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압봉 배열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압봉 배열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압봉 배열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2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압봉 배열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3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압봉 배열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4은 본 고안에 따른 지압봉이 신발의 깔창 또는 내부바닥에 장착되는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5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지압봉이 신발의 깔창 또는 내부바닥에 장착되는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지압봉이 신발의 깔창 또는 내부바닥에 장착되는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7는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지압봉이 신발의 깔창 또는 내부바닥에 장착되는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지압봉 20: 신발 깔창
30: 홈 40: 덮개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첫 번째 기술적 해결 수단은, 인 체의 발 반사구(Foot Reflex Zone)들을 선택적으로 자극하기 위한 지압신발에 있어서, 발바닥의 다수 반사구 중 일부의 반사구에 상응하는 부분에 지압봉을 신발 바닥에 배치하고, 인접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지압봉은 일체화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일체의 지압봉과 분리된 별도의 지압봉을 일부 반사구에 상응하는 부분에 배치하면 보다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의 두 번째 기술적 해결 수단은, 인체의 발 반사구(Foot Reflex Zone)들을 선택적으로 자극하기 위한 지압 신발에 있어서, 좌우측 발바닥의 신장 반사구, 수뇨관 반사구 및 방광 반사구에 상응하는 부위에 지압봉을 배치하면, 원활하고 빠른 혈액순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의 좌우측 발바닥의 신장 반사구, 수뇨관 반사구 및 방광 반사구에 상응하는 부위에 배치된 지압봉으로서 얻어지는 원활한 혈액순환 효과를 기초로 하여,
좌우측 발바닥의 뇌하수체 반사구 및 소뇌 반사구에 상응하는 부위에 지압봉을 더 배치하면, 아이들의 키를 크게 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좌우측 발바닥의 대뇌 반사구에 상응하는 부위에 지압봉을 더 배치하면, 아이들의 두뇌 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좌우측 발바닥의 부신 반사구, 갑상선 반사구, 부갑상선 반사구, 뇌하수체 반사구에 상응하는 부위 및 좌측 발바닥에만 위치한 심장 반사구 부위에 지압봉을 더 배치하면, 비만 방지 및 억제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고안의 세 번째 기술적 해결 수단은, 인체의 발 반사구(Foot Reflex Zone)들을 선택적으로 자극하기 위한 지압 신발에 있어서, 발바닥의 다수 반사구 중 일부의 반사구에 상응하는 부분에 일부의 각 반사구 형상과 유사한 형태의 지압봉을 신발 바닥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네 번째 기술적 해결 수단은, 인체의 발 반사구(Foot ReflexZone)들을 선택적으로 자극하기 위한 지압 신발에 있어서, 발바닥의 다수 반사구 중 일부의 반사구에 상응하는 부분에 지압봉을 신발 내부의 바닥에 배치하고, 인접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지압봉을 발 반사구의 형상과 유사하게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 반사구의 형상과 유사하게 배치된 지압봉과 분리된 별도의 지압봉을 일부 반사구에 상응하는 부분에 배치하면 보다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압봉을 자성체로 구성하면 그 자력선이 체내에 침투하여 혈관에 작용하고 혈액중에 전류가 발생하여 이온(ION)을 증가시키고 혈행을 좋게 하여 신진대사 기능을 좋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의 다섯 번째 기술적 해결 수단은, 인체의 발 반사구(Foot Reflex Zone)들을 선택적으로 자극하기 위한 지압 신발에 있어서, 발바닥의 다수 반사구 중 단일 및 일체된 반사구에 상응하는 부분에 지압봉을 배치하되, 이 지압봉은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분리하여 상기 반사구 형상과 유사하게 배열하여 신발 바닥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지압신발의 구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설명의 편의상 발바닥에 배열된 반사구의 구조를 식별하여 식별번호를 1-35로 명명하여 각 발 반사구의 위치를 표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압봉의 형상 및 배치에 대한 도로서, 선택적으로 좌우측 발바닥의 ①신장 반사구 (K6, K7), ③수뇨관 반사구(L6, M6,N6, O5, O6, P5, Q4), 및 ④방광 반사구(Q3, R3)에 상응하는 부위에 지압봉을 배치하였다. 이때, ①신장 반사구 (K6, K7), ③수뇨관 반사구(L6, M6, N6, O5, O6, P5, Q4), 및 ④방광 반사구(Q3, R3)에 상응하는 지압봉의 형태는 각 반사구의 형상과 거의 유사한 형태를 갖고 있기 때문에 충분히 반사구 전체에 걸쳐 자극을 줄 수 있다. 또한, 각 반사구에 상응하는 지압봉은 일체로 형성되어 구조적 강도와 넓은 범위를 효과적으로 지압할 수 있는 기능을 향상시켰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본반사구 [①신장 반사구 (K6, K7), ③수뇨관 반사구(L6, M6, N6, O5, O6, P5, Q4), 및 ④방광 반사구(Q3, R3)] 와 관련있는 인체 내에서의 신장은 심장에서 펌프질하여 나온 혈액이 발끝에 이르면 다시 심장을 향해 올라가는데, 이 혈액은 신장에서 걸러지게 한다.
