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1006Y1 - 변기세척용수 급수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변기세척용수 급수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1006Y1
KR200341006Y1 KR20-2003-0034930U KR20030034930U KR200341006Y1 KR 200341006 Y1 KR200341006 Y1 KR 200341006Y1 KR 20030034930 U KR20030034930 U KR 20030034930U KR 200341006 Y1 KR200341006 Y1 KR 2003410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water supply
pulley
washing
wash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49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윤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디와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디와이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디와이즈
Priority to KR20-2003-00349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10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10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10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1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03Cisterns in combination with wash-basins, urinal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4Flushing valves for outlets; Arrangement of outlet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변기의 세척을 위한 세척용수의 급수를 제어하기 위한 변기세척제어버튼을 변좌의 측방(특히, 비데의 제어패널)에 위치되도록 하고 전동모터의 전동력에 의해 자동으로 세척용수의 급수/차단이 제어되도록 하기 위한 변기세척용수 급수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변기세척용수저장탱크내의 세척용수의 급수가 개시되도록 하기 위한 변기세척제어버튼과; 상기 변기세척제어버튼의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세척용수경로개폐구를 개폐하기 위한 동력을 발생하는 전동모터와 그 전동모터의 축에 결합된 제 1풀리 및 그 제 1풀리에 일단이 권취된 벨트부재를 포함하는 동력발생부; 상기 동력발생부에서 발생된 동력에 의해 상기 변기세척용수저장탱크내에서 세척용수가 상기 변기측으로 급수되도록 상기 벨브부재의 타단이 권취된 제 2풀리와 그 제 2풀리에 연동적으로 회전하는 회동축부재, 그 회동축부재를 매개하여 상기 제 2풀리와 연동회전하는 제 3풀리, 그 제 3풀리의 회동작용에 의해 와이어부재를 매개하여 상기 세척용수경로개폐구를 개폐하는 급수작동간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변기세척제어버튼은 비데의 제어패널상에 설치된다.

Description

변기세척용수 급수제어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CHAMBER-POT WASHING WATER}
본 고안은 변기세척용수 급수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변기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용수가 전자식 변기세척버튼 조작에 응답하여 전동식으로 실행되도록 한 변기세척용수 급수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기상에 제공되는 변좌에 착석하도록 된 좌변기 또는 비데에는 그 변기를 세척하기 위한 변기세척용수가 저장되는 변기세척용수저장탱크가 갖추어지게 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일예에 따른 변기세척용수 급수구조에 따르면, 변기(10)상에는 용변시 착석을 위한 변좌(12)가 제공되고, 그 변기(10)의 후방에는 그 변기(10)를 세척하기 위한 변기세척용수가 저장되는 변기세척용수저장탱크(14)가 설치되며, 그 변기세척용수저장탱크(14)상에는 개폐가능한 탱크커버(16)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변기세척용수저장탱크(14)에는 변기세척용수의 저장과 급수를 위한 변기세척용수급수메카니즘이 설계되는 바, 그 변기세척용수급수메카니즘에서 수동식의 변기세척조작노브(20)에는 급수작동간(22)의 일단이 연계되고, 그 급수작동간(22)은 회전축(24)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선회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급수작동간(22)의 타단에는 와이어부재(26)를 매개하여 세척용수경로개폐구(28)의 일측이 연계되며, 그 세척용수경로개폐구(28)는 실제 세척용수가 상기 변기(10)측으로 급수되는 경로(즉, 세척용수급수구(30))를 개폐하는 작용을 행하게된다.
또, 도 1에서 상기 변기세척용수저장탱크(14)내에는 그 내부에 공급되는 세척용수가 일정한 레벨 이상으로 상승되는 경우 자연적으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오버플로우방지관(32)이 제공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변기세척용수 급수구조에서는 상기 수동식의 변기세척조작노브(20)를 누름조작하는 경우 그 조작에 의해 상기 급수작동간(22)의 일단이 상기 회전축(24)을 중심으로 하방향으로 선회함에 따라 그 급수작동간(22)의 타단은 상방향으로 선회하면서 상기 와이어부재(26)를 매개하여 상기 세척용수경로개폐구(28)를 들어올리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세척용수급수구(30)가 개방되면서 세척용수가 상기 변기(10)측으로 급수되어 세척이 이루어지게 되며, 그 급수 도중에 상기 세척용수경로개폐구(28)의 자중(自重)이 작용하는 정도로 급수가 이루어지게 되면 그 세척용수경로개폐구(28)가 원위치되면서 상기 세척용수급수구(30)를 밀폐시키게 된다.
