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1364Y1 - 작동감지가 용이한 역지밸브 - Google Patents

작동감지가 용이한 역지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1364Y1
KR200341364Y1 KR20-2003-0034830U KR20030034830U KR200341364Y1 KR 200341364 Y1 KR200341364 Y1 KR 200341364Y1 KR 20030034830 U KR20030034830 U KR 20030034830U KR 200341364 Y1 KR200341364 Y1 KR 2003413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ppet
spool
elastic spring
check valve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48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신
박대구
이승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수산특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수산특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수산특장
Priority to KR20-2003-00348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13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13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13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16K17/04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with more than one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ck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작동감지가 용이한 역지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밸브블럭 내의 작동부재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밸브의 작동여부를 정확히 파악하도록 한 작동감지가 용이한 역지밸브에 관한 것인 바, 본 고안은 유체를 한쪽방향으로만 이송되도록 하는 역지밸브에 있어서, 수평으로 된 공급유로와 상기 공급유로에 연속하여 된 연결유로와 수직으로 된 배출유로가 형성되어 있고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된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유로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스풀과; 상기 스풀을 지지하고 복원력을 제공하는 고탄성스프링과; 상기 공간부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고탄성스프링을 지지하고 상기 스풀의 봉부가 삽입되어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포펫과; 상기 포펫을 지지하고 복원력을 제공하는 저탄성스프링과; 상기 저탄성스프링을 지지하고 상기 포펫이 관통하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포펫을 정지시키는 기능을 가지는 스토퍼가 상기 공간부에 삽입되어 설치되어 있는 밸브블럭과; 감지수단이 결합되어 있는 감지블럭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작동감지가 용이한 역지밸브 {Check valve that operation perception is easy}
본 고안은 작동감지가 용이한 역지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밸브블럭 내의 작동부재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밸브의 작동여부를 정확히 파악하도록 한 작동감지가 용이한 역지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역지밸브는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여 한쪽방향으로만 흐르게 하는 밸브로서 포펫(popet)이 있어 작동을 감지하기가 어려운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 일예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를 공급유로(110)을 통해 밸브블럭(100)내로 유입시키면 유체는 공급유로(110)를 따라 이동되다가 밸브블럭(100)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탄성스프링(300)의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도록 설치된 포펫(200)의 시이트면(210)과 부딪히게 되고, 이때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탄성스프링(300)을 가압하면서 포펫(200)이 후방으로 밀려나게 되며, 밀려난 포펫(200)과 연결유로(120) 사이에 첨부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틈이 발생되어 이 틈으로 유체가 배출유로(130)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킨다.
한편, 상기 포펫(200)은 첨부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유로(120)의 일측에 일부분이 삽입 설치되어 있고 연결유로(120)에 삽입 설치된 포펫(200)의 시이트면(210)을 형성하는 끝단부가 모따기가 되어 있어 상기 포펫(200)의 최대이동범위를 S라고 할 때 시이트면(210)을 형성하는 부분이 연결유로(120)에서 완전하게 빠져나가지 않고서도 공급유체가 배출유로(130)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연결유로(120)에 삽입 설치된 포펫(200)의 시이트면(210)이 완전히 연결유로(120)에서 빠지지 않고서도 유체가 배출됨으로 포펫(200)의 유동범위가 미세해도 유체가 배출유로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포펫의 유동범위가 미세하기 때문에 검출수단에서는 포펫이 작동되었다는 것을 검출할 수 없어 오작동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었으며, 다른 문제로는 상기 밸브를 이용하는 기기의 자동화 및 신뢰성 향상을 위해 밸브의 정확한 작동여부를 감지하여 관계 시스템을 제어하고자 하였으나 현재는 역지밸브의 정확한 작동을 감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이의 목적은 고탄성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며 연결유로에 삽입 설치된 스풀과 저탄성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포펫을 적용하여 작동유체의 유입시 저탄성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포펫이 먼저 동작하도록 하고 상기 포펫이 스토퍼에 의해 멈춘 후 상기 고탄성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스풀이 동작하여 연결유로를 완전히 벗어나야 작동유체가 배출됨으로 포펫의 이동범위를 크게하여 적은 유량에도 감지수단에 의해 밸브의 작동을 감지하도록 하여 확실한 검출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오작동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과 그로인해 상기 밸브를 이용하는 기기의 자동화 및 신뢰성 향상을 위해 밸브의 정확한 작동여부를 감지하여 관계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역지밸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유체를 한쪽방향으로만 이송되도록 하는 역지밸브에 있어서, 공급유로와 상기 공급유로에 연속하여 된 연결유로(12)와 연결된 배출유로(14)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동이 가능하도록 된 공간부(1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유로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스풀과; 상기 스풀을 지지하고 복원력을 제공하는 고탄성스프링과; 상기 공간부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고탄성스프링을 지지하고 상기 스풀의 봉부가 삽입되어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포펫과; 상기 포펫을 지지하고 복원력을 제공하는 저탄성스프링과; 상기 저탄성스프링을 지지하고 상기 포펫이 관통하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포펫을 정지시키는 기능을 가지는 스토퍼가 상기 공간부에 삽입되어 설치되어 있는 밸브블럭과; 감지수단이 결합되어 있는 감지블럭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감지가 용이한 역지밸브에 의하여 달성된다.
