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1420Y1 - 체크밸브 - Google Patents

체크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1420Y1
KR200341420Y1 KR20-2003-0035862U KR20030035862U KR200341420Y1 KR 200341420 Y1 KR200341420 Y1 KR 200341420Y1 KR 20030035862 U KR20030035862 U KR 20030035862U KR 200341420 Y1 KR200341420 Y1 KR 2003414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ck valve
outlet member
contact
poppet
fi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58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종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엠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엠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엠티
Priority to KR20-2003-00358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14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14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14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ck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체크밸브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특히 체크밸브 내부를 흐르는 유체나 기체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그 구조를 개선한 것이며 이를 위해, 좌우로 관통되어진 인렛부재(10)와 아웃렛부재(20)가 체결되며 상기 아웃렛부재의 내부에는 포펫(23)이 스프링(22)에 의해 지지되어져 있고, 상기 아웃렛부재로부터 돌출된 포펫의 단부와 맞닿는 오링(12)이 상기 인렛부재의 내부에 갖추어져, 공급되는 유체압에 따라 상기 포펫이 개폐되는 체크밸브에 있어서, 원형링 형상으로서 일측단부의 돌출부(35)가 상기 오링(12)과 맞닿도록 상기 인렛부재의 내부에 설치되는 가압체(30)와; 일측면이 상기 가압체(30)와 맞닿게되며 타측면은 상기 아웃렛부재(20)와 맞닿게되는 원형링 형상을 가지는 충진체(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유체의 누설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함을 요지로 하는 체크밸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체크밸브{check valve}
본 고안은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는 체크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수의 부품간 결합에 의해 하나의 체크밸브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부품들의 연결부를 통하여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기 위한 개선된 구조의 체크밸브이다.
본 고안에 관련되는 체크밸브는 역류방지를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유입측으로 부터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에 따라 막혀있던 출구가 열려 유체가 흐르게 되며 또한 유체의 압력이 떨어지면 다시 출구가 막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유체가 역류할 시에는 즉시 출구가 막히게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종래에도 이러한 체크밸브가 사용되었던 바, 이하에서는 종래의 체크밸브에 대해 개략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첨부되는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체크밸브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에 해당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크밸브는 인렛부재(1), 아웃렛부재(2), 오링(3), 가스켓(4), 포펫(5), 스프링(6)을 주요한 구성요소로 하여 이루어진다.
아웃렛부재(2)의 내부에 스프링(6)이 설치되어져 있고 포펫(5)은 상기 스프링(6)에 의해 지지되어진채 그 단부가 돌출되어 오링(3)과 맞닿게 된다. 상기 오링(3)의 일측으로 가스켓(4)이 위치되고 상기 가스켓(4)은 아웃렛부재(2)에 의해 가압되어져 고정설치 된다.
그리고 상기 오링(3)은 가스켓에 의해 일정위치를 유지하게 되며 인렛부재와 아웃렛부재의 결합은 나사결합방식에 의해 체결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조의 체크밸브는 인렛부재와 아웃렛부재의 나사결합면을 통하여 유체가 쉽게 누설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유출된 유체는 작업환경을 더럽힐뿐 아니라 유체누설에 의한 불필요한 경비손실을 유발하게되고, 또한 유해한 성분을 함유한 경우에는 작업자에게도 치명적인 손상을 줄수 있었던 바, 실수요자들의 주요한 불만사항이기도 하였다.
또한, 가스켓은 일반적으로 얇고 다소 연질의 것이므로 오랜 사용에 의해 쉽게 변형이 유발되고 고압이나 고온 하에서는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오링과 접촉되는 가압체를 설치하고 이어서 충진체를 두며, 상기 충진체를 아웃렛부재가 가압토록 하여 누설이 방지될 수 있는 체크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아웃렛부재의 선단부 외경면이 가압체의 내경면과 맞닿도록 함으로서 그 사이에 위치되는 충진체가 격리되도록 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충진체가 아웃렛부재로 부터 축방향의 힘을 받아 수축되면서 내경 사이즈가 줄어들어 상기 충진체와 아웃렛부재의 접합면은 더욱 확실한 기밀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체크밸브를 제공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도 1 - 종래기술에 따른 체크밸브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 -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 : 인렛부재 12 : 오링
