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1031Y1 - 정량 토출밸브 - Google Patents

정량 토출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1031Y1
KR200341031Y1 KR20-2003-0035879U KR20030035879U KR200341031Y1 KR 200341031 Y1 KR200341031 Y1 KR 200341031Y1 KR 20030035879 U KR20030035879 U KR 20030035879U KR 200341031 Y1 KR200341031 Y1 KR 2003410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liquid
spool
piston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58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동원
Original Assignee
장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동원 filed Critical 장동원
Priority to KR20-2003-00358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10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10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10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36Arrangements of flow- or pressure-control valves

Abstract

본 고안은 오일이나 접착제, 약품, 구리스와 같은 액체를 필요한 경우 토출되게 하기 위한 정량토출밸브에 관한 것이다.
즉 정량토출밸브(100)상에 액체피스톤(320)이 승강가능케 끼워진 계량실 (310)을 구성하고, 상기 액체피스톤(320) 하단에 구성된 피스톤봉(321) 하단부가 밸브캡(200)내에 끼워진 조정봉(220)의 선단부와 접하게 하고, 상기 계량실(310) 상하부에는 상부출입공(311)과 하부출입공(312)을 구성하되, 하부출입공(311)은 스풀지지체(510)와 작동체(520)사이에 구성된 하출입공(531)과 연결되게 하고, 작동체(520)에는 통로(521)와 상부출입공(311)과 연결되는 상출입공(522)을 구성하고, 하출입공(531) 일측에는 확장공(533)과 공급공(530)을 구성하고, 상기 통로(521)와 통로(521) 전면에 구성된 토출공(540)에는 에어피스톤(421)에 의해 승강하는 스풀(420)이 끼워져 구성되게 하고, 통로(531)에는 스풀(420)의 요입부(422)가 위치되게 하고, 스풀(420)의 상부봉체(423)는 토출공(540)에 끼워져 결합되게 하므로서 스풀(420)이 승강함에 따라 계량실(310) 내에 액체가 충진되거나 충진된 액체가 토출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정량 토출밸브{Quantitative discharge valve}
본 고안은 정량토출밸브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오일이나 접착제, 약품과 같은 액체의 토출시 설정된 정량의 토출이 가능케함과 동시에 토출량 조정이 용이할 뿐 아니라 미세량의 조정까지 가능케하고, 또한 토출시 잔류압에 의해 노즐로부터 액체가 흘러내리는 드립(Drip)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액체의 정량토출을 위한 정량밸브에 관하여서는 본 고안의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등록된 것이 있다.
즉 도8에서와 같이 일정량의 액체를 토출공급하기 위한 정량밸브를 구성함에 있어서, 밸브몸체(4)상에 표시눈금(36) 및 링홀더(30)가 결합된 정량조절구(6)를 나사결합하여 계량실(12)의 용적이 조절가능케 구성하고, 상기 계량실(12) 상에 관통공(22) 및 통공(24)이 뚫린 액체피스톤(8)을 승강가능케 결합하되, 계량실(12) 하단 일측에 액체주입구(14)를 구성하고, 밸브몸체(4) 하단에 상승주입구(42)가 형성된 밸브캡(44)을 나사결합하여 하강주입구(58)가 형성된 피스톤작동실(46)을 구성하고, 상기 피스톤작동실(46)에는 에어피스톤(48)을 승강가능케 끼워 결합하고, 에어피스톤(48)상에는 몸체(56)와 연결봉(54) 및 머리부(52)로 구성된 스풀(10)을 결합하여 스풀(10)의 승강작동에 의해 액체피스톤(8)이 승강하면서 일정량의 액체가 토출공급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한 구성의 정량밸브는 액체의 토출작동이 스풀과 액체피스톤의 승강작동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계량실의 용적을 조정하여 필요한 정확한 량의 액체토출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며, 또한 액체토출직후 스풀이 하강하면서 토출구에 잔류하는 액체가 흡입되어 흘러내리는 현상을 방지하여 항상 정확한 량의 액체를 토출공급할 수 있게될 뿐 아니라 구성이 간단하고 밸브의 크기를 최소로 줄일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한 구성의 정량밸브의 경우 토출량 조정을 위한 수단인 밸브의 정량조절구가 토출구쪽에 구성되어 있어 토출량 조절을 위하여 정량조절구를 회전시키면 노즐의 위치가 변화되므로 정확한 위치 설정에 장애의 요인이 되는 단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작업중 토출량 조정을 하기가 불편하고, 또한 미세조정에 다소 어려움이 있는 등의 단점도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단점을 시정하고자 정량밸브를 통한 액체의 토출량 조정수단이 신속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미세량 조정 및 작업도중에 소량조정이 가능케 하며 또한 토출작업시 드립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또 다른 구성의 정량토출밸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정량토출밸브(100)를 구성함에 있어서, 계량실본체내에 액체피스톤이 끼워진 계량실을 구성하고, 상기 계량실 상하부에는 상부출입공과 하부출입공을 구성하여 개량실본체 전면에 구성된 상부본체의 작동체와 연결구성되게 하고, 상기 작동체 중앙에는 에어피스톤에 의해 승강하는 스풀을 끼워 스풀의 승강위치에 따라 계량실내에 충진된 액체가 토출공을 통하여 토출되거나 계량실내에 주입되게 하고, 계량실 본체 배면에는 토출량 조정을 위한 조정봉을 구성하여 토출량 조정이 가능케 하여서 된 것이다.