신장은 노폐물을 걸러내고, 영양분을 심장으로 올려 보내는 기능을 하는 중요한 기관이다. 또한, 수뇨관은 체내에서 만들어진 오줌을 방광까지 운반하거나 체외로 배출하는 관이다. 또한, 방광은 신장에서 보내는 오줌을 저장했다가 일정량이 되면 배출시키는 장기이다.
①신장 반사구(K6, K7)는 두 번째와 세 번째 벌가락 아래에 八자 모양으로 교차하는 지점 아래에 오목하게 들어간 곳에 위치해 있다. ④방광 반사구(Q3, R3)는 양쪽 발 안쪽 복숭아 뼈 아래에 약간 볼록 올라온 곳에 위치해 있다. ③수뇨관 반사구(L6, M6, N6, O5, O6, P5, Q4)는 ①신장 반사구 (K6, K7)와 ④방광 반사구(Q3, R3)를 연결하는 부위에 위치해 있다.
이러한 기본반사구 [①신장 반사구 (K6, K7), ③수뇨관 반사구(L6, M6, N6,O5, O6, P5, Q4), 및 ④방광 반사구(Q3, R3)] 를 자극하면, 신장에서 보내지는 노폐물 (오줌 등)이 수뇨관을 통하여 이동해서 방광을 통하여 배출되게 된다. 즉, 원활하고 빠른 혈액순환으로 노폐물의 이동 및 배출을 활성화하는데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발바닥을 불규칙적이고 임의적으로 자극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반사구들만을 전체적이고 집중적으로 자극함으로써 목적에 따라 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서 좌우측 발바닥의 ⑥뇌하수체 반사구(B2) 및 ⑦소뇌 반사구(C3)에 상응하는 부위에 지압봉을 더 배치하여 이용하면 아이들의 성장 촉진에 도움을 줄 수 있다.
⑥뇌하수체 반사구(B2)는 엄지발가락 중앙에 지문이 소용돌이치는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인체 내에서의 뇌하수체는 여러 가지 호르몬을 생성해주는 내분비기관으로서 특히, 성장호르몬(성장을 촉진하는 호르몬)을 분비하여 어린이 성장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⑥뇌하수체 반사구(B2)를 자극하면, 성장촉진 호르몬의 분비를 도와 발육중인 어린이의 성장을 촉진하게 된다.
또한, ⑦소뇌 반사구(C3)는 엄지발가락 내측의 하단에 분포되어 있는 곳으로, 인체 내에서의 소뇌는 평형감각과 운동감각을 주관하는 중요한 기관으로, 어린이의 운동감각을 발달시켜 근육이나 골격이 올바르게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압봉의 형상 및 배치에 대한 도로서, 좌우측 발바닥의 ①신장 반사구 (K6, K7), ③수뇨관 반사구(L6, M6, N6, O5, O6, P5, Q4), 및 ④방광 반사구(Q3, R3)와 함께, ⑩대뇌 반사구(C2)에 상응하는 부분에 지압봉을 배치하면, 아이들의 머리를 좋게 하는 효과가 있다. ⑩대뇌 반사구(C2)는 엄지발가락 중앙 아래에 넓게 위치하고 있다. 인체내에서 대뇌는 시각, 후각, 미각, 청각과 함께 언어, 창조, 학습, 지각 등의 영역을 주관하는 기관으로서 어린이 두뇌를 발달시킴으로서 학습능력을 증가시켜준다.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압봉의 형상 및 배치에 대한 도로서, 좌우측 발바닥의 ①신장 반사구 (K6, K7), ③수뇨관 반사구(L6, M6, N6, O5, O6, P5, Q4), 및 ④방광 반사구(Q3, R3)와 함께, 좌우측 발바닥의 ②부신 반사구(J6), ⑭갑상선 반사구(E3, E4, F4, G4, H4, I3, I4, J2, J3), ⑬부갑상선 반사구(F2), ⑥뇌하수체 반사구(B2)에 상응하는 부위 및 좌측 발바닥에만 나타나 있는심장 반사구(K9) 부위에 지압봉을 더 배치하면, 비만 방지 및 억제에 효과가 있다.