그리고, 해당하는 변기세척용수저장탱크(14)내에는 자동적으로 세척용수의 보충을 위한 공급이 이루어져 후속의 변기세척을 위해 대기하게 된다.
또, 상기 수동식의 변기세척조작노브(20)는 누름방식 이외에도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와이어부재(26)가 상기 세척용수경로개폐구(28)를 작동시키는 구조로도 형성된다.
그런데, 누름방식이나 회전방식으로 설계된 경우라 해도 상기 변기세척조작노브(20)는 상기 변기세척용수저장탱크(14)의 전면 또는 측면에 설치되고, 그 변기세척용수저장탱크(14)는 대개 상기 변기(10)의 후방에 설치되며, 실제 용변의 자세는 상기 변기(10)상에 재치된 변좌(12)에 전방향을 향하도록 착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변기(10)의 후방에 설치되는 세척용수저장탱크(14)에 상기 변기세척조작노브(20)가 설치된 구조에서는 좌변식 변기 또는 비데의 구분없이 그 변기세척조작노브(20)를 조작하기 위해서는 상기 변좌(12)에 착석한 상태에서 상체를 틀어야만 된다는 상당히 불편한 자세가 요구되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전자식의 변기세척제어버튼을 적용하며서 변기세척수저장탱크와 분리시켜 조작이 편리한 위치(예컨대 비데제어패널)에 설치하고 전동방식으로 변기세척용수경로개폐구를 작동시키도록 된 변기세척용수 급수제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변기세척용수저장탱크내의 세척용수가 변기측으로 급수/차단되도록 하기 위한 세척용수경로개폐구를 갖추어 구성된 변기세척용수 급수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척용수의 급수가 개시되도록 하기 위한 변기세척제어버튼과; 상기 변기세척제어버튼의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세척용수경로개폐구를 개폐하기 위한 동력을 발생하는 전동모터와 그 전동모터의 축에 결합된 제 1풀리 및 그 제 1풀리에 일단이 권취된 벨트부재를 포함하는 동력발생부; 상기 동력발생부에서 발생된 동력에 의해 상기 변기세척용수저장탱크내에서 세척용수가 상기 변기측으로 급수되도록 상기 벨브부재의 타단이 권취된 제 2풀리와 그 제 2풀리에 연동적으로 회전하는 회동축부재, 그 회동축부재를 매개하여 상기 제 2풀리와 연동회전하는 제 3풀리, 그 제 3풀리의 회동작용에 의해 와이어부재를 매개하여 상기 세척용수경로개폐구를 개폐하는 급수작동간을 포함하여 구성된 급수실행부를 갖추어 구성된 변기세척용수 급수제어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급수실행부에는 상기 변기의 관통공에 대응하는 내면에 설치되는 급수지지브라켓에 형성된 고정축돌기에는 상기 급수작동간을 탄성지지하는 탄성스프링이 더 설치된다.
상기 제 3풀리에는 가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급수작동간은 상기 제 3풀리의 회전시 상기 가압돌기가 접면가압되는 일단을 갖추게 된다.
또, 상기 변기세척제어버튼은 비데의 제어패널상에 설치되면 바람직하게 된다.