도 1 : 본 고안 밸브의 단면구성도.
도 2 : 본 고안 밸브의 요부단면구성도.
도 3 : 도2의 상태에서 스풀의 일부를 절단한 상태도.
도 4 : 본 고안 밸브내에 액체가 충진된 상태도.
도 5 : 도4의 상태에서 액체가 토출되는 상태도.
도 6 : 도5의 상태에서 액체가 토출완료된 상태도.
도 7 : 도6의 상태에서 액체가 다시 계량실에 주입되는 상태도.
도 8 : 종래 정량밸브의 단면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정량토출밸브 (200)--밸브캡
(210)--나사관체 (211)--공간부
(220)--조정봉 (221)--나선부
(222)--손잡이 (223)--고정너트
(224)--표시눈금 (300)--계량실본체
(310)--계량실 (311)--상부출입공
(312)--하부출입공 (320)--액체피스톤
(400)--작동실본체 (410)--작동실
(411)--상부관통공 (412)--하부관통공
(413)--하부연결공 (414)--상부연결공
(415)--지지체 (420)--스풀
(421)--에어피스톤 (422)--요입부
(423)--상부봉체 (424)--하부봉체
(500)--상부본체 (510)--스풀지지체
(520)--작동체 (521)--통로
(522)--상출입공 (523)--결합공
(530)--공급공 (531)--하출입공
(533)--확장공 (540)--토출공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정량토출밸브(100)의 단면구성도이고, 도2는 요부단면구성도이고, 도3은 스폴(420)의 일부를 절단한 상태의 단면구성도로서, 본 고안의 정량토출밸브(100)는 계량실본체(300) 배면에 밸브캡(200)이 구성되고, 전면에는 작동실본체(400)와 상부본체(500)를 일체형으로 구성되게 하되 각부의 구성은 아래와 같다.
먼저 계량실본체(300)는 내면에 계량실(310)을 구성하고, 상기 계량실(310)에는 액체피스톤(320)이 승강가능케 끼워져 구성되게 하되, 액체피스톤(320) 배면에는 피스톤봉(321) 길게 돌출구성되게 하여 밸브캡(200)의 나사관체(210) 내면에 구성된 공간부(211)에 위치되게 한다.
계량실 본체(300) 내면에 구성된 계량실(310) 상하부에는 상부출입공(311)과 하부출입공(312)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밸브캡(200)의 나사관체(210)에는 나선부(221) 및 손잡이(222)로 구성된 조정봉(220)을 나사결합하여 조정봉(220)의 선단부가 액체피스톤(320)의 피스톤봉(321)과 접촉되게 하고, 조정봉(220)의 나선부(221) 외면에는 표시눈금(224)이 배시되게 하고, 나사관체(210) 배면에는 고정너트(223)가 조정봉(220) 외면에 나사결합되게 한다.
계량실본체(300) 전면에 구성된 작동실본체(400) 내면에는 작동실(410)을 구성하고, 상기 작동실(410) 윗쪽에는 지지체(415)를 결합하여 작동실(410)이 밀폐되게 하되, 작동실(410) 상하부에는 상부관통공(411)과 하부관통공(412)을 각각 구성하고, 상부관통공(411)에는 상부연결공(414)이, 하부관통공(412)에는 하부연결공 (413)이 각각 구성되게 한다.
상기 작동실(410) 내에는 에어피스톤(421)을 승강가능케 구성하되, 에어피스톤(421)에는 스풀(420)을 결합하여 에어피스톤(421)의 승강에 따라 함께 승강되게 하고, 상기 스풀(420)은 상부봉체(423)와 요입부(422) 및 하부봉체(424)로 구분구성되게 한다.
