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1365Y1 - 작동감지가 용이한 역지밸브 - Google Patents

작동감지가 용이한 역지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1365Y1
KR200341365Y1 KR20-2003-0034831U KR20030034831U KR200341365Y1 KR 200341365 Y1 KR200341365 Y1 KR 200341365Y1 KR 20030034831 U KR20030034831 U KR 20030034831U KR 200341365 Y1 KR200341365 Y1 KR 2003413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check valve
poppet
spool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48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신
이재복
박대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수산특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수산특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수산특장
Priority to KR20-2003-00348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13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13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13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ck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작동감지가 용이한 역지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밸브블럭 내의 작동부재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밸브의 작동여부를 정확히 파악하도록 한 작동감지가 용이한 역지밸브에 관한 것인 바, 본 고안은 유체를 한쪽방향으로만 이송되도록 하는 역지밸브에 있어서, 검출수단이 설치되어 형성된 검출블럭A와; 공급유로와 배출유로를 형성하며 포펫이 수평이동 가능하게 공간부를 형성하며 일측단에 검출블럭이 설치되는 밸브블럭과; 상기 공간부의 내면에 접촉되어 왕복운동하는 몸체와 일체로 돌출된 선단부의 끝단이 모따기 되어 시이트부를 형성하고 중앙에 스풀설치공과 몸체의 공간이 연통되게 형성된 포펫부재와; 상기 스풀설치공에 머리부가 삽입 설치되고 머리부와 로드부의 접하는 부분에는 걸림테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스풀부재와; 상기 공간부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지지판에는 로드부가 관통하는 관통공을 형성한 가이드부가 일체로 구비되어 이루어진 지지부재와; 일측은 공간부에 인입 설치되고 타측은 지지판에 탄성력을 갖도록 설치되는 제1스프링과; 상기 지지부재의 밀림을 방지하는 스페이서부재와; 상기 로드부의 끝단에 설치되는 캡부재와; 상기 캡부재를 탄성력으로 지지하는 제2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작동감지가 용이한 역지밸브 {Check valve that operation perception is easy}
본 고안은 작동감지가 용이한 역지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밸브블럭 내의 작동부재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밸브의 작동여부를 정확히 파악하도록 한 작동감지가 용이한 역지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역지밸브는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여 한쪽방향으로만 흐르게 하는 밸브로서 포펫(popet)이 있어 작동을 감지하기가 어려운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 일예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를 공급유로(110)을 통해 밸브블럭(100)내로 유입시키면 유체는 공급유로(110)를 따라 이동되다가 밸브블럭(100)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탄성스프링(300)의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도록 설치된 포펫(200)의 시이트면(210)과 부딪히게 되고, 이때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탄성스프링(300)을 가압하면서 포펫(200)이 후방으로 밀려나게 되며, 밀려난 포펫(200)과 연결유로(120) 사이에 첨부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틈이 발생되어 이 틈으로 유체가 배출유로(130)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킨다.