도 1은 종래 역지밸브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도 1의 Z부 확대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역지밸브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고안인 역지밸브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밸브블럭 12 : 공급유로
14 : 연결유로 16 : 배출유로
18 : 공간부 20 : 스폴
22 : 봉부 24 : 고탄성스프링
26 : 포펫(poppet) 28 : 저탄성스프링
30 : 스토퍼(stopper) 40 : 감지블럭
42 : 감지수단 50 : 시이트부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역지밸브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도 3 및 도 4에 따른 본 고안의 역지밸브는 수평으로 형성된 공급유로(12)와 상기 공급유로(12)에 연속하여 된 연결유로(14)와 수직으로 된 배출유로(16)가 형성되어 있으며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공간부(18)를 가지는 밸브블럭(10)의 연결유로(14)에 삽입설치된 스풀(spool; 20)과 상기 스풀(20)을 지지하고 복원력을 제공하는 고탄성스프링(24)과; 상기 밸브블럭(10)의 공간부(18)에 삽입설치되며 상기 고탄성스프링(24)을 지지하고 상기 스풀(20)의 봉부(22)가 삽입되어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포펫(poppet;26)과 상기 포펫(26)을 지지하고 복원력을 제공하는 저탄성스프링(28)과; 상기 저탄성스프링(28)을 지지하고 상기 포펫(26)이 관통하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포펫(26)을 정지시키는 기능을 가지는 스토퍼(stopper;30)가 삽입되어 구성되고,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밸브블럭(10)에 감지수단(42)이 결합되어 있는 감지블럭(40)을 장착하여 구성한다.
도 5 내지 7은 본 고안인 역지밸브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로써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역지밸브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도 5 내지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동유체가 밸브블럭(10)의 공급유로(12)를 통해 공급되면 상기 작동유체가 스풀(20)에 압력을 가하게 되고, 상기 스풀(20)은 상기 스풀을 지지하고 있는 고탄성스프링(24)에 힘을 전달하여 상기 고탄성스프링(24)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스프링상수를 가지는 저탄성스프링(28)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포펫(26)에 힘을 전달함으로써 상기 저탄성스프링(28)이 압축되므로써 상기 포펫(26)이 움직이게 된다. 상기 포펫(26)은 스토퍼(30)에 의해 정지될때까지 충분히 움직이게 되며, 상기 포펫(26)이 스토퍼(30)에 의해 정지하게 되면 상기 고탄성스프링(24)이 압축되고 도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풀(20)이 움직여 포펫(26)에 밀착되게 되어 공급유로(12)에 공급된 작동유체는 연결유로(14)를 거쳐 배출유로(16)를 통해 배출되게 되는 데, 이때 상기 작동유체는 상기 포펫(26)의 시이트부(50)의 위치에서 막힘으로써 역류가 방지된다.