작동실본체(400) 전면에는 상부본체(500)를 구성하고, 상부본체(500) 아랫쪽에는 스풀지지체(510)를 끼워 작동실본체(400)에 끼워진 지지체(415)와 접하게 하되, 상기 지지체(415)와 스풀지지체(510)에는 스풀(420)의 하부봉체(424)가 통과되게 한다.
스풀지지체(510) 윗쪽에는 작동체(520)를 끼워 설치하므로서 스풀지지체 (510)와 작동체(520)사이에 공급공(530)이 형성되게 하고, 상기 공급공(530)은 하출입공(531)을 통하여 계량실(310) 하단과 연결되는 하부출입공(312)과 상통하게 구성되어 있고, 공급공(530)과 하출입공(531)사이에는 확장공(533)이 구성되어 있다.
작동체(520) 내면에는 통로(521)를 구성하고 상기 통로(521) 일측에는 상출입공(522)을 구성하여 계량실(310) 상단과 연결되는 상부출입공(311)과 상통하게 하되, 공급공(530) 입구부에는 결합공(532)이 구성되어 있다.
작동체(520) 윗쪽에는 토출공(540)이 구성되게 하며, 상기 작동체(520) 내면에는 스풀(420)의 요입부(422)와 상부봉체(423)가 선택적으로 위치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미 설명부호 (600)은 밀폐용 패킹, (610)은 액체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정량토출밸브(100)를 이용하여 오일이나 접착제, 약품, 구리스와 같은 액체를 설정된 량만 토출되게 하는 곳에 사용하게 되며 이때 작동실본체(400)에 구성된 상부연결공(414)과 하부연결공(413)에는 에어호스(도시않됨)를 연결하고, 상부본체(500)에 구성된 결합공(532)에는 액체주입호스(도시않됨)을 연결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으로서 액체(610)의 토출작동은 도4 내지 도7에서와 같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도4는 작동실본체(400)에 구성된 상부관통공(411)을 통하여 작동실(410) 내로 공기가 주입되게 하므로서 에어피스톤(421)이 작동실(410) 아랫쪽에 위치하게 되므로 스풀(420) 역시 하강위치하면서 스풀(420)에 구성된 상부봉체(423)가 토출공(540) 입구를 밀폐함과 동시에 요입부(422)가 작동체(520)의 통로(521)에 위치하면서 통로(521)의 일부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공급공(530)을 통하여 주입되는 액체(610)는 상출입공(522)과 상부출입공(311) 및 하출입공(531) 및 하부출입공(312)을 통하여 계량실(310)내로 주입되며 이때 상부출입공(311)을 통하여 계량실(310)로 유입되는 액체(610)가 액체피스톤(320)과 접하는 표면적이 넓기 때문에 액체피스톤(320)은 계량실(310)의 하단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정량토출밸브(100)를 통하여 토출되는 액체(610)이 량을 조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밸브캡(200)의 나사관체(210)에 나사결합된 조정봉(220)을 회전시켜 전진시키면 조정봉(220)의 선단부(221)가 피스톤봉(321)의 후단부를 밀어올리게 되므로 액체피스톤(320) 역시 계량실(310)내에서 상승하게 되므로 계량실(310)의 체적이 줄어들게 되므로 액체피스톤(320)이 전진하여 계량실(310)내에 충진된 액체(610)의 토출량 역시 줄어들게 된다.
도4에서와 같은 상태는 계량실(310)내에 액체(610)가 충진되어 토출을 대기하고 있는 상태이며 상기한 상태에서 계량실(310)내에 충진된 액체(610)를 토출되게 하기 위하여서는 스풀(420)를 상승시켜 하부봉체(424)가 작동체(520)의 통로(521)를 막아 패쇄시키면 액체피스톤(320)이 상승하여 액체(610)를 토출시키게 된다.
즉 작동실 본체(400)에 구성된 하부관통공(412)으로 공기를 주입하게 되면 에어피스톤(421) 및 스풀(420)이 상승하여 도5에서와 같이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스풀(420)이 상승하여 스풀(420)의 하부봉체(424)가 작동체(520)의 통로(521)를 막아 밀폐하고, 동시에 스풀(420)의 요입부(422)가 토출공(540)에 위치하여 토출공(540)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한 상태에서도 하출입공(531)은 확장공(533)을 통하여 공급공(530)과 서로 상통하게 되므로 공급공(530)을 통하여 주입되는 액체(610)는 하부출입공(312)을 통하여 계량실(310) 아랫쪽으로 유입되면서 액체피스톤(320)을 밀어올리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하부출입공(312)을 통하여 계량실(310) 하부로 주입되는 액체(610)에 의해 액체피스톤(320)이 상승하게 되면 계량실(310) 윗쪽에 위치하는 액체(610)는 상부출입공(311) 및 상출입공(522)을 통하여 작동체(520) 내로 유입되고, 동시에 스풀(420)의 요입부(422)에 의해 개방된 토출공(540)을 통하여 전방으로 토출된다.