비만은 섭취하는 영양분에 비하여 육체적 활동을 통한 에너지의 소비가 적은 것이 기본원인이 된다. 즉 식사를 통해 섭취되는 열량이 소비되는 열량보다 많아 여분의 열량이 피하지방 또는 지방조직으로 바뀌어져 몸 안에 정상 때보다 많이 축적된 때에 비만증이 된다.
살을 빼고자 하는 사람 중에는 실제로 배나 허벅지, 팔뚝 등 특정 부위의 살이 빠지지 않아 고민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비만증의 대부분은 내분비선의 이상, 또는 내분비선 상호간의 이상에 기인한다.
내분비선이란 척추동물에서 뇌하수체(전엽, 중엽, 후엽), 갑상선, 부갑상선, 부신 등을 들 수 있고, 이러한 내분비선은 서로 간에 활동에 영향을 끼치는 상호작용도 한다.
이러한 내분비선들을 각각 살펴보면, 인체 내에서의 갑상선은 후두의 전면 갑상연골 아래에 위치하며, 심장박동수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체내의 산소량을 조절한다. 갑상선의 기능에 장애가 생기면, 산소소비량이 줄어들고 비만증이 생기며 피부가 건조해지며 동작이 무기력해진다.
⑭갑상선 반사구(E3, E4, F4, G4, H4, I3, I4, J2, J3)는 엄지발가락 밑 중간에서 엄지와 두 번째 발가락 사이에 위치한다. ⑭갑상선 반사구(E3, E4, F4, G4, H4, I3, I4, J2, J3)를 자극하면 갑상선기능 향상을 촉진하여 특히, 비만에 특효가 있다.
인체 내에서의 뇌하수체는 대뇌의 아래쪽에 위치한 타원체로 된 내분비기관이다. 뇌하수체는 전엽, 중엽, 후엽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여기에서는 각종 호르몬이 분비되는데 이중 전엽에서 갑상선자극 호르몬이 분비되며, 이 호르몬은 갑상선의 호르몬 생성과 분비를 촉진시키는 작용을 한다.
⑥뇌하수체 반사구(B2)는 엄지발가락 중앙에 지문이 소용돌이치는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⑥뇌하수체 반사구(B2)를 자극하면, 갑상선의 호르몬 생성과 분비를 촉진하는 갑상선자극 호르몬을 분비시킴으로서 비만에 좋은 효과가 있다.
인체 내에서의 부신 및 부갑상선은 자극호르몬이 분비되는 내분비선으로서 갑상선의 활동에 영향을 주는 상호작용을 한다. ②부신 반사구(J6)는 ①신장 반사구 (K6, K7) 바로 위에 위치한다. ⑬부갑상선 반사구(F2)는 엄지발가락 뿌리부분 아래의 오목한 부분에 위치한다.
②부신 반사구(J6)나 ⑬부갑상선 반사구(F2)을 자극함으로서 갑상선의 활동을 활성화시켜 줌으로써 비만방지 및 억제에 좋은 효과가 있다.
또한 인체 내에서의 심장과 비만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비만에 의해 늘은 체중으로 심장의 반복운동이 증가되어 심장기능의 약화와 좌심실의 기능장애를 일으킨다.
심장 반사구(K9)는 왼쪽 네 번째 발가락과 새끼 발가락 사이의 아래 볼록한 살 아래 움푹 들어간 곳에 위치한다.심장 반사구(K9)를 자극함으로서 심장기능을 향상시켜 비만에 좋은 효과가 있다.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압봉의 형상 및 배치에 대한 도로서, 선택적으로 좌우측 발바닥의 ①신장 반사구 (K6, L6), ③수뇨관 반사구(M6, O6, P5), 및 ④방광 반사구(Q3, R3)에 상응하는 부위에 반사구의 형상과 유사한 형태로 적어도 2개 이상의 지압봉을 배열하여 배치하였다.