한편, 상기 포펫(200)은 첨부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유로(120)의 일측에 일부분이 삽입 설치되어 있고 연결유로(120)에 삽입 설치된 포펫(200)의 시이트면(210)을 형성하는 끝단부가 모따기가 되어 있어 상기 포펫(200)의 최대이동범위를 S라고 할 때 시이트면(210)을 형성하는 부분이 연결유로(120)에서 완전하게 빠져나가지 않고서도 공급유체가 배출유로(130)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연결유로(120)에 삽입 설치된 포펫(200)의 시이트면(210)이 완전히 연결유로(120)에서 빠지지 않고서도 유체가 배출됨으로 포펫(200)의 유동범위가 미세해도 유체가 배출유로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포펫의 유동범위가 미세하기 때문에 검출수단에서는 포펫이 작동되었다는 것을 검출할 수 없어 오작동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었으며, 다른 문제로는 상기 밸브를 이용하는 기기의 자동화 및 신뢰성 향상을 위해 밸브의 정확한 작동여부를 감지하여 관계 시스템을 제어하고자 하였으나 현재는 역지밸브의 정확한 작동을 감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이의 목적은 공급유체에 의해 스풀이 포핏보다 먼저 작동하여 작은 유량에도 밸브의 작동을 감지하도록 하므로서 오작동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과 그로인해 상기 밸브를 이용하는 기기의 자동화 및 신뢰성 향상을 위해 밸브의 정확한 작동여부를 감지하여 관계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역지밸브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유체를 한쪽방향으로만 이송되도록 하는 역지밸브에 있어서, 검출수단이 설치되어 형성된 검출블럭A와; 공급유로와 배출유로를 형성하며 포펫이 수평이동 가능하게 공간부를 형성하며 일측단에 검출블럭가 설치되는 밸브블럭과; 상기 공간부의 내면에 접촉되어 왕복운동하는 몸체와 일체로 돌출된 선단부의 끝단이 모따기 되어 시이트부를 형성하고 중앙에 스풀설치공과 몸체의 공간이 연통되게 형성된 포펫부재와; 상기 스풀설치공에 머리부가 삽입 설치되고 머리부와 로드부의 접하는 부분에는 걸림테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스풀부재와; 상기 공간부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지지판에는 로드부가 관통하는 관통공을 형성한 가이드부가 일체로 구비되어 이루어진 지지부재와; 일측은 공간부에 인입 설치되고 타측은 지지판에 탄성력을 갖도록 설치한 제1스프링과; 상기 지지부재의 밀림을 방지하는 스페이서부재와; 상기 로드부의 끝단에 설치되는 캡부재와; 상기 캡부재를 탄성력으로 지지하는 제2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감지가 용이한 역지밸브에 의하여 달성된다.
도 1은 종래 역지밸브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도 1의 Z부 확대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역지밸브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고안인 역지밸브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밸브블럭 11 : 공급유로
12 : 공간부 19 : 배출유로
20 : 검출블럭A 22 : 검출수단
23 : 블럭몸체 30 : 포펫부재
31 : 몸체 32 : 시이트부
33 : 공간 34 : 스풀설치공
40 : 스풀부재 41 : 머리부
42 : 로드부 50 : 지지부재
51 : 지지판 52 : 가이드부
60 : 스페이서부재 70 : 캡부재
90 : 제 1스프링 91 : 제 2스프링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역지밸브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로써 이에 따르면 도면상 미 도시된 콘트롤박스와 연결된 검출수단(22)이 설치되어 형성된 검출블럭A(20)과 밸브블럭(10) 및 포펫부재(30), 스풀부재(40), 지지부재(50) 그리고 캡부재(60) 및 스페이서(70)로 대별 구성된다.
상기 검출블럭A(20)의 구조는 도면상 미도시된 콘트롤박스와 연결되는 검출수단(22)이 설치되어 블럭몸체(23)를 수평으로 관통하며, 상기 검출수단(22)에는 외주면에 나사가 형성되어 있어 너트가 나합되어 블럭몸체(23)로 부터 이탈이 방지되게 고정 설치된 구조이다.
상기 밸브블럭(10)의 구조는 공급유로(11)와 배출유로(19)를 형성하며 포펫이 수평이동 가능하게 공간부(12)를 형성한 구조이다.
한편, 포펫부재(30)는 상기 공간부(12)의 내면에 접촉되어 왕복운동하는 몸체(31)와 일체로 돌출된 선단부의 끝단이 모따기 되어 시이트부(32)를 형성하고 중앙에 스풀설치공(34)과 몸체(31)의 공간(33)이 연통되게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스풀부재(40)는 스풀설치공(34)에 머리부(41)가 삽입 설치되고 머리부(41)와 로드부(42)의 접하는 부분에는 걸림테(43)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며, 지지부재(50)는 상기 공간부(12)의 중심과 일치하도록하면서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지지판(51)에는 로드부(42)가 관통하는 관통공을 형성한 가이드부(52)가 일체로 구비되어 이루어진 구조이다.