20 : 아웃렛부재 22 : 스프링
23 : 포펫 25 : 선단부
30 : 가압체 35 : 돌출부
40 : 충진체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좌우로 관통되어진 인렛부재와 아웃렛부재가 체결되며 상기 아웃렛부재의 내부에는 포펫이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어져 있고, 상기 아웃렛부재로부터 돌출된 포펫의 단부와 맞닿는 오링이 상기 인렛부재의 내부에 갖추어져, 공급되는 유체압에 따라 상기 포펫이 개폐되는 체크밸브에 있어서, 원형링 형상으로서 일측단부의 돌출부가 상기 오링과 맞닿도록 상기 인렛부재의 내부에 설치되는 가압체와; 일측면이 상기 가압체와 맞닿게되며 타측면은 상기 아웃렛부재와 맞닿게되는 원형링 형상을 가지는 충진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유체의 누설을 방지함을 기술적 요지로 하는 체크밸브이다.
그리고 상기 충진체의 내경은 가압체와 접하는 단부로 부터 점차 넓어져 경사진 구조를 가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아웃렛부재는 인렛부재의 내부에 위치되는 선단부가 가압체의 내경면과 맞닿게 되어 충진체를 격리시키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밸브이다.
그리고 상기 충진체는 인렛부재와 아웃렛부재가 완전히 체결되었을때 축방향의 힘을 받아 수축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충진체의 내경은 팽창하여 상기 아웃렛부재와 긴밀한 접촉면을 형성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밸브이다.
이하로 부터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기 체크밸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인렛부재(10)와 아웃렛부재(20)는 좌우로 관통되어져 있으며 상호간에 나사결합 된다. 즉, 인렛부재(10)의 내부로 아웃렛부재(20)의 일측이 삽입 결합되는 구조이다.
상기 인렛부재(10)의 내부에 도면에 보이는 것과 같이 오링(12)이 위치되며, 아웃렛부재(20)의 내부로는 스프링(22)과 포펫(23)이 설치된다. 상기 포펫(23)은 스프링(22)에 의해 지지되어져 있고 포펫(23)의 단부는 아웃렛부재(20)로 부터 돌출되어져 있다.
상기 도2는 오링과 포펫이 맞닿아 유체가 통과되지 않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며, 유체압의 변화에 따라 상기 포펫은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주요한 특징으로서, 상기 오링(12)의 우측에 설치되는 가압체(30)와 충진체(40)가 구비된다.
도시된 것처럼, 상기 가압체(30)는 내부가 빈 원형링 형상이며 그 내경 사이즈는 3부분으로 구분되어 상이한 직경을 형성하게 된다. 특히, 도면상 좌측단부에 형성된 돌출부(35)는 오링(12)과 맞닿게 된다. 오링(12)과 가압체(30)의 돌출부(35)가 맞닿게 됨으로서 상기 오링은 일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로는 상기 가압체(30)는 인렛부재(10)나 아웃렛부재(20)와 동일한 금속재로 제조하여 가압체로 전달되는 축방향 힘에 의해서도 돌출부의 변형은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가압체(30)의 우측단부 내경면에는 후술할 아웃렛부재(20)의 선단부 외경면이 맞닿게 결합된다.
상기 가압체(30)의 우측으로 충진체(40)가 연이어 설치된다. 상기 충진체(40)는 가압체(30)와 일측면을 접하게되며 타측면은 아웃렛부재(20)와 접촉된다. 인렛부재(10)와 아웃렛부재(20)가 결합되면 충진체(40)가 아웃렛부재(20)로부터 축방향의 힘을 받게되고 이 힘은 가압체(30)로 전달되어 가압체의 돌출부(35)는 오링(12)을 누르게 된다.
상기 가압체와 충진체의 외면은 매끄러운 표면을 가지며 이에 대응되는 인렛부재의 내경면도 표면조도가 높게 가공토록 한다. 즉, 아웃렛부재와 체결되는 인렛부재의 내경면은 나사부와 비나사부로 구분되어져 있고 비나사부에 상기 가압체와 충진체가 위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충진체(40)는 도면상 좌측으로 부터 우측을 향하여 그 내경이 점차 증가되도록 경사져 있다. 상기 충진체로서 바람직하게로는 테프론을 사용토록 하며 그 외 이와 유사한 재질의 것들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아웃렛부재(20)의 선단부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웃렛부재의 선단부(25) 즉, 도면상 좌측단부의 외경면은 가압체(30)의 내경면과 접촉되어지고 이로인해 상기 충진체(40)는 격리된다.
언급한 것처럼, 상기 충진체(40)는 아웃렛부재(20)에 의해 축방향의 힘을 받게되며 완전히 인렛부재(10)와 아웃렛부재(20)가 체결되면 상기 충진체(40)는 미세하게 축방향으로 수축된다.
상기 충진체(40)는 수축됨과 동시에 그 내경이 감소되어 아웃렛부재(20)의 외면과 충진체(40)의 내면이 타이트하게 밀착된다. 다시말해서, 상기 아웃렛부재가 좌측으로 이동되는 만큼 가압체와 아웃렛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충진체가 위치되는 곳)이 감소되어 상기 충진체와 아웃렛부재는 밀착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체크밸브의 작용원리에 대해 설명한다.
인렛부재의 내부에 오링과 가압체 그리고 충진체를 삽입시킨 후, 아웃렛부재를 결합하게 된다. 오링은 가압체에 의해 눌리어져 제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최초 아웃렛부재와 충진체가 맞닿은 때에는 충진체의 내경면과 이에 대응하는 아웃렛부재의 외면은 이격공간을 갖게된다. 이어서 인렛부재와 아웃렛부재를 더욱 타이트하게 조으게되면 충진체는 수축함과 동시에 내경이 감소되어 아웃렛부재와 긴밀한 접촉면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체크밸브는 인렛부재와 아웃렛부재가 나사결합되는 부분의 전방에 충진체가 설치됨으로서 유체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체크밸브 자체의 누설이 방지되므로 유해한 유체나 기체의 누설로 인한 각종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는 효과도 가진다.

