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2227Y1 - 정량토출펌프 - Google Patents

정량토출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2227Y1
KR200352227Y1 KR20-2004-0007216U KR20040007216U KR200352227Y1 KR 200352227 Y1 KR200352227 Y1 KR 200352227Y1 KR 20040007216 U KR20040007216 U KR 20040007216U KR 200352227 Y1 KR200352227 Y1 KR 2003522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metering
piston
passage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72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동원
Original Assignee
장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동원 filed Critical 장동원
Priority to KR20-2004-00072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22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22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22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58Arrangements of pumps
    • B67D7/62Arrangements of pumps power operated
    • B67D7/64Arrangements of pumps power operated of piston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3/00Pumps specially modified to deliver fixed or variable measured quant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오일이나 접착제 및 약품과 같은 액체의 정량 토출을 위한 펌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풀의 동작으로 단일 통로를 개폐시켜 액체의 충진과 토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동시에 액체의 토출량 조절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공간부(210)가 형성된 본체(200) 양측부에 작동실(310)이 형성된 에어실린더(300) 및 계량실(410) 형성된 계량본체(400)를 결합구성하고, 상기 본체(200) 및 계량본체(400)내에는 에어실린더(300)의 작동실(310)에 끼워진 에어피스톤(320)에 의해 작동하는 계량피스톤(220)을 구성하고, 계량본체(400) 선단부에는 유입공(420)과 토출공(424)을 형성하여 제1, 2, 3통로(421)(422)(423)를 통하여 계량실(410)과 상통하게 하고, 상기 제1, 2통로(421)(422)는 피스톤(520)에 의해 승강하는 스풀(530)에 의해 개폐되게하므로서 계량실(410)내에 액체가 충진되거나 토출되게 하고, 계량피스톤(220)은 챔버(323)에 의해 이동거리가 조정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정량토출펌프{DISPENSING PUMP}
본 고안은 오일이나 접착제 및 약품과 같은 액체의 정량토출을 위한 펌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풀의 동작으로 단일 통로를 개폐시켜 액체의 충진과 토출이 이루어지게 하며, 동시에 액체의 토출량 조절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오일이나 접착제, 약품과 같은 액체의 정량토출을 위한 밸브에 관하여서는 본 고안자가 여러구성의 제품들을 선출원하여 등록된 것이있다.
한예로서 실용신안등록 제341031호로 등록한 정량토출밸브가 있다.
즉 정량토출밸브를 구성함에 있어서, 계량실 본체내에 구성된 계량실에 액체피스톤을 승강가능케 결합구성하되, 후방에 구성된 피스톤봉이 밸브캡에 끼워진 조정봉과 접하게 하여 계량실내의 체적이 조정되게 하고, 상기 계량실 상하부에는 상부출입공과 하부출입공을 구성하고, 계량실본체 전면에는 에어피스톤이 승강가능케 끼워진 작동실을 구성하고, 상기 작동실 상하부에는 상부관통공과 하부관통공을 구성하고, 작동실 전면에는 스풀을 지지하는 스풀지지체와 작동체를 구성하되, 그 사이에 공급공과 확장공 및 하출입공을 구성하고, 작동체에는 통로와 상출입공을 구성하고, 상기 상출입공과 하출입공을 상부출입공과 연결되게 하고, 작동체 전면에는 통로와 상통하는 토출공을 구성하고, 작동체에 구성된 통로와 전면에 구성된 토출공에는 스풀이 끼워져 구성되게 하되 스풀에 구성된 요입부가 통로상에 위치되게 하고 상부봉체는 토출공에 끼워져 구성되게 하므로서 스풀의 승강작동에 의해 계량실내에 액체가 주입되고, 토출되게 한 것이다.