또한, 상기 공간(33)에 일측이 인입 설치되고 타측은 지지판(51)에 탄성력을 갖는 제1스프링(90)이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재(50)의 밀림을 방지하는 스페이서부재(60)가 설치되고, 상기 로드부(42)의 끝단에 설치되는 캡부재(70)와 상기 캡부재(70)를 탄성력으로 지지하는 제2스프링(91)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의 작동감지가 용이한 역지밸브의 작동 효과를 설명하면 첨부도면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유로(11)를 통하여 유체가 공급되면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스풀부재(40)가 이동된다. 상기 스풀부재(40)의 이동을 살펴보면 공급유로(11)를 통해 인입되는 유체는 공급유로(11)의 끝단을 폐쇄하고 있는 스풀부재(40)와 포펫부재(30)의 일 끝단면에 붙딪히게 되면서 머리부(41)를 가압하게 되면서 상기 머리부(41)이 스풀설치공(34)에서 이동되며 그 압력에 의해 스풀부재(40)가 지지부재(50)의 가이드부(52)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는 관계로 관통공을 통과하게 되면서 스풀부재(40)의 로드부 (42)끝단에 삽입 설치된 캡부재(70)도 동시에 이동이 시작됨으로 이를 제1작동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캡부재(70)의 이동이 시작되면 캡부재(70)가 제2스프링(91)을 가압하게 되면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캡부재(70)는 유체의 가압력에 의해 검출블럭(20)쪽으로 이동되어 검출수단(22)에 의해 감지된다.
상기 스풀부재(40)가 공급유체에 의하여 이동됨과 동시에 첨부도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풀부재(40)의 이동이 완료되면 포펫부재(30)가 유체의 압력에 의해 제2작동을 실시한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공급유체의 압력에 의해 검출블럭(20) 쪽으로 포펫부재(30)가 이동되면 스페이서부재(60)에 의해 일정거리가 유지되도록 받치어져 설치된 지지부재(50)와의 사이에 설치된 제1스프링(90)을 가압하면서 이동된다.
상기 포펫부재(30)의 작동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포펫작동과 같이 유체의 압력에 의해 공급유로(11)에서 밀리게 되면서 시이트부(32)와의 사이에 틈이 발생되어 유체가 배출유로를 통해 유체가 이동되는 것으로 본 고안의 특징은 다단으로 작동되기 때문에 먼저 유체의 공급에 따라 스풀부재가 반응하여 그 반응을 검출수단에서 감지하고 이 감지를 유체의 공급중임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다시말하여 본 고안은 소정의 유체가 공급유로를 통해 밸브블럭 내부로 공급되면 종래에는 유체의 압력이 작을 때에도 작동은 되지만 검출수단에 의해 감지되지 않았으나 본 고안은 유체공급에 따라 공급유로를 폐쇄하고 있는 스풀부재가 먼저 동작되어도 유체는 배출되지 않으면서도 작은 유량의 유체 공급을 감지수단에서 감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을 보다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1작동과 제2작동을 나누어서 설명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스풀부재와 포펫부재가 매우 짧은 시간 내에 작동되는 것이다.