도5에서와 같은 상태에서 하부출입공(312)을 통하여 액체(610)가 계량실 (310) 저면으로 계속 주입되면 액체피스톤(320)은 계속 상숭하여 계량실(310)내에충진된 액체(610)를 전방으로 토출시키게 되고, 액체피스톤(320)이 최대한 상승하게 되면 도6에서와 같이 위치하게 되면서 계량실(310)내에 충진된 액체(610)의 토출이 완료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액체피스톤(320)이 최대한 상승하면서 계량실(310)내에 채워진 액체(610)의 토출이 완료되면 작동실본체(400)에 구성된 상부관통공(411)으로 작동실(410)내에 공기가 주입되게 하면 작동실(10)내에 끼워진 에어피스톤(421)이 하강하면서 동시에 스풀(420)이 하강하게 된다.
스풀(420)이 하강하면서 상부봉체(423)가 토출공(540)의 입구부를 밀폐시키면서 계속 하강하게 되면 토출공(540) 전면에 잔류하는 액체(610)는 상부봉체(423)가 하강하는 체적만큼 토출공(540)쪽으로 흡입되어 잔류압이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액체가 흘러내리는 드립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7에서와 같이 에어피스톤(421) 및 스풀(420)의 하강이 완료되면 스풀(420)에 구성된 상부봉체(423)는 토출공(540)의 입구부를 막아 밀폐하게 되고 동시에 요입부(422)가 작동체(520)의 통로(521)에 위치하면서 통로(521)가 개방된다.
따라서 상기한 상태에 공급공(530)을 통하여 액체(610)가 일정한 압력으로 주입되면 액체(610)는 상부출입공(311) 및 하부출입공(312)을 통하여 계량실(310) 내에 액체가 주입 되려는 힘이 작용하게 되나 액체피스톤(320) 상부가 저면보다 표면적이 넓어 더큰 압력으로 액체피스톤(320)을 가압하게 되므로 액체피스톤(320)은 서서히 하강하면서 계량실(310)내에 액체(610)가 충진되며, 이때 계량실(310) 하단에 충진된 액체는 하부출입공(312)을 통하여 작동체(520)의 통로(521)로 유입되어합류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계량실(310)에 끼워진 액체피스톤(320)이 하강완료되면 도4에서와 같이 위치하면서 다음 작동을 대기하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4 내지 도7의 작동을 반복하면서 정량토출밸브(100)를 통하여 계량된 정량의 액체를 필요한 위치에 토출시킬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정량토출밸브(100)의 사용중 액체토출량을 조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나사관체(210) 하단에 체결된 고정너트(223)를 이완시킨 다음 조정봉(220)을 회전시켜 승강되게 하면 조정봉(220)의 선단부와 접하는 피스톤봉(321)이 승강하게 되면서 계량실(310)내에 위치한 액체피스톤(320)의 위치를 승강시키게 되므로 계량실(310)내의 체적이 조정되어 액체토출량 조절이 가능하게 되며 토출량 조정이 완료되면 고정너트(223)를 죄어 조정봉(220)의 유동이 없도록 하면 되므로 액체의 토출량조절이 용이할 뿐 아니라 토출작업중에도 편리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오일이나 접착제, 약품 및 구리스와 같은 액체를 일정량씩 토출되게 하는 정량토출밸브를 구성함에 있어서, 스풀의 승강작동에 의해 상하부출입공으로 주입되는 액체의 위치를 조정하여 계량실내에 끼워진 액체피스톤이 승강하면서 계량실 내에 채워진 액체가 토출공을 통하여 토출되게 하되, 필요한 경우 뒷쪽에 구성된 조정봉을 이용하여 액체의 토출량을 쉽게 조정할 수 있고 또한 액체의 토출완료 후에는 스풀이 후진하면서 토출공 전면에 잔류하는액체를 흡입시켜 드립현상을 방지케 하므로서 사용이 편리한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오일이나 접착제, 약품 및 구리스와 같은 액체를 일정량씩 토출되게 하는 정량토출밸브를 구성함에 있어서, 계량실본체(300)내에 구성된 계량실(310)에 액체피스톤(320)을 승강가능케 결합구성하되, 후방에 구성된 피스톤봉(321)이 밸브캡(200)에 끼워진 조정봉(220)과 접하게 하여 계량실(310) 내의 체적이 조정되게 하고, 상기 계량실(310) 상하부에는 상부출입공(311)과 하부출입공(312)을 구성하고, 계량실본체(300) 전면에는 에어피스톤(421)이 승강가능케 끼워진 작동실(410)을 구성하고, 상기 작동실(410) 상하부에는 상부관통공(411)과 하부관통공(412)을 구성하고, 작동실(410) 전면에는 스풀(420)을 지지하는 스풀지지체(510)와 작동체(520)를 구성하되, 그 사이에 공급공(530)과 확장공(533) 및 하출입공(531)을 구성하고, 작동체(520)에는 통로(521)와 상출입공(522)을 구성하고, 상기 상출입공(522)과 하출입공(531)은 상부출입공(311)과 하부출입공(312)과 연결되게 하고, 작동체 전면에는 통로(521)와 상통하는 토출공(540)을 구성하고, 작동체(520)에 구성된 통로(521)와, 전면에 구성된 토출공(540)에는 스풀(420)이 끼워져 구성되게 하되, 스풀(420)에 구성된 요입부(422)가 통로(521) 상에 위치되게 하고, 상부 봉체(423)는 토출공(540)에 끼워져 구성되게 하므로서 스풀(420)의 승강작동에 의해 계량실(310)내에 액체가 주입되고, 토출되게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토출밸브.