따라서 액체를 토출하고자 할 때 스풀의 승강작동에 의해 상하부 출입공으로 주입되는 액체의 위치를 조정하여 계량실내에 끼워진 액체피스톤이 승강하면서 계량실내에 채워진 액체가 토출공을 통하여 토출되게 하되 필요한 경우 뒷쪽에 구성된 조정봉을 이용하여 액체의 토출완료후에는 스풀이 후진하면서 토출공전면에 잔류하는 액체를 흡입시켜 드립현상을 방지케 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나 계량실내에 액체를 충진하거나 충진된 액체를 토출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항상 일정한 압력으로 유지되는 액체의 자체압력에 의해 이루어지게 한 것으로서 별도의 가압수단을 구비하여야 하게 될 뿐 아니라 액체의 출입통로가 대체로 길고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는 등의 단점도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단점을 시정하고자 일정량의 계량된 액체를 토출함에 있어서 계량피스톤의 흡입력에 의해 액체가 계량실내로 흡입충진되게 함과 동시에 토출 역시 계량피스톤의 전진운동에 의해 이루어지게 하되 액체의 유입과 토출통로의 구성이 매우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토출량의 미세조정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액체정량펌프를 구성함에 있어서, 공간부가 형성된 본체 좌우측에 에어실린더와 계량본체를 구성하되, 에어실린더내에는 피스톤을 설치하여 좌우이동되게 하여 본체 및 계량본체내에 끼워진 계량피스톤이 전후진되게 하고, 상기 에어피스톤에 구성된 승강로드에는 액체의 토출량 조정을 위한 챔버를 나사식으로 결합하고, 계량본체전면에는 토출공과 연결된 액체 유출입 통로를 구성하되, 상기 통로는 스풀에 의해 선별적으로 개폐되게 하므로서 계량실내에 액체가 흡입충진되고, 토출되는 동작이 이루이질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도 1 : 본 고안 펌프의 사시도.
도 2 : 본 고안 펌프의 요부 단면구성도.
도 3 : 본 고안 펌프의 요부 단면구성도.
도 4 : 도 3의 상태에서 스풀을 제거한 상태도.
도 5 : 본 고안 펌프의 작동상태도로서 토출완료된 상태도.
도 6 : 본 고안 펌프의 작동상태도로서 충진중인 상태도.
도 7 : 본 고안 펌프의 작동상태도로서 충진완료된 상태도.
도 8 : 본 고안 펌프의 작동상태도로서 토출중인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정량토출펌프 (200)--본체
(210)--공간부 (211)--격판
(220)--계량피스톤 (221)--피스톤 로드
(300)--에어실린더 (310)--작동실
(311)--상유입공 (312)--하유입공
(320)--에어피스톤 (321)--승강로드
(322)--나사부 (323)--챔버
(324)--잠금너트 (330)--커버
(331)--가이드 (400)--계량본체
(410)--계량실 (420)--패킹홀더
(421)--패킹 (420)--유입공
(421)--제1통로 (422)--제2통로
(423)--제3통로 (424)--토출공
(500)--실린더 (510)--작동실
(511)--상주입공 (512)--하주입공
(520)--피스톤 (530)--스풀
(531)--본체 (532)--요입부
(533)--머리부 (540)--덮개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정량토출펌프(100)의 단면구성도이고, 도 2는 요부확대도로서 내면에 공간부(210)가 형성된 본체(200) 좌우에 작동실(310)이 형성된 에어실린더(300)와 계량실(410)이 형성된 계량본체(400)를 결합구성하고, 상기 계량본체(400) 일측에는 작동실(510)이 형성된 또다른실린더(500)를 결합구성한다.
상기 에어실린더(300)와 본체(200)사이에는 격판(313)(211)에 의해 구획되어있고, 상기 격판(313)(211) 중앙에는 관통공이 뚫려져 있고,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본체(200)내에 위치하는 계량피스톤(220)의 피스톤로드(221)가 관통되게 한다.
또한 본체(200)와 계량본체(400)사이에는 패킹(421)이 끼워진 패킹홀더(420)가 위치하면서 계량피스톤(220)이 설치되게 하여 기밀성이 유지되게 하고, 상기 계량피스톤(220)의 선단부는 계량본체(400)내에 구성된 계량실(410)에 위치되게 한다.