Claims (4)

  1. 좌우로 관통되어진 인렛부재(10)와 아웃렛부재(20)가 체결되며 상기 아웃렛부재의 내부에는 포펫(23)이 스프링(22)에 의해 지지되어져 있고, 상기 아웃렛부재로부터 돌출된 포펫(23)의 단부와 맞닿는 오링(12)이 상기 인렛부재(10)의 내부에 갖추어져, 공급되는 유체압에 따라 상기 포펫이 개폐되는 체크밸브에 있어서,
    원형링 형상으로서 일측단부의 돌출부(35)가 상기 오링(12)과 맞닿도록 상기 인렛부재(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가압체(30)와;
    일측면이 상기 가압체(30)와 맞닿게되며 타측면은 상기 아웃렛부재(20)와 맞닿게되는 원형링 형상을 가지는 충진체(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유체의 누설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밸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체(40)는
    그 내경이 가압체(30)와 접하는 단부로 부터 점차 넓어져 경사진 구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밸브.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렛부재(20)는
    인렛부재의 내부에 위치되는 선단부(25)가 가압체(30)의 내경면과 맞닿게되어 상기 충진체를 격리시키도록함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밸브.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체(40)는
    인렛부재와 아웃렛부재가 완전히 체결되었을때 축방향의 힘을 받아 수축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충진체의 내경은 팽창 감소되어 상기 아웃렛부재와 긴밀한 접촉면을 형성하게 됨을 특징으로하는 체크밸브.
KR20-2003-0035862U 2003-11-17 2003-11-17 체크밸브 KR2003414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862U KR200341420Y1 (ko) 2003-11-17 2003-11-17 체크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862U KR200341420Y1 (ko) 2003-11-17 2003-11-17 체크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1420Y1 true KR200341420Y1 (ko) 2004-02-11

Family

ID=49424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5862U KR200341420Y1 (ko) 2003-11-17 2003-11-17 체크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142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83156B1 (en) Expandable O-ring seal, method of sealing and apparatus having such seals
KR101879248B1 (ko) 냉매 관의 연결구조
US20220299134A1 (en) Fitting device for making connection tube that can fine position adjustment of the tube
US5181543A (en) Tube testing connector
CN109477585B (zh) 利用弹力维持气密性的连接部件及设置有其的阀门
JP2001248734A (ja) 弁軸等の軸のシール装置
US20080290658A1 (en) Fitting Structure
US20200041060A1 (en) Tool And Method For Additive Introduction Into Closed Systems
JPH0356774A (ja) ゲート弁
KR200341420Y1 (ko) 체크밸브
KR100764877B1 (ko) 탄성튜브 시일시스템
WO2018155493A1 (ja) ノズル装置およびノズルユニット
US8333387B2 (en) High pressure fluid sealing mechanism
KR200245582Y1 (ko) 배관 연결 소켓
TWI797668B (zh) 接頭結構
KR200338699Y1 (ko) 볼밸브
KR200269750Y1 (ko) 이음쇠에 연결되는 배관의 조임장치
JPS63247641A (ja) 高圧ホ−スの耐圧試験機
TWI815942B (zh) 導通口和配管端部間的連接構造、開關閥裝置及拆卸治具
JP2009235814A (ja) アダプタ装置
JP2006200617A (ja) 二重管継手
JP4774292B2 (ja) 継手
KR20210076684A (ko) 금속가스킷 및 이 금속가스킷이 구비된 밸브
KR100526165B1 (ko) 관이음구
KR200334612Y1 (ko) 파이롯트 밸브 작동형 안전밸브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