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1205Y1 - 스프링클러용 호스연결관 - Google Patents

스프링클러용 호스연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1205Y1
KR200341205Y1 KR20-2003-0036012U KR20030036012U KR200341205Y1 KR 200341205 Y1 KR200341205 Y1 KR 200341205Y1 KR 20030036012 U KR20030036012 U KR 20030036012U KR 200341205 Y1 KR200341205 Y1 KR 2003412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sprinkler
pipe
tapered pipe
tap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60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한호
Original Assignee
서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한호 filed Critical 서한호
Priority to KR20-2003-00360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12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12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12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프링클러용 호스연결관에 관련된다.
구성의 특징으로는 상단에 스프링클러를 장착한 지주관(2)이 연결고정되도록 통상의 지주관연결관(3)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지면에 박아 고정시키기 용이하도록 꽂음쇠(4)를 구비하며, 양측부에 호스의 연결이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통상의 호스연결부(5)를 형성하되, 상기 호스 연결부(5)의 끝단 외주면에는 수나사부(51)와 더불어 끝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된 테이퍼관부(52)를 형성하고, 상기 수나사부(51)에 체결되는 암나사부(61)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테이퍼관부(52)에 대응하여 결합되도록 내경테이퍼부(62)를 형성한 호스체결너트(6)를 구비하여 호스(7)를 상기 테이퍼관부(52)에 끼운상태에서 호스체결너트(6)로 체결 고정함으로서 호스(7)의 연결조립이 신속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르면, 호스연결부(5)의 끝단에 형성된 테이퍼관부(52)가 끝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게끔 형성되어 있어 호스(7)선단부분을 화관시키지 않고도 끼우기가 매우 쉽고, 또, 호스(7) 연결시 호스(7)끝단이 크게 확관되는 구성이 아니기에 호스의 변형이 없게 되어 분해와 조립이 매우 손쉽게 이루어지는 등의 특징이 따르는 스프링클러용 호스연결관(1)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스프링클러용 호스연결관{a hose coupling pipe for a sprinkler}
본 고안은 스프링클러용 호스연결관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호스의 분해 조립이 매우 손쉽게 이루어지고, 호스연결부에 호스를 끼울 때 호스 끝단부분의 변형이 최소화되어 스프링클러를 자주 이동설치하더라도 오래도록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스프링클러용 호스연결관(1')은 상부에 스프링클러지주관(2)이 결합고정되는 지주관연결관(3)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지면에 박아 고정시킬 수 있도록 꽂음쇠(4)가 형성되며, 양측단부에는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 확관되게끔 형성된 테이퍼부를 가진 호스연결부(5)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호스연결부에는 호스연결부의 테이퍼부와 반대로 형성된 내경테이퍼부를 가진 고정링(6')이 삽입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스프링클러용 호스연결관(1')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따르게 된다.
즉, 호스연결부(5)에 형성된 테이퍼부가 끝으로 갈수록 확관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이 부분에 호스(7)를 끼울 때 호스(7) 끝단을 확관시켜야만 끼워짐으로서 매우 번거롭고 힘이 많이 들면서 불편하며, 또, 확관시키는 과정에서 호스(7)의 신축성이 적은 경우에는 호스(7)끝이 찢어지거나 변형되는 등의 문제점이 따름은 물론 일단 확관되어 끼워진 뒤에는 고정링(6')으로 호스(7)끝을 고정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장시간 사용후 이동설치하고자 분해할 경우에는 호스(7)끝이 확관된 상태로 정형화되어 최초의 상태로 복귀되지 않음에 따라 변형이 초래되어 호스(7)끝을 재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이 부분을 잘라내고 사용할 수 밖에 없었으므로, 스프링클러를 자주 이동설치하게 되면 자연적으로 호스의 길이가 짧아질수 밖에 없게 된다.
또한, 상기 호스연결관(1')을 이동 설치하기 위해 호스를 분해하려면 이미 확관된 상태에서 고정링(6')에 의해 호스 끝이 장시간 또는 장기간 눌려있는 상태이므로 경화되어 호스가 잘 빠지지 않아 분해가 어렵고, 따라서 분해시에도 시간과 인력이 많이드는 폐단이 따랐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특히, 호스 끝단을 확관시키지 않고도 원활하게 끼워넣어 조립시킬 수 있고, 또, 호스의 분해 또한 손쉬우며, 더불어 분해과정에서 호스 끝이 손상되거나 파손되지않는 스프링클러용 호스연결관을 제공하려는 데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고안의 단면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부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상단에 스프링클러를 장착한 지주관(2)이 연결고정되도록 통상의 지주관연결관(3)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지면에 박아고정시키기 용이하도록 꽂음쇠(4)를 구비하며, 양 단부에 호스연결을 위한 호스연결부를 가진 통상의 스프링클러용 호스연결관에 있어서,
상기 호스 연결부(5)의 끝단 외주면에는 수나사부(51)와 끝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테이퍼관부(52)를 형성하고, 이 곳에 결합되도록 암나사부(61)와 내경테이퍼부(62)를 가진 호스체결너트(6)를 구비하여 스프링클러용 호스연결관(1)을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호스(7)를 연결시킬 때 매우 신속정확하면서도 편리하게 연결시킬 수 있게 되며, 스프링클러의 이동설치를 위해 분해하고자 할 때도 손쉽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호스(7)를 연결고정시킬 때는, 먼저 호스(7)의 끝을 상기 테이퍼관부(52)에 밀어넣어 끼우되, 이 때 호스에는 호스체결너트(6)를 먼저 끼운 뒤 테이퍼관부(52)에 호스 끝을 밀어 넣어 끼우고, 이 상태에서 호스체결너트(6)로 체결하게 되면, 호스체결너트의 선단내경부분에 형성된 암나사부(61)가 호스연결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부(51)에 체결되면서 테이퍼관부(52)에 끼워진 호스를 호스체결너트(6)의 내경테이퍼부(62)가 호스(7)끝단 표면을 가압하면서 체결고정됨으로서 견고하게 체결고정되는 것이며, 이렇게 고정된 후에는 수압 및 외부의 충격이 작용하더라도 호스(7)가 빠지지 않게 됨과 동시에 누수가 전혀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 사용과정에서 스프링클러를 이동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단순히 호스체결너트(6)를 푼뒤, 호스를 테이퍼관부(52)로부터 잡아빼면 쉽게 빠지게 되는데, 그 이유는 상기 호스가 테이퍼관부(52)에 조립될 때 크게 확관되지 않은 상태에서 자연스럽게 끼워져 조립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빠질 때도 쉽게 빠질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따라서 호스 끝의 변형이 거의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스프링클러의 이돌설치시에도 재사용 및 재조립 사용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수시로 스프링클러를 이동설치하기 위해 호스를 분해 조립하더라도 호스의 변형이 거의 없어 안정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호스가 크게 확관되지 않은 상태에서 분해조립되는 관계로 분해조립이 매우 신속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등의 특징이 따르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호스연결및 분해가 매우 손쉽게 이루어지게 되어 스프링클러를 설치하거나 해체함에 있어 시간과 인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더불어 호스를 자주 분해 조립하더라도 호스의 변형이 최소화되어 호스의 수명연장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는 등 그 효과가 다대한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상단에 스프링클러를 장착한 지주관(2)이 연결 고정되도록 통상의 지주관연결관(3)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지면에 박아고정시키기 용이하도록 꽂음쇠(4)를 구비하며, 양 단부에 호스연결을 위한 호스연결부를 가진 통상의 스프링클러용 호스연결관에 있어서,
    상기 호스 연결부(5)의 끝단 외주면에는 수나사부(51)와 끝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테이퍼관부(52)를 형성하고, 이 곳에 결합되도록 암나사부(61)와 내경테이퍼부(62)를 가진 호스체결너트(6)를 구비하여 호스연결및 분해를 매우 신속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용 호스연결관.
KR20-2003-0036012U 2003-11-18 2003-11-18 스프링클러용 호스연결관 KR2003412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6012U KR200341205Y1 (ko) 2003-11-18 2003-11-18 스프링클러용 호스연결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6012U KR200341205Y1 (ko) 2003-11-18 2003-11-18 스프링클러용 호스연결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1205Y1 true KR200341205Y1 (ko) 2004-02-11