한편, 공급유로로 공급중이던 유체를 중단시키면 제1스프링, 제2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스풀부재와 포펫부재가 원위치되어 초기 상태인 첨부도면 도 5와 같은 상태로 복원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스풀부재의 머리부와 로드부의 접하는 부분에 형성된 걸림테가 공간부의 일측에 걸려 포펫부재에서 스풀부재가 이탈되지 않고 원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져 작동되는 본 고안은 공급유체에 의해 스풀이 포핏보다 먼저 작동하여 작은 유량에도 밸브의 작동을 감지하도록 하므로서 오작동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과 그로인해 상기 밸브를 이용하는 기기의 자동화 및 신뢰성 향상을 위해 밸브의 정확한 작동여부를 감지하여 관계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유체를 한쪽방향으로만 이송되도록 하는 역지밸브에 있어서,
    검출수단이 설치되어 형성된 검출블럭A와;
    공급유로와 배출유로를 형성하며 포펫이 수평이동 가능하게 공간부를 형성하며 일측단에 검출블럭가 설치되는 밸브블럭과;
    상기 공간부의 내면에 접촉되어 왕복운동하는 몸체와 일체로 돌출된 선단부의 끝단이 모따기 되어 시이트부를 형성하고 중앙에 스풀설치공과 몸체의 공간이 연통되게 형성된 포펫부재와;
    상기 스풀설치공에 머리부가 삽입 설치되고 머리부와 로드부의 접하는 부분에는 걸림테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스풀부재와;
    상기 공간부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지지판에는 로드부가 관통하는 관통공을 형성한 가이드부가 일체로 구비되어 이루어진 지지부재와;
    일측은 공간부에 인입 설치되고 타측은 지지판에 탄성력을 갖으며 설치된 제1스프링과;
    상기 지지부재의 밀림을 방지하는 스페이서부재와;
    상기 로드부의 끝단에 설치되는 캡부재와;
    상기 캡부재를 탄성력으로 지지하는 제2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감지가 용이한 역지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유체의 공급으로 스풀부재의 일부분이 포펫부재 내에 삽입되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감지가 용이한 역지밸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펫부재의 작동 후 스풀부재가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감지가 용이한 역지밸브.
KR20-2003-0034831U 2003-11-06 2003-11-06 작동감지가 용이한 역지밸브 KR2003413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4831U KR200341365Y1 (ko) 2003-11-06 2003-11-06 작동감지가 용이한 역지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4831U KR200341365Y1 (ko) 2003-11-06 2003-11-06 작동감지가 용이한 역지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1365Y1 true KR200341365Y1 (ko) 2004-02-11

Family

ID=49424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4831U KR200341365Y1 (ko) 2003-11-06 2003-11-06 작동감지가 용이한 역지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136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4723B1 (ko) 냉각수용 솔레노이드 밸브
KR101855289B1 (ko) 가변 페달감 조절 장치
US7207351B2 (en) Switching valve with position detecting mechanism
JP4429561B2 (ja) パイプライン用圧力制御装置
ATE284490T1 (de) Ventileinrichtung
US6851350B2 (en) Valve device for a control cylinder
JP2001027358A (ja) 位置検出機能付きパイロット式切換弁
CN105422924B (zh) 一种单向导通流体传感器
US8955541B2 (en) Disc assembly with branch hole for fluid flow control device
KR200341365Y1 (ko) 작동감지가 용이한 역지밸브
US11530760B2 (en) Hydraulic cartridge valve with activation sensor
EP1500825A3 (de) Wegeventil
KR200341364Y1 (ko) 작동감지가 용이한 역지밸브
US20040211627A1 (en) Circulation unit of rolling element with lubrication system
US5012838A (en) Solenoid valve incorporating liquid surface detecting valve
US6123509A (en) Pressure valve device for a cleaning apparatus
KR20050043551A (ko) 작동감지가 용이한 역지밸브
KR101346362B1 (ko) 정전척 헬륨가스 컨트롤 시스템용 밸브
JP3989242B2 (ja) シーケンス弁
JP2832176B2 (ja) 円筒形状部材の支持構造及び支持構造を備えた電磁弁
CN111279160A (zh) 带循环计数器的地下水井流体泵
KR100715783B1 (ko) 고응답 특성을 가지는 포핏형 마이크로 밸브
US5538034A (en) Valve
JPH08278184A (ja) 水位センサ
JP6730767B2 (ja) 位置検出機能付きシリン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