에어실린더(300)내에 구성된 작동실(310)에는 에어피스톤(320)을 끼워 설치한 다음 일측이 피스톤로드(221)와 연결되게 하고, 타측에는 승강로드(321)를 결합구성하되 연결볼트(325)로 피스톤로드(221)와 승강로드(321) 및 에어피스톤(320)이 서로 연결구성되게 한다.
에어피스톤(320)이 끼워진 에어실린더(300) 배면에는 커버(330)를 결합구성하고, 상기 커버(330) 외측중앙에 가이드(331)를 나사식으로 결합구성하되 승강로드(321)가 커버(330) 및 가이드(331)를 관통되게 하고, 상기 승강로드(321) 단부에는 나사부(322)를 구성하고, 상기 나사부에는 챔버(323)를 나사결합하고, 챔버(323)를 관통한 나사부(322)에는 잠금너트(324)를 결합하여 챔버(323)가 고정되게 한다.
상기 에어실린더(300)와 커버(330)에는 상하유입공(311)(312)을 구성하여 작동실(310)과 연결되게 하므로서 상하유입공(311)(312)을 통하여 작동실(310)내에공기가 주입되면 에어피스톤(320)이 전후진되게 한다.
계량본체(400) 전면에는 유입공(420)을 구성하고, 상기 유입공(420)은 제1통로(421)와 제3통로(423)를 통하여 계량실(410)과 연결되게 하고, 제2통로(422)는 토출공(424)과 연결되게 한다.
계량본체(400) 일측에 구성된 실린더(500)의 작동실(510)에는 피스톤(520)을 끼워설치하되 상기 피스톤(520)에는 스풀(530)을 구성하고, 상기 스풀(530)은 제1통로(421)와 제2통로(422)을 관통하여 위치되게 하고, 스풀(530)의 본체(531) 전면에는 요입부(532)와 머리부(533)가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풀(530)의 머리부(533)와 요입부(532) 및 본체(531)가 제1통로(421)와 제2통로(422)를 선택적으로 개폐되게 하므로서 액체(440)가 계량실(410)로 충진되거나 토출공(424)을 통하여 외부로 토출된다.
실린더(500) 일측단부에는 덮개(540)를 결합구성하고, 상기 덮개(540)와 실린더(510)에는 상주입공(511)과 하주입공(512)을 형성하여 작동실(510)과 연결되게 하므로서 상하주입공(511)(512)을 통하여 작동실(510)내에 주입되는 공기에 의해 피스톤(520)이 작동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정량토출펌프(100)의 작동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지게 된다.
먼저 액체(440)의 충진은 다음과 같이 된다.
즉 도 5에서와 같이 계량피스톤(220)이 최전진하고, 실린더(500)에 끼워진 피스톤(520)이 전진하여 스풀(530)의 요입부(532)가 제2통로(422)에 위치된 상태에서 계량실(410)내에 액체(440)를 충진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스풀(530)을 이동시켜 제2통로(422)를 밀폐시켜야 한다.
따라서 도 6에서와 같이 실린더(500)에 구성된 하주입공(512)으로 공기를 주입하여 작동실(510)내에 끼워진 피스톤(520)을 상승시켜 이와 연결된 스풀(530)을 윗쪽으로 이동시켜 스풀(530)의 머리부(533)가 제2통로(422)에 위치하여 밀폐되게 하고, 요입부(532)가 제1통로(421)에 위치하여 개방되게 하므로 제1통로(421)와 제3통로(423)를 통하여 유입공(420)과 계량실(410)이 상통하게 한다.
상기 한 상태에서 에어실린더(300)에 구성된 하유입공(312)을 통하여 압축공기가 작동실(310)내에 유입되게 하면 작동실(310)내에 끼워진 에어피스톤(320)이 후진하에 되고, 따라서 피스톤로드(221)로 연결된 계량피스톤(220)이 서서히 후진하게 되므로 액체(440)는 계량피스톤(220)의 흡입력에 의해 제1통로(421)와 제3통로(423)를 통하여 계량실(410)내에 충진된다.