상기한 본 고안에 따른 변기세척용수 급수제어장치에서는 바람직하게 비데의 제어패널상에 갖추어진 변기세척제어버튼을 조작하면 제어수단의 제어하에 상기 전동모터가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그 회전에 의해 상기 제 1 내지 제 3풀리가 회전하여 급수작동간에 연결된 와이어부재를 매개로 세척용수경로개폐구를 개방시키게 되어 변기세척용수저장탱크내의 세척용수가 변기측으로 급수되어 변기의 세척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변기측으로 세척용수의 급수가 이루어지면 상기 전동모터가 역회전하여 상기 세척용수경로개폐구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면서 변기측으로의 세척용수 급수를 차단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일예에 따른 변기세척용수 급수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변기세척용수 급수제어장치가 비데에 구성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변기세척용수 급수제어장치를 구성하는 세척용수급수유니트를 분리해서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변기세척용수 급수제어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40: 변기, 12,42: 변좌,
14,44: 변기세척용수저장탱크, 48: 제어패널,
52: 변기세척제어버튼, 54: 전동모터,
56: 벨트부재, 62: 제 3풀리,
66: 탄성스프링, 68: 급수작동간,
70: 와이어부재, 72: 세척용수경로개폐구.
이하, 본 고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변기세척용수 급수제어장치가 비데에 구성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변기(40)상에는 용변시 착석을 위한 변좌(42)가 개폐가능하도록 제공되고, 그 변좌(42)상에는 커버(도시 생략)가 그 전체 영역을 커버링하도록 제공된다.
또, 상기 변좌(42)의 후방에는 상기 변기(40)의 세척을 위한 세척용수가 저장되는 변기세척용수저장탱크(44)가 설치되고, 그 변기세척용수저장탱크(44)상에는 개폐가능한 탱크커버(46)가 설치된다.
상기 변좌(42)의 후방에는 제어패널(48)에서의 선택(예컨대, 비데버튼 또는 세정버튼, 필요한 경우 건조버튼)에 응답하여 세정수를 분사하는 세정수분사노즐(50)이 갖추어지게 되고, 상기 제어패널(48)상에는 상기 세정수분사노즐(50)에서 분사되는 세정수의 온도/시간/압력 등의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버튼이 갖추어지며, 그 제어패널(48)상의 버튼에는 해당하는 비데장치에 건조기능이 상정되는 경우에는 송풍온도라든지 세기를 조정하기 위한 버튼도 갖추어지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변기세척용수저장탱크(44)에 저장된 변기세척용수를 상기 변기(40)측으로 급수되도록 하기 위한 변기세척용수급수유니트가 제공되는 바, 그 변기세척용수급수유니트는 상기 제어패널(48)상에 설치되어 변기세척용수의급수를 지시하기 위한 변기세척제어버튼(52)과, 그 변기세척제어버튼(52)의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변기세척용수저장탱크(44)내에 저장된 변기세척용수가 상기 변기(40)측으로 급수되도록 하기 위한 전동력을 발생하는 동력발생부와, 그 동력발생부에서 발생된 동력에 의해 실제로 상기 변기세척용수저장탱크내에서 세척용수가 상기 변기(40)측으로 급수되도록 하는 급수실행부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동력발생부는 상기 제어패널(48)이 갖추어진 제어패널하우징(48a)내에서 상기 변기(40)측에 최근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변기세척제어버튼(52)의 조작시 해당하는 비데장치의 전체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수단(예컨대 마이컴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도시 생략)의 제어하에 정/역회전하는 전동모터(54)와, 그 전동모터(54)의 축상에 설치되어 그 외주변에는 벨트부재(56)가 권취된 제 1풀리(54a)로 구성된다.
또, 상기 급수실행부에는 상기 회전축부재(58)의 회전축상기 급수실행부는 상기 변기(40)의 측면에 형성된 관통공(44a)에 관통적으로 설치된 회전축부재(58)를 포함하게 되는 바, 그 회전축부재(58)는 중앙의 베어링부분과 그 중앙의 베어링부분에 의해 회전지지되는 회전축으로 구성된다.
그에 더하여, 상기 급수실행부에는 상기 회전축부재(58)의 일단(상기 변기의 외측)에 고정설치되면서 상기 벨트부재(56)를 매개로 상기 제 1풀리(54a)에 동력적으로 연결되는 제 2풀리(60)와, 상기 회전축부재(58)의 회전축의 타단(상기 변기의 내측)에 고정설치되면서 그 일측에는 가압돌기(62a)가 형성되고 상기 제 2풀리(60)와 연동적으로 회동하는 제 3풀리(62)도 갖추어지게 된다.