이때, ①신장 반사구 (K6, L6), ③수뇨관 반사구(M6, O6, P5) 및 ④방광 반사구(Q3, R3)에 상응하는 지압봉의 배열 형태는 각 반사구의 형상과 거의 유사한 형태를 갖고 있기 때문에 충분히 반사구 전체에 걸쳐 자극을 줄 수 있고, 넓은 범위를 효과적으로 자극할 수 있는 기능을 향상시켰다.
또한, 도 11에서 좌우측 발바닥의 ⑥뇌하수체 반사구(B2), 및 ⑦소뇌 반사구(C3)에 상응하는 부위에 지압봉을 더 배치하여 이용하면 아이들의 성장 촉진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2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압봉의 형상 및 배치에 대한 도로서, 좌우측 발바닥의 ①신장 반사구 (K6, L6), ③수뇨관 반사구(M6, O6, P5), 및 ④방광 반사구(Q3, R3)를 기초로 하여, 이와 함께 ⑩대뇌 반사구(C2)에 상응하는 부분에 지압봉을 배치하면, 아이들의 머리를 좋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압봉의 형상 및 배치에 대한 도로서, 좌우측 발바닥의 ①신장 반사구 (K6, L6), ③수뇨관 반사구(M6, O6, P5), 및 ④방광 반사구(Q3, R3)를 기초로 하여, 이와 함께, 좌우측 발바닥의 ②부신 반사구(J6), ⑭갑상선 반사구(E3, E4, G4, I4, J2, J3, J1), ⑬부갑상선 반사구(F1, F2), ⑥뇌하수체 반사구(B2)에 상응하는 부위 및 좌측 발바닥에만 나타나있는심장 반사구(K9) 부위에 지압봉을 더 배치하면, 비만 방지 및 억제에 효과가 있다.
도 14 내지 도 1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 발 반사구에 상응하는 부위에 지압봉(10)을 삽입하기 적합한 홈(30)이 형성되어 있다. 이는 지압봉(10)이 특정 반사구에서 용이하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위하여 지압봉(10)을 홈(30)에 삽입한 후 덮개(40)를 부착하여 사용하면 된다. 또한, 상기 지압봉을 자성체로 제작함으로서 발바닥에 배열된 반사구에 자력선을 부여하고 그 자력선은 체내에 침투하여 혈관에 작용하고 혈액중에 전류가 발생하여 이온(ION)을 증가시키고 혈행을 좋게 하며 신진대사 기능을 활성화한다.
또한 상기 지압봉을 게르마늄, 세라믹, 옥 등의 광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제작함으로서 발바닥에 배열된 반사구에 대해 원적외선을 방사할 수도 있다.
또한, 지압봉은 그 표면이 설치된 장소인 깔창 또는 신발의 내부 바닥면의표면 위로 돌출되거나 함몰되게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지압봉을 특정 목적, 예를 들면 혈액순환 개선, 성장촉진, 비만억제, 두뇌개선의 목적에 따라 특정 부위의 발 반사구만을 자극시킬 수 있도록 하여 그 지압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발바닥의 발 반사구 형상과 유사한 형태의 지압봉을 배치하여 특정 발 반사구의 전면을 자극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지압봉을 자성체나 게르마늄, 세라믹, 옥 등의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제작함으로서 발바닥에 배열된 반사구에 자력선이나 원적외선을 부여하고 그 자력선은 체내에 침투하여 혈관에 작용하고 혈액중에 전류가 발생하여 이온(ION)을 증가시키고 혈행을 좋게 하며 신진대사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2개의 이상의 지압봉을 배치하되, 인접하는 지압봉을 일체화하여 반사점에 대한 지압효과 및 지압봉의 구조적 강도 강화할 수 있고, 일체화된 지압봉은 특정반사구의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또한, 다수의 지압봉의 배치를 발바닥 반사구의 형상과 유사하게 적어도 2개 이상 배열하여 일체되게 구성하거나, 발바닥의 다수의 반사구 중 단일 및 일체화된 반사구에 상응하는 부분에 지압봉을 배치하되, 이 지압봉은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분리하여 상기의 반사구 형상과 유사한 형태로 배열함으로서 발바닥 반사구의 자극면적을 확대하고 지압효과를 극대화하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9)

  1. 인체의 발 반사구(Foot Reflex Zone)들을 선택적으로 자극하기 위한 지압 신발에 있어서,
    발바닥의 다수 반사구 중 일부의 반사구에 상응하는 부분에 지압봉을 신발 내측의 바닥에 배치하고, 인접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지압봉은 일체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 신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의 지압봉과 분리된 별도의 지압봉이 일부 반사구에 상응하는 부분에 배치된 지압 신발.