Family

ID=49424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6012U KR200341205Y1 (ko) 2003-11-18 2003-11-18 스프링클러용 호스연결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120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06973B1 (ja) 管継手
SK8422002A3 (en) Hydraulic connectors
JPWO2007004343A1 (ja) ホース接続用のコネクタ
KR20130052967A (ko) 파이프 연결구
JP5970111B2 (ja) 継手用ロックリングとこれを用いた継手
KR200341205Y1 (ko) 스프링클러용 호스연결관
JP3086898B2 (ja) 管継手
KR100555145B1 (ko) 상수도관 연결구조
US20080191478A1 (en) Coupling
EP2459810B1 (en) Toilet pan connector
KR100958409B1 (ko) 플렉시블관의 연결장치
KR20040062712A (ko) 배관 연결구의 원터치식 배관 고정장치
KR100408930B1 (ko) 가요관 연결용 조인트
KR101070288B1 (ko) 분리 가능한 밴드를 구비한 파이프 이음장치
KR200257555Y1 (ko) 피뢰침
JP4277286B2 (ja) 伸縮可撓管継手の仮締用スペーサ及び仮締構造
KR102000670B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배관 연결 구조
JP3235740U (ja) パイプジョイント
KR200325598Y1 (ko) 파이프 연결구
KR20020044731A (ko) 관이음쇠
JP2000304180A (ja) ホ−ス接続具
KR20100005265U (ko) 고정된 배관 파이프 연결구
KR200294937Y1 (ko) 호스연결구
KR200223508Y1 (ko) 관이음쇠
KR20030079846A (ko) 분기관 조립체 및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