또, 상기 급수실행부에는 상기 변기(40)의 관통공(44a)에 대응하는 내면에는 대체로 '┏'자-형상의 평단면을 갖는 급수지지브라켓(64)이 포함되고, 그 급수지지브라켓(64)의 일측면에는 탄성스프링(66)이 권취되는 고정축돌기(64a)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축돌기(64a)의 주변 소정위치에는 상기 탄성스프링(64)의 제 1단(66a)이 계지되는 제 1스프링고정돌기(64b)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축돌기(64a)에는 급수작동간(68)의 소정위치에 형성된 회동지지공(68a)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급수작동간(68)의 일단 상면(68b)은 상기 제 3풀리(62)의 가압돌기(62a)에 접면되는 반면 그 급수작동간(68)의 타단(68c)에는 와이어부재(70)를 매개하여 세척용수급수구(도시 생략)를 개폐하기 위한 세척용수경로개폐구(72; 도 2와 도 4 참조)의 일측이 연결되며, 그 세척용수경로개폐구(72)의 타측(72a)은 상기 변기(40)에 저장되는 세척용수가 넘치는 상태를 방지하기 위한 오버플로우방지관(74)의 양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한 구조의 본 고안에 따른 변기세척용수 급수제어장치는 상기 제어패널(48)상의 변기세척제어버튼(52)이 조작되면 해당하는 비데의 제어수단의 제어하에 상기 변기세척용수급수유니트의 동력발생부를 구성하는 전동모터(54)가 예컨대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그 전동모터(54)의 회전력은 상기 제 1풀리(54a)로부터 상기 벨트부재(56)를 통해 상기 급수실행부를 구성하는 회전축부재(58)의 제 2풀리(60)에 전달된다.
따라서, 그 제 2풀리(60)도 회전함과 더불어 상기 회전축부재(58)도 회전하게 되고, 그 회전축부재(58)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3풀리(62)도 회전하면서 그 제3풀리(62)에 형성된 상기 가압돌기(62a)가 상기 급수작동간(68)의 일단 상면(68b)을 하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그러면, 도 4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급수작동간(68)의 타단(68c)이 상승되면서 상기 와이어부재(70)를 통해 상기 세척용수경로개폐구(72)의 일측을 들어 올리게 됨에 따라 상기 변기세척용수저장탱크(44)에 저장된 변기세척용수가 세척용수급수구(도시 생략)를 통해 상기 변기(40)에 급수되어 세척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변기세척용수저장탱크(44)내의 세척용수가 상기 변기(40)측으로 어느 정도 급수가 이루어지게 되면 제어수단의 제어하에 상기 전동모터(54)가 역회전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벨트부재(56)가 풀려지면서 상기 와이어부재(70)에 의해 당겨진 상기 세척용수경로개폐구(72)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변기(40)측으로의 세척용수급수구를 폐쇄시키게 되고, 그 상태에서 상기 변기세척용수저장탱크(44)내에는 세척용수가 보충되어 후속의 변기세척에 사용되게 된다.
즉, 상기 전동모터(54)의 역회전에 의해 상기 세척용수경로개폐구(72)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는 시점에서 상기 급수작동간(68)은 상기 탄성스프링(66)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세척용수경로개폐구(72)가 임의로 개방되지 않도록 가압유지된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로 한정되지는 않고 고안의 기술적 요지 및 요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즉, 상기 변기세척용수급수유니트에 대해서는 제어패널에 갖추어진 변기세척제어버튼의 조작시 정/역회전하는 전동모터에 의해 세척용수경로개폐구가 개폐되는 구성이면 어떠한 형태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변기세척용수 급수제어장치에 의하면 비데의 경우 변좌의 착석시 측방에 위치되는 제어패널상에 변기세척제어버튼을 설치함과 더불어 그 변기세척제어버튼의 조작에 응답하는 전동모터의 전동력에 의해 변기측으로의 세척용수의 급수/차단이 이루어짐에 따라, 종래의 변기측에 설치되는 변기세척조작노브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변기세척을 위한 버튼조작에 대한 신체적 불편함이 완화된다.