  3. 인체의 발 반사구(Foot Reflex Zone)들을 선택적으로 자극하기 위한 지압 신발에 있어서,
    발바닥의 발가락 최선단에서 뒷꿈치 최후단 까지의 거리를 25등분하여 순서대로 각 등분별 식별번호를 A~Y로 명명하고, 발바닥 인사이드 최선단에서 아웃사이드 최후단까지의 거리를 10등분하여 순서대로 각 등분별 식별번호를 1~10으로 명명할 때, 좌우측 발바닥의 ①신장 반사구 (K6, K7), ③수뇨관 반사구(L6, M6, N6, O5, O6, P5, Q4), 및 ④방광 반사구(Q3, R3)에 상응하는 부위에 지압봉을 배치한 지압 신발.
  4. 제 3항에 있어서,
    좌우측 발바닥의 ⑥뇌하수체 반사구(B2), 및 ⑦소뇌 반사구(C3)에 상응하는 부위에 지압봉이 더 배치된 지압 신발.
  5. 제 3항에 있어서,
    좌우측 발바닥의 ⑩대뇌 반사구(C2)에 상응하는 부위에 지압봉이 더 배치된 지압 신발.
  6. 제 3항에 있어서,
    좌우측 발바닥의 ②부신 반사구(J6), ⑭갑상선 반사구(E3, E4, F4, G4, H4, I3, I4, J2, J3), ⑬부갑상선 반사구(F2), ⑥뇌하수체 반사구(B2)에 상응하는 부위 및 좌측 발바닥에만 위치하는심장 반사구(K9) 부위에 지압봉이 더 배치된 지압신발.
  7. 제 3항에 있어서,
    좌우측 발바닥의 ①신장 반사구 (K6, K7), ③수뇨관 반사구(L6, M6, N6, O5, O6, P5, Q4), 및 ④방광 반사구(Q3, R3)에 상응하는 부위에 배치된 지압봉이 일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 신발.
  8. 제 6항에 있어서,
    좌우측 발바닥의 신장 반사구 (K6, K7), 수뇨관 반사구(L6, M6, N6, O5, O6, P5, Q4), 및 방광 반사구(Q3, R3), 및 부신 반사구(J6)에 상응하는 부위에 배치된 지압봉이 일체이고, 갑상선 반사구(E3, E4, F4, G4, H4, I3, I4, J2, J3)에 상응하는 부위에 배치된 지압봉이 일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 신발.
  9. 인체의 발 반사구(Foot Reflex Zone)들을 선택적으로 자극하기 위한 지압 신발에 있어서,
    발바닥의 다수 반사구 중 일부의 반사구에 상응하는 부분에 일부의 각 반사구 형상과 유사한 형태의 지압봉을 신발 내측의 바닥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 신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지압봉이 일체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 신발.
  11. 인체의 발 반사구(Foot Reflex Zone)들을 선택적으로 자극하기 위한 지압 신발에 있어서,
    발바닥의 다수 반사구 중 단일 및 일체된 반사구의 상응하는 부분에 지압봉을 배치하되, 이 지압봉은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분리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지압 신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반사구에 상응하도록 배치된 지압봉들은 그 크기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 신발.
  13. 인체의 발 반사구(Foot Reflex Zone)들을 선택적으로 자극하기 위한 지압 신발에 있어서,
    발바닥의 발가락 최선단에서 뒷꿈치 최후단 까지의 거리를 25등분하여 순서대로 각 등분별 식별번호를 A~Y로 명명하고, 발바닥 인사이드 최선단에서 아웃사이드 최후단까지의 거리를 10등분하여 순서대로 각 등분별 식별번호를 1~10으로 명명할 때, 좌우측 발바닥의 ①신장 반사구 (K6, K7), ③수뇨관 반사구(L6, M6, N6, O5, O6, P5, Q4), 및 ④방광 반사구(Q3, R3)가 일체된 반사구에 상응하는 부분에 지압봉을 배치하되, 이 지압봉은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분리되어 상기 일체된 반사구의 형상과 유사하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 신발.