계량실(410)내에 액체(440)의 충진이 완료되면 도 7에서와 같이 위치되어 충진완료와 동시에 토출대기상태가 된다.
도 7에서와 같은 상태에서 계량실(410)내에 충진된 액체(440)를 토출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8에서와 같이 스풀(530)을 하강시켜 제1통로(421)는 패쇄되게 함과 동시에 제2통로 (422)는 개방시켜야 한다.
즉 실린더(500)에 구성된 상주입공(511)으로 압축공기를 주입하면 작동실(510)내에 끼워진 피스톤(520)이 하강하게 되고, 동시에 이와 연결된 스풀(530)도 하강하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스풀(530)이 하강하게 되면 스풀(530) 본체(531)가 제1통로(421)를 밀폐하여 패쇄시키게 되고, 동시에 요입부(532)가 제2통로(422)에 위치하면서 개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에어실린더(300)에 구성된 상유입공(311)을 통하여 압축공기가 작동실(310)내에 유입되게 하면 압축공기에 의해 에어피스톤(320)이 서서히 전진하게 되고 따라서 피스톤로드(221)로 연결된 계량피스톤(220)이 전진하면서 계량실(410)내에 채워진 액체(440)를 제3통로(423)와 제2통로(422) 및 토출공(424)을 통하여 전방으로 토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하여 계량실(410)내에 충진된 액체(440)의 토출이 완료되면 위에서 설명한바와 같은 동작의 반복으로 계량실(410)내에 액체를 충진하고 토출하는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상기 본 고안의 정량토출펌프(100)를 구성함에 있어서, 토출되는 액체(440)의 토출량을 조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승강로드(321)의 나사부(322)에 나사결합된 챔버(323)를 회전시켜 충진되는 액체의 량을 조정할 수 있다.
즉 나사부(322)에 나사결합된 챔버(323)를 회전시켜 가이드(331)의 외면을 슬라이드하여 에어실린더(300)쪽으로 이동되게 하면 가이드(331)를 따라 슬라이드하는 챔버(323)의 이동거리가 그만큼 짧아지게 되고, 따라서 작동실(310)내에 끼워진 에어피스톤(320)의 이동거리 역시 짧아지면서 계량피스톤(220)에 의해 토출되는 액체(440)의 량이 적어지게 된다.
액체(440)의 토출량을 증가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챔버(323)를 위와는 반대로조작하여 에어피스톤(320)의 이동거리를 길게할 경우에는 액체(440)의 토출량이 많아지게 된다.
챔버(323) 외측에 위치한 잠금너트(324)는 챔버(323)를 이용하여 액체(440)의 토출량을 조정한 다음 잠금너트(324)를 챔버(323)와 밀착되게 체결하여 작동중 챔버(323)가 이동하여 액체의 토출량이 달라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오일이나 접착제, 약품등과 같은액체를 토출함에 있어서, 피스톤에 의해 스풀이 승강되게 하므로서 액체의 유입 및 토출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되게 하고, 동시에 계량본체내에 끼워진 계량피스톤이 전후진하여 계량실내에 필요한 량의 액체를 흡입시킨다음 토출되게 하고, 또한 챔버를 이용하여 액체의 토출량을 미세조정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오일이나 접착제 및 약품과 같은 액체를 일정량씩 토출되게 하는 정량토출펌프를 구성함에 있어서, 공간부(210)가 형성된 본체(200) 양측부에 작동실(310)이 형성된 에어실린더(300)와 계량실(410)이 형성된 계량본체(400)를 결합구성하고, 상기 본체(200) 및 계량본체(400)의 공간부(210) 및 계량실(410)내에는 계량피스톤(220)을 전후이동가능케 설치하고, 상기 계량피스톤(220)의 피스톤로드(221)는 에어실린더(300)의 작동실(310)에 끼워진 에어피스톤(320)과 연결되게 하고, 상기 에어실린더(300)는 상유입공(311)과 하유입공(312)을 형성하여 작동실(310)과 연결되게 하고, 계량본체(400) 선단부에는 유입공(420)과 토출공(424)을 구성하되, 제1통로(421)와 제2통로(422) 및 제3통로(423)를 통하여 계량실(410)과 서로 연결되게 하고, 상기 제1통로(421)와 제2통로(422)에는 스풀(530)이 위치하면서 제1통로(421)와 제2통로(422)를 선택적으로 개폐되게 하고, 상기 스풀(530)의 동작은 실린더(500)내에 끼워진 피스톤(520)의 승강에 의해 이루어지게 하므로서 계량실(410)내에 액체가 충진되고, 토출되게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토출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에어실린더(300)의 작동실(310)에 끼워진 에어피스톤(320) 후방에 나사부(322)가 형성된 승강로드(321)를 연결하고, 상기 승강로드(321)는 커버(330) 배면에 돌출구성된 가이드(331)에 안내되게 하되 승강로드(321)의나사부(322)에 챔버(323)를 나사결합하여 에어실린더(300)내에 끼워진 에어피스톤(320)의 이동거리가 조정되게 하여 액체의 토출량이조정되게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토출펌프.