본 고안 역지밸브의 감지기능을 살펴보면, 상기 밸브블럭의 공급유로(12)로 작동유체가 공급되었을때 고탄성스프링(24)이 압축되기 전에 포펫(26)이 스토퍼(30)에 의해 멈출 때까지 충분히 움직여 포펫(26)의 한쪽 끝부분이 감지블럭(40)에 결합되어 있는 감지수단(42)이 감지할 수 있는 거리까지 충분히 움직이게 되어 상기 감지수단(42)에 의해 감지가 되고, 그 후에 스풀(20)이 움직여 작동유체의 흐름이 이루어 지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져 작동되는 본 고안은 연결유로에 삽입 설치된 스풀이 완전히 빠져야만 작동유체가 배출되기 때문에 포펫의 이동범위를 크게하여 적은 유량에서도 감지수단에 의한 확실한 감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므로써 오작동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게되고 그로 인해 상기 밸브를 이용하는 기기의 자동화 및 신뢰성 향상을 위해 밸브의 정확한 작동여부를 감지하여 관계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유체를 한쪽방향으로만 이송되도록 하는 역지밸브에 있어서,
    공급유로와 상기 공급유로에 연속하여 된 연결유로와 연결된 배출유로(14)가 형성되어 있고 이동이 가능하도록 된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유로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스풀과;
    상기 스풀을 지지하고 복원력을 제공하는 고탄성스프링과;
    상기 공간부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고탄성스프링을 지지하고 상기 스풀의 봉부가 삽입되어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포펫과;
    상기 포펫을 지지하고 복원력을 제공하는 저탄성스프링과;
    상기 저탄성스프링을 지지하고 상기 포펫이 관통하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포펫을 정지시키는 기능을 가지는 스토퍼가 상기 공간부에 삽입되어 설치되어 있는 밸브블럭과; 감지수단이 결합되어 있는 감지블럭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감지가 용이한 역지밸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펫에 일부분이 삽입 설치된 스풀이 포펫에서 유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감지가 용이한 역지밸브.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펫이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되고, 그 후에 스풀이 움직여 작동유체가 배출유로로 배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감지가 용이한 역지밸브.
KR20-2003-0034830U 2003-11-06 2003-11-06 작동감지가 용이한 역지밸브 KR2003413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4830U KR200341364Y1 (ko) 2003-11-06 2003-11-06 작동감지가 용이한 역지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4830U KR200341364Y1 (ko) 2003-11-06 2003-11-06 작동감지가 용이한 역지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1364Y1 true KR200341364Y1 (ko) 2004-02-11

Family

ID=49424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4830U KR200341364Y1 (ko) 2003-11-06 2003-11-06 작동감지가 용이한 역지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136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0133U (ko) * 2012-06-29 2014-01-0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질소 충진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0133U (ko) * 2012-06-29 2014-01-0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질소 충진 장치
KR200481649Y1 (ko) 2012-06-29 2016-10-2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질소 충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052850A (ja) 弁状態感知モジュール
WO2004077085A3 (en) Mri/nmr compatible hyperpolarized gas delivery valves for ventilators and associated gas delivery methods
ATE284490T1 (de) Ventileinrichtung
EP3239682A1 (en) Leakage detection device and water system comprising a leakage detection device
PA8616701A1 (es) Sistema de deteccion rapida de obstrucciones para bomba de jeringa
CN102133702B (zh) 用于紧固部件的引导和安装装置
JP2009508073A (ja) 流量制御弁
KR200341364Y1 (ko) 작동감지가 용이한 역지밸브
JP2002213629A (ja) 減圧式逆流防止装置
WO2008087694A1 (ja) 部品装着検出装置及び方法
US20220034423A1 (en) Hydraulic cartridge valve with activation sensor
DE502004007201D1 (de) Wegeventil
KR200341365Y1 (ko) 작동감지가 용이한 역지밸브
CN104800926A (zh) 流体输送装置、流体输送装置的控制方法
KR20050043551A (ko) 작동감지가 용이한 역지밸브
JP5232606B2 (ja) マーキング装置用潤滑油供給装置
US6123509A (en) Pressure valve device for a cleaning apparatus
JP2766989B2 (ja) ガス放出防止器
US20200334515A1 (en) Fluid pump for groundwater wells with cycle counter
CN111822977B (zh) 压装机构及零件压装方法
ATE343167T1 (de) Flüssigsteuerventil
KR100510051B1 (ko)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의 유압회로 이상유무 감지장치
KR200183857Y1 (ko) 배관내 유체흐름 감지장치
JP6730767B2 (ja) 位置検出機能付きシリンダ装置
CN113728150A (zh) 具有智能循环计数和空气供应阀监控的用于地下水井的流体泵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