  14. 제 13항에 있어서,
    좌우측 발바닥의 ⑥뇌하수체 반사구(B2) 및 ⑦소뇌 반사구(C3)에 상응하는 부위에 지압봉이 더 배치된 지압 신발.
  15. 제 13항에 있어서,
    좌우측 발바닥의 ⑩대뇌 반사구(C2)에 상응하는 부위에 지압봉이 더 배치된 지압 신발.
  16. 제 13항에 있어서,
    좌우측 발바닥의 ②부신 반사구(J6), ⑭갑상선 반사구(E3, F4, G4, I4, J2, J3, J1), ⑬부갑상선 반사구(F1, F2), ⑥뇌하수체 반사구(B2)에 상응하는 부위 및 좌측 발바닥에만 위치하는심장 반사구(K9) 부위에 지압봉이 더 배치된 지압 신발.
  17. 제 13항에 있어서,
    좌우측 발바닥의 ①신장 반사구 (K6, L6), ③수뇨관 반사구(M6, O6, P5) 및 ④방광 반사구(Q3, R3)에 상응하는 부위에 배치된 지압봉이 상기 일체된 반사구의 형상과 유사하게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 신발.
  18. 제 14항에 있어서,
    좌우측 발바닥의 ⑥뇌하수체 반사구(B2) 및 ⑦소뇌 반사구(C3)에 상응하는 부위에 배치된 지압봉이 상기 반사구의 형상과 유사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 신발.
  19. 제 16항에 있어서,
    좌우측 발바닥의 ①신장 반사구 (K6, L6), ③수뇨관 반사구(M6, O6, P5) 및 ④방광 반사구(Q3, R3) 및 ②부신 반사구(J6)에 상응하는 부위에 배치된 지압봉이 반사구의 형상과 유사하게 배열되고, ⑭갑상선 반사구(E3, F4, G4, I4, J2, J3, J1)에 상응하는 부위에 배치된 지압봉이 반사구의 형상과 유사하게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 신발.
KR20-2003-0039982U 2003-12-23 2003-12-23 지압 신발 KR2003463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982U KR200346307Y1 (ko) 2003-12-23 2003-12-23 지압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982U KR200346307Y1 (ko) 2003-12-23 2003-12-23 지압 신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0361A Division KR100595428B1 (ko) 2002-11-14 2003-11-13 지압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6307Y1 true KR200346307Y1 (ko) 2004-03-30

Family

ID=49427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9982U KR200346307Y1 (ko) 2003-12-23 2003-12-23 지압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630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7006B1 (ko) 막대자석이 구비된 깔창
KR100595428B1 (ko) 지압 신발
KR200346307Y1 (ko) 지압 신발
KR200341574Y1 (ko) 지압 양말
KR101307598B1 (ko) 지압볼이 내장된 탄성스프링이 구성된 신발창
KR200431316Y1 (ko) 지압용 신발 및 깔창
CN2548441Y (zh) 按摩保健鞋
CN205359727U (zh) 一种自动矫正脊柱的健康负跟鞋
CN218832118U (zh) 一种具有旋磁按摩功能的鞋垫
KR100652966B1 (ko) 혈액순환을 위한 지압 양말
CN211882513U (zh) 一种鞋垫
CN215737191U (zh) 近视专用鞋垫及近视专用鞋
CN2458898Y (zh) 益智助长按摩鞋垫
CN2149119Y (zh) 儿童保健鞋的鞋底
CN2247960Y (zh) 磁力药物按摩鞋
CN202095527U (zh) 一种保健袜
KR20100137915A (ko) 발가락 부위를 지압하여 혈류 흐름을 개선한 기능성 토캡
CN2925456Y (zh) 自然脚底按摩鞋
CN2295353Y (zh) 治疗保健按摩鞋
CN2457889Y (zh) 多功能按摩理疗鞋垫
KR200171495Y1 (ko) 지압식의천연옥이부설된신발깔창
CN2126969Y (zh) 一种足底按摩鞋
KR200404230Y1 (ko) 지압용 깔창
CN2297883Y (zh) 少儿保健鞋
CN115633828A (zh) 一种具有旋磁按摩功能的鞋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