Claims (3)

  1. 변기세척용수저장탱크내의 세척용수가 변기측으로 급수/차단되도록 하기 위한 세척용수경로개폐구를 갖추어 구성된 변기세척용수 급수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척용수의 급수가 개시되도록 하기 위한 변기세척제어버튼과,
    상기 변기세척제어버튼의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세척용수경로개폐구를 개폐하기 위한 동력을 발생하는 전동모터와 그 전동모터의 축에 결합된 제 1풀리 및 그 제 1풀리에 일단이 권취된 벨트부재를 포함하는 동력발생부;
    상기 동력발생부에서 발생된 동력에 의해 상기 변기세척용수저장탱크내에서 세척용수가 상기 변기측으로 급수되도록 상기 벨브부재의 타단이 권취된 제 2풀리와 그 제 2풀리에 연동적으로 회전하는 회동축부재, 그 회동축부재를 매개하여 상기 제 2풀리와 연동회전하는 제 3풀리, 그 제 3풀리의 회동작용에 의해 와이어부재를 매개하여 상기 세척용수경로개폐구를 개폐하는 급수작동간을 포함하여 구성된 급수실행부를 갖추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척용수 급수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실행부에는 상기 변기의 관통공에 대응하는 내면에 설치되는 급수지지브라켓에 형성된 고정축돌기에는 상기 급수작동간을 탄성지지하는 탄성스프링이 더 설치되고,
    상기 제 3풀리에는 가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급수작동간은 상기 제 3풀리의 회전시 상기 가압돌기가 접면가압되는일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척용수 급수제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세척제어버튼은 비데의 제어패널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척용수 급수제어장치.
KR20-2003-0034930U 2003-11-07 2003-11-07 변기세척용수 급수제어장치 KR2003410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4930U KR200341006Y1 (ko) 2003-11-07 2003-11-07 변기세척용수 급수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4930U KR200341006Y1 (ko) 2003-11-07 2003-11-07 변기세척용수 급수제어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8627A Division KR20050044080A (ko) 2003-11-07 2003-11-07 변기세척용수 급수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1006Y1 true KR200341006Y1 (ko) 2004-02-11

Family

ID=49424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4930U KR200341006Y1 (ko) 2003-11-07 2003-11-07 변기세척용수 급수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100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816B1 (ko) * 2006-07-12 2009-06-09 윤윤현 비데의 자동 물 내림 로봇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816B1 (ko) * 2006-07-12 2009-06-09 윤윤현 비데의 자동 물 내림 로봇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84406B2 (ja) 人体局部洗浄装置
KR200341006Y1 (ko) 변기세척용수 급수제어장치
KR20050044080A (ko) 변기세척용수 급수제어장치
KR0128899Y1 (ko) 세탁기 도어 자동개폐용 스위치
JP2004283563A (ja) 食器洗浄機
JP3874126B2 (ja) 人体局部洗浄装置
KR101275205B1 (ko) 식기세척기의 세제박스 어셈블리
KR100673444B1 (ko) 세탁물 처리장치
KR101281948B1 (ko) 절수형 수세식 변기
JP7458866B2 (ja) 便器洗浄装置
KR102424052B1 (ko) 팔꿈치용 스위치를 구비한 좌변기
KR950007073B1 (ko) 세탁기의 부분 세탁장치
JP6711194B2 (ja) トイレ装置
JPH0775617A (ja) 食器洗い機
JP2000042291A (ja) 電気洗濯機
KR200262177Y1 (ko) 수동형 직수 양변기
JP2022067795A (ja) 便器装置
JP2005160792A (ja) 食器洗浄機
KR200434589Y1 (ko) 변기 세척수 자동 공급장치
JP2603467Y2 (ja) 衛生洗浄装置
JP2002235359A (ja) 温水洗浄装置
JPH11137474A (ja) トイレ用洗浄装置
JP2553171Y2 (ja) 便器装置
JP4000270B2 (ja) 自動洗髪機
KR100267924B1 (ko)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0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