KR20-2004-0007216U 2004-03-16 2004-03-16 정량토출펌프 KR2003522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7216U KR200352227Y1 (ko) 2004-03-16 2004-03-16 정량토출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7216U KR200352227Y1 (ko) 2004-03-16 2004-03-16 정량토출펌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7760A Division KR20050092645A (ko) 2004-03-16 2004-03-16 정량토출펌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2227Y1 true KR200352227Y1 (ko) 2004-06-04

Family

ID=49346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7216U KR200352227Y1 (ko) 2004-03-16 2004-03-16 정량토출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222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2645A (ko) * 2004-03-16 2005-09-22 장동원 정량토출펌프
KR102120941B1 (ko) * 2019-12-18 2020-06-10 주식회사 에스케이팩 액체 주입장치의 주입량 미세조정 장치
KR20220112116A (ko) 2021-02-03 2022-08-10 주식회사 리텍 신발 접착제 정량토출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2645A (ko) * 2004-03-16 2005-09-22 장동원 정량토출펌프
KR102120941B1 (ko) * 2019-12-18 2020-06-10 주식회사 에스케이팩 액체 주입장치의 주입량 미세조정 장치
KR20220112116A (ko) 2021-02-03 2022-08-10 주식회사 리텍 신발 접착제 정량토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27560A (en) Dispensing pump for epoxy encapsulation of integrated circuits
US6564971B2 (en) Beverage dispenser
BR0214194B1 (pt) bomba dosadora e conjunto de válvula para uma bomba dosadora.
US20120219468A1 (en) Droplet discharging device
CN110935592B (zh) 点胶装置及具有它的点胶设备
US20230321672A1 (en) Nozzle and applicator system comprising the same
CA2515794A1 (en) Improved foam-forming unit
KR200352227Y1 (ko) 정량토출펌프
KR20110083227A (ko) 리니어 펌프
KR101625337B1 (ko) 고 점성 유체용 스프레이 밸브
US5309958A (en) Filling apparatus for viscous foods
KR20120004976U (ko) 액체용기용 펌핑디스펜서
KR20050092645A (ko) 정량토출펌프
KR101383919B1 (ko) 이종유체 토출형 화장품 용기
KR102386630B1 (ko) 이종물질 혼합용기의 리필 장치 및 누름 버튼
KR101670268B1 (ko) 고정밀 액체정량토출장치
KR200341031Y1 (ko) 정량 토출밸브
CN109661276B (zh) 防水型泵分配器
KR100912772B1 (ko) 에어부스트 펌프
KR200283595Y1 (ko) 액체 정량 토출 밸브
JPH11102692A (ja) 注液ヘッド及び注液装置
KR200236924Y1 (ko) 액체의토출량조절기능이부설된정량밸브
JP3735608B2 (ja) 流体を定量射出する指操作式噴霧ポンプ
KR102236452B1 (ko) 용기 유니트
CN219770227U (zh) 一种精控定量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