KR20-2003-0035879U 2003-11-17 2003-11-17 정량 토출밸브 KR2003410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879U KR200341031Y1 (ko) 2003-11-17 2003-11-17 정량 토출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879U KR200341031Y1 (ko) 2003-11-17 2003-11-17 정량 토출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1031Y1 true KR200341031Y1 (ko) 2004-02-11

Family

ID=49424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5879U KR200341031Y1 (ko) 2003-11-17 2003-11-17 정량 토출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103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2645A (ko) * 2004-03-16 2005-09-22 장동원 정량토출펌프
KR102120941B1 (ko) * 2019-12-18 2020-06-10 주식회사 에스케이팩 액체 주입장치의 주입량 미세조정 장치
KR102512509B1 (ko) * 2022-09-21 2023-03-21 주식회사 넥젠 체적 계량형 정량 도포 자동밸브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2645A (ko) * 2004-03-16 2005-09-22 장동원 정량토출펌프
KR102120941B1 (ko) * 2019-12-18 2020-06-10 주식회사 에스케이팩 액체 주입장치의 주입량 미세조정 장치
KR102512509B1 (ko) * 2022-09-21 2023-03-21 주식회사 넥젠 체적 계량형 정량 도포 자동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64971B2 (en) Beverage dispenser
US5992688A (en) Dispensing method for epoxy encapsulation of integrated circuits
TWI424885B (zh) A liquid discharge device having a defoaming mechanism
US20120248153A1 (en) Reversal-Type Liquid Measuring Device and Bottle Assembly Having the Same
JP2012533082A (ja) 液滴吐出装置
KR200341031Y1 (ko) 정량 토출밸브
CA2515794A1 (en) Improved foam-forming unit
JP4121804B2 (ja) 塗料供給用シリンジポンプ
EP3170430A1 (en) Air-lift pumping device and a fluid container and tea machine containing the device
US4515537A (en) Dosing pump
KR101155172B1 (ko) 유체 플로우 미터기
KR200352227Y1 (ko) 정량토출펌프
EP1479464A3 (en) Vertical injection molding machine using three chambers
US4964784A (en) Volumetric dosing apparatus
KR200236924Y1 (ko) 액체의토출량조절기능이부설된정량밸브
KR100989925B1 (ko) 유체 토출 장치 및 방법
US9567137B2 (en) Reversal-type liquid measuring device and bottle assembly having the same
KR20140114158A (ko) 약제 디스펜서
KR20050092645A (ko) 정량토출펌프
KR200281129Y1 (ko) 인젝터
KR102125725B1 (ko) 펌프 디스펜서
CN218922844U (zh) 一种供水装置以及牙科设备
JPH11102692A (ja) 注液ヘッド及び注液装置
KR200283595Y1 (ko) 액체 정량 토출 밸브
JP2009190737A (ja) 二重構造ノズルによる充填時の液面揃え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